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14

        321.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비점오염원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등과 같이 불특정장 소에서 빗물 등에 의해 배출되는 오염원으로, 4대강 오염 부하량의 42%~69% 정도를 차지하며, 비점오염물질을 처 리하기 위하여 환경부에서는 수계내 소유역에 비점오염물 질 저감시설을 시범적으로 설치, 운영하고 지속적인 모니터 링을 수행하고 있다. 비점오염 저감시설 시범설치사업은 한 강수계 27개 시설, 금강수계 7개 시설, 영산강수계 7개 시 설, 낙동강수계 5개 시설로 4대강수계 46개 시설이 설치되 어 있다.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자연형시설과 장치형시설로 구분되며 자연형시설로는 저류시설, 인공습지, 침투시설, 식생형 시설이 있으며, 장치형시설은 여과형시설, 와류형시 설, 스크린형시설, 응집․침전 처리형 시설,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로 구분된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처리효율, 유지관리, 시설의 적정성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강수계는 2006년부터 낙동강 수계 는 2007년부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 는 금강과 영산강의 모니터링도 실시되었다. 하지만 모니터 링의 기준은 강우량, 유입/유출 유량 및 농도, 설치비, 유지 관리비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연형 시설의 식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4대강 비점오 염 저감시설 중 자연형 시설을 중심으로 유형별 식생현황을 파악함으로서 비점오염원 저감에 적합한 식재․유지관리 기 준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4대강유역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중 자연형 시설로 식생수로 유형으로 용인 왕산리, 침투저류지로서 용 인 초부리, 인공습지는 고농도 인공습지 유형으로 논산 양 지리, 저농도 인공습지 유형은 공주 상서리로 구분하여 조 사하였다. 자연형 시설의 유형별 식생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 준공도와 현존식생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으며, 저감효 과를 위하여 9월~11월에 월 2회 식물을 채취하여 식물체내 N, P흡수 저감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식생수로(용인 왕산리)는 기존 준공시 침강지와 식생수 로를 조성하고 수질개선효과를 기대하는 식물종으로 계획 되었으며, 줄, 달뿌리풀, 갈대, 물억새 등이 식재되었으나 현존식생을 조사한 결과 식재종으로 달뿌리풀-환삼덩굴 (12.0%)로 조사되었으며, 자연발생종으로 환삼덩굴(63.2%) 의 피복이 심각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주변부 조사에서 단 풍잎돼지풀, 환삼덩굴-고마리, 돌피 등이 조사되었다. 이는 대상지가 매년 발생하는 태풍, 홍수 등의 생태적 교란이 심 한 하천지역으로, 기존 식재되었던 물억새, 줄, 갈대는 도태 되었으며, 달뿌리풀은 기존 식재지 면적보다 감소된 종으로 조사되어, 식재종 보다는 환삼덩굴, 단풍잎돼지풀 등 생태 계교란야생식물의 피복이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투저류지(용인 초부리)는 기존 준공시 침강지와 저류 지를 조성하고, 부처꽃, 노랑꽃창포, 쑥부쟁이, 갈대 등이 식재되었으며, 현존식생을 조사한 결과 식재종인 노랑꽃창 포(11.7%), 갈대(3.7%) 등이 조사되었으며, 완사면부의 자 연발생종인 쑥(9.0%), 돌콩(1.5%) 등의 이입식물이 발견되 었으나 비교적 원활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기존 준공도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노랑꽃창포는 97.8%의 면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유지종으로 파악되며, 부 처꽃은 37.9%, 갈대는 26.7%로 돌콩 등에 의하여 피압되어 면적이 감소되는 감소종으로 조사되었다. 고농도 인공습지(논산 양지리)는 기존 준공시 돼지 축사 의 오염원을 저감하기 위하여 조성된 인공습지로서, 침강 지, 침전지, 얕은습지와 깊은습지로 조성되었으며, 수질개 선효과를 위하여 애기부들, 물억새, 갈대 등을 식재하였으 며, 현존식생을 조사한 결과 식재종으로 갈대(13.5%), 물억 새(1.7%) 등이 조사되었으며, 자연발생종인 쑥(1.5%), 환삼 덩굴(1.5%), 미국개기장(0.6%) 등이 조사되었다. 기존 식재 되었던 갈대는 113.4%의 면적으로 증가되어 유지․증가종으 로 조사되었으며, 물억새는 68.1%로 감소된 감소종으로 파 악되었고, 애기부들 및 연꽃은 도태되어 도태종으로 나타났 다. 저농도 인공습지(공주 상서리)는 기존 준공시 침강지, 얕 은습지, 깊은습지, 침전지를 조성하였으며, 연꽃, 물억새, 미 나리, 달뿌리풀, 갈대, 창포, 애기부들 등을 식재하였으며, 현존식생을 조사한 결과 기존 식재종인 애기부들(6.4%), 갈 대(4.2%), 창포(2.6%) 등이 조사되었으며, 자연발생종으로 줄풀(1.8%), 갈대-돌콩(0.4%), 창포-줄풀(0.1%) 등으로 조 사되었다. 기존 식재되었던 물억새는 257.8%, 애기부들은 159.2%, 연꽃은 136.2%, 갈대는 125.5%의 면적으로 증가 되어 유지․증가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창포는 65.7%, 달뿌리 풀은 47.3%로 감소된 감소종으로 파악되었고, 미나리는 도 태되어 도태종으로 나타났다. 저감효과를 위하여 식물체내 N, P흡수 저감량을 분석한 결과, 식생수로는 조사된 달뿌리풀, 물억새의 식물체내 T-N 비율은 달뿌리풀이 0.364%, 물억새가 0.377%로 파악되었 으며, 식물체내 T-P 비율은 달뿌리풀이 0.198%, 물억새가 0.417%로 조사되었다. 용인 초부리의 침투저류지는 현존 식생에 의해 조사된 식물인 노랑꽃창포, 갈대, 부처꽃의 식 물체내 T-N 비율은 노랑꽃창포가 0.976%, 갈대가 0.35%, 부처꽃이 0.379%로 조사되었으며 노랑꽃창포의 저감효과 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식물체내 T-P 비율은 노랑꽃창 포가 0.657%, 갈대가 0.134%, 부처꽃이 0.157%로 분석되 었으며 T-N 비율과 같은 유형으로 조사되었다. 고농도 인공 습지인 논산 양지리의 경우, 갈대와 물억새를 분석한 결과 식물체내 T-N 비율은 갈대는 0.780%, 물억새가 0.645%, 식물체내 T-P 량을 분석한 결과, 갈대는 0.181%, 물억새가 0.155%로 갈대의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주 상서리의 저농도 인공습지는 애기부들의 경우 수심에 따른 저감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깊은습지와 얕은습지로 나누 어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식물종으로 애기부들, 물억새, 연, 달뿌리풀, 창포, 갈대로 조사하였다. 식물체내 T-N 비율은 애기부들의 경우 수심 약 1m 내외의 깊은 습지가 0.474%, 수심 20㎝ 내외의 얕은 습지가 0.324%였다. 연은 1.084%, 물억새 0.312%, 달뿌리풀 0.616%, 창포 0.910%, 갈대 0.615%로 조사되었으며, 연과, 창포, 달뿌리풀의 저감효과 가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식물체내 T-P 비율은 애기부들 의 경우 수심 약 1m 내외의 깊은 습지가 0.347%, 수심 20㎝ 내외의 얕은 습지가 0.128%였다. 연은 0.375%, 물억새 0.155%, 달뿌리풀 0.166%, 창포 0.428%, 갈대 0.150%로 T-P의 경우 식물종별 크게 차이는 없지만 깊은습지의 애기 부들과 창포, 연의 저감효과가 다른 종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니터링(현존식생, 종구성변화)과 저감효과를 종합분석 한 결과, 적극적 관리 및 소극적 관리로 구분하였다. 이에 세부적인 내용으로 하천변의 식생수로와 고농도 인공습지 는 적극적 관리를 통하여 생태교란야생식물종(환삼덩굴 등) 의 집중적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침투저류 지, 저농도 인공습지는 소극적 관리를 도입하여 현재 생육 이 양호한 식재종 유지 및 이입종 관리가 우선시 되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우선관리종, 수질정화기능 적정종 을 선정하고 이에 따른, 이입종 관리 및 밀도관리를 위한 방법적 측면을 고려하여 추후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설치 시, 적절한 식재종의 선택과 선택적 관리기법을 도입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22.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rtificial insemination (AI) failure in 1,619 Korean native cows at Gangwon East area, Korea. The average AI failure rate was 37.02% in the cows and the highest rate was 40.85% in Yangyang-city. Based on the parity in the cows, the AI failure rate was 49.14% and 29.91% in the first and fifth parity cows, respectively. Whereas cows until fifth parity were decreased in AI failure, cows with sixth or more parity showed an upturning AI failure trends with the increasing of parity number. AI failure rate incidence according to the rump fat thickness measured by ultrasound was 28.9% and 33.4% at 5 mm to 10 mm and over than 15 mm,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0.2186) between AI failure rate of mother and that of their offspring cows. That is, offspring of dams with high AI failure rate showed also higher AI failure than those of dams having lower AI failure rat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I failure rate was closely related to the rump fat thickness, parity number, and conception rate of mother cows. In addition, these results might strengthen the basis to improv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in Korean native cows.
        4,000원
        32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생산 볏짚의 곰팡이독소 오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벼의 생육 단계별, 볏짚의 보관 형태별 및곤포사일리지의 지역별 오염을 조사하였다. 수확하기 전논에서 생장 중인 벼에서 곰팡이독소 및 곰팡이 오염이 확인되었다. 벼의 생장 초기에는 deoxynivalenol (297 μg/kg)이발견되었고, 중기에는 ochratoxin A (1.8 μg/kg) 및 deoxynivalenol(264 μg/kg)이 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수확시기에는 deoxynivalenol (190 μg/kg) 및 zearalenone (168 μg/kg)이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곰팡이 오염은 생장 초기에는 103-4cfu/g 그리고 생장 중기와 수확시기에는 104-5 cfu/g 이었다.오염된 곰팡이로는 Fusarium sp., Fusarium proliferatum,Penicillium sp., Gibberella sp., Gibberella zeae, Mucorcircinelloides, Aspergillus oryzae 등 다양한 종류가 발견되었다. 사료용 볏짚의 통 볏짚단, 사각 볏짚단 및 곤포사일지 등 저장 방법에 따른 오염된 mycotoxin을 조사하였을때 zearalenone, deoxynivalenol 및 ochratoxins A가 검출되었다. 통 볏짚단의 곰팡이독소 오염도는 23%이었고, 사각볏짚단과 곤포사일지지는 각각 38%가 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105점의 볏짚 곤포사일리지에서 곰팡이독소를 분석하였을 때 46%의 샘플에서 곰팡이독소가 발견되었고, 지역적으로는 경기, 강원, 충청, 영남 및 호남지역에서 각각 48,33, 40, 50 및 57%의 샘플이 오염되어 있었다. 2가지의 곰팡이독소(zearalenone, deoxynivalenol)가 발견된 충청지역을제외한 모든 지역의 볏짚 곤포사일리지에서 3가지의 곰팡이독소(zearalenone, deoxynivalenol, ochratoxins A)가 발견되었다. Ochratoxins A의 오염 수준은 전체적으로 2.6 μg/kg으로 충청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호남지역은 3.0μg/kg으로 다른 지역보다 높았다. Deoxynivalenol의 오염수준은 전체적으로 413 μg/kg으로 충청지역이 800 μg/kg로가장 높았고, 다른 지역은 246 μg/kg에서 433 μg/kg의 수준으로 발견되었다. 그리고 zearalenone은 전체적으로 338 μg/kg으로 경기지역이 168 μg/kg로 다른 지역보다 낮았고, 강원과 호남지역이 각각 467 μg/kg과 442 μg/kg으로 높았다.이상의 연구 결과는 볏짚은 수확하기 전 벼의 생장 기간에도 곰팡이독소 및 곰팡이 오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볏짚의보관 형태 및 지역에 상관없이 곰팡이독소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명확히 시사한다. 따라서 안전하고 질 좋은조사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들 곰팡이독소 관련 더 구체적 연구와 대책관련 탐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2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umbe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selected at the Korea Astronomy Olympiad (KAO) in every year. In the first stage of the selection, the resume, school transcript, and recommendation letters from teachers are referred. In the second stage, after video lectures and weekend observation classes, students are tested with on-line homeworks, and interviewed through internet. For 118 students who have gone through the second stage of the 2012 KAO, we hav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asks the students the motivation and preparation for the KAO. The survey has also included inquiries for the selection process and education program of the 2012 KAO; the replies will be used as feedbacks for the next year's KAO. The survey has revealed that the first stage worked well, while the second stage needs to be improved in terms of fairness and objectivity. We have found that most students received private tutorings for the KAO, so we suggest efforts should be made for students to be able to prepare the KAO without receiving private tutorings.
        4,000원
        32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389 customers visiting restaurants located in the Guemo mountain resort who filled out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60% of the participants dined out monthly. The 30 to 40-year-old age group did so the most frequently, dining out one to two times weekly. For men, the favorite menu item was the sanchejeongsik along side traditional liquor and for women was the samgaetang. By age, the 20, 30, and 60-year olds selected samgaetang as their favorite, the 40-year-olds selected traditional liquor, and the 50-year-olds selected the sanchejungsik. The reasons for selecting the dishes were because participants previously enjoyed them or considered the dishes healthy, regardless of sex or ag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he sanchejeongsik and samgaetang be promoted for tourism,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quality of certain local menu such as sanchejungsik and samgaetang could be improved to become more nutritious for future customers. Also, traditional Korean liquor may become even more popular with visitors to the Guemo mountain resort if paired with simple menu items such as jeon or muk.
        4,000원
        332.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노루의 행동권 크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6마리(수컷2, 암컷4)의 노루를 대상으로 일일, 월별과 핵심지역 행동권 크기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결과, 일일 행동권 크기는 수컷은 MCP 95%에서 평균 7.07ha(최대 27.19ha, 최소 0.28ha)이었으며, 암컷은 일일 평균 1.3ha(MCP 95%)와 3.7(Kernel 95%)로 분석되 었다. 월별 일일 행동권 크기는 수컷이 MCP 95% 수준에서 2월 9.13ha(최대 20.86, 최소 0.28), 3월에 5.86ha(최대 21.23ha, 최소 0.23ha)과 4월에 6.9ha(최대 27.2ha, 최소 0.5)로 나타났으며, Kernel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2월 10.39ha(최대 22.0, 최소 1.18), 3월에 6.58ha(최대 16.95ha, 최소 0.90ha)과 4월에 8.31ha(최대 30.1ha, 최소 0.9)로 나 타나 2월에 일일 행동권 크기가 가장 행동권 크기가 큰 것으 로 분석되었다. 암컷은 1.3ha(MCP 95%)와 3.7ha(Kernel 95%)이었으며, 9월 1.8ha(MCP 95%)와 5.1ha(Kernel 95%), 11월 1.63ha(MCP 95%)와 2.54ha(Kernel 95%), 8월 1.5ha(MCP 95%)와 3.1ha(Kernel 95%), 10월 1.3ha(MCP 95%)와 4.23.1ha(Kernel 95%) 순으로 조사되었다. 암 노루 의 핵심지역(Core area)은 평균 2.46ha(MCP, 95%), 1.91ha(Kernel 95%)이었으며, MCP(95%) 분석결과 12월 3.2ha 로 가장 행동권 크기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8월 3.1ha, 9월 1.9ha, 10월 1.6ha, 11월 1.1ha순으로 조사되었 다. Kernel 평가결과 12월 2.6ha, 8월 2.4, 9월 2.0ha, 10월 1.5ha, 11월 1.4ha 순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334.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od behavior on dietary food intake status and health condition based on research of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intake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The average age,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 group were 22.1 years old, 174.2 ㎝, and 67.0 ㎏ for the male students and 20.9 years old, 161.8 ㎝, and 53.4 ㎏ for the female students, respectively. From the nutritional intake status data, the averaged daily energy intake of both groups, male and female, are lower than the dietary reference intake(KDRI), as 2, 169.2 kcal and 1, 846.2 kcal,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he lipid intake ratio was higher than the dietary reference figure, and the carbohydrate intake ratio was determined to be in the proper range. Male students(54.6%) and female students(52.0%) of the entire subject group skipped a breakfast mainly due to insufficient time, and the time at which meals were consumed, was determined to be irregular generally. In a day, male and female students have a heavier dinner than lunch(p<0.05), respectively. Meat and fishes are preferred by the entire subject group,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do not eat carrot and mayonnaise(p<0.05), was determined to be the highest, of all foods surveyed. The averaged daily activity coefficient and the resting energy expenditur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p<0.001) between two groups; was 1.7 and 1.6 and the second was 1, 404.3 kcal/day and 1, 292.5 kcal/day for the male and female groups, respectively. As the number of attempting to reduce body weight(p<0.001), the amount smoking(p<0.001), or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increases, BMI decreases. On the other hand, as body shape satisfaction increases, BMI increases also.
        4,500원
        33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photostimulated luminescence(PSL), thermoluminescence( TL) and electron spin resonance(ESR) methods for various foods which are not allowed to be irradiated in Korea. All 15 foods including sesame, almond, peanut, cocoa powder etc. were analyzed. Samples were irradiated at 1~10 kGy using a 60Co gamma-ray irradiator. In PSL study, the photon counts of all the unirradiated samples showed negative(lower than 700). The photon counts irradiated(1 kGy) dried shrimp, roasted peanut and seasoned peanut showed positive(higher than 5,000) and the other samples were negative or intermediate(> 700 and < 5,000). In T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L method to all foods containing minerals. In ESR measurements, the ESR signal(single-line) intensity of irradiated foods was higher than non-irradiated foods. In particular, the specific ESR signals of irradiation-induced crystalline sugar, cellulose and bone radical were detected in dried plum, raisin, dried cherry, mango(dried, frozen), rambutan, cocoa(powder), cinnamon, parsley, carrot, broccoli, dried arrow squid, dried pollack and dried shrimp. According to the results, PSL, TL and ESR methods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detect the irradiated foods because TL method is not able to detect the irradiated foods rarely composed of minerals. ESR is also a difficult method to detect the changes of ESR signal patterns of food. It is concluded that TL analysis or ESR assay is suitable for detection of irradiated samples and a combined method is recommendable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detection results.
        4,600원
        33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을 중심으로 현행 장애아동 재활치료의 실태를 파악하고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성하고, 우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국의 장애인복지관을 포함한 장애아동 재활치료 기관의 종사자에게 4,000부의 설문을 배포 후 수거된 966부 중 작업치료사가 응답한 162부를 기술통계량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에 응답한 작업치료사는 뇌병변 및 자폐성 장애를 주로 치료하였고, 일일 평균 7.1명, 주당 평균 4회, 일 회당 37분을 치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치료서비스 전문인력 공급 여부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높았고, 전문 인력의 확대방안으로는 치료사의 처우개선을 1순위로 꼽았다. 또한 재활치료 제공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이수과목 확대가 우선 필요하고, 재활치료 서비스 대상자 선정방법은 팀접근 방식이 적절하며, 향후 재활치료 전문 인력의 학력기준은 전문학사이상 이어야 한다는 의견이 87.5%를 차지하였다. 재활치료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시급한 국가정책은 관련법과 제도의 정비이며, 공적지원체계는 보건복지부 관할로 일원화하자는 의견이 높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재활치료 분야 중 작업치료 서비스 실태와 재활치료 서비스 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의견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작업치료와 관련된 제도정비 및 전달체계 개선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337.
        201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urch growth movement, which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chool of mission theology in the 20th century, was born in the postcolonial turmoil which traditional Western churches began to experience stagnation and decline on the home front in North America as well as Europe. In this climate of uncertainty, the research of Donald A. McGavran who had been influenced by the research project of J. Wascon Pickett for the church growth in India, questioned the status quo in missions. This produced The Bridges of God (1955) which suggests new ways to envision the missionary task of the churches. Later on McGaveran’s church growth theories based on research continually challenged the traditional mission strategies and suggested more effective and culturally sensitive ways to win people to Christ. Under his influence, church growth, together with his strong recommendation to adopt research for the church growth, became an indispensable and essential] condition of missions. It is because effective mission strategy based on research for church growth is an indicator of faithfulness to God's command to him. Whereas early church growth movement was mainly concerned with the twothird world church, in 1970s it had been applied into the North American church. Later on many institutes of church growth and church growth scholars have influenced missiology through the different research models. However, it is notable that, while social scientists focus on the contextual factors over which the church have no control, McGavran’s research paradigm usually emphasizes on institutional factors over which the church has control. Nevertheless, it does not discard its contextual factors. By accepting the methodologies of social sciences, the church growth movement has continually developed the effective manuals for research to standardize the research procedures. Although research is not a perfect tool for church growth, strategic research for church growth may well be the most important legacy of church growth movement.
        6,700원
        338.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애인의 생활실태 및 욕구조사를 통해서 장애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략히 살펴보면, 첫째, 조사 결과 응답자의 74.9%가 직접 설문에 응했다. 응답자의 26.4%가 미혼인 상태로 조사되었고 미혼자 72명 중 87%가 50세 미만으로 나타났다. 장애 발생시기는 선천적인 경우는 11.8%에 불과하고, 후천적인 경우가 88.2%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7.9%가 재활 치료를 받고 있으며, 다른 사람의 도움이 “조금 필요하다” 이상의 응답이 67.8%로 나왔다. 또한 응답 장애인 중 22.7%가 직업이 있었고, 직업교육을 원하는 장애인은 22.7%로 나타났다. 자조모임의 참여여부에 대한 조사에서 중증 장애인들의 자조모임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외출의 경우 58.6%가 주3회 이하의 외출을 한다고 응답하였고, 외출의 이유는 병원치료가 26.5%로 가장 많았다. 교통수단은 54.7%가 버스나 택시 같은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고 있었고, 편의시설 미비로 인해 활동 제약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은 일상생활 54.9%로 나타났다. 컴퓨터 보유율은 66.0%이나 장애인 가구의 컴퓨터 보유율은 57.7%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은 62.9%가 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며, 장애인 보조기기 사용경험은 86.1%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개별화된 욕구 중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인 “가장 필요한 도움”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1순위, 2순위 포함하여 경제적 지원(38.8%)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관련 복지시설 중 가장 필요로 하는 곳은 의료 및 재활치료에 관련된 재활 병의원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경제적 재활을 돕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즉, 장애인들이 경제적으로 재활 가능한 취업과 직업훈련 중심의 전문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에 대한 의료지원을 확대하여야 한다. 특히, 중증장애인은 거동이 불편하며, 가장 필요한 서비스가 의료서비스로 나타났기 때문에, 거동불편 장애인들을 위한 의료지원체계의 확립이 시급하도고 할 수 있다. 셋째, 장애인의 접근권을 확대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하여야 한다. 대다수의 장애인들이 모든 기관 및 시설에 접근이 불가능한 것은 편의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5,700원
        33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dorous pollutants emitted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FT-LCD were investigated to prepare the odor control plan. Odor measurements in the workplace of clean room were also carried out. The odorous pollutants detected in the organic and acid gas emission duct were acetone, acetic acid, IPA, nbutylacetate, PGMEA, cyclohexane, which were chemicals used for LCD manufacturing. Especially, acetic acid was turned out to one of the major odor substances in the acid gas emission duct because of its low odor threshold value. No odorous pollutants were detected in the toxic gas emission duct. Some organic gases detected in the clean room were due to the leakage from chemical containers or LCD devic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