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

        22.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양액재배 카네이션의 생육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최적 재배작형과 배지 종류를 구명코자 실시되었다. coir, perlite, coir+perlite(1:1. v/v)등 3 종류의 배지와 5월 1일 정식, 9월 1일 정식 등 2 종류의 작 형에서 재밴한 후 생육을 조사 비교하였다. 절화 수확기에 초장과 줄기의 직경은 5월 1일에 정식한 식물 보다 9월 1일에 정식한 식물에서 컸다. 5월 1일에 정식한 경우는 식물체 줄기의 직경과 초장생장이 극히 저조하여 매우 약해졌다 꽃의 폭과 무게도 9월 1일에 정식한 식물체가 5월 1일에 정식한 식물체보다 증가되었다 꽃잎수는 정식시기에 따라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개화소요일수는 5월 1일에 정식한 경우가 9월 1일에 정식한 경우보다 50일 이상 단축되는 결과를 보였다 재배배지별로는 처리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coir를 사용했을 때 초장과 꽃잎수가 증가되었다. 실험결과 카네이션의 양액재배에서는 고온기를 회피한 작형, 예컨데 9월 상순, 중순에 정식할 필요가 있고 재배배지로 coir의 사용이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23.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SNU Experimental Livestock Farm, Suweon in 1995 to determine effect of planting date on forage performance of wm hybrids of four different maturity groups. A split-plot design replicated three times was used, with com h
        4,200원
        24.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맥의 파종기와 수확기가 건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1992년 9월 1일(첫째). 9월 11일(둘째), 9월 21일(셋째 파종기)에 파종하여 동년 11월 7일(첫째 수확기)과 19일(둘째 수확기)에 수확하였다. 1. 초고는 파종시기와 수확기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첫째 파종기의 둘째 수확기의 것이 가장 길었다. 2. 사초의 건물 함량은 첫째로부터 셋째 파종기로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그 범위는 15.1%에서 13.5%였고 동
        4,000원
        25.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의 단경기(端境期)인 3~4월(月)에 수확(收穫)할 수 있는 작형개발(作型開發)의 기술체계(技術體系)를 확립(確立)할 목적(目的)으로 난지계(暖地系)인 남해지방종(南海地方種)과 한지계(寒地系)인 의성지방종(義城地方種)을 공시(供試)하여 파종기별(播種期別)로 저온처리개시기(低溫處理開始期) 및 저온처리기간(低溫處理期間)을 달리하여 숙기(熟期)를 포함(包含)하는 몇가지 생육상태(生育狀態)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對)해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맹아(萌芽)가 촉진(促進)되는 정도(程度)는 난지계(暖地系)의 경우 9월(月) 14일(日)과 9월(月) 29일(日) 파종(播種)에서 저온처리(低溫處理)의 효과(效果)가 높고, 맹아소요일수(萌芽所要日數)는 9월(月) 14일(日) 파종(播種)에서 30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 9월(月) 29일(日) 파종(播種)에서 45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를 할 경우 가장 짧았다. 저온처리개시일(低溫處理開始日)로 보면 7월(月) 31일(日) 이전(以前)과 8월(月) 15일(日) 이후(以後)에 저온처리(低溫處理)한 것에는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그 중 8월(月) 15일(日)~8월(月) 30일(日)에 45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한 것이 맹아(萌芽)가 가장 빨랐다. 한지계(寒地系)에서는 9월(月) 29일(日)에서 11월(月) 13일(日) 파종(播種)까지는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依)해서 촉진(促進)되었고 저온처리기간(低溫處理期間)은 60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파종기별(播種期別)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依)한 초기생장(初期生長)의 효과(效果)는 9월(月) 14일(日)과 9월(月) 29일(日)에서 현저(顯著)하였고 중기이후(中期以後) 생장효과(生長效果)는 10월(月) 29일(日) 파종(播種)까지 나타났다. 또한 생장(生長)을 촉진(促進)시키는 저온처리기간(低溫處理期間)에 있어서 난지계(暖地系)는 45일(日)과 60일(日), 한지계(寒地系)는 60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였다. 전개엽수(展開葉數)는 저온처리기간(低溫處理期間)이 길고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적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3. 인편분화기(鱗片分化期)와 구비대기(球肥大期)에 있어서 저온효과(低溫效果)가 가장 큰 것은 난지계(暖地系)는 7월(月) 31일(日)~8월(月) 15일(日)에 저온개시(低溫開始)하여 45일(日)과 60일간(日間) 처리(處理)로 9월(月) 14일(日), 9월(月) 29일(日), 10월(月) 14일(日)에 파종(播種)한 구(區)였다. 한지계(寒地系)에 있어서는 8월(月) 15일(日)에 저온(低溫) 개시(開始)하여 60일간(日間) 처리(處理)로 10월(月) 14일(日)에 파종(播種)한 구(區)였으며 그 이후(以後) 저온개시(低溫開始)한 것은 난(暖), 한지계(寒地系) 다같이 저온처리기간(低溫處理期間)이 길수록 빨랐다. 4. 추태(抽苔)에 있어서 난지계(暖地系)는 저온개시일(低溫開始日)이 빠르고 저온처리기간(低溫處理期間)이 길수록 빨랐으며 한지계(寒地系)는 8월(月) 15일(日)~8월(月) 30일(日)에 저온처리(低溫處理)를 개시(開始)하여 45일(日)과 60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한 것이 빨랐고 그 이후(以後)는 저온처리기간(低溫處理期間)이 길수록 빨랐다. 이차생장(二次生長)은 난(暖), 한지계(寒地系) 다같이 파종기(播種期)가 빠르고 저온처리기간(低溫處理期間)이 길수록 많았다. 5. 수확기(收穫期)에 있어서 난지계(暖地系)는 7월(月) 31일(日)부터 8월(月) 30일(日)까지에 저온개시(低溫開始)한 45일(日)과 60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가 빨랐고 한지계(寒地系)에 있어서는 7월(月) 31일(日)부터 8월(月) 30일(日)까지에 저온개시(低溫開始)하여 60일(日)과 90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가 빨랐다. 6. 구중(球重)이 큰 순위(順位)는 난지계(暖地系)에서는 10월(月) 14일(日) 파종(播種)의 45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9월(月) 29일(日) 파종(播種)의 45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였다. 한지계(寒地系)에서는 10월(月) 14일(日) 파종(播種)의 60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10월(月) 14일(日) 파종(播種)의 45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였다. 구중(球重)을 저온개시일(低溫開始日)로 보면 난지계(暖地系)는 8월(月) 30일(日)에 저온개시(低溫開始)하여 45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가, 한지계(寒地系)는 8월(月) 15일(日)에 저온개시(低溫開始)하여 60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가 가장 많았다. 7. 수확일수(收穫日數)와 1월(月) 12일(日)의 초장(草長)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인편분화일수(鱗片分化日數)와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는데 발육(發育)이 촉진(促進)되고 인편분화(鱗片分化)가 빠른 것이 수확일(收穫日)이 빨랐다. 구중(球重)과 초장(草長)과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어 생육(生育)이 빠를수록 구중(球重)도 증가(增加)하였다. 구중(球重)과 인편분화일수(鱗片分化日數), 구(球) 비대일수(肥大日數), 수확일수(收穫日數)는 높은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어 인편분화(鱗片分化)가 빠를수록 구중(球重)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마늘의 조기재배(早期栽培)는 난지계(暖地系) 마늘을 사용하여 8월(月) 15일(日)~8월(月) 30일(日)에 저온(低溫) 개시(開始)하여 45일간(日間) 저온처리(低溫處理)로 9월(月) 29일(日)과 10월(月) 14일(日)에 파종(播種)하면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30일간(日間) 단축(短縮)되어 4월(月) 12일(日)에 수확(收穫)할 수 있고 수량(收量)도 많아 가장 효과적(效果的)이라 사료(思料)된다.
        5,700원
        26.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tiller occurrence, growth and yield of sorghum according to planting distance and sowing date.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is to get basic data to inhibit non-productive tillers uneconomical and cumbersome for mechanical harvesting. Also another object was to evaluate optimum planting distance and sowing date in central district area. Total number of tillers was more in 80 ㎝ ridge than 60 ㎝ ridge and it was increased as the planting distance was wider from 15 ㎝ to 30 ㎝ on the each ridge. Ratio of effective tillers was higher in 60 ㎝ ridge than 80 ㎝ ridge and it was decreased as planting distance was wider from 15 ㎝ to 30 ㎝. The lower the planting distance, the more increased total number of tillers, whereas effective tillers was decreased as planting distance was high. Average of total number of tillers of three varieties was higher in sowing date of May 2 (1st sowing date), whereas ratio of effective tillers was the highest in sowing date of May 23 (2nd sowing date). Hwanggeumchal showed the highest total number of tillers (1.2 tillers), while Moktaksusu had the lowest total number of tillers (0.8 tillers) among three varie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anting distance and days to heading and ripening date from seeding. Culm length increased as planting distance was high, but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1000 grain weight we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yield of sorghum per 10a was obtained from 60×20 ㎝ planting distance among 6 planting distances.
        27.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eucrium veronicoides Maximowicz is a perennial plant affiliated to labiate. Ther e were many oil components such as methylchavicol, anethole, anisaldehyde, p-methoxycinnamal dehyde, 3-ocatanone and p-cymene. It has been used for indigestion, stomachache, vomit, diarrhe a in the chinese medicine field. Besides it used as medicine, it used increasingly as food additiv es, tea and air fresheners etc. This experiment was focused on plugs and planting date. That's why the plug plants are very useful for transplanting. It saves time and labor for farmer with well-management system. During the raised seeding time, they could has gotten plant health and maximum potential state. The planting date which would have something related to the growth of plug. Methods and Results : Plug plants raised in the greenhouse during 30 days. The interval of planting date was 10 days and five time planted in planting density of 60*30cm sized area with three repeat treatments. The first treatment was middle April. The last planting date was late May. Before planting period, the length of plant and the length of leaf were the highest at the middle April, respectively. The stem diameter was highest at late March. The number of leaf was the most in the late March and early April than other planting date. In the planting period, the length of plant was highest at early April. The stem diameter was also highest at that time.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length and the width of leaf. The number of leaf per plant was the most at the early May. The branches per plant and number of node per plant were the highest in middle April. In the respect of yield, early May had the highest dried yield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It was 492.2kg/10a. The index of which was 122. The lowest was 317.2kg/10a in late May. Conclusion : About the characteristics on the growth and the yield of Teucrium veronicoides Maximowicz plug in accordance with the planting date, the yield of early May was the highest than that of other in this study. Therefore planting date of early May would have high possibility of optimum planting date.
        28.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Schizonepeta tenuifolia Kitagawa is a herbaceous plant affiliated to labiate. It has many oil components which has antimicrobial activity for health with limonene, menthone, pulegon e, piperitenone, schizonepetoside A, schizonepetoside C, spatulenol. The planting area of which is com paratively small than other medicine crop as 5ha area and 15MT in the 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ause of characteristics on the planting life in accordance wit h the planting date used plugs. Plug plants are very useful for transplanting. It gives well-mana gement effects to the farmer such as time saving, convenience of planting, plant health, and ma ximum potential state during the raised time. Methods and Results : The number of treatment for planting date was five. Those are early May, middle May, late May, early July and middle July. The interval of the planting date was 10 days. And the raising seeding period was 30 days. During the raising seeding period, in late July treatment the length of plant and the stem diameter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The number of stem was also the most in late July. In the planting period, the length of plant and the stem diameter were the highest at early Ma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tem per plant. The length of ear and the width of ear were the highest at the early July. The number of ear per plant was the highest in the early May as 768.7. In the respect of yield, the weight of fresh body at early May was the highest as 587g per plant. The next higher weight of fresh body was middle May as 530.0g per plant than that of other planting date. Conclusion : The effect of planting date on the growth and the yield of Schizonepeta tenuifolia Kitagawa mainly focused to early May treatment. The earlier planting treatment was the better for planting it in this study.
        2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Senna tora L. is a herbaceous plant affiliated to legumes. It has many components good for health with emodin, chrysophanol, aloe-emodin, physicion, rhein, obtusin. It is believed to have many medicine effects, as well as to good for the eyes. This study carried to find ou t the difference of characteristics on the growth according to the planting date used plugs. Plu g plants are very useful for transplanting. It gives well-management effects to the farmer such a s time, plant health, and maximum potential state during the raised time. Methods and Results : Plug plants had 30 days in raising seeding. The planting date was five time. Fist planting date was late April. The last planting date was early July. In their raising seeding period they were taken care of in the green house. And after 30 days, they were planted on the ground in planting density of 50*40cm sized area with three repeat treatments. When the raising seeding period, the length of plant and the length of leaf were the highest at the middle May, respectively. The number of leaf per plant was highest in late May as 11. In the planting period, the length of plant was highest at early July. The lowest was the length of plant at late May. Except the stem diameter in early April, they were no differences among other treatments and the stem diameter was the highest in early April. The number of node per plant could be found the most in middle May and late April. The number of node per plant was the lowest in early July. In the respect of yield, middle May had the highest yield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It was 849.0kg/10a. The lowest was 740.6kg/10a in the early May. Conclusion : About the characteristics on the growth of Senna tora L. according to the planting date, the yield of middle May was highest than that of other date in this study. The planting date of late May had also shown strong tendency of optimum planting date. Therefore middle May and late May of planting date would be optimum planting date.
        30.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ubject of this experiment is to supply basic data to inhibit non-productive tillers which are uneconomical for mechanical harvesting and to evaluate optimum planting density and sowing date in central district. Total number of tillers and effective first and second of tillers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ensity was higher in 80 ㎝ ridge than 60 ㎝ ridge in proso millet. The wider between plant distance on the ridge, the more increased total number of tillers and effective first and second of tillers. The highest effective tillers (91.7 %) in the first tillers was obtained from the second sowing date (23 May) among different sowing date and next is in the order of 3 rd (13 June, 89.8%) > 1 st (2 May, 85.6%) > 4 th (4 July, 85.2%). The percentage of effective tillers in the second tillers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2 May (53.7%), 23 May (40.7%), 13 June (22.2%), 4 July (0%) as the sowing date was delay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ys to heading and days to ripening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ensity. Although culm length was increased as planting density was increased, whereas number of tillers, stem diameter,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1000 grain weight was decreased. In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proso millet according to different sowing date, days to heading and days to ripening, culm length, stem diameter,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yield per 10a were decreased. After the sowing date of 13 June, the reduction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were higher because of excess-moisture injury.
        31.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Bai Zhu is generally harvested in 1-2 years after seedstock planting. Recently mainly in Guemsan, Bai Zhu is harvested in just 1 year after planting in spring . According to medicinal plant standard culture, Bai Zhu should be directly sown by 20cm distance in Apri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proper planting date. Materials and Methods ○ Experiment variety : Bai Zhu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 Treatment : Planting Date ① Late march ② Early april ③ Middle of april(control) ④ Late april Plantind density : ① 30×10cm ② ① 30×20cm ○ Planting type : Direct Seeding ○ Experiment place : Ginseng and Medicinal Plant Research Institute (Geumsan-gun, Chungcheongnam-do) Conclusion : Number of lateral branches in 30×10cm was more in late march than late April and aerial part growth was superior as planting date was earlier. Emergence rate was higher in middle of April and late April and aerial part weight, fresh root weight, dry root weight rate, and dry root weight were superior as planting date was earlier. Dry weight yield increased as 38.3% in late March compared to middle of April. Dry weight was havier as 36.2% in planting time of late March and early April than planting time of middle of April and late April. Total income was higher in planting time of late March and early April than planting time of middle of April and late April.
        3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파종시기 및 생육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생육반응, 수량성 및 isoflavone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밭작물의 안정생산을 위한 재배기술개발에 활용하고자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월파종구는 6월파종구에 비해 콩 식물체의 생육이 왕성하고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개화후 약 40일까지 비교적 높은 상태가 유지되지만, 6월파종구는 개화 후 등숙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개화후 30일부터 급격히 감소되었다. 2. 6월 파종구는 5월 파종구에 비해 100립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고, 생육온도가 높으면 100립중이 증대되었으나 control + 5℃ 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어 파종시기 및 생육온도별 등숙 반응이 달랐다. 3. Isoflavone 함량은 5월파종구의 평균이 1201.8ug/g 이었으나 6월파종구는 1479.8ug/g 으로 5월파종구 대비 약 278ug/g 함량이 높았다. 생육온도에 따라서는 5월파종구 Mc + 3℃ 및 Mc + 4℃ 처리구는 isoflavone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Mc + 5℃ 의 isoflavone 함량은 오히려 낮았고, 6월파종구는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isoflavone 함량이 감소하여 파종시기별 온도처리 효과가 달랐다. 4.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oleic acid의 조성이 증가되고 linoleic 및 linolenic acid가 감소되었으나 palmitic 및 stearic acid의 조성도 생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5. 주경절수는 isoflavone 함량 및 불포화지방산 조성에 모두 관여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주경절수와 isoflavone 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 부의 상관관계(r = -0.661)가 있었고, 불포화지방산과는 정의 상관관계(r = 0.775)를 보여 주경절수가 증가되면 isoflavone 함량이 낮아지고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율의 증가에 관여하는 형질로 판단되었다.
        34.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Korean soybean varieties base on maturity group (MG) and to find character relationships according to planting date for high quality soybean seed production adapted to early season cultivation environment of Miryang. Results of maturity grouping of Korean soybean varieties showed that Keunol (3 cultivars), belonged to Group 0; Seonnok and Danmi in Group II, Shinrok in Group III, Seonyu (17 cultivars), in Group IV, Taekwang (44 cultivars) in Group V, Daewon (25 cultivars) in Group VI, and Kwangdu and Keumdu in Group VII.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100 soybean varieties were compared based on MG, cultivation year and seeding date. Soybean varieties belonging to the MG VI~VII showed longer days to flowering and growth period, high lodging density and higher yield. Seed quality analysis revealed that as maturity was delayed, seed weight becomes heavier while seed cracks become abundant. In addition, occurrence of purple seed and phomopsis were higher in MG 0~III .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MG 0~III , and isoflavone content was higher as maturity was delayed. On the other hand, lipid content was generally similar across MGs. Correlation analysis of major agronomic character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days to flowering and growth days, seed weight and lodging in MG IV~V , seed crack and growth days in MG 0~III , seed crack and days to flowering in MG IV~V and MG VI~VII , seed crack and lodging in MG IV~V and MG VI~VII , seed crack and seed weight in MG IV~V and MG VI~VII , purple seed and growth days in MG IV~V , purple seed and seed weight in MG VI~VII , phomopsis and growth days in MG IV~V and MG VI~VII , and phomopsis and purple seed in MG IV~V and MG VI~VII . In contrast, a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seed weight and lodging in MG 0~III . Correlating yield and major characters reveale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days to flowering and growth days in MG 0~III and MG IV~V , whereas positive relationships were obtained on MG VI~VII seeded on April 30. Lodging, seed weight and seed crack were all negatively correlated with yield in the MG IV~V and MG VI~VII . Soybean cultivars identified as adaptable to early season planting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soy curd and fermented soybean paste were Seonyu, Kwangdu, and Soho while those suited for the manufacture of soybean sprouts were Sobaeknanul, Kwangan, Sowon, and Bosuk. Geomjeong 2 chosen as best for mixing with rice.
        3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 소형 간식용 생산을 위한 적정 재배기술 확립을 위하여 고구마 삽식기, 재식거리 및 수확시기를 달리하여 소비자의 선호도에 부응한 간식용으로 적합한 소형 고구마 생산을 향상시키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형간식용 고구마생산을 위한 적정 삽식시기는 4월 중순(피복재배)에 삽식거리는 75cm×15~20cm , 6월 중 순(무피복재배) 삽식시 75cm×15cm 가 적합하였다. 2. 고구마 상저수량은 삽식후 수확일수가 길어질수록 증수되었으나, 삽식후 100일 수확이 80일이나 120일 수확보다 소형 간식용으로 적합한 고구마 괴근 비율이 높았다. 3. 삽식시기 및 삽식거리에 따라 상저수량이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4월 15일 조기 비닐피복재배에서 처리간에 변이폭이 적어 안정적이었다. 4. 보통기(5월) 비닐무피복재배보다 조기(4월) 비닐피복 재배가 농가소득이 32~61% 증가되어 유리하였다.
        36.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나물용 콩 6품종의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 원료콩의 수분흡수율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실 수분흡수율은 파종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에는 한남콩은 높았으나 다른 품종들은 큰 차이가 없었다. 발아율은 5월 25일 파종보다 늦어질수록 높았고, 품종간에는 풍산나물콩, 은하콩, 도레미콩과 소명콩이 치상 2일 후 90~% 이상 이었으며 다원콩과 한남콩은 낮았다. 일반적으로 종자의 발아율 검정은 치상 후 7일간 조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콩나물 원료콩의 발아율 검정은 25±1℃ 에서 3일간의 발아율로 함이 적합하다 하겠다.
        37.
        200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pring, to determine the optimal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f rapeseed in southern areas of Korea. Taiwan#1 variety for spring sowing,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was grown under five different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height, ear length, number of seedling stand per m2, number of per ear and seed set percentage were highest at the plots with Mar. 5 of planting date and 50/20cm drilling of plant density. Yield of seed, oil, gas and 1,000 grains weight and erucic acid content were highest at the Mar. 5 of planting date and 50/20cm drilling of plant density. Judging from the results reported above, at optimum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f rapeseed seemed too be Mar. 5 of planting date and 50/20cm plant density in spring sowing.
        38.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국내 재래종 정선시호와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시호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적정 파종시기 및 재식밀도의 구명과 saikosaponin 생산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구명하여 시호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시기와 재식거리에 따른 시호품종간에서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분지수는 적었고 초장은 길었다. 1년생의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지상부중은 적었고 생근중과 건근중은 높았으며, 2년생에서는 정선시호와 삼도시호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Saikosapon함량은 1년생 또는 2년생의 정선시호가 삼도시호보다 saikosaponin a 및 total saikosaponln함량이 높았다. 2.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특성은 1년생이나 2년생의 시호 모두 4월 30일 파종구에서 경태와 분지수가 가장 굵고 많았으며, 1년생 시호에 있어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saikosaponin c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3. 1년생 시호는 소식일수록 초장, 경태, 분지수, 지상부중, 그리고 근경, 생근중, 건근중, 지근수 등의 생육이 촉진되었으나 2년생 시호는 소식에서 주근장만 길었다. 4. 품종, 파종시기 및 재식거리에 있어서 상호작용은 1년생 시호만이 지상부중, 주근장, 근경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1년생의 정선시호는 4월10일에 파종하면서 재식밀도를 30×15 cm로 재배한 것에서 지상부중, 근경 및 TSS 함량이 가장 증가되었으며, 1년생 삼도시호는 3월20일에 재식밀도를 30×10 cm로 재배한 것에서 지상부중과 근경이 가장 높았다.
        39.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poxygenase가 결여된 진품콩(Lx1Lx1lx2lx2lx3lx3), 진품콩 2호(lx1lx1lx2lx2lx3lx3)와 L-1, L-2, L-3이 모두 존재하는 태광콩(Lx1Lx1Lx2Lx2Lx3Lx3)에 대한 종실특성과 인위노화 처리가 종실의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종피균열도는 3품종 모두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진품콩과 진품콩 2호가 태광콩보다 높았다. 2. 파쇄성과 경도는 진품콩과 진품콩 2호가 태광콩보다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발아율은 진품콩과 진품콩 2호가 태광콩보다 낮았고, 전기전도도는 인위노화 처리전보다 증가하였으며 태광콩, 진품콩, 진품콩 2호 순으로 높았다. 4. 발아율은 인위노화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진품콩과 진품콩 2호가 태광콩보다 낮았으며, 전기전도도는 인위노화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진품콩과 진품콩 2호가 태광콩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위노화 처리 35일째는 태광콩과 진품콩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진품콩 2호는 태광콩과 진품콩보다 높게 나타났다. 5. 종피균열도는 발아율 및 인위노화 처리 후 발아율과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0.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역에서 잎들깨 품종의 채종을 위한 적정파종기를 구명하고자 잎들깨 1호와 만백들깨를 5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15일 간격으로 5회 파종하여 생육 및 종실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품종과 파종기간 상호작용은 생육일수에서만 유의하였다. 개화일수만이 품종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잎들깨 1호가 만백들깨보다 약 2일 일찍 개화되었으나 성숙기는 약 1일 늦었다. 2. 파종이 5월 15일에서 7월 15일로 늦어짐에 따라 두 품종의 평균 개화일수는 137일에서 77일로, 생육일수는 179일에서 121일로 짧아졌다. 3. 파종이 5월 15일에서 7월 15일로 늦어짐에 따라 경장은 150cm에서 81cm, 분지수는 17.0개에서 7.3개, 주경절수는 16.9개에서 10.3개로 감소되었다. 4. 주당 화방군수는 5월 15일 파종에서 65.6개이었던 것이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점차 줄어들어 7월 15일 파종에서 50.7 개이었다. 화방당 삭수는 32.1~33.4개로 파종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000 입중은 5월 15일 파종에서 3.2 g이었던 것이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점차 무거워져서 7월 15일 파종에서 3.9 g이었다. 5. ㏊당 종실수량은 5월 15일 파종에서 1,820 kg이었던 것이 만파할수록 감소하여 7월 15일 파종에서 1,338 kg이었는데, 5월 15일과 30일 파종간에는 유의한 수량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제주지방에서 잎들깨 품종의 채종을 위한 파종적기는 5월 상순-하순으로 보인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