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1.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CO2 추출법을 이용하여 공정변수가 대두유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과 초고압 처리가 초임계 추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RSM 실험법을 통한 최적화 실험에서 468.18 bar, 80.23oC, 46.82 g/min의 조건에서 최대값 25.88%를 나타내었다. 초임계 추출법의 최적추출조건에서 초고압 전처리 후 추출 수율은 17.15-23.66%로 전처리 전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62.13MPa, 1분의 추출조건에서 정상점은 최대값으로 24.91%가 예측되었다. 초고압 전처리 후 초임계 추출에서 수율이 증가하지 않은 이유는 초고압 전처리시 입자의 뭉침현상이 일어나 평균입자크기가 증가하여 나타난 현상으로 추론하였다. 결과적으로 초고압 전처리는 초임계 추출 수율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임계 CO2 추출법을 이용하여 대두유를 추출할 경우 추출 압력, 유량이 높을수록 추출온도가 낮을수록 더 많은 양의 대두유를 추출할 수 있다.
        4,000원
        22.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하여 탈지미강으로부터 얻은 주요한 표면활성 물질 분획(3 fractions: 1-HS, 6-HS 및 18-HS)의 유화성질을 평가하였다. 유화성질의 평가는 표면활성분획을 이용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후 이들의 여러 가지 물리화학적 성질(지방구 크기 및 변화, 크리밍 안정도, oil-off, 분산안정성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각 추출 분획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화액은 서로 다른 물리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그중 가장 작은 지방구 크기 특성을 나타낸 1-HS 유화액이 크리밍안정도, oil-off 및 분산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1-HS 추출물의 유화 기능성을 보강하기 위한 co-surfactant 검토 결과, GMS(glyceryl monostearate)를 추가적으로 첨가할 경우 1-HS 유화액의 지방구 크기가 현저하게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적절한 첨가 농도는 0.05%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미강 추출물의 우수한 표면활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천연의 표면활성물질은 초임계추출법을 이용하면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데, 향후 식품유화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다음의 실험 목표는 이 물질의 구성 성분분석 및 상업화 연구이다.
        4,000원
        23.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임계 CO2유체를 이용하여 미강 중 표면활성물질을 추출하고 추출물의 표면활성능을 최적화하는 추출 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추출수율은 독립변수인 압력, 온도, 보조용매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보조용매량이 추출수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회귀분석을 통해서 얻은 최적 추출 조건은 추출압력 330 bar, 추출온도 65oC, 보조용매량 250 g이었다. 표면활성능 지표인 계면장력은 추출압력과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보조용매량이 높을수록 낮았으며, 추출수율과 마찬가지로 보조용매량이 계면장력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지만 추출압력과 추출온도 등의 변수에 의한 영향은 비교적 적었다. 회귀분석을 통해서 얻은 최적 추출 조건(낮은 계면장력)은 추출압력 350 bar, 추출온도 65oC, 보조용매량 50 g이었다. 또한 D-optimal design을 통해 얻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하였을 때 예측모델식은 실제 측정값과 비교해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조용매량이 많을수록 극성 물질이 더 많이 추출되어 낮은 계면장력 값을 예상하였지만 실제 측정 결과 보조용매량이 가장 낮은 조건인 50 g에서 계면장력은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이의 규명을 위하여 TLC 및 HPLC 분석을 통한 추출물에 대한 성분 조사, 추출물을 이용한 유화액 제조, 유화액 특성 평가 등 추가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24.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온 주입에 의하여 경화된 탄화층을 가지는 포토레지스트는 통상적인 습식 또는 건식 처리로는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확산성과 물질전달특성이 우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공용매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고이온 주입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공용매의 종류 및 농도, 압력, 온도, 첨가제의 종류에 따른 제거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제거 전 후의 웨이퍼 표면 상태 및 성분을 SEM, ED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산 혼합 공용매를 사용하여 4000psi, 70℃에서 2분간 처리 하였을 때, 포토레지스트는 100%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8.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33.
        199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paration of EPA and DHA from fish oil fatty acid ethyl ester (FAFE) by urea adductive crystallization method was carried out in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 CO2) as a solvent. Our results showed that SC CO2 is a good candidate as a solvent in the urea adductive crystallization to separate FAFE by the number of unsaturated bonds. Compared to the separation process using methanol. SC CO2 yielded better performance in the overall selectivity of EPA and DHA. The effect of process variables on separation of EPA and DHA was discussed in detailed. A hybrid technology of SC CO2 fractionation and urea adductive crystallization with SC CO2 was conformed as a viable process to separate and concentrate EPA and DHA from fish oil.
        4,000원
        3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effective components of Omija(Schisandra chinensis Bailllon) are lignans (schizandrins and gomisins), and this components were contented mostly in seed part on Omija, which have various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such as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effective condition(CO2, CO2+ethanol) on extraction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SFE) system and to find interrelation on effe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and residues obtained after extraction. Effective components were analysed lignans and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rty was determined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n methanol extracts of SFE-extract and SFE-residue. On SFE with ethanol, SFE extract was separated two phase, upper(water phase) and lower(oil phase). SFE-extract showed the highest total lignans content(61.36 mg/g, 72.14 mg/g on lower, 50.58 mg/g on upper) and the lowest total phenolic compounds(6.52 mg/100g) and SFE-residue showed the lowest total lignans content(1.45 mg/g) an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mpounds(16.23 mg/100g) by extracted on CO2+ethanol treatment. SFE-residu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and SFE-extract upper showed the lowest. Conclusion : Thus, this results showed SFE-extract showed the highest total lignans content, but SFE-residue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lthough the lowest total lignans content.
        35.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acidification of waste cooking oil such as, palm oil or soybean oil,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2) extraction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for reusing waste cooking oil. The deacidification process using scCO2 has been carried out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range between 40 and 100oC, pressure range between 20 and 35 MPa, CO2 flow rate range between 10 and 40 g/min, and extraction time range from 1 to 7 hours. The purified waste oils were characterized by their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measured.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deduced in this paper at the temperature of 80oC, pressure of 20 MPa, and CO2 flow rate of 40 g/min. At the optimized operating condition the peroxide value was existed between 40 and 100. Also 80% of the purified oil was recovered. The properties of the purified oil were shown as similar to those of the pure oil.
        36.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건조 전처리 방법으로 사용하여 사과의 성분변화를 관찰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온도와 압력이 증가 할수록 생과일과 무처리구 보다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C, 유리당 및 유기산의 함량은 전처리 구간이 무처리구 보다 낮았고, 초임계 이산화탄소 압력과 온도 따라 큰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용매적 특성이 핵산에 가까워 극성물질에 대한 용해력이 높지 않은 상태에서 고압으로
        37.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총설에서는 이산화탄소에 용해력이 있는 새로운 탄화수소 공중합체의 설계와 개발, 그리고 생체친화성 고분자의 초임계 중합을 위한 효과적인 계면활성제로써의 성능에 대해 소개하고, 초임계 유체의 기본적 개념을 용매로써의 성질과 고분자 합성분야에서의 응용적인 측면에서 기술한다. 이산화탄소에 높은 용해력을 지닌 탄화수소 고분자 중합을 위해 새로운 리빙라디칼 중합기술을 사용하였고, 이 물질들의 이산화탄소 내에서의 상거동을 측정하여 공중합체의 분자량과 구조가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임계 분산중합에서의 효과적인 계면활성력을 확인하였고, 성장하는 입자의 안정화에 필요한 키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화장품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고분자 소재 개발에 이 연구가 적용될 수 있다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38.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how supercritical affected sterilization and enzyme inactivation in dongchimi, a conventional Korean fermented food. The growth of bacteria, including lactic acid bacteria, in dongchimi juice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ed pressure and temperature during treatment with supercritical . D values were affected by pressure more than by temperature. The lowest total number of cells and D value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 with supercritical at 25 MPa and ; these conditions also reduced polygalacturonase activity in radishes by approximately 40.3%. Supercritical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sterilization and enzyme inactivation, minimizing sensory loss and textural changes in vegetable materials.
        3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장품, 의약품에서 항비듬제로 널리 사용되는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와 클림바졸을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제조하였다. 초임계 유체로는 임계온도와 임계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산화탄소가 사용되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용해력이 있는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마메이트와 클림바졸을 항비듬제로 선택되었다. 초임계 용액 급속 팽창법을 이용하여 압력과 온도를 변화시켜 입자크기와 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0.
        200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임계추출법을 이용하여 향유로부터 정유물질을 추출하여 향기성분과 항산화물질을 최대로 추출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얻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품질특성으로는 yield, total phenolics, electron donating ability 등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estrgole과 L-carvone을 선정하였다. 반응변수들은 추출시간보다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측정된 변수에 대하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