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2

        461.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해 경기만 남부 지역에 분포하는 층면구조의 형태특징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중빔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지형조사가 2년(2006과 2007)에 걸쳐 수행되었다. 경기만 남부의 층면구조는 다양한 퇴적상 위에 연속적인 스펙트럼의 크기와 다양한 형태의 수중사구(A-F type)가 발달하고 있다. 경기만 남부 지역에 발달된 수중사구의 파장과 파고의 관계식은 Hmean=0.0393L0.8984 (r=0.66)로 나타나고 있다. Flemming(1988)의 파장-파고 관계식과 연구지역의 관계식의 비교를 통해서 조석우세환경인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수중사구는 현재 수리적, 퇴적학적 환경에 평형된 상태로 활발하게 발달되어 있고 강한 조류와 풍부한 퇴적물 유용도에 의해서 발달, 유지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인위적인 작용인 해사채취는 층면구조를 파장이 짧고 낮은 파고의 불규칙형태로 바꾸며 퇴적물 유용도를 감소시켜 수중사구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른 제어요인인 수심과 입도는 경기만 남부지역의 수중사구의 발달과 유지에 크게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5,100원
        46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림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돌발 해충의 조기진단을 위하여 2009년부터 현재까지 2년에 걸쳐 유충 사육을 통한 종별 생활사 구명, 기주 정보 수집 및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유충 채집 및 실내사육은 발생시기인 5월부터 9월까지 수목을 가해하는 유충을 기주와 함께 채집하여 플라스틱 사육용기에 넣어 온도 23℃, 습도 70%, 명암 16L:8D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항습실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2009년 유충 사육 결과 3목 28과 189종이 사육되었고, 2010년 현재까지 3목 24과 165종이 사육되었다. 금년도 유충채집 및 사육을 통해 갈고리나방과, 뿔나비나방과 등 5과가 새로이 추가되었으며, 현재까지 동정된 종수는 130종으로, 앞으로 미동정된 종을 고려할 때 약 50여 종 이상이 추가로 확인될 것으로 기대한다. 사육된 유충을 분류군별로 정리하면 나비목이 20과 153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벌목, 딱정벌레목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나비목에서는 밤나방과가 38종, 자나방과가 20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잎말이나방과, 재주나방과, 독나방과, 쐐기나방과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기주별로 분석한 결과 총 33과 63종의 기주식물이 조사되었으며, 기주별 섭식 유충의 종수는 참나무과가 55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장미과, 버드나무과, 진달래과 등의 순이었다. 앞으로 지속적인 유충사육을 통한 종의 정보수집으로 분류군별, 기주별 유충 종을 정리하여 산림해충 진단 및 유충분류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65.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 영상의 앞/뒷면을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컨테이너 뒷면 손잡이 부분의 존재 유무를 앞/뒷면 영상의 판별 기준으로 정하고, 손잡이 영역이 컨테이너 표면 배경보다 밝다는 가정 하에 형태학적 필터를 사용하여 손잡이 영역만을 추출한다. 그리고 컨테이너 영상의 손잡이 영역의 밝기를 수직으로 누적하여 피크를 찾고 피크의 크기와 피크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영상의 앞/뒷면을 판별하였다. 많은 다양한 컨테이너 영상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우수한 판별 성능을 나타내었다.
        4,000원
        46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in gait parameters in terms of the type of arm sling used in hemiplegic patients. Ten patients with hemiplegia and ten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alked at self-selected speeds on a GAITRite-instrumented carpet. The activities of the opposite shoulder girdle muscle including the latissimus dorsi, anterior deltoid, and posterior deltoid were simultaneously recorded using surface EMG during gai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a condition: without an arm sling, a single strap arm sling, a Harris hemi arm sling, a Rolyan humeral cuff arm sling, and a Bobath roll arm sling. The following gait variables were analyzed: the temporo-spatial parameters of velocity, step length, stride length, swing phase, stance phase, single support, step time and toe in/toe out.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o compare the variation of each variable. In comparison of parameters in each trial in the hemiplegia group, the non-affected side stride length, single support, and toe in/toe out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hanges (p<.05). But without an arm sling group did not show any gait parameter differences with arm slings. This study found that several arm slings varied gait patterns in patients with hemiplegia and in healthy adults. In the EMG analysis, the Rolyan humeral cuff arm sling and the Bobath roll arm sling were higher muscle activity for the latissimus dorsi muscle than did the single strap ann sling. Further study should examine the problems that appeared in patients who worn arm slings by focusing on a larger number of subjects and by studying the variety of responses in more detail using an assessment tool that measures variation.
        4,000원
        467.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one morphogenetic proteins (BMPs) are known to promote osteogenesis, and clinical trials are currently underway evaluating the ability of BMPs to promote bone formation in grafting procedures and fracture healing. Some studies, have independently reported that sulfated polysaccharides particularly heparin, enhance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induced by BMPs in vitro, and another study demonstrated that heparin enhanced the bone formation induced by BMP‐2 in viv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adipose stem cell responses to rhBMP‐2 alone and rhBMP‐2 with heparin at 0.25, and 25 μg/㎖ concentrations, respectively, in culture media. Adipose stem cells were cultured for 2, 4, and 8 days toward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in rhBMP‐2 alone and rhBMP‐2 with heparin at 0.25, and 25 μg/㎖ concentrations, respectively, in culture media. Verification of the stem cell lineage was performed in two ways. The first method was a continuous sequential culture until 5th generation. The second method wa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for STRO‐1 and CD 90. Naphthol AS phosphate‐fast blue BB staining for alkaline phosphatase was used for verify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becaus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had been used as a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marker and degree of osteoblastic activity. Alizarin red staining was also used as a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marker because it quantifies the calcium levels in cells or tissues. During the 5th generation culture, cultured cells actively proliferated, and these cultured cells showed a positive reaction to STRO‐1 and CD90 cell surface molecules. Naphthol AS phosphate‐fast blue BB staining and Alizarin red staining were positive in most samples of each group at 2, and 4 days and positive reaction was proportioned to degree of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In the concentration of 25 μg/ml of heparin, the ALP activity was highest at the 2nd day in the culture, and then the activities of AL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t 4, and 8 days. The ALP activity was greatest at the 4th day of the culture, and then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8th day in 0 μ g/ml and 0.25 μg/ml of heparin concentrations, Adipose stem cells could be differentiated in rhBMP‐2 in culture media, and the addition of heparin to BMP‐2 promote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Moreover,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activity of osteoblasts. This study was shown that, when heparin concentration increases, the early differentiation of the cells was brought about, but the early differentiated cells were rapidly progressed to degenerative changes
        4,000원
        468.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난대산림연구소의 제주시험림에 있는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에 대한 개체목의 수간곡 선식 추정 및 재적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최적의 추정식을 선택하기 위하여 Max & Burkhart 식, Kozak식 및 Lee식을 적용하여 수간곡선식을 유도한 후, 각 식의 직경 추정에 대한 검정 통계량 및 실측치와 추정치간의 오차분포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Max & Burkhart식 및 Lee식이 특정 구간에서 과대 치 또는 과소 추정치를 보인데 반하여 Kozak식은 전구간에서 고른 분포를 보였다. 추정력이 가장 좋은 Kozak식을 활용하여 수피포함 재적표를 작성하였다.
        4,000원
        46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droxy fatty acids have gained important attentions because of their special properties such as higher viscosity and reactivity compared to non-hydroxy fatty acids. The new bacterial isolate Pseudomonas aeruginosa (PR3) had been well studied to produce mono-, di-, and tri-hydroxy fatty acids from different unsaturated fatty acids. Of those hydroxy fatty acids, 7,10-dihydroxy-8(E)-octadecenoic acid (DOD) was produced with high yield from oleic acid by P. aeruginosa PR3. Mostly, the substrates used for the production of hydroxy fatty acid by microorganisms were free fatty acids or synthetic lipids. However, it is highly plausible to use vegetable oils containing oleic acid such as olive oil for DOD production by P. aeruginosa PR3. As a first step to address the utilization of olive oil as a substrate for DOD production, we tri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vessel type on DOD production from olive oil by P. aeruginosa PR3. Of two different flask types of normal flask and baffled-flask, baffled-flask was highly effective for DOD production with all the media tested. Maximum increase of productivity by baffled-flask represented 221% with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whey powder instead of lactose. Results from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vessel type and medium composition could be both significant factors for DOD production from olive oil by P. aeruginosa PR3.
        4,000원
        47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al ions are essential to life. However, some metals such as mercury are harmful, even when present at trace amounts. Toxicity of mercury arises mainly from its oxidizing properties. Ionizing radiation (IR) is an active tool for destruction of cancer ce
        4,000원
        47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줄버섯(Bjerkandera adusta)은 표고 접종목에 발생하는 주요 해균으로 표고의 품질 및 수확량 감소에 영향을 초례한다. 비정상적인 재배환경과 각종 해균의 이동매개체들로 인해 발생하며, 형태적으로 유사종이 많아서 동정하기가 까다롭다. 줄버섯을 채집하여 조직분리배양한 후 균사체에서 추출한 genomic DNA를 염기서열 결정에 이용하였으며, Blast 결과로 줄버섯과 90%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줄버섯의 분류학적 위치는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ELES), 구멍장이버섯과(PORYPORACEAE), 줄버섯속(Bjerkandera)이다. 형태적 특징으로는 자실체의 크기는 1~6.5×1.6~9.8㎝이고 두께는 0.1~0.65㎝이다. 균모의 물결 모양이고 거칠며 방사상의 섬유 줄무늬를 나타낸다. 백색 또는 회갈색으로 가장자리는 얇고 예리하다. 살은 연하지만 건조하면 코르크질로 변한다. 관공은 흰색 또는 회색이고 작고, 원형 또는 각형으로 건조하면 막힌다. 자루는 없고 기주 옆에 밀생한다. 포자의 크기는 2.5~5.5×1~3㎛이며, 원형통형 또는 타원형으로 표면은 매끄럽고 무색이다. 생태적 특성은 1년 내내 활엽수의 고목 또는 줄기에 군생하며, 부생생활을 하는 백색부후균으로 반배착생 또는 배착생으로 중첩되어 발생한 후 기주에 융합한다.
        47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은 현재 국내에서는 소량으로 재배되고 있는 버섯이며 일본에서는 큰느타리버섯에 이어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는 버섯이다. 새로운 수출 유망 품목을 개발하고자 농촌진흥청에서는 모균주인 MKACC51987와 MKACC51988의 단포자교잡을 통하여 신품종 '해미'를 개발하였다.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3-25℃이며, 버섯발생온도는 13-15℃, 자실체 생육온도는 11~17℃로 중온성인 품종으로 자실체 갓이 회갈색이며 자실체 발생형태는 다발성으로 유효경수가 많고 대가 가늘면서 긴 편이다. 배양완료후 발이까지 12일정도 소요 되며 병당(850ml) 수량은 111 ± 16.7g이다. 적정 배지는 포플라 40+ 미송 40+ 미강20% 혼합배지를 사용하며 생육온도가 20℃이상이 되면 대가 휘어지고 갓 정단부에 점이 생겨 품질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기존의 일본 품종과는 색깔 등 형태적 차별성이 있어 향후 버섯 품목의 다양화를 위한 좋은 자원으로서 기대된다.
        47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합적층구조의 층간분리현상은 탄성좌굴하중을 감소시키며 설계값보다 낮은 수준에서 전체구조물의 파괴를 유발 한다. 따라서 복합적층구조의 층간분리 현상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많은 이론과 실험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이론을 사용한 효과적인 유한요소법에 기초하여 임베디드된 사각형 층간분리 현상을 갖는 복 합적층판의 탄성좌굴 거동을 분석하였다. 해석을 위해 개발된 3차원 유한요소는 EAS-SOLID8이라고 이름 붙여졌으 며 강화된 대체 변형률 방법을 사용하였다. 임베디드된 사각형 층간분리를 갖는 복합적층판의 탄성좌굴거동 분석을 위해 경계조건, 폭-두께비 변화에 대하여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그래프와 좌굴모드는 임베디드된 사각형 층간분리를 갖는 복합적층판의 설계에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47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mogenous silica-coated samples with controlled silica thickness were synthesized by the reverse microemulsion method. First, 7 nm size cobalt ferrite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thermal decomposition methods. Hydrophobic cobalt ferrites were coated with controlled using polyoxyethylene(5)nonylphenylether (Igepal) as a surfactant, and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The well controlled thickness of the silica shell was found to depend on the reaction time and the amount of surfactant used during production. Thick shell was prepared by increasing reaction time and small amount of surfactant.
        4,000원
        476.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림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돌발해충의 조기진단을 위하여 유충발생 시기인 5월부터 9월까지 수목을 가해하고 있는 유충을 기주와 함께 채집하여 플라스틱 사육용기에 넣어 온도 23℃, 습도 70%, 명암 16L:8D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항습실 조건에서 실내사육을 실시하였다. 기주는 냉장보관하면서 공급하였으며, 유충의 충태별 형태와, 생육기간 등 생활사를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채집된 유충은 총 192종으로 이 중 75종이 확인되었으며, 117종은 사육중 폐사되었거나 번데기상태로 아직 미확인되었다. 분류군별로 정리하면 나비목이 22과 170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이 딱정벌레목, 벌목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나비목에서는 자나방과가 45종, 밤나방과가 35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명나방과, 잎말이나방과, 재주나방과, 독나방과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타 분류군에서는 잎벌레와 잎벌 등 식엽성 해충이 대부분 조사되었다. 또한 채집․사육된 유충들을 기주별로 분석한 결과 총 41종의 기주식물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 참나무류가 21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버드나무, 벚나무, 밤나무 등의 순으로 많았다. 그리고 2종 이상의 기주식물을 가해한 유충으로는 미국흰불나방, 사과독나방, 무늬독나방, 긴금무늬밤나방, 꿩비름집나방, 줄점불나방, 줄고운가지나방 등이 조사되었다. 앞으로 이러한 기주식물별 유충자료는 산림해충 동정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477.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victims of fire are increasing steadily. Fires have been occurred by arson, spontaneous combustion and various causes. As a result of that, the damages of fire got out of hand. Especially, the fires of flammable liquids are can be spreaded easily because of high calorific value and fire loads. These rapid fire spread cause the huge losses of both life and property and the malfunction of extinguishing systems. In these studies, we examined the spread pattern of surface fire on the water surface by the reappearance experiment.
        4,000원
        47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데이터마이닝의 사전 단계에서 데이터의 차원(Dimensionality)을 줄이기 위한 단계로서 많은 요소선택(Feature Selection)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결과를 예측하거나 데이터를 설명하고자 할 때 어떤 요소들이 관련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데이터의 크기에 대한 확장성(Scalability)를 향상시키며 학습 모델을 더욱 이해하기 쉽도록 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NP(Nested Partition)
        4,000원
        479.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나리속 7종의 화분 관찰에 의한 나리속의 종간 유연관계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분 표면 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모두 단립(monad) 으로 발아구가 한 개인 장형(prolate)을 띠었다. 화분 길 이와 폭의 비율은 종별로 차이를 나타내어서 말나리가 2.59로 제일 큰 장타원형을 나타냈고, 하늘말나리는 1.82 로서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을 나타냈다. 화분의 길이와 폭은 참나리가 각각 115.90와 46.54μm로 가장 컸으며 하늘말나리는 길이와 폭이 각각 70.33μm와 38.72μm로 가장 작았다. 외막의 표면 무늬는 망상(reticulate)으로 서 망강(lumen)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다각형으로 7종 모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리속의 종간 분류는 말 나리와 중나리가 오차범위 내에서 유사한 화분 크기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나머지 종들의 화분 길이는 뚜렷 한 차이를 나타내어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분의 길 이를 통한 나리속의 분류는 외막 모양이나 화분의 단 면적보다는 화분 크기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3,000원
        480.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전체 시설원예에서 파이프 골조로 시공된 비닐하우스가 99.2%이며 구조적으로 취약한 단동형 유리온실이 대부분이다. 이에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동형 연통형 단동형 3개로 구성된 배치형 비닐하우스의 지붕면에 대한 피크외압계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결과 단동형이 연동형보다 30%정도 큰 피크외압계수로 분포하고 있었다. 배치형 비닐하우스의 지붕면 피크외압계수도 3개동 모두에서 단동형보다 크게 20-30%정도 크게 분포하고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