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

        4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e-treatment method on the measurement of probiotic cell counts. The probiotic cell cou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pre-treatment method such as experimenters, diluted solution, medium, and homogenization duration. The mean value of probiotic cell count with capsule was 2.2×1010±9.5×109 CFU/g. This probiotic cell count was converted into 2.8×1010±1.2×1010 CFU/g based on the net weight. The mean value of probiotic cell count without capsules was 4.3×1010±1.8×1010 CFU/g. As a result of this comparison, probiotic cell cou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nd without capsules.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probiotic cell count is measured by removing the capsule in capsule probiotics.
        4,000원
        4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Hoyong’ ‘Super Doterang’) 암면재배에서 배지 전체의 정전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Substrate capacitance measurement device, SCMD)를 기반으로 한 적정 급액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누적일사량 제어구(Integrated solar radiation automated irrigation, ISR)와 물관수액흐름 제어구(sap flow automated irrigation, SF)를 대조구로 비교하면서 봄부터 여름철과 겨울철에 재배를 실시하였다. SCMD 제어구는 급액 개시 후 배지 한 개당 설정된 배액 목표량이 처음 발생하는 시점까지 10분간격으로 급액하였고 첫 배액이 배출되면 그 때의 배지의 정전용량(Capacitance)을 100%로 간주하고 그 기준치의 급액제어 점(Capacitance threshold, CT)에 도달하면 급액 되었고 그 뒤 목표 배액량이 발생하면 급액이 멈추는 방식으로 제어되었다. 봄부터 여름재배에서 실험 처리를 위해 SCMD제어구의 일회 급액량 (Irrigation volume per event)을 50, 75, 또는 100mL로 설정하였고 겨울철 재배에서는 CT가 0.65, 0.75, 또는 0.90가 되면 급액 되도록 설정하였다. 봄부터 여름철 재배에서 일회 급액량을 50, 75, 100mL로 설정하였을 때 급액 횟수는 각각 39, 29, 19회 였고 배액율은 각각 3.04, 9.25, 20.18%였다. 겨울철 재 배에서 CT를 0.65, 0.75, 0.90로 설정하였을 때 급액횟수는 각각 5.67, 6.50, 14.67회였고 배액율은 9.91, 10.78, 35.3%였다. 봄부터 여름철 재배에서 일회 급액량 처리에 따른 물관수액흐름속도(SF) 변화는 1회 급액량과 배액량을 각각 50과 75mL로 제한한 경우 100mL로 제 한한 경우와 비교하여SF 신호가 외부 광량 신호 (SI) 보다 늦어지는 경향(time lag)을 보였고 겨울철 재배에서 CT를 0.65로 설정한 경우는 물관수액흐름 속도나 함수율이 매우 낮아졌고 CT를 0.90로 설정한 경우는 함수율과 물관수액흐름 속도는 매우 높았으나 많은 배액이 배출되었다. 따라서 토마토 봄부터 여름철 재배에서 SCMD를 활용하여 CT를 0.9로, 배지 한 개당 배액 목 표량을 100mL로 설정하였을 때 일회 급액량은 75~100mL 범위가 적합하고 겨울철 재배에서는 1회 급 액량을 75mL로, 배액 목표량을 70mL로 설정하였을 때 CT는 0.75이상 0.9이하 범위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앞으로 정전용량 값과 배지 용적수분함량의 관계성을 구명하고 보정계수를 구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3.
        2019.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mal management is a critical issue for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electronic devices. In this paper, thermal conductivity values of mild steel and stainless steel(STS) are measured by light flash analysis(LFA) and dynamic thermal interface material(DynTIM) Tester. The shapes of samples for thermal property measurement are disc type with a diameter of 12.6 mm. For samples with different thickness, the thermal diffusivity and thermal conductivity are measured by LFA. For identical samples, the thermal resistance(Rth) and thermal conductivity are measured using a DynTIM Tester. The thermal conductivity of samples with different thicknesses, measured by LFA, show similar values in a range of 5 %. However, the thermal conductivity of samples measured by DynTIM Tester show widely scattered valu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rmal grease. When we use the thermal grease to remove air gap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samples measured by DynTIM Tester is larger than that measured by LFA. But, when we did not use thermal g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samples measured by DynTIM Tester is smaller than that measured by LFA. For the DynTIM Tester results, we also find that the slope of the graph of thermal resistance vs. thickness is affected by the usage of thermal grease. From this, we are able to conclude that the wide scattering of thermal conductivity for samples measured with the DynTIM Tester is caused by the change of slope in the graph of thermal resistance-thickness.
        4,000원
        4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demand of wire quality improvement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 market, and the demand for round type flat wire having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reed wire is also increasing greatly. The round wire requires equal spacing and precise alignment of the wire at reed knitting. So,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measuring the flatness of Reed in real time. In this paper, it is shown how the contact and non - contact methods for the flatness of Reed used in a power loom are easy to measure in real - time process. The contact-type method provides excellent measurement accuracy and precision because it directly touches the object. The non-contact type does not touch the object, so it does not scratch the surface, and the result can be obtained faster than the contact type. Contact type measuring device was used as contact type and laser displacement sensor was used as non - contact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non-contact type) is suitable for the real time process.
        4,000원
        4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gh variance observed in the measurement system can cause high process variation that can affect process capability badly. Therefore, measurement system analysis is closely related to process capability analysis. Generally, the evaluation for measurement system and process variance is performed separately in the industry. That is, the measurement system analysis is implemented before process monitoring, process capability and process performance analysis even though these analyses are closely related.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ive concurrent evaluation procedure for measurement system analysis and process capability analysis using the table that contains Process Performance (Pp), Gage Repeatability & Reproducibility (%R&R) and Number of Distinct Categories (NDC). Furthermore, the long-term process capability index (Pp), which takes into account both gage variance and process variance, is used instead of the short-term process capability (Cp) considering only process variance. The long-term capability index can reflect wel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 system and process capability. The quality measurement and improvement guidelines by region scale are also described in detail.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oposes the procedure that can execute the measurement system analysis and process capability analysis at the same time. The proposed procedure can contribute to reduction of the measurement staff’s effort and to improvement of accurate evaluation.
        4,000원
        47.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ous rheological methods to measure the hardness of instant cooked rice by a texture analyzer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Specifically, instant white rice samples with a wide range of hardness were subjected to four different rheological tests with disk, cylinder, rod, and cone probe whose results were inter-correlated. All the measurements demonstrated that the hardness of instant rice was reduced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 and showed negatively linear relationships. Out of the four tests applied in this study, the highest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 0.9268) was observed distinctly in the cone probe test, where both compressive and shear forces can be applied to deform individual rice grains. However, the cylinder probe test had the lowest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 0.7247) because it may be ineffective in causing direct deformation of individual rice grains. Furthermore, when the hardness values (N) were converted to stress (Pa), highly linear correlations (R2 ≈ 0.99) were observed between the tests with similar probe geometry and force application.
        4,000원
        5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나물(Glycine max L. Merrill)은 우리 고유의 전통식품으로서 무침, 국, 찌개, 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편리를 추구하는 바쁜 현대인들을 위하여 콩나물의 반조리식품화 또는 가공식품화의 형태로 이용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고품질 콩나물의 생산을 위하여 콩나물 콩의 생육특성, 발아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생 콩나물의 조리 후 조직감 특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콩나물의 조직감 측정 시의 사용하는 프르브와 측정법에 따라 가공처리에 따른 조직감의 유의차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가열처리에 따른 콩나물의 조직감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평가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이 가열처리에 따른 콩나물 조직감의 변화를 객관적인 방법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본연구에서는 콩나물은 파우치에 물과 함께 포장한 것과 진공포장 한 것을 84 ℃에서 20 분간 가열처리 하여 실린더형과 칼날형의 프로브를 이용하여 조직감 특성을 확인하였다. 콩나물 머리와 줄기의 조직감 특성은 각각 deformation 30%와 60%의 조건일 때 test speed 0.5 mm/s 에서 진행하였으며, 부정형인 콩나물의 머리를 고려하기 위하여 engineering stress와 true stress를 비교하였다. 콩나물 머리의 크기는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하여 deformation 이전 콩나물의 전체 높이 및 긴 반지름, 짧은 반지름을 기준으로 30% deformation 일 때 해당하는 변수를 이용하였다. 가열처리 방법에 따른 콩나물 머리의 조직감은 실린더형 프로브로 측정 시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칼날형 프로브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조직감을 측정하였을 때 유의적 차이를 확인하였다(p<0.05). 또한 콩나물의 줄기도 가열처리 방법에 따라 칼날형 프로브로 측정시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결과값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칼날형 프로브를 이용한 가열처리 방법에 따른 콩나물 머리의 engineering stress 결과 값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30% deformation 시에 해당하는 변수를 통하여 도출한 콩나물 머리의 면적이 고려된 true stress 결과 값은 가열처리 방법에 따라 각각 89.08 g ± 10.03, 68.16 g ± 5.93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콩나물의 줄기는 engineering stress와 true stress 결과 값 모두에서 유의적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두 측정법 간에는 유의차(p<0.05)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콩나물의 머리와 줄기 모두 칼날형 프로브를 이용하는 것이 가열처리에 따른 콩나물의 특성을 유의미하게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5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odor and to examine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odor emission standard in a restaurant environment. The complex odor dilution concentrations (“times”) and odor compounds were measured in 8 restaurants. The highest complex odor dilution times were 966 in outlets and 97 in site boundaries of C restaurants. The average complex odor dilution times were 632 in outlets and 29 in site boundaries, which exceeded the allowable odor discharge standard of residential areas. Eighteen of the 22 specified offensive odor substances were detected. Aldehyde-type substances showed high concentrations,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ethanol was detected in addition to the designated odorous substances. Dichloromethane, benzene, and phenol, which are harmful air pollutants, were also detected. The odorant concentrations of restaurants were found to exceed the odor standard threshold in A, B, and F restaurants. Upon review of the Japanese-style odor index respective to restaurant odor, it is difficult to apply an equivalent emission allowance standard as the permissible emission standard of the workplace. It is necessary to regulate emission standards by different emission standard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termine how to measure the odor index and how to apply the odor emission standard to everyday facilities, such as restaurants, grocery stores, etc.
        5,200원
        5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구온난화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기록적인 폭우로 인한 홍수 및 침수 피해가 급증하는 등 아열대성 기후의 특징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증가한 강우량 및 강수일수는 수분으로 인한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수분에 의한 아스팔트 포장 파손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인 포트홀의 발생 현황을 보면 2006년도에는 3만 8천건이 발생한 반면 2010년에는 7만 7천건으로 두배 이상 급증하였다(서울연구원, 2012). 이처럼 급증하는 아스팔트 포장의 수분파손을 저감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2017)’에서는 동적수침 후 피복율을 점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동적수침시험은 수분이 골재와 바인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일정한 크기의 골재를 피복하여 동적수침 후 2명의 시험자가 육안으로 피복율을 판별한다. 하지만 동적수침 시험은 정량화되고 계량화된 판별법이 아닌 관찰자의 숙련도 및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많은 판별법으로, 관찰자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고 반복성이 떨어져 신뢰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Digital Image Analysis를 이용한 분석법등이 제안되었지만, 화강암의 어두운 부분이 바인더가 잔존하는 것으로 계산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손정탄 외, 2016). 본 연구에서는 육안조사 및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판별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시험 후 골재표면에 피복되어 있는 아스팔트 중량을 이용해 피복율(이하 중량판별법)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1.2 ∼8mm 크기의 화강암 골재와 PG 64-22 바인더를 이용하여 시료를 제작하였고 피복한 시료의 무게(A)를 측정한 후 동적수침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이 끝난 시료는 시험자가 육안조사를 먼저 실시하였으며, 이를 건조로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 후 무게(B)를 측정하였다. 이후 소각을 통해 골재 표면에 피복되어있는 AP를 제거한 후 골재만의 무게(C)를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해 시험 전(A-C)·후(B-C) 골재에 피복되어 있던 AP의 중량을 구하였다. 이렇게 구한 AP의 중량의 비((B-C)/(A-C)×100)를 이용해 피복율을 계산하였다. 시험 결과, 육안조사 및 중량판별법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55.56%, 2.04와 52.15%, 2.01로 나타났다. 표준편차는 유사한 수준으로 반복성 및 재현성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평균은 중량판별법이 약 3% 작게 나타났다. 중량판별법의 평균이 작은 이유는 육안조사 과정에서 AP가 일부 소실된 시료를 소각 및 중량판별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판별법에 따른 결과값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p값이 유의수준 0.05보다 작아 결과값의 차이가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판별법간의 상관정도를 보여주는 상관계수는 0.63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회귀분석을 통한  는 0.3989으로 작게 나타났다. 상관관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 가 작은 이유는 판별법에 따른 결과값의 차이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으로, 이는 피복AP 제거를 위해 시료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고온으로 인해 파손 및 소실되는 골재의 양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연구 결과, 중량판별법은 기존 육안조사의 단점인 시험자의 주관 및 선입견을 배제하고 숙련도에 관계없이 육안조사와 유사한 수준의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는 객관적인 판별법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한정된 골재 및 바인더에 대해 시험한 결과로 이를 실제로 적용하기에 위해서는 다양한 재료에 대한 적용가능성 검증이 선행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소각용 Pan의 개량 및 적정온도 선정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 값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5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직/편물 8종을 대상으로 이들 수직방향과 수평방향 수분이동특성 측정방법에 따른 소재들의 수분이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8종의 시편의 MMT에 의한 건조특성을 수직 건조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수평 수분이동 방법인 MMT 시험 결과는 수직법인 바이렉 방법의 결과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었다. 대나무, 린넨 및 면/나일론 복합 소재는 드롭법의 흡수시간은 짧았으며, 표면의 낮은 접촉각 및 직물의 높은 다공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친수성 스테이플 섬유의 구조와 상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MMT에 의한 건조특성은 니트 및 대나무 직물의 최대 흡수반경이 가장 우수했으며, 수식 건조법에 비해 차이를 나타내었다. MMT 방법의 건조속도는 직물의 두께와 포화수분 흡수율과 높은 상관성을 가졌으며, 회귀계수는 각각 0.9와 0.88이었다. 이는 직물의 두께가 얇을수록 위킹 및 건조특성이 우수하며, 기능성 소재기획시 착용 내구성을 판단하는데 중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이한 섬유소재, 실 및 구조의 소재에 대한 수분이동특성(위킹, 건조)는 측정 방법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5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과원에 무인자동 해충 발생예찰 장치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획득된 나방류 이미지는 서버컴퓨터로 전송된다. 해충 이미지를 채도(saturation), 농도(intensity), 색상(hue)에 의해 추출하여, 컬러영상과 밝기영상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컬러영상과 밝기영상의 화소값 분포를 노이즈 제거 및 영상분할을 하기 위해 정규화한다. 컬러영상과 밝기영상을 이진화하는 threshold 기법과 vector classification 으로 2개의 영상을 이진화된 영상으로 결합한다. 이진화를 통해 해충과 배경의 경계가 뚜렷하게 구분된다. 다음으로 해당 해충보다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분리되었던 해충을 결합하는 형태학적 처리(morphological processing)를 통해 이진화된 영상을 확산한다. 확산된 영상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후처리과정을 거쳐, 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image processing 과정을 거친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 나방의 경우 image processing을 거쳐 육안대비 인식율이 각각 96.0, 95.0%였다.
        56.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as sensor sensitivity value of three methods (simple application method, vaporization method, and chamber method) were compared in order to establish a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liquid odor substances. In order to select the representative sensors from among the 16 sensors constituting the gas sensor array, cluste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Sensors with excellent correlation in terms of reactivity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sensors of each measurement method.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reactivity and the correlat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simple application method < vaporization method < chamber method. Through a variance analysis using the sensitivity values of selected representative sensors, it was shown that the simple application method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at the level of 99.9% (p<0.001) in three of the representative sensors in four clustering groups. The vaporization method and the chamber metho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 level of 99.9% (p<0.001) for all representative sensors in each clustering group. If the reactivity wer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the simple application method and vaporization method could also be used as a method of measuring the liquid material with gas sensor array.
        4,000원
        5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Fractional Flow Reserve(분획혈류예비력:FFR)은 관상동맥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중간 동맥 협착의 기능적 중요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는 관상동맥 협착 부위의 원위부와 근위부 정상혈관의 최대 혈류량의 비율(ΔP)을 말하며 카데터(catheter)가 혈관에 삽입되어 FFR 측정 위치까지 이동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침습적(invasive)이어서 환자가 불편하고, 신체에 손상을 줄 위험이 있어 비침습적(non-invasive) 방법으로 혈관의 병변(lesions)을 진단 및 평가하는 방법이 주목 받고 있다. 이중 MRI PC-VENC 기법을 이용한 MR-FFR이 그 대안으로 평가되고 있어 MR-FFR 사용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8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관상동맥의 근위부에 의미 있는 동맥경화반이 관찰되어 FFR측정이 예정된 환자 5명과 건강한 성인 11명에 대해 MR-FFR 검사를 진행하였다. 3.0T MRI 장비를 사용하였고 코일은 phased-array body coil을 사용하였다. CT에서 재구성된 관상동맥 경화반의 범위를 참조하여 coronary LAD MPR(multi planner reconstruction) 영상을 만든 후 혈관의 정상 부위와 동맥 경화반 부위를 포함하여 scan 부위를 결정하여 PC-VENC 영상을 얻는다. 사용된 parameter는 VENC=35-65cm/s in all 3 directions, FA=15˚, cardiac phase=2(70ms/phase), in-plane resolution =0.5-0.6×0.5-0.6mm², slice thickness=3.2mm, scan time은 2-6 min/slice으로 설정하였다. 얻어진 VENC 영상에서 ΔPMR를 구하기위해 MATLAB을 사용하여 각 슬라이스에서 산출된 최대 속도를 적분하여 Navier-Stokes(NS) 공식을 이용하여 data를 산출하였다. 결 과 : Proximal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pLAD)에서 stenosis의 area percentage가 증가 할수록 ΔPMR 값을 산출할 수 있는 mmHg 값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stenosis 정도가 심할수록 분획혈유예비력(FFR) 값이 증가함을 의미하며 기존 FFR을 구하는 방식과 비교했을 때 환자 군(6.40±4.43mmHg), 정상군(0.62±0.49mmHg)에서 유의한 값(p<0.001)으로 나타났다. 기존 FFR 과 MR-FFR 간 결정계수 값은 R2=0.938으로 나타나 MR-FFR 기법과 기존 FFR 측정차가 크게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에서 관상동맥 경화반이 있는 혈관과 정상 혈관 모두에서 기존 FFR 값과 비교했을 때 ΔPMR 분석은 매우 유의한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다른 종류의 침습적인 방법인 intravascular ultrasound(IVU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등를 이용한 FFR 과 MR-FFR의 비교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공간적, 시간적 해상도 및 노이즈 감소의 관점에서 기술의 개선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퀀스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비침습적이고 피폭이 없으며 환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많은 MR-FFR 측정 방법은 앞으로 임상에서 유용하게 쓰여질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