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

        41.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oe gel의 동결건조에 농축도가 서로 다른 액상 시료를 사용하였을 때 건조분말의 기능성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Aloe의 많은 기능성 중에서 유효 다당류의 농도, 기능성 작용기에 대한 FT-IR 특성, Jack bean urease 저해 효과, FAC(fat adsorption capacity)를 대상으로 하였다. 농축도가 높은 경우에 유효 다당류의 농도, urease 저해 효과, FAC 모두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FT-IR의 분석에서는 농축도가 높은 경우에 glucomannan의 acetyl 기에 대한 spectrum 영역인 1600-1550 cm-1와 1450-1400 cm-1에서 흡광도가 크게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Aloe gel의 동결건조 시 전처리과정인 농축 공정에서는 농축도가 높을수록 유효 다당류의 양과 acetyl기 함량의 수준이 크며, 간접적으로 urease 저해 효과에 따른 Helicobacter pylori의 억제 및 FAC의 증가 효과를 보였다.
        4,000원
        42.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functional cookie with the addition of a sweet pumpkin powder on a cookie shape, that showed high preference level to all age group and that was very easily to store because of low moisture content, by substituting partially a sweet pumpkin powder for reducing content of wheat flour. This study has produced the sensory optimal composite recipe by making iced cookies, respectively, with each 5 level of Sweet pumpkin powder(X1), sugar(X2), butter(X3), by C.C.D(Central Composite Design) and conducting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analysis by means of 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 Sensory items showed very significant values in color, appearance, flavor, overall quality(p〈0.05), texture(p〈0.01), and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lightness, redness(p〈0.01), yellowness, spread ratio, hardness(p〈0.05). Also sensory optimal ratio of Sweet pumpkin cookie was calculated as sweet pumpkin powder 81.8g, sugar 116.6g, butter 210.7g,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factors of influencing cookie aptitude were in order of Sweet pumpkin powder, butter, sugar.
        4,000원
        43.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the focus is on the effect of cobalt oxide powder in the carbothermal reduction of the titanium-cobalt-oxygen based oxide powder by solid carbon for the optimizing synthesis process of ultra fine TiC/Co composite powder. The titanium-cobalt-oxygen based oxide powder was prepar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pray drying and desalting processes using the titanium dioxide powder and cobalt nitrate as the raw materials. The titanium-cobalt-oxygen based oxide powder was mixed with carbon black, and then this mixture was carbothermally reduced under flowing argon atmosphere. Changes in the phase structure and thermal gravity of the mixture during carbothermal reduction were analysed using XRD and TGA. Titanium-cobalt-oxygen based oxide powder desalted at had a mixture of . And the one desalted at had a mixture of . In the case of the former powder, the reduction of cobalt oxide powder in the titanium-cobalt-oxygen based oxide powder occurred at lower temperature than the latter one. However, the carbothermal reduction of titanium dioxide powder in the titanium-cobalt-oxygen based oxide powder with a mixture of occurred at higher temperature than the one with a mixture of . And also, the former powder showed a lower TiC formation ability than the latter one.
        4,000원
        44.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pH, 총산, 향기성분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풍미, 식미감 및 기호도 면에서 가장 뛰어난 김치의 조건을 찾아내고, 위 김치의 분말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BFS(Breakfast Sausage)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담백한 맛과 향을 제공하면서 영양성과 보존성이 뛰어난 동결 김치분말 첨가 BFS(Breakfast Sausage)를 개발하고자 한 논문으로 그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는 김치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 5.5에서 pH 3.9로 낮아졌고 총산은 0.35%에서 0.82%로 높아졌으며, 관능검사 결과는 저장 18일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그 다음은 저장 12일부터 18일 사이에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pH 4.0, 총산 0.73%을 나타낸 저장 18일째의 김치를 동결 건조하여 동결김치분말 첨가 BFS(breakfast sausage)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2. 김치(pH 4.0, 총산 0.73%, 저장 18일)의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aldehyde류가 5종, acid가 4종, ester가 5종, sulfide1종, alcohol 1종 등으로 나타났다. 3. 동결김치분말의 첨가량을 0, 3, 6, 9%로 달리하여 제조한 BFS(breakfast sausage)를 굽지 않고 실시한 관능검사 결과, 색은 김치분말 9%첨가군(6.65점)이, 맛(6.45점)과 전반적인 기호도(6.25점)는 김치분말 3% 첨가군이, 부드러움은 Cotrol군(5.70점)이, 매운 맛은 김치분말 9% 첨가군(6.85점)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고, 구운 뒤 실시한 관능 평가 결과, 색(7.15점), 맛(7.10점), 부드러움(6.00점), 전반적인 기호도(7.15점) 등 거의 모든 평가항목에서 김치 분말첨가 3%군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또한 구운 것과 굽지 않은 것을 비교하면 구운 것이 안 구운 것보다 좋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동결김치분말 3%를 첨가하여 구워 만드는 BFS(breakfast sausage)가 가장 우수한 제품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46.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the focus is on the analysis of carbothermal reduction of the titanium-cobalt-oxygen based oxide powder by solid carbon for the optimizing synthesis process of ultra fined TiC/Co composite powder. The titanium-cobalt-oxygen based oxide powder was prepar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pray drying and desalting processes using the titanium dioxide powder and cobalt nitrate as the raw materials. The titanium-cobalt-oxygen based oxide powder was mixed with carbon black, and then this mixture was carbothermally reduced under a flowing argon atmosphere. The changes in the phase structure and thermal gravity of the mixture during carbothermal reduction were analysed using XRD and TGA. The synthesized titanium-cobalt-oxygen based oxide powder has a mixture of and . This oxide powder was transformed to a mixed state of titanium car-bide and cobalt by solid carbon through four steps of carbothermal reduction step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reduction of to and Co, reduction of , to the magneli phase(, n>3), reduction of the mag-neli phase(, n>3) to the (2n3) phases, and reduction and carburization of the (2n3) phases to titanium carbide.
        4,000원
        47.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were evaluated in rats. Sixty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0±10g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fed high fat diets for six weeks. Experimental groups were administered with following diets; Normal fat diet and normal and high fat diets with 1% dried green tealeaf powders. Tissue weights of liver, lung, stomach, heart, kidney and spleen of high fat diet exposed rats were reduced by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in rats fed the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were low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in green tea leaf powders the were lower than those in high fat diet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HDL-cholesterol in serum of the dried leaf powders green te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levels of LDL-cholesterol in serum of the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groups were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GPT and GOT were decreased in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groups and than in the high fat group. LDHase was lower in the dried green tea leaf powders groups than in the high fa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ied leaf powders green tea groups may reduce elevated levels of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diets.
        4,000원
        48.
        199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용사용WC-17%Co 복합분말을 분무건조법으로 제조하고 열처리 온도(850˚C, 1000˚C, 1150˚C, 1300˚C)에 따른 조립분말의 미세구조, 입도분포, 유동도, 및 결정상변화를 고찰하였다. 분무건조상태의 입형은 구형이었으며, 입도분포, 평균입자크기, 유동성은 각각 20.6-51.7μm, 27.2μm, 0.26 sec/g 이었다. 열처리에 의하여 조립분말은 치밀화되어 1300˚C 열처리 후에는 입도분포와 평균입자크기가 각 각 6.9-37.9μm과 17.8μm로 감소하였으며, 유동성은 0.12 sec/g로 향상되었다. 열처리중에 WC와 Co의 상화확산에 의하여 Co6W6C및 Co3W3C이 생성되었으며, 두 상이 나타나는 임계온도는 1150˚C이었다.
        4,000원
        49.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hygienic quality of dried-Angelica Keiskei Koidz powder, the effects of ozone treatment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al decontamin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Gamma irradiation at 5 to 7.5 kGy resulted in sterilizing total aerobic bacteria, molds and coliforms below detective levels, while ozone treatment for 8 hours up to 18 ppm did not sufficiently eliminate the total aerobic bacteria of the sampl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were not changed by gamma irradiation up to 7.5 kGy, whereas, ozone treatment caused remarkable changes in pH, TBA value, chlorophyll, caroteno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Therefore, this investigation demonstrated conclusively that gamma irradi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ozone treatment for decontaminating and sterilizing the dried-Angelica Keiskei Koidz powder, with minimal effec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alyzed.
        4,000원
        50.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주요지역에서 생산되는 곶감 및 표면 백색분말의 당조성과 분말의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곶감과육의 당함량은 56~59% 정도였으며 주로 glucose와 fructose로 이루어져 있었다. 백색분말은 당 84.6%, 수분 12.5% 및 불용성 물질이 2.7% 정도였으며 당조성에 있어서는 glucose가 83.3%를, fructose가 16.7%로 대부분이 glucose였다. 백색분말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판, 꽃, 침 및 뿔등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으며 수화후 재결정화한 glucose와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곶감 표면의 백색분말은 건조과정중 과육내부의 당이 수분의 이동과 함께 건조표면으로 이동하여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주로 glucose가 결정화된 것으로 보여진다.
        4,000원
        52.
        2017.07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venia dulcis fruit powder (HFP) has shown diverse functional activities; thus, it is rational to incorporate HFP into suitable food products with enhanced nutritional and functional quality, and their incorporation into bakery products such as cookies could be a good alternative for the increase of consump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FP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The pH of cookie doughs ranged from 5.80-6.34, with no remarkable differences by HFP addition. Density of cookie doughs significantly decreased upon addition of HFP (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added with HFP (p>0.05). Moisture content and spread factor of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content of HFP in the formulation (p<0.05). For color values of cookie surface, L* and b*-values decreased while a*-value increased as a result of HFP substitution (p<0.05).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 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ith higher substitution of HFP, showing a positive correlation. Hedonic sensory results indicated that cookies supplemented with 4% HFP received the most favorable acceptance scores for sensory attributes. Overall, HFP-added cookies could be developed with improved physicochemical qualities without sacrificing consumer acceptability.
        53.
        2017.07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 vapor adsorption kinetics of vacuum-dried jujube powder were investigated i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ranges of 10 to 40℃ and 32 to 75%, respectively. Water vapor was initially adsorbed rapidly and then reached equilibrium condition slowly. Reaction rate constant for water vapor adsorption of vacuum-dried jujube powder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emperature. The temperature dependency of water activity followed the Clausius-Clapeyron equation. The net isosteric heat of sorpt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water activity. Good straight lines were obtained with plotting of 1/(m-m0) vs. 1/t. It was found that water vapor adsorption kinetics of vacuum-dried jujube powder was accurately described by a simple empirical model, and temperature dependency of the reaction rate constant followed the Arrhenius-type equation. The activation energy ranged from 50.90 to 56.00 kJ/mol depending on relative humidity. Arrhenius kinetic parameters (Ea and k0) for water vapor adsorption by vacuum-dried jujube powder showed an effect between the parameters with the isokinetic temperature of 302.51 K. The information on water vapor adsorption kinetics of vacuum-dried jujube powder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optimum condition for storage and processing of jujube.
        54.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호박고구마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식품가공용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호박고구마 효소 분해물을 분무건조한 다음 물리화학적 특성 및 소화특성을 조사하였다. 호박고구마 효소 분해물의 불용성 식이섬유, 수용성 식이섬유 및 총 식이섬유 함량은 4.17%, 2.07% 및 6.24% 이었다. 호박고구마 효소 분해물의 분무건조분말 제조는 펙틴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분무건조하였으며, 수분함량 및 전분함량은 1.68-2.46 및 45.32-46.51%였다. 색도는 분무건조 분말에서 L 값 및 a 값은 감소하고 b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입자크기는 분무건조 분말이 37.17-42.32 μm을 나타내어 동결건조 분말 247.79 μm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작은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입자모양은 전반적으로 구형의 형태에 펙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굴곡이 증가하였다. 수분흡수지수는 분무건조 분말에서 1.74-1.91로 동결건조 분말 2.15에 비해 낮은 수분흡수지수를 나타내었으며, 수분용해지수는 분무건조 분말에서 80.75-87.61%로 동결건조 분말(70.47%)보다 높게 나타났다. 장 상피세포 부착능은 분무건조 분말에서 2.66-6.18%를 나타내어 동결건조 분말 1.79%에 비해 높은 부착능을 나타내 장 내 유용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분무건조 분말의 인체 내 소화 모델에서, 펙틴 1% 첨가 분말은 최종적으로 장액에서 70.09%의 소화율을 나타내어 동결건조 분말 24.23%에 비해 인체내에서의 높은 소화율이 기대되었다. 따라서 분무건조 분말 제조시 식품산업 활용 측면에서 가공적성이 향상되고 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에서 소화가 개선된 식품가공용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55.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상품과로서 가치가 없어 전량 폐기되고 있는 미숙 무화과를 이용하여 산업적 이용 증대 및 식품 가공용 연육제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미숙 무화과에 부형제인 maltodextrin을 5%, 10% 및 20%를 첨가 하여 혼합한 후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분말화 하였다. 분무건조 분말의 수분함량은 2.59~2.65%였으며 부형제인 maltodextrin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색도는 L값이 늘고 a와 b값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입자크기는 동결건조 분말(209.67 μm)에 비하여 22.18~37.33 μm로 유의적으로 작고 균일한 크기였다. 수분흡수지수는 maltodextrin 10% 첨가군이 0.11로 가장 낮았으며 수분용해지수는 99.10%로 가장 높았다. 전체적으로는 분무건조 분말이 동결건조 분 말에 비해 수분흡수지수는 낮고 수분용해지수는 높은 경향 을 나타내어 산업적으로 이용시 분무건조 분말이 동결건조 분말보다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숙 무화과 분말의 protease 활성은 동결건조 분말(0.92 unit/g)이 분무건조 분 말(0.48~0.84 unit/g)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 으나, in vitro 인체 내 소화 모델에 대한 protease 활성은 분무건조 분말에서만 효소 활성이 나타나 낮은 pH에서도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 미숙 무화과 분말 제조시 동결건조보다는 maltodextrin을 10% 혼합하여 제조된 분무건조 분말에서 protease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향후식품가공용 연육제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 었다.
        56.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즙과 배 건조분말을 이용하여 기능성 양갱을 제조하기 위하여 물대신 배즙을 넣고 배건조분말(열풍, 동결), 백앙금, 한천, 젤라틴, 소금을 첨가하여 배양갱을 제조하였다. 배양갱의 일반성분,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활성, 색도, 조직감,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물을 이용한 C양갱의 수분함량은 27.9%로 가장 많았고 열량과 탄수화물 함량은 가장 적었으며, 배즙 양갱(PJ)과 배즙과 배 열풍건조분말 양갱(PJH), 배즙과 배 동결
        57.
        200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천일염을 이용한 염장가공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의 일부로서 천일염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며 천일염을 이용한 응용요리의 개발과 국제화 방안을 목적으로 제과류에 천일염으로 만든 된장분말을 첨가하고자 쿠키와 머핀제품을 제조하였으며 천일염 된장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와 머핀의 색도와 텍스쳐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최적의 된장분말 첨가량을 알아내어 기능성 쿠키와 머핀의 최적배합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쿠키와 머핀에 천일염 된장분말
        58.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결건조 양파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 두부를 제조하고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두부의 수분함량은 양파건조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다소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색도 변화에 있어 백색도(L값)는 양파건조분말 0.1%를 첨가했을 때 83.0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적색도(a값)는 대조구나 양파건조분말 첨가구에서 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황색도(b값)의 경우 양파건조분말 첨가구는 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Sucrose함량은 0.2
        59.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 품종별(도근조생, 고종시, 갑주백목, 차랑, 월하시, 상주둥시)로 감꽃을 개화기에 채취하여 동결건조 분말화한 감꽃분말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도근조생이 57.26%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유리당 조성은 fructose가 , glucose는 , sucrose가 의 함유량을 나타내었고, 유기산 중 malic acid가 갑주백목(6월4일)에 225 mg%로 가장 많았고, tartaric acid도 189 mg%로 가장
        60.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자량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아가리쿠스 버섯에서 분리한 단백다당류를 이용하여 이들의 유동특성을 비교하였다. 막분리 및 분무건조된 단백다당류의 절대분자량은 SEC/MALLS로 분석하였는데, Cumulative weight fraction이 50%인 지점에서의 분자량은 SD-1,2와 3이 각각 로 나타났다. 분자량이 다른 SD-1, 2, 3용액 에 대하여 전단응력을 측정한 결과, 전단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응력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