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5

        4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mboo leaf powder was added to Jeolpyun to increase the neutraceutical effects and storage period. The bamboo leaf powder was added to rice flour at ratios of 0, 4, 6, 8, and 10% (w/w), and they were treated with aqueous malt extract to extend storage. The Jeolpyun was stored at 20℃ for 72 hr, and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s a result, the crude fat, crude protein, moisture, crude ash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in bamboo leaf powder were 4.36, 11.29, 3.37, 7.33, and 65.57%, respectively. The Hunters L, a, and b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bamboo leaf powder increased; however,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during storage. The paste property setback values decreased with the malt extract treatment and with increasing amounts of bamboo leaf powder. In a sensory analysis, hard texture strength in the malt extract and bamboo leaf powder treatment groups was less than that in the control during storage. The Jeolpyun prepared with malt extract and no bamboo leaf powder was the most accepted by consumers. Although adding bamboo leaf powder resulted in less consumer acceptance except for the flavor attribute, adding 4% and 8% bamboo leaf powder resulted in better consumer acceptance for texture,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than that of the control. In a microbial analysis, adding bamboo leaf powder resulted in fewer mold colonies. In conclusion, adding 4% bamboo leaf powder and malt extract to Jeolpyun improved its storage properties.
        4,000원
        42.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whe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otus leaf powder (LLP) were added to the wheat flour, thereby determining which noodle recipe was preferred. The cooking quality, mechanical texture properties, and viscosity were measured, and then a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the prepared noodles. The gelatinization points of the composite LLP-wheat flours were shown to have an increased, viscosity at 95oC after 15 minutes. As measured via amylograph, the maximum viscosity values of those samples were decreased as the LLP content was increased. As well, when increased amounts of LLP were added, both the L and a values were reduced, whereas the b value was increased. The color values, weight and volume of the cooked noodle increased, as did the turbidity of the soup. With regard to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LLP additive increased hardness and cohesiveness, and reduced adhesiveness and springiness. Over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 the noodles prepared with 5% LLP were preferred over the other noodles.
        4,000원
        43.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mboo leaf powder was added to Chiffon cake to increase its neutraceutical effects and storage periods. Specifically, 0, 7, 10 and 13% leaf powder was added to the cakes. The content of total dietary fiber in the bamboo leaf powder was 65.57%. The moisture cont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The cake containing 10% bamboo leaf powder had the greatest volume, whereas the control group (0% bamboo leaf powder) had the lowest volume (p〈0.05). The Hunter's L and a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bamboo leaf powder increased. The b value of the control was lowest among the groups (p〈0.05). Evaluation of the consumer acceptance of flavor revealed that the cakes containing the added bamboo leaf had greater consumer acceptance than the control. However, when the color was evaluated, the 13% group showed the lowest acceptance (p〈0.05). Other factors such as texture,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Additionally, the elasticity did not differ among groups, while the air cells were most uniform in the control. The strength of bamboo leaf aroma, bitter taste and aftertaste increased as the amount of bamboo leaf powder added increased. Cakes containing 10% and 13% added powder had the greatest moisture content, while the control had the lowest content (p〈0.05). As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10% bamboo leaf powder was the optimal level for the preparation of Chiffon cake. To evaluate the storage of cakes, the 10% group and the control were inoculated with Aspergillus oryzae and then incubated at 30℃ for 6 days. The microbial colony cou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fter 48 hrs; however, the fungal concentration of the 10% group did not increase for 4 days.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10% bamboo leaf powder to Chiffon cake increased the storage time while maintaining adequate consumer acceptance.
        4,000원
        4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otus leaf powder. The determined values for moisture, crude ash,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in were 2.97%, 8.09%, 65.18%, 22.83%, and 0.93%, respectively. The yield rates of the tofu sampl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added lotus leaf powder;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H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acidity. The L- and a-values of samples decreased as the amount of lotus leaf powder in the formulation increased, whereas the b value increased. Furthermore, hardnes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level of lotus leaf powder increased.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the preferred tofu samples were the control and that containing 0.2% lotus leaf powder.
        4,000원
        47.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rning-rolls containing various levels (0, 4, 8, and 12%) of bamboo leaf powde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orning-roll volum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bamboo leaf powder, and as the bamboo leaf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0.05). For the amylogram characteristics, the addition of bamboo leaf powder to the flour reduced peak viscosity, holding strength, final viscosity, and setback.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demonstrated that control (0%) and 8% addition of bamboo leaf powder had the best scores in taste, color, flavor, texture, appearance, softness, wetness, residual mouth feel, and overall acceptability. Thus, it appears that by using 8% additions of bamboo leaf powder, the functionality, nutritional composition, taste, color, and flavor of morning-rolls containing bamboo leaf powder can be developed. This result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better quality bamboo-leaf morning-rolls.
        4,000원
        48.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추냉이 수경재배시 유리온실내 무차광, 10, 30, 70% 차광률이 고추냉이 생육 및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광도가 증가할수록 엽록소 형광특성 ETR은 함께 증가하였으며, 무차광, 10%, 30%차광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70%차광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Yield와 qP는 광도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으며, 70% 차광 처리구에서 감소폭이 컸다. 광합성과 기공전도도는 10%차광에서 가장 높았으며, 증산율은 무차광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고추냉이 엽면적과 생장량은 10%차광에서 가장 높았으며, 엽수는 무차광에서 가장 많고 차광률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엽장, 엽폭은 무차광, 10-30% 차광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엽병장은 무차광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뿌리의 생장은 70% 차광을 제외하고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70% 차광에서 고추냉이 잎과 뿌리의 생장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고추냉이를 11월에 정식하여 순환식 담액수경 방식으로 5개월간 재배한 결과 시설내의 차광률은 엽중, 엽병중, 엽면적과 광합성 특성 등을 고려할 때 10% 차광(700μmolm-2s-1)이 잎 생산에 적합하였다.
        4,000원
        4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위적인 수분처리에 대한 묘고생장 결과 물푸레나무는 수분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지는 않았으나,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였고, 들메나무는 상대적으로 토양수분이 높은 처리구(78~90%)에서 높은 생장을 보였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근원직경 또한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의 변화는 물푸레나무의 경우 잎, 줄기, 뿌리 등 건중량이 각 처리구별로 토양내 수분이 낮아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토양수분이 78~90%(A)인 처리구에서는 상대적으로 18~30%(D) 처리구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은 물질 생산량을 나타 냈다. 들메나무도 각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면서 A처리구와 D의 처리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토양수분이 묘목의 수세 약화 및 잎을 포함한 조직의 연화 등 생리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엽 특성중 SLA는 토양수분처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진 않았지만 처리구간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LAR과 LWR의 경우에는 각 처리구간 토양내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000원
        51.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관상용이나 천연감미료, 생리활성물질의 원료로 활용되는 산수국의 적정 생육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2년생 산수국의 삽목묘를 대상으로 광, 수분 및 시비처리를 실시한 후 8월과 9월에 광합성, 엽록소 함량, 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광도처리별 광합성율의 유의차는 8월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9월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관수처리별 광합성율은 주3회 관수처리구에서 높았다. 시비구가 무시비구에 비해 광합성율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함량은 광도처리별에 있어서는 8,9월 모두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관수처리별에서는 8월에서만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시비처리에서는 모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엽생장(엽장과 엽폭)은 전광과 주 3회 관수처리 시에 양호하였다.
        4,000원
        53.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류의 품종별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사육에 따른 용발육 및 성충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의 용기간은 8.7~9.5얼로 강낭콤 및 동부에서 짧았으며, 두유콩, 새알콩 및 선화녹두에서 길었고, 암컷의 용기간이 수컷보다 약 1일 짧았다. 전용기간은 약 1.7~2.0일이었으며, 후용기간은 약 6.7~7.7일 이있다. 용무게는 0.23~0.38g 으로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무거웠다. 용무게의 변화율은 검정공-1호에서 11%로 가장 낮았으며, 부광콩에서 16%로 가장 높았다. 성충수명은 약 7.8~11.2일로 강낭콩에서 가장 짧았으며, 부광콩에서 가장 길었고, 암컷의 수명이 수컷보다 약간 긴 경향이었다. 엽수분과 용이간, 용무게 및 성충수명과는 유의한 관계가 인정되었다.
        4,000원
        54.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류 품종별 잎특성에 따른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발육과 식엽량을 조사하였다.유충 기간은 검정콩 l호에서 11.5일로 가장 짧았으며, 대광땅콩에서 15.7일로 가장 길어어 두류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유충의 영기별 발육기간은 l령에서 3 .2~5.0일로 가장 길였으며, 4령에서 1.0- I.5일로 가장 짧았다. 유충의 식엽량은 영기가 증가함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여 마지막 6 령기 동안의 식엽량이 유충기간 총 식엽량의 약 55~74%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유충의 성별 식엽량은 수컷보다 암컷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하지만 유충의 사망율과 성비는 두류 품종별 식엽량과는 관련이 없었다.
        4,000원
        55.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머위 유엽의 조기생산 가능성을 구명코자 근주의 정식시기, ABA 함량과 휴면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연환경 조건하에서 근주의 휴면은 10월 상순경부터 시작되어 11월 중순경에 가장 깊었으며, 그 후 서서히 타파되기 시작하여 12월 하순경 이후에는 안전히 각성됨을 알 수 있었고, 이 기간의 5℃ 이하 저온누적시간은 900시간 정도이다. 이는 근주의 휴면이 타파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저온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근주의 생육시기별 ABA 함량은 머위의 생육성기인 4월부터 9월까지는 ABA가 전혀 존재하지 않았는데 이는 휴면기간 동안 다른 저장양분과 함께 근주내에 존재하던 ABA가 맹아와 함께 지상부로 이동되었기 때문이며, 반대로 10월부터 ABA가 근주내에 존재하기 시작한 것은 외기기온의 하강과 더불어 지상부가 고사되면서 지상부에 존재하던 ABA가 근주로 이동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식물체내에서 생육을 억제하고 휴면을 유도하는 물질로 알려진 ABA는 머위 근주의 휴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57.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흰빛잎마름병의 병원균의 생리적 성질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곁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공시균주로는 본 병리 연구 담당관실 보존균주 및 일본, 비율빈에서 분양받은 균주와 최근 IR 계통품종과 이병성 품종에서 채집 분리된 10균주를 공시하였다. 2. 탄소원의 분해 및 산도변화에서는 Glucose, Galactose는 모든 균주가 이용하였고 Esculin, Mannitol, Raffinose Salicin, Saccharose는 몇몇균주가 이용했으며 lactose, Starch, Dextrin은 이용하지 못하였다. 3. 시험에 사용된 공시균주는 유화수소 및 암모니아를 생성하였으며 methylene blue 환원시험에서는 환인이 일어났으며 인돌생성은 하지 않았고 젤라틴은 서서히 액화시켰지만 균중간에는 액화정토가 서로 차이가 났으며 우유의 소화 및 응결은 없었으며 리트머스 우유를 청변시켰다.
        4,000원
        58.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팥배나무 11개 집단으로부터 잎의 형태적 특성과 변이를 조사하여 조경수로서의 팥배나무 선발 및 육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잎의 형태적 특성 12개를 조사하고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11개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특히 잎의 길이와 너비, 엽면적 등 잎 크기와 관련된 인자들은 마니산 집단이 모두 상위그룹에 속하여 비교적 큰 경향을 나타냈으나, 백운산과 두륜산은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어 비교적 작은 경향을 나타냈다.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1 주성분은 29.9%의 설명력이 있으며 엽면적, 잎의 너비, 잎의 길이 순으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어 잎의 형태적 차이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고, 제5 주성분까지 72.9%의 누적 설명력을 나타냈다. 제5 주성분까지의 득점치를 새로운 변량으로 하여 유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Ⅰ그룹인 광교산과 안면도 집단, Ⅱ그룹인 덕유산 등 3집단, Ⅲ그룹인 발왕산 등 3집단, Ⅳ그룹인 가지산과 축령산 집단, Ⅴ그룹인 마니산 집단 등 5개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지리적으로 인접 집단 간의 구분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59.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roots of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are used as medicines such as expectorants, and they are edible.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currently has a very small cultivation area, and there are no breeding cultivars, most of the native species are cultivated in the farm house.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identification of collecting species characteristic in order to breeding strategy. In this study,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leaves and stems of the collecting species in the area were observed. Methods and Results :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nsam collected from three areas including Cheolwon (41 accession), Jeongseon (19 accession), and Pyeongchang (15 accession) were investigated at the flowering stage on leaf and stem.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leaf characteristics, The leaf shape was the most frequent with 78.9% in the kidney type, 8.5% in the cardiac type, 7.0% in the wide-elliptical type, and 2.8% in the egg and egg-oval type. The leaf length was the most frequent with 67.1% in case of short, 28.6% in case of middle, and 4.3% in case of long. The leaf width was 67.1% in case of middle, 30.0% in case of broad, and 2.9% in case of narrow. Leaf hair was 47.1% in case of plenty, 27.1% in case of middle, and 25.7% in case of small number. The degree of greenness of the leaves was 60.0% in case of middle, 31.4% in case of darkness, and 8.6% in case of lightness. The degree of pigmentation of anthocyanin in petiole was 41.4% in case of lightness, 31.4% in case of darkness, and 27.1% in case of middl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stem, The presence and absence of hair on the stem was 95.7% in case of little, 2.9% in the middle, and 1.4% in case of plenty. The degree of staining of anthocyanin in the stem was 42.9% in case of middle, 30.0% in case of darkness, and 27.1% in case of lightness. Conclusion : We intend to use this data as a basic data for cultivating varieties by supplementing investigation of traits such as expansion of collection area and investigation object and flower shape in the future.
        60.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능성 제빵 소재로써 연잎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연잎 분말을 1, 2 및 3%를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면서 제빵 특성 및 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연잎 분말의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10.68, 3.40 및 22.31%로 나타났으며, 연잎 분말 95% 에탄올 추출물 1%(w/v) 농도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270.85 μg/mL였으며, 0.1%(w/v)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90.1%를 나타내었다. 연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과 식빵의 pH는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다. 반죽의 부패 팽창도는 LLP-1과 대조구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연잎 분말 첨가 식빵의 굽기 손실률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 식빵의 무게는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부피는 감소하였다. 식빵의 경도는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도 높았다. 연잎 분말 첨가 식빵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7.08-40.13%와 615.01-885.13 μg/mL의 범위를 나타내어 대조구에 (9.26% 및 472.20 μg/mL)에 비해 높았으며,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연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가 3.6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LLP-1(3.56)으로 나타났으나, 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식빵의 기능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연잎 분말은 1% 첨가하였을 때가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되며, 최대 2%를 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