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41.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치의 조직감에서 cutting force는 제조당일 8.4kgf로 가장 큰 값을 나타낸 후 1일후 40%의 감소가 일어난 후 그 후 서서히 감소하다가 14주째에 급격한 증가를 보인 후 다시 감소하였다. 이러한 절단력은 질긴 정도와 씹힘성을 나타내 주고 있는 바 compression force 시험에서도 gumminess와 chewiness가 각각 제조 1일 후 급속히 감소하였다가 14주에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쳐 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는 씹힘성과 질김성이 r= 0.879로 다른 인자들보다도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씹힘성과 경도(r=0.570), 씹힘성과 응집성(r=0.591), 씹힘성과 탄성(r=0.513), 질김성과 경도 (r=0.503)도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김치의 관능평가에서 외관, 짠맛, 경도는 제조당일 김치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14주 동안 발효된 김치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18주 발효된 김치의 경우 탄산미와 신맛에 대해 높은 평가를 나타냈다. 관능검사를 통한 taste간의 상관관계는 신맛과 off-flavor(r=0.805), 신맛과 탄산미(r=0.813)는 매우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탄산미와 off-flavor(r=0.661), 짠맛과 단단함(r=0.530)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Taste와 조직감에 대한 상관관계는 짠맛과 단단함이 r=0.559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off-flavor와 단단함(r=-0.657), 탄산미와 단단함(r=-0.540), 신맛과 단단함(r=-0.651)은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조직감간의 상관관계는 아삭아삭한 정도와 뻣뻣한 정도(r=0.522)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3.7% 염도의 김치를 제조하여 15±1℃에서 24시간 동안 예비 숙성시키고 -1±1℃의 김치전용냉장고에서 30주 동안 숙성시키면서 묵은 김치의 텍스쳐와 관능적 특성을 실험한 결과 묵은 김치제조를 위한 최적 발효기간은 18주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4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찹쌀과 멥쌀로 진양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찹쌀 진양주의 주모는 α-amylase가 121.0 unit, β-amylase가 40.0 unit이었으며 산성 중성 protease 각각 34.2, 23.7 unit의 활성을 나타냈다. 멥쌀 진양주의 경우는 α-amylase는 156.0 unit, β-amylase는 45.2 unit를 산성 중성 protease 활성은 각각 9.1과 0.1 unit로 나타났다. 찹쌀 진양주와 멥쌀 진양주의 발효 과정 중에 pH는 0일에 각각 5.33, 4.04이었으나 발효 3일부터는 일정한 값을 나타냈다. 산도는 찹쌀 진양주가 2.30%, 멥쌀 진양주가 2.05%로 발효 3일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Alcohol 함량은 찹쌀 진양주는 2.58~13.5%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멥쌀 진양주 또한 2.51~15.5%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멥쌀 진양주의 alcohol 발효가 더 우수하였다. 유기산은 oxal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등 6가지를 측정한 결과, 총 함량이 찹쌀 진양주는 4.38mg%, 멥쌀 진양주는 7.63mg%로 거의 2배 정도가 멥쌀 진양주의 양이 많이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maltose, glucose, fructose, sucrose를 측정한 결과, 찹쌀 진양주가 4.98 m%이었고 멥쌀 진양주가 2.90 m%로 찹쌀 진양주에서 더 많은 유리당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찹쌀 진양주가 멥쌀 진양주에 비해 종합적 기호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3.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ew colored noodles were produced by utilization of cuttlefish ink, beetroot juice and/or spinach juice in this study an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developed noodles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cooking. The weights of fresh noodles increased 2.36~2.22 times by moisture adsorption after cooking. Moisture adsorptions of the cooked noodles were higher in the cooked noodles with higher contents of additives and ranged 136 to 144%. The colors of the all fresh noodles and the cooked noodles containing cuttlefish ink or spinach juice were highly acceptable. The tensile strength was highest in the cooked noodle containing 2% cuttlefish ink, which was 9 folds higher than regular noodle. The % elongations were highest in the regular cooked noodle and the cooked noodle containing 4% cuttlefish ink. In the textural property assays of cooked noodles, the cooked noodle containing 10% beetroot juice had higher values in hardness, chewingness and gumminess than the regular noodle. The cohensiveness was highest in the cooked noodle containing 6% spinach juice. The adhesiveness of the regular cooked noodle was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any developed noodle. The differences in springinesses of developed noodles were ignorable. The overall textural properties were influenced by the additives in noodles, however, the effects of concentrations of the additives were in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s showed the highest values of all descriptions in the cooked noodles containing 4% cuttlefish ink or 10% spinach juice, indicating the highest acceptability.
        4,000원
        44.
        2000.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eshly squeezed juices were prepared using the domestic Chunggyun, Hanrabong, and imported oranges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juices were investigated. The Chunggyun had significantly the lowest pH value of 3.35, and imported and Hanrabong showed the pH values of 3.82 and 3.93, respectively(p〈0.05). The refractive index of Hanrabong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st values of 14.7˚Bx (p〈0.05), and the samples of imported and Chunggyu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indices of 12.5 and 12.2, respectively. The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QDA) showed imported sample had significantly the highest values of sweet and sour aroma with values of 11.57 and 11.08, respectively. However, Hanrabong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st value of sweet flavor with value of 12.31. Consumer acceptance test represented the Chunggyun was the most accepted one but did not show any great differences in overall, appearances, and flavor among the samples.
        4,000원
        45.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라면 제조에 있어서 알카리제의 첨가가 라면의 조직감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알카리제의 조성을 달리하여 소맥분에 대하여 0.5%를 사용하여 라면을 제조한 뒤 조리시험, 면의 조직 특성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평가하였다. 알카리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라면의 층밀림 압출력은 시료 A(potassium carbonate 64%, sodium carbonate 14%, sodium pyrophosphate 2% and sodium metaphosphate 20%)가 12.80(kgf)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표준 시료 E는 가장 작은 수치인 5.34(kgf)로 측정되었다. 경도도 시료 A가 18.57(kgf)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표준 시료 E는 11.23(kgf)으로 측정되었다. 시료 A로 제조한 라면의 무게 증가는 표준 시료 E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부피 증가는 오히려 낮게 나타났으며 시료 A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용출양의 차이는 모든 시료가 35~38%의 범위를 나타낸 반면 표준 시료 E는 70%로 나타나 시료 A보다 2배 정도 많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요오드 정색도는 모든 시료가 2.10~2.20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는 시료 A와 B(potassium carbonate 31%, sodium carbonate 39%, sodium pyrophosphate 1%, sodium metaphosphate 15%, sodium polyphosphate 8%, sodium phosphate monobasic 4% and sodium phosphate basic 2%)가 각각 4.4, 4.2로 비교적 좋은 점수를 얻었으며, 그 다음이 시료 C(potassium carbonate 60%, sodium carbonate 33% and sodium pyrophosphate 7%)와 D(potasaum carnate 44%, sodium carbonate 27%, sodium metaphosphate 27% and sodium polyphosphate 2%)로 각각 3.8, 3.7을 얻었다. 반면 표준 시료 E는 2.8로 저조한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라면 제조시 알카리제의 조성 비율은 시료 A의 조성으로 하여 사용하면 라면의 품질 향상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다.
        4,000원
        46.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preliminary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zone sterelization on the ginseng powder, the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organic acid content and sensory properties in ginseng powder treated with ozone was investigated. Ginseng powder was treated with 0.5 ppm ozone for 24 hours and 48 hours, respectively. With increase in ozone treatment time, the content of crude lipid and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decreased, whereas composition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 increased. Contents of unsaturated fatty acid-linolenic acid, linoleic acid, and oleic acid, etc.-decreased with ozone treatment time, whereas saturated fatty acid of same number-stearic acid-increased. Contents of organic acid were not shown significant changes. Ginseng odor, roasted odor, bitter taste, roasted taste and sweet taste were thicker with ozone treatment times, but pungent taste was thicker with those treatment. These changes of ordors and tastes of ginseng powder with ozone treatment were predicted by oxydation of lipids, flavor components and saponins.
        4,000원
        47.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호박을 페이스트로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가열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증숙 후 고압가열 처리 시간을 달리한 약호박 페이스트를 제조하여 색도, 가용성 고형분, 유리당, 유기산 및 관능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색도는 증숙처리 후 L, b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a 값은 증숙과 고압가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페이스트의 고압가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L, a 및 b value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은 증숙 처리 페이스트가 4.13 °Brix으로 생약호박 대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고압가열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3.97-3.80 °Brix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유리당은 증숙 처리 후 sucrose가 추가적으로 검출되었으며, HHP0 실험군의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함량이 가열조건별 약호박 페이스트 중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p<0.05), 고압가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fructose의 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glucose는 HHP40 실험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sucrose는 HHP60 실험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총 유리당 함량은 HHP0 실험군이 1,413.36 mg/100 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고압가열처리가 40분 이상 지속 시, 총 유리당 함량이 1,068.89 mg/100 g으로 감소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증숙 및 고압가열 처리 시 succinic acid가검출되지 않았고, malic acid는 생약호박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405.0-428.9 mg/100 g의 범위를 보인 반면 fumaric aicd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총 유기산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증숙 처리에 의해 그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압가열 처리에 따른 약호박 페이스트의 관능적 특성차이 검사 결과 40분간 고압가열 처리한 HHP40 실험군의 향, 단맛, 감칠맛 특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관능적 기호도 검사 결과 40분간 고압가열 처리한 HHP40 실험군의 향, 단맛, 감칠맛, 전반적기호도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모두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20분간 증숙 처리한 약호박 페이스트의 가용성 고형분, 총 유리당 함량, 총 유기산 함량이 가장 높았고, 고압가열 처리와 그 지속시간에 따른 관능적 특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약호박을 이용한 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장시간의 고압가열 처리는 불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약호박은 단호박과 달리 가용성 고형분이 낮고, 단맛 특성, 단맛 기호도 및 전반적 기호도 점수가 낮은 소재인 것으로 나타나, 기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감미료 등 부재료를 첨가하여 페이스트로 제조 및 이의 품질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8.
        201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escriptive sensory profile of oriental melon. The sensory profile of oriental melons (cultivated in Seonju, Kyungsangbuk-do) were used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es and twelve trained panel developed the total forty sensory attributes related appearance, aroma, texture etc. Six appearances attributes and two aromas attributes were derived from whole oriental melon with skin. Five aromas, six tastes and six textures were derived from the mesocarp of oriental melon. And also, oriental melons were analyzed for pH, titratable acidity, solid soluble contents and weight. The weight, titratable acidity and soluble solid content of oriental mel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amples. And also, in the sensory attributes of these samples by trained panel and consumer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ganic cultivated samples and conventional cultivated sample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ensory attributes data by trained panel and consumer, oriental melons were primary separated along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hich accounted for 27.73% (trained panel test) and 19.82% (consumer test) of total variance (trained panel test; 58.36%, consumer test; 46.18%) between the samples farm, cultivation method, total acidity, sweet aroma, bitterness, etc. Generally, whole oriental melon with ski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ory attributes according to cultivation method and farms. But, the mesocarp and endocarp part showed not certainly differences in the sensory attributes between organic cultivated samples except conventional cultivated samples.
        49.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온주 감귤의 품질 등급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제공을 위하여 제주 감귤의 묘사적 관능 특성 개발과 재배방법별 품질 지표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제주산 온주 감귤의 훈련된 패널요원에 의해 묘사분석을 한 결과 5개의 외관 특성(광택 강도, 색 강도, 껍질 두께, 손상 정도, 껍질의 조직감), 3종의 냄새(신내, 단내, 신선한 냄새), 6종의 맛(신맛, 단맛, 쓴맛, 신선한 맛, 싱거운 맛, 이미), 4종의 텍스쳐(경도, 알갱이의 경도, 다즙성, 펄프감) 및 3종의 후미(신맛, 단맛, 쓴맛)가 선발되었다. 유기농 하우스재배 및 무농약 노지 재배 감귤과 관행재배 감귤의 품질 특성 중 고형분 함량의 경우 유기농 하우스 감귤의 고형분 함량이 가장 낮았고, 큰 감귤이 작은 감귤보다 고형분 함량이 적었다. 유기농 하우스 재배 귤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pH와 약간 높은 산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감귤의 품질 특성간의 상관분석결과 감귤 껍질와 과육을 씹은 후 남는 펄프 함량과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형분 함량은 당산비, 감귤 과피의 색 강도, 단맛, 신선한 감귤맛, 과육 알갱이의 강도, 단후미와 1% 유의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쓴맛, 싱거운 맛, 이미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감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의 주성분 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는 전체 데이터의 48.39%와 26.77%의 설명력을 보여 주었고, 총설명력은 75.16%였다. 주성분 F1은 가용성 고형분함량, 당산비, 과피의 광택강도, 색 강도, 신향, 단향, 단맛, 쓴맛, 신선한 감귤맛, 싱거운 맛, 이미, 과육 알갱이의 강도, 후미의 단맛과 쓴맛이었고, F2는 감귤의 크기, pH, 산도, 과피의 손상도, 과피의 조직감, 신맛, 과육의 강도, 과육을 씹었을 때 남는 펄프함량, 후미의 신맛이었다. 또 주성분 F3는 과피의 두께와 다즙성이었다. 즉 동일 지역의 동일 품종으로 재배된 유기농 하우스 재배 감귤과 관행 재배 시료와 전반적으로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50.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erb samgyetang, ginseng chicken soup added with medicinal herb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optimum addition level of medicinal herbs. The pH of herb samgyetang de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 level of the Acorus gramineus addition level, and the soluble solid content increased as the Codonopsis lanceolata addition level increased. The herb samgyetang with the highest Codonopsis lanceolata addition level had the lowest L* and b* value. In contrast, the 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donopsis lanceolata addition level. In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col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were obtained by the herb samgyetang with the highest Codonopsis lanceolata addition level. In conclusion, the optimum addition levels of medicinal herbs for herb Samgyetang are as follows: Platycodon grandiflorum 4 g, Acorus gramineus 4 g, Codonopsis lanceolata 12 g, Schizandra chinensis 6 g, Atractylodeslancea 4 g, Glycyrrhiza uralensis 4 g, and Zizyphus jujube 4 g.
        51.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nsory properties of Kalopanax pictus and Cedrela sinensis shoo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blanching conditions and the thawing methods used. For the Hunter colors, the K. pictus that was blanched without adding salt for 6 min had the highest L value, and the C. sinensis that was blanched with 1% salt for 6 min had the highest L value. The chlorophyll content of K. pictus was 141.1 mg% when it was blanched for 3 min with 2% salt, and the chlorophyll content of C. sinensis that was blanched without adding salt for 6 min was highest (124.8 mg%). When K. pictus and C. sinensis were blanched without salt addition for 3 min, their texture showed a higher value than that of the other samples. The sensory test result showed the highest overall preference for the sample that was blanched without adding salt for 3 min, among all the samples. The L value of the K. pictus that was thawed in a microwave ov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amples, but the L value of the C. sinensis that was thawed at 4℃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amples. As for the overall preference for the samples according to the thawing method used, K. pictus and C. sinensis scored highest in the case of thawing in a microwave oven.
        52.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0, 20, 40, 60, 80, and 100% Ulmus pumila L. nonglutinous and glutinous sikhe were added to Ulmus pumila L. extracts for 15 days at 4℃, and for seven days at 25℃, to examine the extracts' storage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n the changes of pH and acidity during storage of Ulmus pumila L. nonglutinous and glutinous sikhe, both of them showed lower pH values with lower additive Ulmus pumila L. extract contents. The pH value continuously decreased with a longer storage period, and the acidity was higher with a lower concentration of Ulmus pumila L. extract. (2) The total microbial cell count during storage of Ulmus pumila L. nonglutinous and glutinous sikhe at 4℃ was 4.6-5.0 log CFU/g at 0 day. The sikhe to which Ulmus pumila L. extract was not added increased to 8.8-9.0 log CFU/g on the seventh storage day, while the sikhye to which 80 and 100% Ulmus pumila L. extracts were added were 7.8 and 6.9 logCFU/g, respectively. Thus, the total cell count was lower with a higher additive content of Ulmus pumila L. extract. The total cell count of the sikhe to which 0-60% Ulmus pumila L. extracts reached the maximum value on the seventh storage day and did not show any change thereafter. The total cell count of the sikhe to which 80 and 100% Ulmus pumila L. extracts were added, however, reached the maximum value on the 10th to 13th storage days, thus showing that the storage period was increased by Ulmus pumila L. At 25℃, the total cell count was 4.6-5.0 log CFU/g on 0 day and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It had increased to 8.9-9.5 log CFU/g on the seventh storage day, and no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the additive content of Ulmus pumila L. extract. (3)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Ulmus pumila L. nonglutinous and glutinous sikhe, the Ulmus pumila L. nonglutinous sikhe to which 20% Ulmus pumila L. extract was added showed the highest overall-acceptability value (4.23±0.95), whereas the Ulmus pumila L. glutinous sikhe to which 40% Ulmus pumila L. extract was added showed the highest overall-acceptability value (3.95±0.95). The sikhe to which 20 and 40% Ulmus pumila L. extracts were added showed significantly high taste, flavor, sweetness, and overall-preference values (p<0.05).
        53.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품 조리 및 제조 가공 시 사용되는 소금은 천일염, 정제염 및 수입산염이 대부분이지만, 아직까지 소금 종류에 따른 식품 제조 시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국내산 정제염, 국내산 천일염, 수입산염 등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를 에서 7일간 발효시키며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화학적인 특성으로 pH, 산도, 염도를 측정하였고, 미생물학적인 특성으로 총균수와 젖산균수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
        54.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과일 가공제품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포도는 페놀화합물의 주요 급원의 하나로 포도주스는 항산화, 항염증, 항혈소판 작용 등의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캠벨 포도는 농가에서 주스나 와인으로 가장 널리 가공되고 있으나 다양한 포도 품종을 이용하여 브렌딩한 포도주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캠벨과 타품종 포도주스를 종류 및 비율을 달리하여 브렌딩 한
        55.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향후 국산 포도를 이용한 고품질의 국산 백포도주를 개발하여 국내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백포도주 제조 및 백포도주 양조 기술의 발전을 위해 생식용 수입 포도인 Red globe과 Thomson Seedless를 이용하여 발효특성과 포도주의 특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H변화는 1차 발효 중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두 품종을 1:1비율로 혼합한 백포도주는 레드글로브와 탐슨시들리스의 중간 값의 pH를 보여주었다. 산도의 변화는 1차 발효기간 동안
        56.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추장의 보존성,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공장생산 고추장을 분무, 진공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 화 한 후 수화시킨 고추장의 관능과 물성, 색도, 성분변화를 검토하였고 분말고추장을 밀봉하여 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과정 중 색도 및 성분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관능검사 결과 건조 고추장의 품질은 동결건조 고추장이 대조구와 가장 비슷하였고 분무건조 고추장, 진공건조 고추장 순 이었다. 원료 고추장을 동결, 분무, 진공건조 하
        57.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고추의 위생화 및 검역처리와 관련하여 감마선 조사(5, 10 kGy)와 훈증처리(MeBr, )된 건고추의 지장 중 기계적 색도(Hunter L, a, b, ) 및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건고추의 가공형태에 따른 비교에서 통고추는 실온저장 중 높은 명도(L) 값을, 분말 고추는 높은 적색도(a) 값을 유지하였다. 건고추 부위별 시료의 색도에 대한 감마선과 훈증 처리의 영향에서 처리 직후에는 전반적인 색차() 값이 크지 않았으나, 저장 8개월
        58.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자 착즙액에 naringiase와 탁주용 당화 효소 3% 처리 결과 naringin과 hesperidin의 함량이 61.94 mg%, 9.98 mg%에서 각각 8.43 mg%, 0.06 mg%와 6.58 mg%, 1.11 mg% 감소하였다. Hunter value를 측정한 결과 적색도/녹색도(a값)는 효소처리구 모두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황색도(b값)와 명도(L값)는 탁주용 당화 효소가 가장 높았다. 복합 효소 처리후 실제 관능적으로 고미
        60.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Satsuma mandarin produced in Cheju were investigated . Fruit index(width/Length), soluble solids and acid content of Citrus unshiu marc. var. miyagawa(miyagawa) and C. unshiu marc. var.(okitsu) harvested at 1st December were 1.16 and 1.23, 12.12 and 12.01, 0.97 and 1.09, respectively. and the fruit of miyagawa was showed somewhat round in shape, compared to ikitsu. the taste of miyagawa seemed to be better than okitsu. However, compared to miyagawa, peel thickness was thinner, flesh ratio was higher, and firmness was higher as 0.502kg-force in kitsu. Nevertheles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panelist groups in sensory evaluation , middle size of citrus fruits were favorable to most panelists, but except very small or very large size of fruits, there were not so much differences in okitsu. The panelists referred to somewhat flat-shaped fruits from that sensory evaluation score was increased to 1.3 in fruit index. nevertheless there were not so much differences in full-colored fruits, the citrus peel color of reddish yellow was more favorable than greenish or pale yellow color. the score was increased more linearly according to citrusfruit produced in optimum ciltivation area, and was prefered to thinner in peel thickness , Correlation between soluble solids, acid content , Brix/acid ratio and flesh ratio with sensory evaluation score were not showed significantly, it was different to with citrus juice. This data obtained in this experiments are supposed to be applied to the quality evaluation of Satsuma mandarin produced in Cheju .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