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9

        6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변단면 기능경사재료 보에서 중립면 탄성계수가 축방향을 따라 공간적 불확실성을 가질 경우에 대한 구조응답변화도 산정을 위한 정식화에 대해 논한다. 기능경사재료는 두 이질재료의 체적비가 두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며 고체화되는 과정으로 제작되는 재료로서 온도 및 응력 등에서 연속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하여, 전통 복합재료에서 나타나는 층분리나 균열 발생 등이 제거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설정된 기능경사에 맞는 재료의 제작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내재적인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모사하기 위하여 중립면 탄성계수에서의 불확실성을 추계장으로 모델링하고, 추계적분에 의한 확률변수를 도입하여, 변위의 1, 2차모멘트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해석 방법은 스펙트럼모사법을 적용한 몬테카를로 해석으로 검증하였다. 추계장의 상관관계거리에 따른 분산계수의 변화, 재료지수 및 기하인수가 변위의 분산계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찰하였고, 몬테카를로 해석 대비 제안 해석법의 효율성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4,000원
        62.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청색광은 최근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기기 사용급증으로 눈의 피로, 망 막 상의 질을 저하시키는데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색광차단렌즈(Blue-Light blocking lens)의 청광차단효과와 가시광선투과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 유통되고 있는 청색광차단렌즈 12종(코팅방식 8종, 착색방식 4종)과 일반착색렌즈 5종을 대상으로 UV-spectrophotometer(Genova Nano,JENWAY,UK)을 이용하여 가시광선투과 율(380~780nm)과 청색광(450~495nm) 차단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청색광차단렌즈의 청색광 차단율(450~495nm)을 비교한 결과 코팅방식(A-group)은 A1 7.4%, A2 5.4%, A3 9.6%, A4 10.3%, A5 10.3%, A6 6.1%, A7 15.9%, A8 11.9%로 A7 이 가장 높은 차단율을 나타냈으며, 착색방식(B-group)은 B1 34.6%, B2 20.0%, B3 38.1%, B4 27.6% 로 B3가 가장 높은 차단율을 보였고, 일반착색렌즈(C-group)는 C1 91.8%, C2 13.6%, C3 33.2%, C4 13.7%, C5 46.2% 로 C1 의 청색광차단율이 가장 높았다. 가시광선투 과율은 코팅방식(A-group)은 A1 88.7%, A2 88.7%, A3 88.4%, A4 88.2%, A5 88.2%, A6 86.5%, A7 83.5%, A8 84.4%로 A1 과 A2 가 가장 높은 가시광선투과율을 나타냈으며, 착색 방식(B-group)은 B1 63.8%, B2 72.4%, B3 69.4%, B4 80.2% 로 B4의 가시광선투과율이 가 장 높았고, 일반착색렌즈(C-group)는 C1 59.1%, C2 79.3%, C3 63.7%, C4 83.2%, C5 65.1% 로 C4 의 가시광선투과율이 가장 높았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로 청광렌즈의 청색광차단효과는 일반착색렌즈의 청광차단효과가 높게 나 타났으나 가시광선투과율은 청광차단렌즈 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제조방법에 따른 청광차단 렌즈의 청광차단효과는 착색방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가시광선투과율은 코팅방식이 높게 나타 났다. 따라서 청광차단렌즈의 제조방식에 따라 청색광차단효과와 가시광선투과율이 서로 반비 례하므로 청광차단렌즈 선택 시 이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할 것이다.
        6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Spragye-Dawely 계통의 암컷 랫드에서 종합 비타민의 반복경구투여 독성평가와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의 NO 및 TNF-α assay를 통한 면역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종합비타민을 대식세포의 활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Raw 264.7 세포에서 NO와 TNF-α의 생성을 측정하였다. 종합비타민을 대식세포에 24시간 처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 시 NO와 TNF-α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이 결과 종합비타민이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랫드에서 종합비타민의 독성평가를 위하여 랫드에 종합비타민을 0.24 g/ kg, 1 g/kg 그리고 2 g/kg을 4주 동안 경구투여를 하였다. 종합비타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관찰 및 검사를 하였다. 검사항목으로는 체중과 사료 섭취량, 임상증상, 혈청생화학적 검사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투여군을 비교 시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종합비타민은 생리대사에 무해하며 면역증강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4.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spect how the portfolio assess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ffects the learning attitude and the improvement of motor skills. The experimental group of 40 students utilized the portfolio assessment and the control group of 40 students were tested with a traditional assessment. A test paper on learning attitude and a measure on assessment of motor skills was estimated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fter a vaulting horse-rolling instructions were practiced 11 sessions for 4 week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ested with portfolio assessment. The control group were tested with traditional assessment. Each group took a posttest about learning attitude and motor skill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posttest were analyzed with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listed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attitude of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portfolio assessment wa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Second, the motor skills of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portfolio assessment were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4,200원
        6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백내장환자를 대상으로 비구면 단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후 시력과 시기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법: 단안 또는 양안에 HOYA PC-60AD 비구면 단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백내장 환자 25명의 30안을 대상으로 수술 전, 수술 후 1일, 1주일, 1개월 및 3개월 후에 원거리 시력과 객관적인 시기능을 평가하고, 수술 3개월 후 인공수정체 삽입안의 시기능을 40대 이상의 정상안 18명(36안)과 비교하였다. 객관적인 시기능은 원거리 시력과 OQAS 장비를 이용하여 4 mm 동공크기에서 측정된 객관적 산란지수(objective scatter index, OSI), 변조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및 Strehl ratio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 18.0로 대응표본 T 검정과 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유의수준은 p
        4,000원
        6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ssess effectiveness in serious games is the principal mean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game and criteria for assessing quality of the game. Until now, serious games assessment has been implemented mainly through surveys that measured from the outside of the game using in-depth interviews, or sensor-based psycho-physiological observation. However, these methods have limitations that do not properly reflect on the gaming experience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coevolution through player participation activities. Therefore, we propose a model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erious games systematically through evaluating the functionality based on the player's feedback.
        4,000원
        67.
        201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수목자원의 항암, 항당뇨 등의 생리활성 기능이 알려지면서, 이들 수목자원을 이용한 기능성 배지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 이들 수목자원을 유기성 배지자원으로 이용하여 수목자원의 기능성 성분이 담자균류인 느타리버섯의 함유성분이 분해 또는 다른 유도체화합물로 이행되는지를 검토한 결과, 느타리버섯은 수목자원 톱밥배지속의 함유성분을 분해 또는 다른 유도체화합물로 이행시키지 않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기본 532배지에 유기성배지 자원인 구지뽕나무 톱밥 20, 30, 50% 첨가 배지 자원, 감태나무 20, 30, 40% 첨가 배지 자원, 산겨릅나무 20, 40% 첨가 배지 자원, 가래나무 20, 40% 첨가 배지자원 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의 Escherichia coli 와 Staphylococcus aures에 대한 항균효과,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효과, 항산화효과,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공시재료는 구지뽕나무, 감태나무, 산겨릅나무, 가래나무를 사용하였고, 532배지에 각각의 톱밥을 20, 30, 40, 50% 첨가하여 느타리버섯(춘추2호)을 접종 하여 2개월 동안 생육시킨 후 생리활성 평가의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E. coli에 대한 항균 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 았다.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에서 유의 성 있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구지뽕, 감태나무 첨가한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 섯은 control배지와 비교하였을 때 약간의 효과를 보였다. C. albicans에 대한 항진균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 러나 구지뽕, 감태나무 첨가한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은 저농도에서 control배지와 비교 하였을 때 약간의 효과를 보였으며, 구지뽕나무 50%를 첨가한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은 약간의 효과를 나타냈다. 물질자체의 항산화효과를 검토한 결과, Quercetin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 있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control 배지에서 생육한 느타리버섯과 다른 배 지들을 비교 검토하였을 때, 모든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은 control 배지에서 생육된 느 타리버섯보다 약간의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배지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나지 않아, 모든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은 항산화효과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ontrol 배지에서 생육한 느타리 버섯보다 감태나무 40% 첨가한 배지에서 생육한 버섯이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를 보였다. 그 러나 표준시약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배지에서 생육한 느타리버섯은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6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issue cultured wild ginseng (TCWG) suspension was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TCWG. The utilization of TCWG was increased directly using the freeze-dried powder. The optimal ratio of TCWG powder and water for fermentation was 1:19 (5%), which was selected by measuring the fluidity and viable cell count according to concentration. The effects on ADH activation and immune cell activation by each ferments with 10 kinds of Lactobacillus sp. strains were examined. The ferments with the Lactobacillus casei KFRI 692 strain showed 5.4 times higher ADH activity and 1.3 times higher ALDH activity than the non-fermented TCWG powder (control). The level of NO production and cytotoxicity was also measured by Raw 264.7 cells. The ferment with the Lac. casei KFRI 692 strai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NO production and lower cytotoxicity than the others. Therefore, the Lac. casei KFRI 692 strain was selected as a strain for fermentation of a TCWG suspension to maximize its functionality. To identify the optimal fermentation time of the selected Lac. casei KFRI 692 strain on the 5% TCWG suspension, the viable cell count of lactic acid bacterial and the changes in pH were observed for 72 hours. 24-hrs was found to be the optimal fermentation time. In this way, fermented TCWG with lactic acid bacteria showed higher ADH activation efficacy and immune cell activation than non-fermented TCWG.
        4,000원
        69.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the fiber reinforced lean concrete with respect to different types of fibers. METHODS: Increased vehicle weight and other causes from the exposed conditions have accelerated the deteriorations of road pavement. A new multi-functional composite pavement system is being developed recently in order to extend service life and upgrade the pavement. A variety of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hardening of the concrete. RESULTS: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fibers did not affect the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This might be due to the inherent property of the lean concrete. When steel fibers were used relatively greater flexural strength and flexural fracture toughness were developed. Also addition of fly ash by replacing a part of Portland cement the fracture toughness was slightly increased. CONCLUSIONS: It has been known that the addition of fibers and use of mineral admixture can be positively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composite pavement system as its required mechanical performance is obtained.
        4,000원
        70.
        2012.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a recent government study,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functional building materials are increasing in Korea.
        In this study, we evaluated reduction performance of formaldehyde and toluene by sorptive building materials using small-scale chamber(20L) test method for 7 day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18 building materials showed that the effects of formaldehyde reduction among the 23 building materials. And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with respect to its ability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toluene was relatively small.
        The mean sorption rate and total amount of sorption for formaldehyde were 36.8% and 1,525.4㎍/㎡, respectively. The sorption rate and total amount of sorption for formaldehyde were in the range 1.5∼78.4% and 87.5∼3,086.0㎍/㎡, respectively.
        And the mean sorption rate and total amount of sorption for toluene were 11.6% and 1,054.4㎍/㎡, respectively. The sorption rate and total amount of sorption of toluene were in the range 0.1∼62.4% and 29.6∼6,764.0㎍/㎡, respectively.
        In most cases, the performance of the building materials with respect to its ability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has steadily decreased within 7 days.
        4,200원
        71.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국내에 축적된 사용후핵연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건식재처리공정 (pyroprocess)을 개발 중에 있다. 건식재처리 공정에서는 상당량의 고준위 염폐기물이 발생되며, 이는 곧 세라믹 결합제로 고화된다. 고화된 세라믹 폐기물은 안전한 금속 처분용기에 밀폐된 후, 인간생활환경과 격리될 예정이다. 본문에서는 고준위 세라믹폐기물을 처분하기 위한 처분용기의 개발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처분용기의 설계 요건, 용기의 구성, 용기의 제작, 용기의 부식저항성, 방사 선 차폐, 구조적 안전성 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완성된 처분용기는 오랜 기간 동안 방사성 핵종의 누 출이 없이 열적, 기계적, 화학적, 생물학적 공격에도 안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4,000원
        7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세기의 자동차는 엔진의 주역할인 파워, 스피드를 중요시 하였으나,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Well-being Trend의 확산 및 환경문제의 대두로 인해 쾌적성, 안락성, 안정성, 환경성 등을 중요시 하고 있다. 자동차용 Sub-Mat는 바닥 카펫 관리의 편의성 및 안락성 등을 위해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매트로, 현재 자동차용 Sub Mat의 Backing 소재는 재생고무, PVC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재생고무 Sub-Mat는 흡음성능이 나쁘고 PVC Backing Sub-Mat는 중량이 매우 커 연비 면에서 불리하고, 유해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점차적으로 사용이 어려워질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나일론 표피 파일 층, PE 접착 층, Backing(PET fiber)을 합포하여 제작한 sample1과 PET표피 파일 층, PE 접착층, Backing 부직포 층(PET)을 합포하여 제작한 sample2, Backing층을 PVC로 요철을 부여하여 제작한 sample3의 Non-Slip성을 평가하였으며, 이에 따른 접촉면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4,000원
        7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수성 포장에 있어 기능적 평가인 투수성 실험과 더불어 소음저감 측정을 서울시에서 시공한 구간에서 실시하였다. 소음측정은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그 방법은 Pass-by 방법과 NCPX(Novel Close Proximity) 방법을 이용하였다. Passby 방법은 교통량에 따른 소음원이 전달되는 것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NCPX는 타어어와 포장 표면간의 마찰음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현장투수시험을 위해서는 총 5개의 구간에서 실시하였으며 각 구간마다 주행부와 비주행부로 나뉘어 측정하였다. 3개 구간의 Pass-by 측정을 위해서는 교통소음원 발생점으로부터 인접한 곳에서 측정을 실시하였고 또한 공원내부 혹은 단지 내부에서도 소음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NCPX 측정은 4군데서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배수성 포장의 기능인 투수성과 소음저감이 2, 3년 사이에서는 그 기능을 잘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76.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된 도시들의 불투수성 포장화에 따른 현상으로 토양의 사막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나아가, 도시 온난화 현상을 발생시켜 도시지역의 평균 온도를 올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우수가 투수성 토양에 흡수되거나 잔류되어야 하는 양이 줄어듦에 따라 자주 도심지내에서 범람이 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은 우수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침식이 발생하고 있다. 투수성 포장시스템과 관련해서는 블록 포장이 여러 군데서 수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또한 투수성 블록 포장은 전통적으로 사용된 아스팔트 포장 및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타 포장보다 미적으로 낳은 면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도로의 현장 조건을 모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험용 슬러지 및 휠 트래킹 장비를 이용한 블록 포장의 기능적인 투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4,000원
        77.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lance is a complex motor skill that depends on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sensorimotor processes and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contexts. Many rehabilitation specialists believe that balance assessment under multitask conditions may be a more sensitive indicator of balance problems and falls than balance assessment in a single-task context. Functional Gait Assessment has many tasks that allow for testing under multitask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Berg Balance Scale (BBS), and Timed "Up & Go" Test (TUG) in patients with stroke. One hundred and five participants with at least 3 months post stroke and able to walk at least 6 m with or without a mono cane,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GA, BBS, and TUG was assessed using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The FGA correlated with the BBS (r=.80, p<.01) and TUG (r=-.77, p<.01). The good and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he FGA, BBS, and TUG establishe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FGA in patients with stroke. These measures provide clinicians with valuable information about patients' functional balance capabilities.
        4,000원
        78.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fter stroke, many people have problems with balance during movement. Balance is essential for the optimal functioning of the locomotor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many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is a clinical tool for evaluating balance ability during walking. The test consists of ten tasks, seven tasks of the Dynamic Gait Index and three additional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data obtain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FGA when used with people after suffering a stroke. One-hundred participants, at least three months poststroke and able to walk at least six meters with or without a walking aid, participated in the study (age range=30~83 years; ). Two physical therapists and two physical therapy students rated the FGA.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FGA were assessed using kappa statistic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2,1).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FGA was assessed using the Cronbach alpha. The Cronbach alpha was good (=.86~.93). The intrarater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92~.95) and interrater reliabilit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91, .95) of the total scores administered by the therapists and students were good, whereas the reliability for single item scores when administered by the physical therapists was moderate to good (kapa value=.42~.97). This study found that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for total FGA scores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good. Therefore, the Korean version of the FGA can be used as a reliable tool to assess the functional gait performance of patients after stroke.
        4,000원
        7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식지 파편화로 발생하는 야생동물과 차량과의 충돌사고(이하 '로드킬')를 방지하기 위해 2000년대 후반부터 야생동물이동통로가 활발하게 설치되었으나 로드킬 발생은 여전히 감소하지 않고 있어 야생동물이동통로의 실효성 분석이 필요하며, 설치 이후 단편화된 유지관리로 인해 야생동물이동통로에 대한 평가 및 기능개선을 위한 관리기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생동물이동통로의 유지관리를 위한 기본방향 및 관리기법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 설치 운영되고 있는 367개 이동통로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항목과 항목별 중요도를 AHP 기법에 의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평가항목은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총 10개 평가항목이 도출되었다. 야생동물이동통로의 유지관리를 위한 우선순위 도출을 목표(Level 1)로 시설인자, 환경인자, 동물인자, 관리인자로 구성된 Level 2의 중요도 분석에서는 환경인자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Level 3에서는 구조 적합성(시설인자), 주변지형과의 조화(환경인자), 야생동물 이용빈도(동물인자), 모니터링 기기 운영여부(관리인자)가 중요 평가항목으로 조사되었다. 즉 야생동물이동통로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주변지형과의 조화와 야생동물 이용빈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에 설치되어 있는 야생동물이동통로의 유지관리 방향 및 각 이동통로의 정비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평가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8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사유림 기능평가에 적합한 산림기능 유형 및 기능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가그룹과 시군산림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제안한 산림기능유형의 적정성과 산림기 능의 우선순위를 평가하였다. 현행 산림기능유형에 대한 기능명칭 변경, 통합의 필요성에 대해서 전반적 으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4개의 산림기능(자원순환, 수자원함양, 생활환경보전, 산 림보전) 구분체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산림기능 우선순위는 집단간, 권역별 우선순위에 차이가 존재하므 로 전국 사유림 기능평가시 국공유림처럼 획일적으로 기능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보다는 권역단위로 기능 우선순위를 상이하게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