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5

        8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지역 원예작물 시설재배지에 발생하는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에 대한 약제 감수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배작물과 관계없이 acetamiprid (8%) SP, clothianidin (8%) SC, imidacloprid (10%) WP, thiacloprid (10%) WG와 같은 네오니코티노 인드계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과채류 재배지 채집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 acetamiprid + spinetoram (6+4%) SC와 clothianidin + spinetoram (6+4%) SC, methoxyfenozide + spinetram (6+4%) SC가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실내에서 꽃노랑총 채벌레에 살충효과가 높았던 약제를 대상으로 채집지역과 대상작물을 동일하게 화성지역 오이 시설재배지에서 포장검정을 수행한 결과 spinetoram (5%) WG의 경우 약제 처리 3, 6, 9일 경과 후 방제효과는 87.4, 88.0, 98.3%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imidacloprid (10%) WP는 약제 처리 3, 6, 9일 경과 후 방제효과는 1.7, 24.1, 43.6%로 나타나 실내검정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원예작물 꽃노랑총채 벌레 방제를 위해서 살충제 선택의 폭이 좁은 가운데, 스피노신계와 피롤계의 약제들이 타 계통의 약제에 비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이며, 구 체적으로는 스피노신계의 spinetoram과 spinosad의 함량을 각각 4, 10% 이상 함유하거나 피롤계의 chlorfenapyr가 5% 이상 함유된 단제 또는 혼합제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88.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antioxidant compounds in extracts derived from 23 medicinal crops. Dried plant materials were extracted by 80% methanol and the extracts were used to experiment. The level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much higher in Oenothera biennis, Houttuynia cordata, Cedrela sinensis, Rhus javanica, Artemisia annua, Reynoutria sachalinensis, and Dendropanax morbifera compared with other crops. On the other hand, the total phenolic compound levels in Carthamus tinctorius, Polygonum multiflorus, Ginko biloba, Solanum nigrum, and Saposhnikovia divaricata were relatively low.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H. cordata, followed by D. morbifera, A. annua, A. continentalis and O. biennis. DPPH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 annua, R. javanica, C. sinensis, D. morbifera and O. biennis, and ABTS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 javanica, C. sinensis, O. biennis, R. sachalinensis, A. annua, and D. morbifera than other pl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 biennis, A. annua, R. javanica, D. morbifera, and R. sachalinensis can be utilized as food additives and natural antioxidants due to their strong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89.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토마토, 노지고추, 복숭아, 포도 등 4개 작물의 해충 발생 및 밀도를 조사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작물의 해충 발생 추이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고자, 2015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각 작물의 주산지를 중심으로 각 3지역, 3농가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토마토는 5월 상순부터 6월 상순까지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온실가루이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부여지역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고추는 7월 상순부터 9월 중순까지 총채벌레, 담배나방, 진딧물, 노린재류가 주로 발생하였으며 총채벌레는 7월 중순에 최성기를 보였다. 복숭아는 진딧물, 복숭아순나방, 갈색날개매미충,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등이 관찰되었으며 그중, 복숭아순나방과 갈색날개매미충은 6농가에서 발생하였으며 밀도도 높은 편이었다. 포도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점박이응애,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가 발생하였고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가 7농가에서 발생하여 주요 해충으로 나타났고, 7월상순에는 총채벌레가 고밀도로 나타났으나 특이할 만한 피해증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90.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남부지방의 유채 재배지를 중심으로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유채 돌발해충 유럽좁쌀바구미의 십자화과 작물과 유채 품종에 따른 기주선호성 및 피해양상을 조사하였다. 5종의 십자화과 작물에서 조사기간 중 포획된 유럽좁쌀바구미 성충의 총 개체수를 기준으로 배추에서 가장 많은 유럽좁쌀바구미가 포획되어 유럽좁쌀바구미가 가장 선호하는 작물은 배추로 나타났으며, 유채 품종에 따른 유럽좁쌀바구미 성충의 포획 개체수가 ‘탐미유채’ 등 조기 개화종에서 비교적 많았으며 ‘내한유채’ 등 만기 개화종은 조기 개화종에 비해 포획개체수가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유럽좁쌀바구미에 의한 꼬투리의 피해는 배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양배추 > 유채 > 갓 > 무순이었고, 종자의 피해는 배추 > 유채 > 양배추 > 무 > 갓 순이었다. 유채 품종에 따른 꼬투리 피해율은 ‘봄유채’가 가장 낮았으며 ‘영산유채’가 가장 높게 나타고, 종자 피해는 ‘중모7003’이 가장 낮았으며 ‘탐미유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9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management of genetic resources on ICRISAT(International Crops Research Institute for the Semi-Arid Tropics) to promote exchange of germplasm and information. ICRISAT genebank at Patancheru, India has the responsibility to collect, conserve, characterize, document and distribute the genetic resources. Also, ICRISAT has performed the estimation of environment tolerance, disease resistance, and functional compounds of genetic resources. ICRISAT has assembled more than 120,000 accessions of chickpea, groundnut, pigeonpea, pearl millet, sorghum, and six small millets. Since 1974 to 2008, ICRISAT provided 1,350,000 accessions with 144 countries to develop new cultivars. The provision pattern of genetic resources in ICRISAT showed that more than 80 % of each crop by the total holdings resources had been offered and that it is the direction of the ideal conserve and management of genetic resources. To evaluate their genetic resources (chickpea, groundnut, pigeonpea, pearl millet, sorghum, and six small millets), they made descritors for each crop and investigated their germplasms. This report would be meaningful to understand utilization and effect of the germplasms to be held at ICRISAT.
        4,000원
        9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fficiently produce forage crop seed of spring oat (Avena sativa L., cultivar High Speed) in Gyeongbuk area. Forage crop oats (130 kg/ha) were sown with a randomized block design. They were sown in triplicates in 2015 and 2016 using basal fertilizer of 70 kg N, 74 kg P, and 39 kg K/ha. Agronomic traits and seed production of oat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eding dates (February 28/29th, March 10th, and March 20th). Heading, flowering, and maturing dates of these oats sown on February 28/29th and March 10th were almost close to each other with 1-2 days of difference for all test plots. For oats sown on the last day (28/29) of Feb., plant heights (111.6-122.6 cm)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sown in March each year. In addition, panicle number (416.7 per m2) and panicle length (17.3 cm) of oats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larger than those of oats sown in March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sow these oats on the last day of February to have better agronomic traits in terms of plant height, stem length, panicle length, and panicle number per m2. Grain numbers (56.3 and 63.3) and kernel weights (1.72 and 2.00 g) per spike in plots of oats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larger than those of oats in other plots in 2016 and in the average of 2015~2016, respectively. The highest grain yield (6,243 kg/ha) was obtained when oats were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Feed value of harvested oats was good in terms of proximate compositions including fiber contents and TDN contents. In conclusion, sowing on the last day of February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ncrease seed production of spring oats in Gyeongbuk area of Korea.
        4,000원
        9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analytical methods for ochratoxin A (OTA) and zearalenone (ZEA) in rice straw silage and winter forage crops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HPLC). Samples free of mycotoxins were spiked with 50 μg/kg, 250 μg/kg, or 500 μg/kg of OTA and 300 μg/kg, 1500 μg/kg, or 3000 μg/kg of ZEA. OTA and ZEA were extracted by acetonitrile and cleaned-up using an immunoaffinity column. They were then subjected to analysis with UHPLC equipped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calibration curves showed high linearity (R2 ≧ 0.9999 for OTA and R2≧0.9995 for ZEA). The limit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0.1 μg/kg and 0.3 μg/kg, respectively, for OTA and 5 μg/kg and 16.7 μg/kg, respectively, for ZEA. The recovery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of OTA were as follows: rice straw = 84.23~95.33%, 2.59~4.77%; Italian ryegrass = 79.02~95%, 0.86~5.83%; barley = 74.93~97%, 0.85~9.19%; rye = 77.99~ 96.67%, 0.33~6.26%. The recovery and RSD of ZEA were: rice straw = 109.6~114.22%, 0.67~7.15%; Italian ryegrass = 98.01~109.44%, 1.65~4.81%; barley = 98~113.53%, 0.25~5.85%; rye = 90.44~108.56%, 2.5~4.66%. They both satisfied the standards of European Commission criteria (EC 401-2006)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ized methods could be used for mycotoxin analysis of forages.
        4,000원
        9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il salinity and crop response according to drainage methods,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reclaimed tidal flat land adjacent to Yeongsangang located at Sanyimyon Haenamgun Jeonnam province for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Three drainage methods, subsurface drainage (SD), 30 cm open ditch drainage (OD30) and 60cm open ditch drainage (OD60) tested on silt loam soil. In SD and ND, soil salinity were lower than OD30 and OD60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oil EC to the depth of open ditch. SD had a little effect in lowering ground water table. Waterlogging intensity in SEW30 values during the growing season was the lowest in SD 297 compared with the OD30 855, ND 1,420 and OD60 1,553 cm-day. From the above results, subsurface drainage system control soil salinity and waterlogging. Also, the open ditch drainage had an effect on drainage improve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desalinization. So drainage and soil reclamation were essentially needed to stable upland crop cultivation at the reclaimed tidal flat land.
        4,000원
        9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 of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 on soil properties and crop productivity in newly reclaimed tidal land. Five types of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 were evaluated : Rice-Rice (RR) Rice-Maize (RM), Mize-Maize (MM), Rice-Soybean (RS), Soybean-Soybean (SS). The soil bulk density was the lowest RM treatment, and soil pH was a tendency to be lower in all treatments of the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 RM treatment showed a higher moisture content and low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RR treatment. Results of maize productivity in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 Except for the stem diameter growth, RM treatment showed good growth and productivity than MM treatment. Soybean growth and yield increased in the rotated upland cultivation from rice-paddy field compared to the SS treatment. But, overall treatments indicated poor growth and yield. In this study, we offer the effects of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 on the soil properties and upland crop growth and yield, and also out results can be provide supporting basic data that introduced paddy-upland rotation in reclaimed tidal land.
        4,000원
        9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BES 기법을 활용하여 온실을 대상으로 실시간 에너지교환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및 검증을 수행하고 냉·난방부하 산정 및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BES 기법과 현장실험을 기반으로 온실의 실시간 에너지 교환 모델을 개발하였다. 광흡수율, 엽면적지수, 잎 특성 길이 등 대상작물인 애플망고의 특성 값들과 온실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 광량, 온도 등 실시간 입력 자료를 고려하여 작물 및 토양의 에너지교환을 구현하였다. 모델의 검증은 온실 내부 기온으로 수행하였으며 실측 내부 기온과 연산된 내부 기온 간의 결정계수, 일치도로 평가 하였다. 내부 기온 비교는 결정계수 0.89, 일치도 0.93으로 높은 유사성을 확인하였으며 모델의 유의성을 판단하였다. 개발한 모델과 2005년부터 2014년까지의 기상자료, 대상작물의 생육단계별 적정생육온도를 이용하여 대상온실의 냉·난방부하 산정하였다. 연도별 냉·난방부하산정 및 경향성을 파악하였으며 최대 냉·난방부하 산정을 통하여 대상온실의 냉·난방장치 용량설계의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최근 10년 치 기상자료를 통하여 평균 최대 난방부하 525,473 kJ·hr-1, 평균 최대냉방부하 630,870 kJ·hr-1가 산정되었으며 대상 온실에 지열, 온배수,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온실 내 각 구성요소 간의 실시간 에너지교환을 모의할 수 있었으며 추후 온배수 활용을 위한 저류조, 히트펌프, 축열조 등의 설비를 구현함에 따라 전반적인 냉·난방 시스템의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적 해석방법을 통하여 재배작물, 생육단계 및 토양을 고려하였으며 온실 에너지교환 모델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광전환재의 사이즈가 다른 광전환 필름을 피복한 온실에서, 실내 생육 환경, 토마토 및 상추의 생육과 품질을 분석하는 것이다. 10μm 이상의 광 전환재를 이용한 광전환 필름(Micro 필름), 500nm 이하의 광전환재를 이용한 광전환 필름(Nano 필름)과 폴리에틸렌(PE) 필름을 2중 온실의 외피복재로 피복하였다. 내피복재는 0.06mm PE 필름을 사용하였고, 내피복 재 및 외피복재의 두께는 모두 0.06mm로 동일하였다. 광전환 필름의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율은 PE 필름과 유사하였다. 투광률은 Nano 필름이 600-750nm 및 전체 투광률에서 PE 필름보다 높았으며, Micro 필름은 PE 필름보다 전체 투광률이 낮았다. 온실 내 기온은 Micro 및 Nano 필름 온실이 PE 필름 온실에 비하여 약 2oC정도 높았고, 광전환 필름 온실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온은 Nano 필름 온실이 Micro 필름과 PE 온실에 비하여 각각 1.5, 3 정도 높았다. 토마토의 수량은 PE 필름 온실에 비해 Micro 및 Nano 필름 온실에서 각각 12%, 14%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당도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광전환 필름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상추의 수량은 Micro 필름 온실이 Nano 필름 및 PE 필름 온실에 비하여 각각 27%, 59% 높았다. Hunter의 적색 값a는 Nano 필름 온실에서 가장 높았다. 토마토와 같이 높은 광을 요구하는 작물은 투광률이 좋은 Nano 필름이 적합하였고, 상추와 같이 낮은 광을 요구하는 작물은 상추는 Micro 필름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4,000원
        10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에 저항성인 녹비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콩과 녹비식물 9종, 비콩과 녹비식물 9종을 시험하였다. 콩과식물 녹비작물 중에서 네마장황과 알파파는 땅콩뿌리혹선충에 저항성을 보였으나, 검정콩3호, 등갈퀴, 레드클로버, 새완두, 세스바니아, 크림슨클로버, 헤어리비치 등은 모두 매우 감수성으로 나타났다. 비콩과 녹비식물 중에서 메리골드, 들묵새, 수단그라스, 숙근천인국, 하우스솔고, 호밀은 땅콩뿌리혹선충에 저항성이었고, 보리와 유채는 감수성이었다. 따라서 뿌리혹선충의 피해가 우려되는 포장에 사용 가능한 녹비식물은 콩과 식물로는 네마장황과 알팔파, 비콩과 식물로는 메리골드, 들묵새, 수단그라스, 숙근천인국, 하우스솔고, 호밀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