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5

        8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that can gait analysis and gait training on a treadmill using a depth camera of Kinect. This content was used in the user's step length, step velocity, step count, flexion angle extracted by the Kinect skeleton tracking. Nine male subjects (24.9 years, 173.2cm) performed gait training using avatars to reflect their movements on the treadmill and confirmed result of gait analysis using real-time graphs to display their gait variables. Implemented contents can lead to a cognition reaction that is to avoid collisions with obstacles, as well as to determine the gait movements in a virtual real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will be able to make real time gait analysis and gait training, in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safety of a rehabilitation patient by developing content that we have fun with additional tests for gait analysis.
        4,000원
        82.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duralumin and applying heat to the STS-wide measurement range is used, the surface temperature by using the temperature of studying the non-destructive testing of a new paradigm to estimate the position and size of a structure defect purpose. STS and duralumin which has a structure defect is applied a heat by a heater. Its difference of STS and duralumin surface temperature is measured using IR thermography. The estimated result of the STS and duralumin experiment and that of theoretical analysis of PDE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diagnose the STS and duralumin defect. Moreover, this study can save time and money and improve accuracy contrast to the existing ultrasonic NDE experiment. In addition, the new paradigm of NDT/NDE by reverse-engineering is going to be valid if the data of thermal analysis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from the specifications of many materials is accumulated and verified. In this study, the averag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TS in the same heating condition was 4.53 ° K higher than that of duralumin and both of the surface temperature showed an inflection point in the defect 2.5mm.The maximum surface temperature difference was formed on the 2.5mm, and the study proves its reliability because the averag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TS and duralumin was 0.74°K, 0.45°K higher than the theoretical surface temperature.
        4,000원
        83.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뉴스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합뉴스가 빅데이터 저널리즘을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심층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합뉴스 기자들과 빅데이터 저널리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뉴스 미디어 환경 변화, 변화하는 연합뉴스의 위상과 전략, 빅데이터 저널리즘의 필요성과 활용방안에 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소비자들이 뉴스 생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었지만 불확실한 뉴스 유통이나 선정적 기사 양산, 언론의 신뢰도 하락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었다. 연합뉴스는 언론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도매상 역할과 일반 독자들과 만나는 소매상 역할을 동시에 맡게 되었고, 이에 따라 속보 외에도 일반 독자들의 요구에 맞춘 새로운 기사의 형식과 내용을 시도하는 전략 수정이 요구되고 있다. 저널리즘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혁신 방안 중 하나로 제시된 빅데이터 저널리즘은 탐사보도, 지역보도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위한 선결 과제로 전담 부서와 인력 확충, 기자 교육 프로그램 마련, 공공 데이터 확보 등이 실무적 차원으로 제시되었다.
        8,300원
        84.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periodic δ-function arrays (PDFA) based computational integral imaging (CII), This paper propose a method of slice image reconstruction with controllable spatial filtering by using the correlation of PDFA with elemental images in CII. Methods- The multiple PDFAs are generated with spatial periods corresponding to object’s depths with the elemental image array (EIA). They are used to generate a set of spatially filtered-EIAs for multiple object depths. the intensity of the EIA can be represented as Eq. (1), ( ) ( ) ( ) 1 0 2 , 2 N O O O E E E O O O O O n O O O x f z P z P g x x n z f z x dx dz z f z f z d - = æ + ö = çç - - ÷÷ - è + + ø òòå . (1) Equation (1) implies that the intensity impulse response of an EIA is represented as a continuously distributed periodic function. The spatially period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ing range of object’s depth can be extracted from an EIA by using the sifting property of convolution between periodic functions, and the equation is given by ( ) ( ) ( ) 2 1 , E E O E O R x g x s z x dz a a = - ò , (2) where α1 and α2 are the range of the depth for extracting spatially periodic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EIA and the given distance value. The later part of Eq. (2) can be given by ( ) ( ) 2 2 1 1 1 0 , 2 N O O O E O E O n O O NPf z P z P s z x dz x n dz z f z f a a a a d - = æ + ö = çç - - ÷÷ è + + ø ò ò å . (3) the results of Eqs. (2) and (3) imply that the depth information could be extracted from an EIA at the continuous or partially continuous ranges. This can be represented by ( ) ( ) ( ) ( ) 2 2 1 1 , , ... E E O E O O E O R x g x s z x dz s z x dz a b a b = - é + + ù êëò ò úû . (4) Therefore, Eq. (4) presents our controllable spatial filtering in the elemental images. Results- Figure 4 shows the spatial filtering result in the conventional method. Here, the single depth was considered as shown in Fig. 4(a). Then, the spatially filtered EIA has the only single clear object as shown in Fig. 4(b). Spatial filtering results according to required depth range from the EIA are shown in Fig. 5. Fig. 4. Spatial filtering us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Fig. 5. Spatial filtering used in the proposed method. Conclusions- In conclusion, a method of slice image reconstruction with controllable spatial filtering by using the correlation of PDFAs with elemental images in CII has been proposed. Since the multiple PDFAs had spatial periods correspond to object’s depths with the EIA, we could generate a set of spatially filtered-EIAs for multiple object depths. The proposed method was demonstrated for partially occluded object reconstruction experiments. Preliminary experiments reveal that our method can provide the control of depth range for spatial filtering selectively-
        85.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o assess the effect of orthokeratoly lenses on axial elongation in children compared with those wearing spectacles as control. Methods: We enrolled 100 subjects (aged 7-16 years; ortho-k, 50; control, 50) with myopia of -0.50 to -5.00 diopters (D), and with-the-rule astigmatism of -0.25 to -3.00 D. History of eye disease or surgery, strabismus and amblyopia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The OK lenses used in this study were four-zone, reverse-geometry lenses with a nominal Dk of 140 Fatt unit. The corneal thickness, anterior chamber depth and axial length were measured by noncontact optic biometric device Lenstar LS900 and subjective and objective refraction, visual acuity and corneal curvature were measured before lens wear and the next day, 1 week, 1 month, 2 months, 3 months, 6months, 9months and 12months after lens wear.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between groups (p>0.37). In the OK group, the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3.78±1.17 D at baseline -0.03±0.1 D, 1.17±0.57 LogMAR at baseline 0.00±0.01 LogMAR, 546.12±22.24 μm at baseline 527.88±23.26 μm 12 months after the treatment (p<0.001), whereas anterior chamber depth remained unchanged (p>0.15). In the spectacle group, anterior chamber dep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0.04±0.03 mm (p=0.008). In 12 months, axial length increased from 24.99±0.68 to 25.21±0.72mm in the OK group and from 24.99±0.68 to 25.35±0.69 mm in the spectacle group that axial length increa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p=0.021). Conclusion: One year of OK in myopic children reduced anterior chamber depth and axial length elongation significantly compared with distance single-vision spectacle wear.
        8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ack propagation depth through a slab and crack width movement in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slab systems (CRCSs). METHODS : The crack width movements in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RCP) and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railway track (CRCT) were measured in the field for different crack spacings. In addition, the crack width movements in both CRCP and CRCT were simulated using finite element models of CRCP and CRCT. The crack width movements, depending on the unit temperature change, were obtained from both the field tests and numerical analysis models.. RESULTS: The experiment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agnitudes of the crack width movements in CRCSs were related to not only the crack spacing, but also the crack propagation depth. In CRCP, the magnitudes of the crack width movements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crack propagation depths. In CRCT, the crack width movements were similar for different cracks since most were through cracks. If the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crack width movements by assuming that the crack propagates completely through the slab depth, the predicted crack width movements were similar to the actual ones in CRCT, but those may be overestimated in CRCP. CONCLUSIONS: The magnitudes of the crack width movements in CRCSs were mainly affected by the crack propagation depths through the slabs.
        4,000원
        8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erform long-term sewer monitor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wastewater flow that occurs at the point on early stage of the monitor and to prevent in advance a problem which may caused. We can infer the flow properties and external factors by analyzing the scatter graph obtained from the measured data flow rate monitoring data since an field external factor affecting the sewage flow is reflected in the flow rate monitoring data. In this study, Selecting the three points having various external factors, and we Inferred the sewer flow characteristics from depth-velocity scatter graph and determined the analysis equation for the dry-weather flow rate data. At the‘point 1’expected non-pressure flow, we were able to see the drawdown effect caused by the free fall in the manhole section. At the‘point 2’, existed weir and sediments, there was backwater effect caused by them, and each of size calculated from the scatter graph analysis were 400 mm and 130 mm. At the‘Point 3’, there is specific flow pattern that is coming from flood wave propagation generated by the pump station at upstream. In common, adequate equations to explain the dry weather flow data are flume equation and modified manning equation(SS method), and the equations had compatibility for explaining the data because all of R2 values are over 0.95.
        4,000원
        88.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컬러정보와 깊이정보를 사용하여 얼굴을 검출하고 추적한 후 항해사의 졸음을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얼굴검출 과정과 얼굴추적 과정으로 구성된다. 얼굴검출 과정에서는 기존의 방법 중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는 Adaboost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Adaboost로 입력되는 영상의 영역을 사람이 존재하는 영역으로만 제한하여 얼굴을 검출한다. 얼굴검출 과정에서 얼굴이 검출되면 그것을 템플릿으로 하여 얼굴추적 과정이 수행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영상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졸음탐지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약 23 %의 수행시간을 보였으며, 또한 졸음탐지 방법은 추적시간과 추적 정확도에 있어서 상보적인 관계를 가지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약 1 %의 낮은 추적오차율을 보였다.
        4,000원
        89.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상의 심지층 처분 부지에서 이루어진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처분 심도의 지하수 유량 분포를 분석하고 그 결 과를 처분 안전성 평가에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처분 심도의 지하수 유동량은 가상의 처분 부지를 대상으로 한 광역 및 국지적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의 지하수두 분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지하수 유동량 분포를 이용하여 처분공 위 치의 지하수 유동량을 분석하고 최대값을 기준으로 지하수 유동량을 표준화하여 처분공에서의 처분 용기 파손 가능성을 확 률적으로 도시하였다. 확률적으로 제시된 처분 용기의 파손 가능성을 이용하여, 처분 용기로부터 누출이 일어날 것으로 가 정된 위치에서 지표 환경으로 이동하는 방사성 핵종의 이동량에 대한 확률론적 기대값을 계산하여 결정론적으로 평가된 이 전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런 평가 방법은 현장 조건을 더욱 많이 반영할 수 있는 안전성 평가 방안 구축에 기여할 수 있 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90.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분화용 나팔나리 일대 잡종 ‘Charm’의 자구를 개화용 구근으로 비대시키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구의 크기, 식재 간격, 깊이 및 시기를 조사하였다. 자구의크기가 2cm에서 8cm를 식재한 후 수확한 구는 8cm에서구의 둘레가 16cm 이상이었고, 개화 구근(구 둘레 15cm이상)의 비율이 62.5%로 가장 높았다. 구의 둘레가 6cm인 자구를 간격 7.5×7.5cm 이상으로 식재하였을 때, 구근의 둘레가 14.7~15.2cm이고, 무게는 28.2~30.8g이었으며, MFB(marketable flowering bulb) 비율은 48.0~49.8%로 유의 차이가 없었으나 구근의 생산 수량을 감안하면7.5×7.5cm가 가장 이상적이다. 소구의 식재 깊이는 맹아율과 분구율, 구의 둘레를 고려하여 보았을 때, 깊이3~5cm의 식재가 가장 바람직하다. 노지에서 상자에 식재한 소구는 동절기에 모두 동사하였고, 포장에 식재한 소구는 맹아율 17.8%이었으나 무가온 온실에서 상자에 식재한 것은 90.5%이었다. 노지 식재에서 무피복의 맹아율은 0%, 비닐 피복은 13.4%, 짚 피복은 29.6%로 나타났다. 소구의 크기가 4cm를 10월 10일, 10월 27일과11월 10일에 무가온 온실에 식재하였을 때 맹아율은 모두 90% 이상이었으나, 일찍 심을수록 구의 무게가 커서10월 10일 식재인 경우 구 둘레가 13cm가 되었다. 따라서분화용 나팔나리는 구 둘레가 8cm 정도인 자구를 10월 초에 간격 7.5×7.5cm, 깊이 5cm로 식재하여 이듬해 9월에 굴취하면 충분히 구 비대가 되어 개화용 구근으로 이용할 수 있다.
        4,000원
        9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wave run-up height and depression depth around air-water interface-piercing circular cylinder have been numerically studied. The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RANS) and continuity equations are solved with Reynolds Stress model (RSM) and volume of fluid (VOF) method as turbulence model and free surface modeling, respectively. A commercial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oftware “Star-CCM+” has been used for the current simulations. Various Froude numbers ranged from 0.2 to 1.6 are us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ir-water interface structures around the cylinder and experimental data and theoretical values by Bernoulli are compared. The present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other studies. Kelvin waves behind the cylinder were generated and its wave lengths are longer as Froude numbers increase and they have good agreement with theoretical values. And its angles are smaller with the increase of Froude numbers.
        4,000원
        9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병초의 종자는 20οC에서 발아율이 69.1%로 가장 높았고, 25οC는 63.0%이고, 상온에서는 발아율이 52.9%로낮았다. 광 조건에 따른 발아특성은 LED 보광 및 자연광에서 60% 이상 발아되었으나 차광 시에는 발아율이40% 이하로 현저하게 낮았다. 만병초 종자를 인공배양토에 vermiculite 또는 peatmoss를 50% 혼합하여 파종한결과, 발아율은 큰 차이 없이 51.6~58.2%로 나타났다.복토 깊이에 따른 발아율은 무 복토가 62.3%, 2mm 복토는 60.2%에 비하여 6mm복토는 3.5%로서 복토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발아율이 현저하게 낮아졌다. 관수 방법에 따른 발아율은 1일 2회 관수와 1일 1회 관수하였을 때 58~63%로 발아율이 양호하였으며, 3일 1회관수 시 발아율이 10.6%로 현저하게 떨어졌다. GA325ppm에서 GA3 100ppm까지 20οC와 25οC에서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GA3 100과 200ppm을 처리한 종자의 발아율은 농도간 차이 없이97.3~98.6%로 높았고, 50ppm 처리에서는 80%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25ppm 처리는 73.0%를, 무처리는 64.0%이였다.
        4,000원
        93.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icient method for Korean food to make inroads into Paraguay. In-depth interviews with 15 Korean restaurant owners in Asuncion, Paraguay and foodies (food experts) who had experiences with Korean food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Paraguay wants to establish economic ties with Korea currently, and economic development is ongoing in Paraguay. The food service industry for the middle class in Paraguay is now in the development stage. There are not many Korean restaurants (currently 15) in Asuncion. First and second generation Korean immigrants are operating these restaura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for a comprehensive food culture system by developing a menu composition system to meet local tastes, a strategy for improving distribution of Korean food materials, and a plan for sanitary management and operations.
        4,200원
        9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lti-view system is one of the auto-stereoscopic displays that allows users to watch 3D images without wearing special glasses. Generating contents for the multi-view display system is often accomplished using Depth-image-based rendering (DIBR) intermediate view generation. DIBR-based intermediate view generation method reconstructs a 3D scene with a color image and depth map information. Then, a virtual camera is put in various view positions to capture intermediate view images.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IBR-based intermediate views by applying non-uniform quantization method for depth map inform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intermediate view generation process using DIBR. Then, it discusses the evaluation of multi-view intermediate images generated using uniform and non-uniform depth quantization methods. Finally, the paper describes the future direction and how the muti-view systems can be utilized in computer games.
        4,000원
        9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원예시설 중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 하고 있는 단동비닐하우스의 기상재해로 인한 피해를 경 감시킬 수 있는 모델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재배작물별로 대표적인 온실규격를 선정하여 안전풍 속과 적설심을 구한 후 재현기간 8년에 해당하는 지역의 설계풍속 및 적설심과 비교하여 온실의 구조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작물별 대표온실에 단위풍하중을 적용한 결과, 최 대 단면력은 과채류, 근채류, 엽채류 온실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재배작물별 서까래 간격을 고려한 안전풍 속은 엽채류 온실이 17.7 m/s, 과채류 온실이 20.2 m/s, 근채류 온실이 22.3 m/s로 나타나 지역별 8년 빈도의 설계풍하중과 비교하였을 때 홍천, 이천, 성주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서 불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재배작물별 대표온실에 단위 적설하중을 적용한 결과, 근채류 온실의 최대 단면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재배작물별 서까래 간격을 고려한 안전적설심은 엽채 류 온실이 8.8 cm, 과채류 온실이 9.4 cm, 근채류 온실이 11.8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지역별 8년 빈도의 적설하중과 비교하였을 때 경남지역 일부를 제 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서 불안전한 것으로 분 석되었다. 3. 재배작물별 대표 온실의 안전풍속과 적설심에 대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최대 인발력은 12.7~15.1 kgf/개소, 최대 연직하중은 20.6~21.7 kgf/개소로 나타나 기초는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안전풍속과 안전적설심이 매우 작기 때문에 폭설이나 강풍에 대비한 보강이 필요 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9.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온실설계와 관련된 기준들은 1990년대 까지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설계풍속 및 적설심으로 최근 급변하는 우리나라 기상특성을 반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 설계에 있어서 기존의 기준들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활용도가 높은 설계풍속 및 적설심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1961년부터 최근 2011년까지 각 지역별 총 72개 지점의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국 170개의 시·군별 설계풍속 및 적설심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재현기간 100년을 기준으로 풍속의 경우, 22.5~65.0 m․s-1 범위로 홍천이 22.5 m․s-1 로 가장 낮았고, 흑산도가 65.0 m․ s-1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때 기상자료의 수가 20년 미만인 흑산도를 제외하면 고산이 63.0 m․s-1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설심의 경우, 5.4~259.7 cm 범위로 고산이 5.4 cm로 가장 낮았고, 울릉도가 259.7 cm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형적으로 다설지역인 울릉도(259.7 cm)와 대관령 (225.4 cm)을 제외하면 동해가 123.3 cm 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각 지역별 설계풍속 및 적설심에 대하여 본 연구와 기존의 기준을 비교해 보면, 설계풍속 및 적설심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 지역들은 기존의 기준이 본 연구보다 비교적 높게 산정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최신 기상자료를 이용한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한다면 원예시설의 설계 및 시공 시 온실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경제성에도 상당히 유리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5,400원
        10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roma key technique which composes images by separating an object from its background in specific color has restrictions on color and space. Especially, unlike general chroma key technique, image composition for stereo 3D display requires natural image composition method in 3D space. The thesis attempted to compose images in 3D space using depth keying method which uses depth information of Microsoft Kinect. Object was converted into point cloud type in 3D space after separating it from its background according to depth information. The image in which 3D virtual background and object are composed obtained and played stereo 3D images using a virtual camera. The research showed naturally composed stereo 3D images as well as the feasibility of applying stereoscopic 3D mixed reality image technolog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