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3

        10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ze the factors affecting exposure to the VOCs and NO2 in the vicinity of Gwangyang industrial complex. The VOCs and NO2 levels were measured for residents of an exposure group (industrial area within 5 km) and a control group (15 km farther), respectively using the VOCs and NO2 filter badge as a passive sampler from August to September 2006. The means of indoor, outdoor, workplace and personal exposure levels of benzene were 1.10 ppb, 0.94 ppb, 1.85 ppb and 2.35 ppb respectively in the exposure group. The means regarding toluene for the exposure group were 9.29 ppb indoor, 8.09 ppb outdoor, 14.5 ppb workplace, 14.2 ppb personal exposure. The means regarding ethylbenzene were 4.96 ppb(indoor), 4.45 ppb(outdoor), 6.84 ppb (workplace), 6.10 ppb(personal exposure), and the means regarding xylene were 0.10 ppb(indoor, outdoor), 0.18 ppb(workplace) 0.17 ppb(personal exposure). The means for the indoor, outdoor, workplace and personal exposure level of NO2 were 18.40 ppb, 18.51 ppb, 18.59 ppb, 18.80 ppb respectively in the exposure group. Correlations between personal exposures and workplace concentrations of individual VOCs and NO2 exposures, and each of the microenviron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000원
        10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food culture of the Koryo Dynasty during the early 13th century based on the records of wooden tablets and marine relics from the 1st and 2nd ships of Mado wrecked at sea off Taean while sailing for Gaegyeong containing various types of grain paid as taxes and tributes. The recipients of the cargo on the 1st ship of Mado were bureaucrats living in Gaegyeong during the period of the military regime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place of embarkation was the inlet around Haenam (Juksan Prefecture) and Naju (Hoijin Prefecture) in Jolla-do. On wooden tablets were recorded 37 items of rice, cereal, and fermented foods. The measures used in the records were seok [石-20 du (斗)] for cereal, seok [15 du, 20 du] for fermented soybean paste, and pot (缸) and volume (斗) for salted fish. The places of embarkation on the 2nd ship of Mado were Jeongeup (Gobu Prefecture), Gochang (Jangsa Prefecture, Musong Prefecture), etc. On wooden tablets were recorded 29 items of rice, cereal, fermented foods, seasame oil, and honey. The volume measure for yeast guk (麴), the fermentative organism for rice wine, was nang [囊-geun (斤)], and the measure for sesame oil and honey, which were materials of oil-and-honey pastries and confections, was joon (樽-seong, 盛). Honey and sesame oil were luxury foods for the upper-class people of the Koryo Dynasty, and they were carried in high-quality inlaid celadon vases in Meibyung style. Food names and measures written on wooden tablets and actual artifacts found in the 1st and 2nd ships of Mado are valuable materials for research into agriculture, cereal, and fermented foods of the Koryo Dynasty in the early 13th century. Besides, relics such as grains and bones of fish and animals from the Koryo Dynasty are expected to provide crucial information usable in studies on food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4,300원
        103.
        2014.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dentify peculiar X-ray sources, we select 442 sources with no counterparts in other wavelength bands (as of the year 1999) from the ROSAT All-Sky Survey Bright Source Catalog. We cross- correlate this initial list with the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the USNO and WISE catalogs, and the HEASARC XRAY Master Catalog. Eventually, we are left with four unidentified sources with no counterparts in other wavelength bands. We present these four sources and their X-ray properties in this paper.
        3,000원
        104.
        2014.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udeul is traditional heating system of Korea that contains the much wisdom of Korean ancestors. It is a radiating heating system with a solid heat source. Recently, there has been a preference to Huangto and traditional gudeul heating in lawn houses, environment friendly house, healthy houses, and eco-houses. There is a reemphasis on the uniquely Korean traditional gudeul heating technique. Past researches have been on gudeul structure, terminology, development, and research on the efficiency of traditional gudeul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The gudeul has many parts and these parts work in close associ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successfully function as a heating system. The slightest bit of disassociation can lead to the decrease in efficiency or failure. Therefore there is a need find an exacting formula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ts. Therefore, an exacting survey on the sizes of gudeul need to conducted on traditional gudeul in order to preserve and develop traditional gudeul. However, there are very few surveys conducted on traditional gudeul in Designated Treasures and newly excavated sites and most of studies are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es, this is an actual survey and research of the hamsil gudeul found in Mucheomdang, which it Designated Treasure No. 411.This survey was conducted by dismantling and restoring the gudeul in Mucheomdang. It was found that the goraejaejari was about 15~20cm smaller than the usual and though there was no gultukgaejari the agunggi was placed lower so that the fire went in easily, inline with the heat principle. In order to maintain and further develop traditional gudeul, gudeul survey and actual measurements must be taken at excavation sites and whenever there are restoration processes taking place in designated treasure. It is suggested that gudeul professional be included in this process because without their input it is easy to miss important aspects. If professionals are not included there is a great chance the cultural value of gudeul maybe lost forever in the near future. Gudeul is layed differently by function and region, therefore there is no one gudeul that is exactly the sam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national, state and city government, whenever restoring or dismantling a Designated Treasure, call upon a gudeul professional. Furthermore, more traditional gudeul should be dismantled and actual measurements and surveys should be taken to collect more exacting data.
        4,300원
        10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돈분액비를 활용하여 경종·축산 연계를 통한 자원순환농업의 활용 및 동계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무경운답트리티케일 재배지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생육특성, 토양 화학성 변화 및 건물수량성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다.LPM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전 조사기간에 걸쳐 초장변화에서는 4.4~23.4cm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장에서도 최대3.9cm 차이가 나타났다. 건물량에서는 대조구 대비 23% 이상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후의 토양화학성 변화에서는전질소를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건초수량에서는 돈분액비처리구에서 747 kg/10a 으로 대조구 대비 12% 높은 수량지수가 나타났다.
        4,000원
        10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부동산에 관하여 상사유치권이 성립되는 것을 일응 전제로 하여, 상법 제58조상의 명시적인 상사유치권의 성립요건과는 별개로 상사유치권 성립 당시에 이미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에 대하여 제3자의 선행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 상사유치권자가 선행저당권자 또는 선행저당권에 기한 임의경매절차에서 부동산을 취득한 매수인에게 상사유치권으로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이와 관련하여 대상판결은, 상사유치권이 채무자 소유의 물건에 대해서만 성립한다는 것은, 상사유치권은 성립 당시 채무자가 목적물에 대하여 보유하고 있는 담보가치만을 대상으로 하는 제한물권이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할 것이고, 따라서 유치권 성립 당시에 이미 목적물에 대하여 제3자가 권리자인 제한물권이 설정되어 있다면, 상사유치권은 그와 같이 제한된 채무자의 소유권에 기초하여 성립할 뿐이고, 기존의 제한물권이 확보하고 있는 담보가치를 사후적으로 침탈하지는 못한다고 보아야 한다고 하면서 선행 저당권은 유치권에 우선하여 보호되어야 한다고 판시하였다.검토컨대 피담보채권과 유치목적물 간의 개별적 견련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다른 성립요건들이 구비되는 한 상사유치권의 성립이 가능하다고 할 것인 바, 상사유치권의 전체적인 취지, 즉 상인간의 거래에서 신속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담보를 취득하게 하는 활성 취지와 피담보채권의 모든 상사채권으로의 무한정 확장 가능성에 따른 제한 취지라는 양자 사이의 적절한 균형성을 고려하고, 상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객관적인 문언 이상으로 상사유치권을 민사유치권 보다 차별하여 불리하게 해석할 합리적 근거는 없으므로, 대상판결에서의 판시 법리는 피담보채권과 유치목적물 간의 일반적 견련성만 인정되는 형태로 상사유치권이 성립한 경우에 한정하여서만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107.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럽사법재판소는 2014. 5. 13., 이른바 구글 케이스에서 ‘잊혀질 권리’를 인정하는 내용의 판결 을 하였다. 즉, 검색엔진에 정보주체의 이름을 입력 하였을 경우, 정보주체에 관한 불리한 사실이 실린 제3자 웹사이트의 16년 전 기사로 연결되는 링크가 검색 결과 화면에 현출되면, 검색엔진은 정보주체의 요청에 따라 링크를 삭제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한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유럽 개인정보보호지침 에 근거하여 정보주체의 프라이버시권과 개인정보에 관한 기본권을 검색엔진의 경제적 이익 기타 제 3자의 이익과 비교하여 형량함으로써 도출되었다. 유럽 개인정보보호지침에 상응하는 법률인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은, 논란의 여지는 있으나, 정보 주체에게 이와 같은 삭제 요구권을 허용하지 않는다. 정보 주체는 대신, 민법상 인격권에 기하여 금지청구를 할 수 있고, 이 경우 유럽사법재판소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 나 민법상 인격권에 기한 금지청구는 행정법규인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비하여 구제 절차의 신속성 및 간편성이 떨어지므로, 이 부분에 관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이 경우 언제 정보주체의 요구를 받아들일지 여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6,100원
        10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교량 내진설계의 목적은 붕괴방지설계이고 도로교설계기준 내진설계편은 교량구조의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설계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구조형식 또는 현장여건에 의해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것이 비합리적인 경우 차선책으로 취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여 붕괴방지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기존 설계방식과 함께 내진설계편은 연성도 내진설계를 부록으로 제시하고 있다. 연성도 내진설계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으로 구성되는 교량에 적용하며 설계자가 하부구조의 소요응답수정계수를 결정하고 이로부터 심부구속철근을 설계하는 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교각기둥과 강재받침으로 설계된 일반교량을 선정하여 기존 설계방식과 연성도 내진설계를 모두 적용한 결과로부터 차이점을 확인하고 설계자가 내진설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두 설계방식을 모두 고려하는 설계절차를 제안하였다.
        4,000원
        109.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위느타리(Pleurotus ferulae)의 품종 육성은 수량성이높은 ASI 2803과 형태적으로 보기 좋은 외국 도입품종ASI 2798의 단포자를 분리한 후 교배하여 13개의 교잡주를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수량성이 높은 ASI 2803보다 수량은 적으나 백색을 띄며 형태가 좋은 우량계통GW10-68를 선발하여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선정심의회에 상정하여 통과되어 ‘비산2호’로 명명되었다. 고유특성으로는 균사체 배양의 대선형성유무에서 모균주 ASI2803, ASI 2798 및 비산1호와 대치배양하였을 때 뚜렸한대선을 형성하였다. 유전적으로는 RAPD primer를 이용하여 신품종 ‘비산2호’의 DNA pattern는 ASI 2798 및 비산1호와는 DNA밴드 패턴이 구별되는 밴드양상을 보였으나 모균주 ASI 2803과는 유사한 밴드 패턴을 보여주었다.가변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은 25oC이며, pH의 범위가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병당 123.3±25.7g으로 비산1호보다 수량이 적지만, 개체중에서는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 길이는 비산1호보다 길고,대의 색깔이 큰느타리보다 순백색을 나타내어 큰느타리와차별화하여 재배하면 큰느타리 대체품종 뿐만 아니라 수출 품종으로도 기대된다.
        4,000원
        110.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위느타리(Pleurotus ferulae)의 품종 육성은 수량성이높은 ASI 2803과 형태적으로 보기 좋은 국내 교배품종ASI 2850의 단포자를 분리하여 교배하여 13개의 교잡주를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수량성이 높고 형태가 좋으면서 자실체 형성이 쉬운 균주 GW10-95를 선발하여 ‘비산1호’으로 명명되었다. 고유특성으로는 균사체 배양의 대선형성유무에서 모균주 ASI 2803 및 ASI 2850과 대치배양하였을 때 뚜렸한 대선을 형성하였다. 유전적으로는RAPD primer를 이용하여 신품종 ‘비산1호’의 DNA 패턴은 모균주와는 다른 패턴을 형성하였다. 가변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은 25oC이며 pH의 범위가 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농가실증시험에서 245g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길이는 ASI 2803보다 길고 굵어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기존의 아위느타리보다 수량성이 높아 큰느타리 대체품종 뿐만 아니라 수출 품종으로도 기대된다.
        4,000원
        111.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tial oxidation of NO with desulfurization in dry sorbent injection(DSI) process using dry sorbent and additives. The effect of the main operating variables directly related to desulfurization efficiency has been also tested. These variables are Ca/S ratio, temperature, inlet SO2 concentration and gas flow rat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partial oxidation of NO with desulfurization in dry sorbent injection process using NaClO2 and CaCl2.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partial oxidation of NO with desulfurization was increased in DSI process using little NaClO2. It was also found that the injection of CaCl2 was effective in increasing only SO2 removal efficiency. Increase of SO2 removal performance and promotion of partial oxidation of NO using the two additives at low temperature was confirmed.
        4,000원
        11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옥상녹화 시 식물유형별 수분요구도에 대한 사항을 사전에 고려하여 저관리, 최소한의 관리로 조성되는 옥상녹화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옥상녹화의 대표적인 식물로 알려진 세덤류 중 애기기린초와 내건성이 강한 일반 초화류 중 상록패랭이가 동일 조건에서 건조에 견디는 저항력과 토양종류별 토양수분감소에 대한 생육변화를 살펴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무관수, 무강우 조건에서 30일 경과 후 상록패랭이가 식재된 펄라이트 10㎝ 토양이 토양 내 수분함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애기기린초가 식재된 인공배합토 20㎝의 토양이 다른 토양에 비해 가장 많은 수분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전반적으로 토양종류와 토심에 관계없이 애기기린초가 식재된 토양구보다 상록패랭이가 식재된 토양실험구의 수분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록패랭이의 수분요구도가 애기기린초보다 더 크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생육상태는 펄라이트 토양 중에서도 토심이 낮은 10㎝, 인공배합토양에서도 20㎝ 실험구보다 10㎝ 실험구에서 더 양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실험결과 무강우 무관수 조건에서 토양 종류에 따라 토양수분의 감소패턴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식물 종류에 따라서도 토양수분감소에 따른 수분스트레스 패턴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300원
        113.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정부는 완도부근에 특별히 항로를 지정하였다. 규정에 따르면 선박은 항로의 지정된 방향을 따라 항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완도지정항로에는 서로 횡단하는 두 개의 항로가 설정되어있다. 한국의 해양안전심판원은 선박충돌이 발생한 원인에 대한 판단을 하였다. 항로지정방식에 적용되는 항법이외에도 횡단항법이 추가로 적용되는지가 쟁점이 되었다. 지방해양안전심판원은 횡단항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였지만,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은 항로지정방식의 항법을 우선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양 기관에 의한 원인제공비율은 서로 달랐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이에 대하여 연구하여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 제10조 제1항에 의거하여 항로지정방식이 우선 적용되고 횡단항법이 추가적으로 적용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5,500원
        11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a highly sensitive NO2 gas sensor based on multi-layer graphene (MLG) films synthesized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on a microheater-embedded flexible substrate. The MLG could detect low-concentration NO2 even at sub-ppm (<200 ppb) levels. It also exhibited a high resistance change of ~6% when it was exposed to 1 ppm NO2 gas at room temperature for 1 min. The exceptionally high sensitivity could be attributed to the large number of NO2 molecule adsorption sites on the MLG due to its a large surface area and various defect-sites, and to the high mobility of carriers transferred between the MLG films and the adsorbed gas molecules. Although desorption of the NO2 molecules was slow, it could be enhanced by an additional annealing process using an embedded Au microheater. The outstanding mechanical flexibility of the graphene film ensures the stable sensing response of the device under extreme bending stress. Our large-scale and easily reproducible MLG films can provide a proof-of-concept for future flexible NO2 gas sensor devices.
        3,000원
        117.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 버섯 No. 42균주를 5가지 배지에서 연구한결과, 리그닌 분해효소인 Lac와 MnP는 생산되었으나 LiP는 생산되지 않았다. 실험한 본 균주의 경우리그닌 분해효소인 Lac와 MnP의 생산에 밀기울이관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액체배지에서는GPYW에서 Lac(2.4U/ml)와 MnP(3.6U/ml)가 최대생산됨을 알 수 있었으며 고체배지에서는 WMW에서 MnP(4.0U/ml)가 최대 생산되었으며 W에서는Lac(11.0U/ml)가 최대 생산되었다.
        4,000원
        118.
        2013.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scientific data to support policy decision-making for the improved control of nitrogen dioxide(NO₂) and nitrous acid(HONO) in residence. The survey on concentration of NO₂and HONO in 20 houses in Seoul and Daegu was perform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13. Average NO₂concentrations in the kitchen, living room, and room were 25.7 ± 7.7 ppb, 24.3 ± 8.5 ppb, and 19.6 ± 5.6 ppb, respectively. Also, average HONO concentration were 3.6 ± 1.0 ppb, 3.1 ± 0.9 ppb, and 3.1 ± 0.9 ppb, respectively. NO₂and HONO concentration in kitch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in the living room and room(p<0.05). Concentration ratios of HONO/NO2 were ranged to 0.070 0.277 for indoor air and 0.004 0.161 for outdoor air. Indoor HONO/NO2 ratios were higher than the outdoor HONO/NO₂ratios.
        4,900원
        11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느타리버섯의 품종다양화와 국내 육성품종의 보급확대를 위해 2012년도에 육성한 신품종 『곤지 8호』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균사생장적온은 23~26℃, 버섯발생 및 생육적온은 15±1℃였으며, 재배일수는 49일로 대조품종보다 1일 짧았다. 병당 자실체 발생개체수는 15.4개로 대조품종 보다 4.7개 많았고, 대길이 120.3 mm로 대조품종보다 길었다. 자실체 물리성은 씹음성, 깨짐성, 경도 모두 대조품종보다 높았고, 특히 경도는 대조품종 대비 약 2배 높았다. 병당수량은 132.5g(900cc/65Φ), 170.8g(1100cc/65Φ)로대조품종과 대등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