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2

        10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poxygenase(LOX) 결여 콩으로 제조한 두부의 급이가 5주간의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에서 간 조직과 분변 지질 함량 및 생체 내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 고지방-콜레스테롤 급이군(HFC),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두부 급이군(태광 두부 급이군, HFC-T1; 개척#1 두부 급이군, HFC-T2; 진양 두부 급이군, HFC-T3)으로 구분하였다. 두부의 콜레스테롤 흡착활성은 개척#1 두부가 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두부 급이군의 비만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개척#1 두부 급이군(HFC-T2)의 비만지수가 가장 낮았다. 간 조직의 총 지질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이 5.9배 증가되었으며, 개척#1 두부 급이군(HFC-T2)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중성지방 함량은 개척#1, 진양 두부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두부 급이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두부 급이군의 분변 중 총 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두부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중성지방 함량은 개척#1 두부 급이군에서 가장 많았고, 총 콜레스테롤의 배출량은 대조군에 비해 두부 급이군에서 다소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HFC-T2 및 HFC-T3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HFC-T2군에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까지 상승하였다. 간 조직에서 SOD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두부 급이군에서 1.4~2.2배 증가되었으며, HFC-T3군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Catalase, GSH-Px 및 UDPGT 활성은 개척#1 두부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LOX 결여 콩으로 제조한 두부의 섭취는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에 대해 체내 지질 수준 저하 및 항산화 활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4,600원
        102.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약재로 이용되는 참당귀의 다용도 기능성 소재 개발을 통한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효소처리를 활용한 기능성 다당체 분리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참당귀의 세포벽 성분 분해를 위한 최적의 효소는 Viscozyme L로 선정되었다. 다당체 분리를 위한 효소처리는 단백분해효소(Alcalase 및 Flavorzyme)와 전분분해효소(Termamyl120L)를 Viscozyme L과 함께 복합적으로 처리한 VAFT처리구가 추출 수율과 총당 함량이 각각 12.20%, 76.80%로 다른 효소처리구(T, AFT 처리구)에 비하여 가장 높았으며, 제거된 전분 함량 역시 29.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전분다당체 함량이 22.58%로 T 처리구의20.78%과 AFT 처리구의 21.98%에 비하여 유의적(p<0.00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참당귀 다당체 분리를 위한 최적효소처리 조건으로 선정되었다. 비전분다당체의 주성분인arabinose, galactose의 함량은 대조구보다 T, AFT, VAFT의모든 효소처리구에서 유의적(p<0.001)으로 높게 나타났다.또한 참당귀 다당체의 분자량 분석을 통하여 대조구(491,000Da)에 비하여 VAFT 효소처리구가 13,000Da로가장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VAFT효소처리에 의한 참당귀 기능성 다당류의 효율적인 분리방법은 참당귀를 활용한 새로운 산업적 기능소재 및 제품 개발에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4,000원
        10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arbohydrate metabolism related enzyme activitie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Nelumbo nucifera(N.N) Root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The contents of serum glucose, triglyceride (TG) and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ed in N.n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The activity of glucose-6-pase(G-6-Pa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N.N treated group. Also the activity of glucokinase(Gk) was significantly increaed in N.N treated group. The content of hepatic glycogen was significantly increaed in N.N treated group, in addition, content of malondialdehyde(MDA) was significanly decreased in N.N treated group. Also, content of glutathione(GSH) was significanly increased in N.N treated froup. whereas, activity of catalase(CAT) was significantly decreaed in N.N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activity of glutathione peroxidase(GSH-Px) was inecreaed.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thanol extract of N.N would have carbohydrate metabolism antioxidative effect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4,000원
        104.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유소분해 효소제를 공급수준에 따라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한우 거세우에 적용하였을 때 성장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동물은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거세우로 각각 54두씩 총 108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험 개시 시 공시된 비육전기 및 후기 거세우의 평균체중은 각각 397.4±27.2(평균 17개월령), 525.2±47.4kg(23개월령) 이었다. 시험사료는 비육전기사료와 비육후기 사료를 구분하여 대조구 사료에 섬유소분해 효소제 0.05(E0.05, L0.05), 0.15% (E0.05, L0.15)를 첨가한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각각 3처리구에 각 처리당 6마리씩 3반복으로 완전임의배치하여 실시하였다. 비육후기 한우 거세우에서 농후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와 L0.15구에서 L0.05와비교하여 증가하였으며, 총 건물섭취량 역시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p<0.001). 반면, 비육전기 및 후기 한우 거세우 모두 증체량 및 사료효율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비육후기 거세우의 도체특성은 L0.05와 L0.15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지방색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1). 등심조직의 지방산 분석은 대조구와 처리구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본 시험에 사용된 섬유소 분해효소의 비육기 한우 거세우에 대한 첨가효과는 등심의 지방색이 짙어진 것을 제외하고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볏짚 위주의 조사료 급여체계에서 효소제 첨가수준 및 효소역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10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thanol extraction yield of Meliae toosendan fructus(MT) was about 24.5% by extract apparatus.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arbohydrate metabolism related enzyme activitie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T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The contents of serum glucose, triglyceride (TG) were significantly decreaed in MT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also content of Total cholesterol was decreased.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was increased in MT treated group. The activity of glucose-6-pase(G-6-Pa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MT treated group. Also the activities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G-6-PDH) and glucokinase(Gk) were increaed in MT treated group. The content of hepatic glycogen was significantly increaed in MT treated group, in addition, content of malondialdehyde(MDA) was significanly decreased in MT treated group. Also, content of glutathione(GSH)was dereased in MT treated froup. whereas, activity of catalase(CAT) was significantly increaed in MT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activity of glutathione peroxidase(GSH-Px) was inecreaed.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thanol extract of MT would have carbohydrate metabolism antioxidative effect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4,000원
        10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효소제 및 효모추출물 급여가 사양성적, in vitro 반추위 발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3개월령의 한우 거세우 48두를 공시하여 사료용 첨가제로 농후사료의 0.1% 수준으로 급여하여 출하시까지 대조구(무첨가), 처리구 1(효소제), 처리구 2(효모추출물), 처리구 3(효소제+효모추출물)으로 구분하여 급여하였다. 사양성적에서는 급여 4개월과 8개월의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처리구 1에서 가장 향상되었고 (p<0.05),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도축성적에서는 육량지수를 포함하여 처리구 1>처리구 3>처리구 2>대조구 순으로 나타났다. in vitro 배양액에 따른 처리구별 pH는 대조구>처리구 2>처리구 3>처리구 1 순으로 유의적(p<0.05)인 차이를 나타냈고, VFA와 사료소화율은 처리구 1과 3에서 높았고 (p<0.05), 대조구에서는 낮았다(p<0.05). 혈액성상에서는 면역 첨가제 급여군인 처리구 2와 3에서 급여기간에 따른 백혈구 수치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면역글로블린 G의 유의적(p<0.05)인증가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한우 비육후기 거세우의 사료첨가제 급여 시험에서 처리구 1은 급여 4개월부터 대조구 대비 사양성적 및 도체성적을 향상시켰고, 처리구 2는 급여 2개월부터 면역에 관련된 면역글로블린 G의 혈액성상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200원
        107.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aste properties of enzyme hydrolysates of rice protein residue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ir taste enhancingeffects were evaluated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otal taste pattern after their addition to a yeast extract. Whileenzyme hydrolysates of rice protein residue showed different tast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enzyme that was usedfor hydrolysis, the Flavourzyme treated sample expressed the strongest umami and bitter taste among the enzymetreated samples. On the other hand, the Protamax treated sample showed considerable umami with a slight bittertaste so that it is expected to be suitable as a taste enhancing ingredient. Furthermore, by LC-MS/MS analysis, theeffective fraction isolated from the Protamax treated sample was found to contain peptide fractions such as Ile-Gly-Tyr-Pro-Thr-Tyr-Pro-Leu-Pro-Arg (Mw: 1175);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eptide fractions contained in Prot-amax hydrolysates of rice protein residue could be applied for preparing a natural taste enhancing ingredient.
        4,000원
        108.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apid weight reduction for short duration on serum enzyme and stress hormone in high school wrestlers. Subjects were composed of 7 student wrestlers whose wrestling careers were 3years over. Subjects were reduced 5% of their body weight by exercise, reducing food and sauna method for three day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and consideration of many pre studies related it, the result could be drawn as follows. First,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CPK,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pre level(p<.05). Second,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LDH,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pre level(p<.05).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Epinephrine,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decrease than pre level(p<.05).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Norepinephrine,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pre level(p<.05). In conclusion, rapid weight reduction gives an effects on decreasing wrestlers' physical fitness suddenly during the match because of changing rapidly of serum enzyme and stress hormone in the body. I hope that more studies will be followed on serum enzyme and stress hormone in rapid weight reduction of weight class competition players in the future.
        4,300원
        10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ronobacter muytjensii는 유아용 조제분유(IFP)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중요한 식품 기인성 병원균이다. 이 연구에 서는 C. muytjensii 검지를 위한 특이적 면역글로불린 G(IgG)를 개발하고, 이 anti-C. muytjensii IgG를 이용하여 간접 비경쟁 효소면역측정법(INC-ELISA)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개발한 INC-ELISA 방법은 C. muytjensii에 매우 민감하고, 순수배양 시 6.5×103 CFU/㎖의 검출한계와 유아용 조제분유에서 1 cell/25 g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INC-ELISA 방법은 또한 C. muytjensii에 탁월한 특이성을 보이고, Cronobacter 속 외 11종의 다른 식품 기인성 병원균 계통과의 교차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개발된 INC-ELISA 방법이 C. muytjensii에 매우 민감하고 효율적 이며, 신속하고 용이한 검출을 위한 진단 키트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11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zyme and yeast extract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parameters in Hanwoo steers. A total of forty-eight 23-month-old Hanwoo steer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545.25±12.60 kg,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e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Hanwoo steers housed in four heads group per pen. The treatments comprised of four groups of control (no feed additives), treatment 1 (xylanase, cellulase, and gluco-amylase; 0.1%/concentrate), treatment 2 (β-glucan and mannan-oligosaccharide; 0.1%/concentrate), and treatment 3 (treatment 1+2; 0.1%/concentrate). During the fourth and eighth month,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s improved in treatment 1, but in the control this was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p<0.05). Real-time ultrasound was used for measuring the live carcass traits (longissimus muscle area, back 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and the better result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treatment 1 > treatment 3 > treatment 2 > control, and extended to carcass grade. White blood cell indices were lower in treatments 2 and 3 and the IgG indic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in other treatments. As a result, levels of xylanase, cellulase, and gluco-amylase were increased from the fourth month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live carcass traits. Durin
        4,300원
        11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뽕잎차와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가 ICR mouse의 체중과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류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대조군(NC), 고지방식이 대조군(HC), 뽕잎차 분말을 2% 혼합한 고지방 식이군(UM), 발효 뽕잎차 분말을 2% 혼합한 고지방 식이군(FM)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증가량에 있어서는 HC군의 주당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비해 2.13배로 높았으나, UM군과 FM군은 NC군의 1.80 및 1.67배로 체중증가량이 크게 완화되었다. 장기 중량은 고지방 식이군에서 증가되었던 간의 중량은 UM과 FM군에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신장의 경우에도 NC군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고환 주변 지방의 함량은 UM과 FM군의 경우 모두 고지방식이로 현저하게 증가된 지방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는 FM군에서 현저하였다. ALT 활성은 HC군이 NC군에 비하여 2.56배나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UM군과 HC 간의 유의차는 보이지 않으나 FM군은 HC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TG, TC, LDL-cholesterol의 함량 및 동맥경화지수(AI)는 HC군은 NC군에 비하여 각각 18.42%, 39.59%, 212.56% 및 230.70%가 증가하였으며, HDLcholesterol 함량은 17.84%가 감소하였다. UM군의 TG, TC, HDL- 및 LDL-cholesterol 함량은 HC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FM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동맥경화지수도 HC군 2.63, UM군 2.09, FM군 1.70으로 FM군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 TG 함량은 UM 및 FM군이 HC군에 비하여 25.18∼25.72%가 감소되었으며,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에서도 TG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Glutathione(GSH)의 함량은 FM군이 UM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lipid peroxide(LPO)의 함량은 UM군과 FM군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49.82% 및 44.52% 감소하였다. Xanthine oxidase(XO) 활성은 UM군과 FM군에서는 HC군에 비하여 각각 38.41% 및 53.62%가 감소하였다. SOD 활성은 UM과 FM군 모두 NC군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Glutathione S-transferase(GST)활성은 UM군과 FM군은 고지방 식이에 의해 감소된 HC군의 활성을 14.81∼23.46% 증가시켰다. Glutathione peroxidase(GPX) 활성(NADPH nmole/min/mg protein)은 고지방 식이 대조군인 HC군에서의 활성은 NC군의 65.59%에 불과하였으나, UM군과 FM군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22.95% 및 38.52% 증가하였다. 간 조직을 검경한 결과, 고지방 식이 대조군인 HF군에서는 간 조직 세포가 지방 방울의 축적에 의해 확장되어 간굴모세혈관(hepatic sinusoids)이 폐쇄된 상태였다. 하지만, UM군과 FM군에서는 중심정맥 주위의 세포들이 정상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으며, 간 소엽의 간세포삭과 간 조직 세포 내에 지방방울의 축적이 보이긴 하나 구분이 가능하며, UM군에 비하여 FM군 쪽의 간 손상이 보다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M.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는 정상식 이군에서는 간 조직 손상과 관련된 LPO의 함량을 경감시키는 효과와 함께 경미한 체중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고지방 식이에 의한 비정상 생리 상태에서는 비만 해소와 ROS 생성계효소의 저해와 소거계 항산화 효소의 활성화를 통한 간 기능 증진과 조직 손상을 예방 또는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114.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D-rat에 대조구(Control), 고 콜레스테롤(HC), 3.5% 펙틴-가수분해 효소(Viscozyme L)로 처리된 토마토 케이크(ETC) 를 각각 4주 간 급이하였다. 첫 일주일에는 HC-급이군의 체증 증가가 151.7%로 유의적 증가를 보였지만(p<0.05), ETC- 급이군의 경우는 115.4%를 보였다. Control- 및 ETC-급이군의 사료 효율은 각각 0.236±0.041 및 0.447±0.030으로 HC-급 이군의 경우(0.355±0.034)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ETC-급이군의 신장 및 부고환의 지방체는 각각 0.303 및 0.274 g 씩 감소하였다. HC-와 ETC-급이군 간의 혈청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HDL- 및 LDL-콜레스테 롤 수치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ETC-급이군의 경우 2주 급이시 ABTS radicals로 평가한 총 항산화 활성은 약 1.1배 높았으며, 2 및 4주간 급이시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각각 2.5 및 1.3배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15.
        201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세유체시스템 내부에 효소가 고정된 PEG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어레이를 이용한 알코올 감지 바이오센서 제작에 대한 방법을 소개한다. 모델 알코올인 에탄올은 알코올 옥시다아제(Alcoholoxidase,AOX)를 포함한 PEG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어레이에 의해 광학적으로 분석되며, 다중의 미세채널구조를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농도의 알코올을 측정할 수 있다. 에탄올과 알코올 옥시다아제와의 효소촉매작용을 통해 H2O2이 생성되며 이는 페록시다아제 (Peroxidase,POD)와 반응하여 무색의 Amplex Red reagent를 붉은 형광을 띄는 resorufin으로 바꿔준다. 결과적으로 형광측정을 통해 에탄올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H2O2의 생성이 많아지고 resorufin의 형광강도가 강해지는 메카니즘을 통해 손쉽게 측정이 가능하다. 여섯줄의 미세유체채널을 포함하는 미세유체시스템 내부에 각각 에탄올에 반응하는 알코올 옥시다아제가 고정된 PEG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어레이를 제조하고 체내의 에탄올 농도인 1.0∼10mM을 반응시켜 형광변화를 통한 동시 측정이 가능한 바이오센서를 제작하였다.
        4,000원
        11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in vivo hair growth effects of Dansam-Samultang. A total of 40, six-week-old C578L/ 6 male mice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10 in each group): Control (C, distilled water), Positive control (PC, minoxidil 3%), Experimental I (El, Dansam-Samultang ethanol extact 2%), and Experimental 2 (E2, Dansam-Samultang toner type 2%). Samples (150 t`l) were applied percutaneously on the back, once a day, six days a week, for four weeks. Water and feed conswnption, and body weight were measured once a week, in addition, macroscopic hair growth was observed once a week. On the second and fourth week, we took skin tissues after an autopsy, and measured the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 -glutamyl transpeptidase (r -GT) enzyme activity, and mRNA development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fl I (TGF-fl 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water and feed consumption,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In a macroscopic observation, hair growth effects showed in order of PC, El, E2, and C groups. Both ALP and 7 -GT enzyme activity showed significant increase (p<0.05) for the PC, El and E2 groups, compared to the C group. En the mRNA gene expressions of hair growth factors, IGF-1 and VEGF. were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PC, El and E2, compared to that of the C group, but significantly lower (p`<O.O5) in the mRNA expression of inhibitory factor, TGF- fi 1. From these results, it is estimated that Dansam-Samultang has positive effects on hair growth or hair loss prevention.
        4,000원
        117.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 가공식품 부산물의 효소 처리로 인한 단백질과 식이섬유, 색도의 차이는 시료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Gravimetric method와 Kjeldahl method 간에 단백질 함량의 차이가 조금씩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지만, 전체적으로 두 값의 패턴이 같은 것으로 보아 이 두 가지 단백질 측정 방법간에 유의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였고, 두 값의 비교를 통해 단백질 함량의 변화를 더욱 자세히 비교 할 수 있었다. 주박의 경우 다른 효소보다 Termamyl이 단백질 함량을 높이는데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효소를 혼합하였을 때 그 시너지 효과가 두드러졌다. 특히 세가지 효소를 모두 혼합하였을 경우 가장 좋은 시너지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식이섬유의 경우 Termamyl 단일효소를 처리했을 경우가 식이섬유 함량을 높이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탈지미강의 경우 역시 Termamyl이 가장 효율 적으로 나타났고 주박과 비슷한 패턴을 보여, 역시 혼합효소로 시너지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식이섬유 함량의 경우, Termamyl 처리를 했을 때 약한 증가 경향을 보인 반면, 다른 효소 처리로 인한 식이섬유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시럽박의 경우 초기 단백질 함량이 높아서 단백질 함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최적의 효소라고 평가할 만한 효소를 찾을 수 없었고, 시너지 효과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식이섬유의 경우 효소 처리로 인해 상당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Viscozyme 처리로 인한 식이섬유 함량은 큰 증가를 보였으나, 시너지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118.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단백질을 효소분해하여 제조한 배양액으로 천연조미소재로 사용할 효모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 공정조건을 조사하였다. 쌀단백질(5%, w/w)을 단백분해효소인 Delvolase®로 효소분해한 상등분획에 3%(w/w) 수준으로 포도당을 첨가한 배지 조건이 가장 적절하였으며 이 조건에서 2.3 g/L의 효모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효모에는 RNA가 188.1 mg/g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GMP 및 IMP는 각각 650.33±48 μg/g, 69±21 μg/g 함유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효모추출물에 효모배양액의 제조 후 남은 쌀단백질 잔사의 효소분해물(Rrh)을 혼합하면 감칠맛이 상승하였는데 미각센서 분석기로 측정한 결과 효모추출물의 감칠맛이 4.88에서 Rrh의 첨가 후에는 9.25로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에서도 감칠맛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효모추출물에 쌀단백질 잔사의 효소분해물이 추가되면 효소분해 과정 중 생성된 다양한 맛 성분으로 인해 감칠맛이 상승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아지므로 천연조미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1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mino acids complex and choline supplementation on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Hanwoo (Korean cattle) beef. Fifteen months-old-Hanwoo steer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and fed on a basal diets with or without amino acids complex (≥25% L-lysine monohydrochloride+≥8% DL- methionine)+choline (≥25% choline chloride) for 12 months. After slaughter, the M. longissimus from carcasses were stored at 4℃ for 7 days.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total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were found to be unaffected by supplementation of amino acids+choline. After 2 days of storage, significant decline (p<0.05) in lipid oxidation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was observed when supplemented with amino acids+choline. However, supplementation of amino acids+choline maintained meat color as indicated by higher CIE L* (Lightness), a* (Redness), b* (Yellowness) and C* (Chroma) values during storage. It was therefore concluded that supplemental amino acids+choline could stabilize the lipid oxidation stability and meat color in Hanwoo beef.
        4,000원
        12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annanase, cellulase and xylanase-producing thermophilic bacteria, designated EJ3, was isolated from fresh spent mushroom (Pleurotus eryngii) substrates taken from the DOJUN farm located in Keyongnam, Korea. The isolate EJ3 was facultatively anaerobic and grew at temperature ranging from 20℃ to 60℃ with an optimal temperature of 37℃. The DNA G+C content of the isolate EJ3 was 45 mlo%. The major fatty acids were anteiso-15:0 (38.9%), 17:0 (7.4%), and iso-15:0 (38.2%). The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between the isolate EJ3 and other Bacillus strains varied from 97% to 99%. In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se sequences, the isolate EJ3 and Bacillus subtilis clustered within a group and separated from other species of Bacillus. Based on the physiological and molecular properties, the isolate EJ3 was classified within the genus Bacillus as Bacillus subtilis EJ3. The optimal growth condition of B. subtilis EJ3 were pH 6.0 and 55℃,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