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analyze crude protein, amino acid and bioactive changes in Phellinus linteus HN00K9 cultured oat.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P. linteus cultured oat (PCO) was 12.9%,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uncultured oats (UCO) as control at 11.26%.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of PCO and UCO were 11,4 mg/100 g and 9,686.205 mg/100 g, respectively. Glutamic acid accounted for 21% of the total amino acids of PCO, and the histidine content was increased by more than 51% in PCO compared to UCO.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PCO was 275 mg GAE/g, which was more than twice that of UCO (135 m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15.5% in PCO, which was more than five times that of UCO (3.5%). The β-glucan content of PCO was 12.5 g/100 g, which was more than five times that of UCO (3.2 g/100 g).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PCO can be utilized as a material for various functional foods.
Supplementing feed components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increased shipping costs, decreased capture efficiency, and global warming. For this reason,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globally to find alternative protein sources. The black soldier fly (BSF; Hermetia illucens) is an important feed item for nutritional accumulation and has environmental consequence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level of the substrate, but most of these studies have involved modifying the substrate materi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deal crude protein(CP) content of a substrate for BSF rear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separated into three CP levels (low, 13.5%; medium, 20%; high, 26.5%) in the substra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SF weight (6.46%) and protein conversion ratio (1.13%) increased as the substrate CP level increased (p<0.05). In addition, protein (14.38%) and lipid (13.12%) yield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e BSF CP level increased as the substrate CP level increased (p<0.05). CP levels in the substrate upregulated the levels of certain fatty acids, essential amino acids,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p<0.05). In conclusion, the potential values of BSF as feed were improved as the CP level of the substrate increased;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edium and high CP levels in the rearing substrat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ubstrate CP level should be at the medium level for optimal product quality. In conclusion, BSF quality is influenced by substrate nutrient levels, necessitating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substrates for effective rearing.
In this study, the protein content and functional changes in soybeans cultured with Phellinus linteus HN00K9 were analyzed. P. linteus HN00K9 was cultured on soybeans. The crude protein content in soybeans cultured with HN00K9 (PMS) was 41.99%,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soybeans not cultured with the mushroom (UCS).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in PMS increased to 39,963 mg/100 g,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UCS (36,817 mg/100 g). In particular, in PMS, glutamic acid accounted for 18.5% of the total amino acids at 7,413 mg/100 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PMS was 2.66 mg GAE/g, which was more than 45% higher than the amount in UCS (1.45 mg GAE/g). Additionally, PMS showed a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33.3%, which was 3 times higher than that exhibited by UCS (11.5%), reflecting its high antioxidant content. Therefore, the PMS in this study has potential for use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Protein can be provided by cultivating various microbes, which contain more than 30% protein content by cell dry weight. This study compared intracellular protein concentrations of various wild-type yeasts from different sources to select the best yeast strain with high protein concentration. Among them,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34709, used for molasses fermentation, exhibited 4.1-fold higher protein concentration than a laboratory yeast strain, S. cerevisiae D452-2. In this study, an approach consisting of random mutagenesis coupled with the Bradford protein assay-based screening method was applied to enhance the S. cerevisiae KCCM 34709 protein content. Among 1,000 mutants, the #180 mutant strain produced 5,041±519 mg/L total amino acid in 48 h, which was 31% higher than the parental S. cerevisiae KCCM 34709 strai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180 mutant strain can be an attractive cell factory for animal-free protein production.
본 연구는 Tetraselmis suecica와 T. tetrathele의 영양물질 증진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배양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발광다이오드 (LED)의 파장별(청색; 450 nm, 황색; 590 nm, 적색; 630 nm)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두 종 모두 단백질 비율(42~69%)이 가장 높았으며, 생장속도가 낮았던 황색파장에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의 높은 함량을 보였고, 생장속도가 가장 높았던 적색파장에서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세포 분열 속도의 감소로 인해 단백질 합성과 함께 세포의 화학적 조성과 효소 활동에 변화를 주어 지질과 탄수화물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T. suecica와 T. tetrathele의 유용한 생화학적 물질의 증대를 위해 대수생장기 초 기와 중기는 적색 LED 그리고 대수생장기 후기에는 황색 LED를 주사하는 2단계 LED 배양을 제안하였다.
1913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육성된 172품종에 대한 종실의 단백질, 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의 변이는 다음과 같다. 총 단백질 함량의 평균은 38.6%(31.6~45.3%), 지방함량의 평균은 18.4%(15.3~21.5%), 포화지방산 중 Palmitic acid의 함량은 평균11.11%(8.1~13.5%), Stearic acid의 함량은 평균 3.7%(1.9~5.4%),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의 함량은 평균 26.4%(13.1~41.8%), Linoleic acid의 함량은 평균 50.9% (37.2~63.0%), Linolenic acid의 함량은 평균 7.6%(5.7~9.8%), Linoleic(ω-6)/Linolenic(ω-3)acid의 비율은 평균 6.8(5.3~8.9)이여서, 포화지방산이 평균 14.8%(10.8~17.6%), 그리고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평균 84.9%(79.9~88.7%)이었다.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45.3%로 새단백콩이었으며, 지방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21.5%를 함유한 늘찬콩이었다. 고 Oleic acid 함량인 동시에 저 Linoleic acid 함량인 검정콩1호는 양질의 지방산을 함유한 매우 유용한 품종이었다. 용도에 따른 단백질, 지방 지방산의 평균함량 중 단백질의 함량은 풋콩 및 올콩용 품종이 가장 높았고, 지방 함량은 장류용 품종이 가장 높았으며, 포화지방산은 장류용품종이 가장 낮았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풋콩 및 올콩용 품종이 가장 낮았다. ω-6/ω-3의 비율은 밥밑용 품종이 가장 낮았다. 종피색에 따라서는 단백질 함량은 녹색콩이 가장 높았으며 지방함량은 황색콩이 가장 높았다. 포화지방산은 황색콩과 검정콩이 가장 낮았으며, 불포화 지방산은 갈색콩이 ω-6/ω-3의 비율 또한 갈색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The effects of chemical compositions (protein, lipid, and dietary fib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dried biji powders were investigated. The raw biji was freeze-dried (control) and hot-air dried (untreated). The untreated biji was further defatted and deproteinated. The prepared biji powders were analyzed for the proximate composition, total dietary fiber (TDF), water absorption index (WAI), water solubility index (WSI), swelling power, solubility (including the quantification of soluble carbohydrate and protein fractions), and final viscosity (using a rapid visco analyzer). Control and untreated biji powders exhibited the similar chemical compositions. The defatted biji possessed higher TDF, although its protein conten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or control and untreated ones. The deproteinated biji consisted mainly of TDF. WAI and swelling power increased in the order: deproteinated > defatted > control > untreated biji powders. WSI and solubility increased in the order: control > untreated > defatted > deproteinated biji powders. The similar patterns were observed for soluble carbohydrate and protein fractions. The deproteinated biji revealed the highest viscosity over applied temperatures, while the untreated one was lowest.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dried biji powder were reduced by protein and fat, but enhanced by dietary fiber.
산성토양의 한계지역은 인도네시아에 많이 분포해 있다. 하지만, 산성토양과 관련된 낮은 pH와 영양소는 콩 생산성의 제한요인이 된다. 따라서 콩의 식품 활용성을 위해 양분소와 생리활성성분에 대한 정보가 산성토양에 내성인 콩 품종과 함께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산성토양 내성 콩 유망계통 20개의 단백질, 지방, 지방산, 이소플라본 함량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Tgm/Anj-888, Tgm/Anj-862 및 Tgm/Anj-858 등 3개의 계통에서 단백질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5% dry weight=dw). 지방함량은 16.85~21.20% dw의 범위를 보였으며, 단백질함량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0.64). 콩 지방은 평균적으로 팔미트산 9.42%(C16:0), 스테아릭산 2.77%(C18:0), 올레산 43.93%(C18:1), 리놀레산 38.53% (C18:2) 및 리놀렌산 5.35%(C18:3)으로 구성되었다. 총 10종류의 이소플라본이 분류되었으며, 주요성분은 말로닐-제니스틴 (29.49%)으로 그 뒤를 이어 말로닐-다이드진(19.04%), 글리시틴(16.70%)으로 밝혀졌다. 이소플라본 함량은 Tgm/Anj-995계통(2,130.2μg/g dw)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이어 Tgm/ Anj-784계통과 Tgm/Anj-832계통(각각 1,719.9 μg과 1,710.0 μg/g dw)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영양소 정보는 육종가들이 산성토양에 내성인 새로운 콩 품종을 보급하는데 있어 작물 특성의 보완적인 자료로서 유용할 것이다.
쌀 가공식품 부산물의 효소 처리로 인한 단백질과 식이섬유, 색도의 차이는 시료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Gravimetric method와 Kjeldahl method 간에 단백질 함량의 차이가 조금씩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지만, 전체적으로 두 값의 패턴이 같은 것으로 보아 이 두 가지 단백질 측정 방법간에 유의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였고, 두 값의 비교를 통해 단백질 함량의 변화를 더욱 자세히 비교 할 수 있었다. 주박의 경우 다른 효소보다 Termamyl이 단백질 함량을 높이는데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효소를 혼합하였을 때 그 시너지 효과가 두드러졌다. 특히 세가지 효소를 모두 혼합하였을 경우 가장 좋은 시너지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식이섬유의 경우 Termamyl 단일효소를 처리했을 경우가 식이섬유 함량을 높이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탈지미강의 경우 역시 Termamyl이 가장 효율 적으로 나타났고 주박과 비슷한 패턴을 보여, 역시 혼합효소로 시너지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식이섬유 함량의 경우, Termamyl 처리를 했을 때 약한 증가 경향을 보인 반면, 다른 효소 처리로 인한 식이섬유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시럽박의 경우 초기 단백질 함량이 높아서 단백질 함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최적의 효소라고 평가할 만한 효소를 찾을 수 없었고, 시너지 효과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식이섬유의 경우 효소 처리로 인해 상당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Viscozyme 처리로 인한 식이섬유 함량은 큰 증가를 보였으나, 시너지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에서 미량요소 Fe, Mn, Cu 및 Zn의 systematic variation 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및, 양분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 양 시비한 조건에서 Fe/Cu(시험군-1), Mn/Zn(시험군-2) 및 Fe+Cu/Mn+Zn(시험군-3)의 처리는 systematic variation 방법으로 시험군별 총 시비량을 각각 0/100, 25/75, 50/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및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및 식생구성비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 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 대조구, ; Fe, ; Fe+Mn, ; Fe+Mn+Cu, ; Fe+Mn+Cu+Zn, ; Fe+Mn+Cu+Zn+Mo 및 ; Fe+Mn+Cu+Zn+Mo+B로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미량요소 붕소(B)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상, 뿌리/근류 형성, 수량성, 영양성분/무기양분의 함량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다양 및 미량요소 시비를 동일하게 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처리: 1) ; 0.0, 2) ; 0.2, 3) ; 2.0. 4) ; 6.0, 5) B; 15.0me B/pot로 glasshouse에서 시험으로 수행하였다.
Carbohydrate and soluble protein reserves and regrowth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cutting height were investigated over four regrowth cycles of turf-type perennial ryegrass(Lolium perenne L. cv. preludeII). When the plants were at the full-veget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