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1.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goat meat hot water extracts and the changes in apoptosis-related protein expression levels in the cancer cells treated with these extracts. Goat meat hot water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cuts of goat meat, including foreleg, hindleg, loin, and rib. Among these extracts, the foreleg and hindleg extracts displayed higher (P<0.05)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other two extracts.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BAX, p53, and p21 were not different in the cells treated with the extracts from different cuts, regardless of the cell type. Only p53 expression in HT-29 cells was elevated (P<0.05) after loin extract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oxidant activity and apoptosis-related effects of goat meat hot water extract varied with cut of meat under in vitro conditions. Because all data was obtained from the in vitro experiment, the ability to generalize conclusions is limited. Additional in vivo studies are necessary.
        4,000원
        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such as its salinity, pH, and acidity, were measured and compared, and the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were used to show the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The kimchi samples used herein included standard kimchi (SK), turnip kimchi (TK), and turnip-powder-added kimchi (TPK). The measured pH and acidity of TK and TPK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ose of SK. Compared to SK and TK, TPK had higher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higher total flavonoid content, confirming its antioxidant activity. The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rates of TK and TPK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K. In HT-29 cells treated with TPK, the mRNA expression of Bcl-xL, an anti-apoptosis-related gene, was lower, and the mRNA expressions of the apoptosis-related genes Bax, Bad, and caspase-9 were higher. TPK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mRNA expressions for the cell-cycle-related genes p53 and p21 than the other samples, in addition to suppression effects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Compared to SK, TK and TPK suppressed the growth of colon cancer cells and showed higher anticancer effects. Therefore, it is shown that kimchi with added turnip powder had high anticancer effects.
        4,000원
        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품 중의 하나로 최근 다양한 생리 활성 효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다양한 버섯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새송이 버섯과 팽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독성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새송이버섯과 팽이버섯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19.60±0.10 mg/g 과 22.28±1.10 mg/g으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5.21±1.31, 20.51±4.52였다. 2.5, 5.0, 7.5, 10.0 mg/mL 농도에서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새송이버섯과 팽이버섯 각각 2.5 mg/mL의 농도에서 7.98±0.58, 8.71±0.45였고, 10 mg/mL 농도에서 각각 35.35±0.52, 39.39±0.26으로 고농도에서 높은 DPPH 라디컬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환원력은 1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1.417±0.011, 1.171±0.006으로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광도 값도 증가하여, 높은 환원력을 보여주었다. 새송이버섯 추출물과 팽이버섯 추출물의 인간 정상 신장세포 HEK293으로 본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추출물 모두 80%의 생존력을 나타내어 독성이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위암세포, 유방암세포 및 간암세포에서 암세포 성장억제율이 높게 나타나 항암 효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000원
        4.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tumor potential of the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cv. DangZo), total polyphenol con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tumor properties were measur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70% ethanol extracts from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cv. DangZo) was 30.29 mg gallic acid equivalent/g extract. The DPPH radica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f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cv. DangZo) were documented at 2.87 and 10.55, respectively. For α-glucosidase and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70% ethanol extracts of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cv. DangZo) were documented at 35.67% and 58.41% respectively. The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cv. DangZo) demonstrated greater capability in terms of anti-neoplastic activity vis-a-vis colon cancer cell lines when compared to other cancer cell lines.s. er (Capsicum annuum L. cv. DangZo) higher activities of anticancer activities on colon cancer cell lines compared to other cancer cell lines.
        4,000원
        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esalpinia sappan L. is an oriental medicinal plant distributed in the Asia Pacific region including India, Malaysia, and China. The dried heartwood of Caesalpinia sappan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n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drug.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extract methods of C. sappan on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 activity were evaluated. As a result, hot water extract from C. sappan (CSWE) significantly exhibited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22.6 mg GAE/g and 14.5 mg QE/g) higher than 70% ethanol extract (CSEE) (17.6 mg GAE/g and 13.2 mg QE/g). However, CSEE showed greater antioxidant activity than CSWE in both DPPH and ABTS. Also, the cytotoxicity of C. sappan against three kinds of cancer cell lines was higher in CSEE than in CSWE. These results show that ethanol extract is a better extract method than hot water method to maintain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4,000원
        6.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Cisplatin is a well-known platinum-containing anti-cancer drug against bladder, ovarian, lung and testicular cancer. However, the potential effects and molecular targets of cisplatin in human mucoepidermoid carcinoma (MEC) are not fully understood. Here, we investigated the apoptotic effect and underlying mechanism of cisplatin in human MEC cells. Methods: The potential effects of cisplatin were evaluated by trypan blue exclusion assay, Western blotting,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staining, live/dead assay and immunocytochemistry. Results: Cisplatin suppressed cell growth and enhanced expression of cleaved PAPR in MC3 and YD15 cells. Cisplatin caused morphological change of nuclei and increased the number of ethidium homodimer-1-stained cells. In addition, cisplatin commonly increased Bax activation in both cells, while other Bcl-2 family proteins were not affected.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isplatin might induce apoptosis by activating Bax protein, which would provide baseline data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treatment strategy against MEC.
        4,000원
        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목(蘇木, Caesalpinia sappan)은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남부 등의 열대 아시아에 분포하는 낙엽 관목의 콩과 (Leguminosae) 식물로써, 한방에서는 항통증, 항염증의 용도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소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레페놀,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분석과 함께 항산화 및 항암활성 분석을 통해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목 열수추출물은 건소목 100 g에 증류수 2L를 가하여 65℃의 수조에서 4시간 동안 추 출하고 에탄올 추출물은 건소목 100 g에 70% 에탄올 2L를 가하여 25℃, 108 rpm으로 24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모두 여과,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시료로 사용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에서 각각 22.64 ± 1.97mg/g과 17.62 ± 0.70mg/g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4.53 ± 0.31mg/g, 13.15 ± 0.46mg/g으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DPPH 실험결과, 10~800 μ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36.54~82.78%, 열수추출물은 26.66~75.51%의 라디칼소거능을 각각 나타내었다. DPPH실험과 동일한 농도에 서 ABTS 라디칼소거능 측정결과, 에탄올 추출물은 5.51~94.85%, 열수 추출물은 5.75~88.81%의 소거능을 각각 나타내 었는데, 결과적으로 소목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P<0.05). 소목의 항암 활성 측정을 위해인체 암세포주인 A-549, HeLa, Hep3B에 대해 MTT assay와 SRB assay를 실시한 결과, 소목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 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MTT assay와 SRB assay의 모든 실험농도에서 폐암 세포인 A-549에 대해 가장 높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MTT assay에 서는 300 ppm의 소목 에탄올 추출물이 A-549 세포에 대해 90% 이상의 높은 암세포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과 항암 활성을 나타낸 소목 추출물은 향후 다양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8.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은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품으로 많은 연구들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버섯 중에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느타리버섯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느타리버섯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0.2±0.7 mg%와 20.4±0.6 mg%로 나타났다. 0.625, 1.25, 2.5, 5 mg/mL 농도에서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0.625의 농도에서 4.5±0.1%, 1.25의 농도에서 11.0±0.4%, 2.5 mg/mL 농도에서 23.2±0.1%, 5.0 mg/mL 농도에서 44.1±0.6%의 결과를 보였다. 환원력은 5 mg/mL의 농도에서 1.648±0.047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보여주어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광도 값도 증가하여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의 인간 정상 신장세포 HEK293을 이용한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 80.5%의 생존력을 나타내어 독성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한편, 이들 버섯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한 간암세포 생육 저해능의 결과는 최고 5 mg/mL의 농도에서 70.0± 5.3%의 세포 생존력을 나타내어, 암세포 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험에서는 꽃송이버섯 (Sparassis crispa, formerly S. crispa) 에탄올 추출물의 소수성 분획을 분리하고 각 분획의 DPPH 항산화 활성과 위암 (AGS), 폐암 (A529), 간암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항암 활성을 MTT assay 를 통해 확인 하였다. SOCC를 사용하여 총 18개의 fraction으로 분획하였고 TLC와 세포주를 이용한 항암 활 성 확인을 통하여 5개의 fraction으로 압축하였다. 항암 활성이 높은 5개의 fraction은 HPLC-MS를 통해 각 분획 물을 분석한 결과 항산화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약 181.0의 분자량을 가진 물질이 지표물질로 확인되었으므 로 이 물질의 화학식 동정을 위하여 추가실험이 필요하다. 세포주를 이용한 항암실험 결과 꽃송이버섯 추출물은 위 암 (AGS), 폐암 (A529), 간암 (HepG2) 세포주 모두에서 양성대조군인 paclitaxel보다 낮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 주 었으며(IC50 value), 이것은 추후 꽃송이버섯 추출물에 포 함된 항암 물질 분리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 결과로서 무 척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4,000원
        1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꼬마리의 뿌리와 열매 부위별 항산화 활성의 검증을 통해 유효 생리활성 성분이 많은 부위를 탐색하고자 뿌리와 열매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물질, 라디칼 소거능, in vitro에서 항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뿌리보다는 열매 부위에 6 배 가량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ABTS, DPPH,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뿌리에서 IC50% 6.02, 1.29, 3.88 ㎎/㎖ 이며, 열매에서는 0.81, 0.16, 0.44 ㎎/㎖로 열매에서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항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방암세포 (MCF-7), 위암세포(AGS), 폐암세포(A-549), 인체대장암세포 (HCT-116), 간암세(Hep-G2) 및 전립선암(PC-3)에 처리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한 결과, 도꼬마리 열매와 뿌리 부위에 0.5 ㎎/㎖ 농도에서 각각 26%, 36% 전립선 암세포 성 장 억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an anti-tumor activity on crude extracts of Oplopanax elatus. Water extractions of Oplopanax elatus were performed at 100℃(OeE-100). OeE-100 doses up to 62.5 ㎍/㎖ had no cytotoxicity on the tumor cell lines in vitro. In experimental lung metastasis of colon26-M3.1 carcinoma or B16-BL6 melanoma, the prophylactic intravenous (4~100 ㎍/mouse) or oral (2 ㎎/mouse) administration of OeE-100 significantly inhibited tumor metastasis as compared with tumor controls.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with OeE-100 produced various cytokines such as TNF-α, IL-6 and IL-12. In an analysis of NK-cell activities, i.v. administration of OeE-100 (10~100 ㎍/mouse) significantly augmented the cytotoxicity to YAC-1 tumor cells. Vaccination of mice with boiling-treated tumor cells (BT-vaccine) in combination with OeE-100 (100 ㎍/mouse) showed higher inhibitions in tumor metastasis when compared with the mice of BT-vaccine treatment. In addition, the splenocytes from OeE-100 admixed BT-vaccine immunized mice secreted a higher concentration of Th1 type cytokine such as IFN-γ.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eE-100 stimulated immune system and was a good candidate adjuvant of anti-tumor immune responses.
        4,000원
        1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ucoidan on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and on induction of apoptosis in AGS cell. To measure the activity of macrophages, NO and TNF-α assays were performed in Raw 264.7 cell. Treatment with fucoidan significantly increased production of NO and TNF-α, indicating activation of macrophages. The result of MTT assay shows that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Fucoidan increased to enhance mitochondrial membrane permeability, as well as the cytochrome c release from the mitochondria. Fucoidan decreased Bcl-2 and XIAP expression, whereas the expression of Bax was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 control. In addition, the active forms of caspase-9 were increased, and the inactivation of Akt was de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Caspase inhibitor, z-VADFMK, canceled the apoptosis of fucoidan, expression of Bax and caspase-9 were decre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ucoidan induces activation of macrophage and apoptosis through activation of caspase on AGS cell.
        4,000원
        1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potential of Humulus japonicu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tumor activities were measure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Humulus japonicus were 30.13±1.13 and 13.61±0.49 ㎎ gallic acid equivalent/g extract, respectively. DPPH radica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Humulus japonicus were 60% and 35%, respectively. The Humulus japonicus higher activities of anticancer activities on liver cancer cell lines compared to other cancer cell lines.
        4,000원
        14.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judae)은 오래 전부터 식용 및 약용의 재료로 사용한 대표적인 버섯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이버섯 70%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용매별 분획물(디클로르메탄층, 에틸아세테이트층, 부탄올층)을 얻은 후에 비교항암활성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목이버섯 70% 에탄올추출물과 이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다양한 용매 분획물(에탄올, 디클로르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의 항암활성을 표준암세포주인 P388D1 macrophage와 Sarcoma 180 cell에서 항암활성을 비교하였다. 측정된 두 종류의 암세포주에서 각각의 용매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인 (0.01 - 0.3 mg/ml) 항암활성을 관찰하였다. 모든 종류의 용매 분획물에 대한 항암활성은 MTT 방법과 SRB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Sarcoma 180 세포주에서 디클로르메탄 분획물의 항암활성(IC50)은 94.2 μg/ml로 다른 용매 분획물보다 강력한 항암활성을 보였다. 디클로르메탄 분획물의 항암활성은 고형암을 유발한 BALB/c mice에서도 확인하였다. 암이 유발된 mice에 디클로르메탄 분획물을 경구투여한 후 비장종대와 splenic index (비장무게 mg/체중 kg)을 본 결과 음성대조군의 그것들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디클로르메탄 분획물에는 고형암을 제거하는 강력한 항암성분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목이버섯추출액이 다른 약용버섯 및 토종야생식물과 비교시 어느 정도의 항암효과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목이버섯, 마른진흙버섯, 영지버섯 및 100 종류의 토종야생식물의 항암활성은 P388D1 macrophage 세포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목이버섯 추출물은 1 mg/mL 농도에서 44.21% 암세포성장의 억제를 보였고, 마른진흙버섯은 39.46%, 영지버섯은 36.64% 암세포성장 억제를 보였다(P<0.05). 토종야생식물중에서 새뽕나무, 꽃다지, 땅채송화, 벌노랑이 및 목이버섯 70% 에탄올 추출물은 고농도인 3 mg/mL 농도에서 암세포 생존율이 41.85%, 37.31%, 30.29%, 31.98%, 그리고 25.40로 IC50는 1.81, 1.49, 1.05, 1.10 그리고 0.72 mg/mL으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목이버섯 추출물, 4종류의 토종야생식물추출물, 마른진흙버섯 추출물, 영지버섯 추출물 모두 비슷한 정도의 항암활성이 관찰되어 목이버섯 새로운 항암활성 탐색 후보 재료가 될 수 있다.
        15.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cancer activity of glucosinolates against four different cancer cells; SNU-251, SNU-354, SNU-C4, MCF-7 and to determine the amounts of glucosinolates in mustard leaves. Green and red mustard leaves were cultivated on the field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rom May to July, 2010. After the leaves were harvest and lypophilized, the fine powder was extracted with boiling 70% methanol(v/v) for the measurement of anticancer activity and then applied to the cancer cells obtained from Korean Cell Line Bank(KCLB). The anticancer activity of red leaf mustard was higher than that of green mustard leaf, particularly in SNU-251 for 24 hr and in SNU-C4 for 48 hr. In both green and red mustard leaf, sinigrin was the most abundant glucosinolte and was determined as 4.71 and 3.06 ㎎/g dry wt., respectively, but glucoiberin only presented 0.14 ㎎/g dry wt. with minor amounts.
        4,000원
        1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꿀풀과 허브의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항암, tyrosinase 저해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검정한 결과, lemon balm의 leaves 추출물에서 629.48±0.90 mg GAE/g DW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였고, rosemary의 whole 추출물에서 22.45±0.81 mg CE/g DW 로 가장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Rosemary(whole)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21.78±0.68 μg/ml로 대조구인 ascorbic acid(66.49±0.56 μg/ml)보다 3배 정도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Sage의 whole로부터 얻은 메탄올 추출물은 암세포에 세포독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치은섬유아세포에서는 독성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검정한 결과, sage의 whole (56.23±0.21 μg/ml)과 root(63.36±0.69 μg/ml)로부터 얻은 추출물은 대조구인 arbutin(69.56±0.15 μg/m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이들 식물들에 대해 추출용매 및 추출온도 등추출조건에 따른 최적 추출효율을 검토하고, in vivo 실험을 통해 생리활성 능력을 검정하는 등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isplatin(ctr-diamminedichlorop1atium)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anti-cancer drugs being clinically used in the treatment of solid tumors. Despite its therapeutic benefits, its use in clinical practice is often limited because of dose related toxicity. It is known that yeast cell wall beta-glucans possess immuno-modulating properties, which allows for their application in antitumor therapy. 1S2 is a kind of beta-glucan derived from the cell wall of mutated Sacchammyces cerevisiae, which exhibits anti-cancer activity in vitro and in vivo.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ombination therapy of IS2 with cisplatin. In experimental metastasis of colon26M3.1 cells, prophylactic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IS-2 in combination with cisplatin effectively inhibited tumor metastasis compared with cisplatin alone or IS-2 treatment in vivo. IS-2 effectively enhanced Thl type cytokines including IFN-r, IL-2, ILf2 and GM-CSF. Simultaneously, this combined treatment inhibited production of Th2 type cytokines compared with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S-2 can be applied in combination therapy with anti-cancer drugs to minimize their side effects.
        4,000원
        1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Yacon 추출물을 분획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45.53%로 가장 높았고,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의 결과는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각각 65.20%(100 μg/ml), 91.81% (500 μg/ml), 95.06%(1000 μg/ml)와, 11.71%(100 μg/ml), 36.81%(500 μg/ml), 59.70%(1000 μg/ml)로 모든 농도에서 control 보다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저농도에서 23.74%(100 μg/ml), 43.41%(500 μg/ml)로 control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암세포에 대한 성장 저해 활성 측정 결과 SNU-1에 대해 hexane 분획이 23.75%(10 μg/ml), 34.67%(50 μg/ml), 54.21%(100 μg/ml)로 가장 높은 성장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HeLa에 대해 hexane 분획에서 41.38%(10 μg/ml), 50.53%(50 μg/ml), 60.91%(100 μg/ml), butanol 분획에서 17.05%(10 μg/ml), 43.87%(50 μg/ml), 62.99%(100 μg/ml)로 높은 성장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Yacon의 ethyl acetate 분획에서는 항산화 활성, hexane 분획에서는 높은 항암 활성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각 분획에 따라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의 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각 분획 성분에 따라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과 구체적인 성분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기대된다.
        4,000원
        20.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학초 메탄올 추출물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하고 각각의 분획별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 총페놀,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을, 효소 저해 활성으로 XOase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암세포인 HT-29, SNU-1, HeLa 세포에 대한 성장 저해 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EtOAC와 BuOH 분획에서 39.89%, 39.56%로 가장 높았고, 전자공여능 또한 EtOAC 분획에서 92.90% (500 μg/ml), 94.47% (1000 μg/ml), BuOH 분획에서 93.77% (500 μg/ml), 92.90% (1000 μg/ml)로 90% 이상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도 1000 μ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이었으며, XOase 저해활성은 93.06% (EtOAC) 와 91.73% (BuOH)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암세포 성장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hexane 분획에서 가장 높았고 HT-29에 대해 11.63%-90.07%, SNU-1에 대해 16.84%-95.11%, HeLa에 대해 4.44%-96.40%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선학초의 EtOAc, BuOH 분획물은 항산화 활성이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hexane, chloroform 분획은 위암, 대장암과 자궁경부암 치료보조제로서의 개발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