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analyze linguistic form components and research areas expressed in the titles of well-established domestic papers. The titles of well-established domestic academic papers are written using an average of 22 syllables. The sentence form of the title is typically a noun phrase without a subtitle, and in cases with a subtitle, it is in the form of a noun phrase-an adverb phrase. Additionally, the most common foreign word in the title of the paper is “stress,” the most frequently used characters are “AI, MBTI, MZ, and Chat GPT,”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punctuation mark is the comma. The research area is similar to “stress,” which appear frequently among foreign words. The most frequently investigated subject is “nursing college student,” which is expressed using the particle “of(ui).” In terms of the research focus, the word “research” is the most frequently expressed in the title of the paper. The word “Korea” appears frequently in the scope and conditions of the paper, and “centering around(~eul/reul jungsimeuro)” is primarily used to express it. In research theory and technology, “MBTI personality type” appears the most frequently in the title of the paper and is expressed as “based on(~giban).”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nd tools, “big data analysis” appears the most frequently and is expressed as “through(~eul/reul tonghan).”
본 연구는 국내 유통 후 분화 칼랑코에 Kalanchoe blossfeldiana ‘Queen Bell’의 배지 수분함량에 따른 분화품질 및 수명 차이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출하 후 배지 내 수분함량(Substrate moisture content, %)은 매주 관수를 통해 고습(≥90%), 중습 (40~55%), 저습(10~30%) 3수준으로 처리하였다. 분화수명은 저습처리가 고습과 중습처리보다 36.8~42.3% 단축시켰다. 분 화수명 종료증상 중 잎의 황화증상은 저습처리에서 100% 나타 났다. 분화의 초장은 출하 후 분화수명 종료시점인 4주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식물폭은 저습 처리가 고습과 중습 처리보다 13.4~15.4% 낮았다. 전체 꽃눈수와 개화된 꽃수는 1주차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4주차에 저습 처리에서 고습과 중습 처리구보다 낮았다. 개화율(Flowering rate)은 모든 처리구에 서 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저습처리의 출하 대비 개화 율(Flwering compared to shipment)은 3주 이후부터 가장 낮았다. 5주차의 지상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반면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저습 처리가 고습과 중습 처리보다 모두 낮았다. 출하 후 4주차의 잎의 엽록소함량, Fv/Fm, 기공크기변화율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이때, 꽃잎과 잎의 온도는 고습처리에서 중습처리보다 낮았고, 저습처리에서 중습처리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분화 칼랑코에의 출하 후 배 지 내 저습(10~30%)처리는 고습(≥90%)과 중습(40~55%)처리에 비해 분화수명을 단축시켰고, 잎의 황화현상을 증가시켰다. 특히 저습처리는 분화수명 종료 시점에 식물 폭, 전체 꽃눈수, 개화된 꽃수, 출하 대비 개화율, 지하부의 생제중 및 건물중을 감소시켰고, 꽃잎과 잎의 온도를 증가시켰다.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existing overseas-developed allometric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biomass of domestic apple trees (Malus domestica) in South Korea. To assess their suitability, predicted biomass values derived from these equations were compared with actual measurements obtained through destructive sampl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some overseas equa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applied to domestic apple trees, suggesting their potential applicability to local conditions. However, it was also noted that certain equations may not fully captur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pple trees, such as the slender spindle form associated with modern high-density planting practices. Given these finding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new allometric equations that are specifically optimized for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cultivation environments of domestic apple orchards. Such equations would enable more accurate biomass estimation, support agricultural sustainability, and provide reliable data for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future Tier 2-level studies on biomass and carbon sequestration in apple orchards while also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expanding research to include various fruit tree species to develop customized biomass estimation models for enhanced agricultural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본 연구는 2024년 11월 제주 해상에서 발생한 금성 135호 침몰 사고를 중심으로 고등어 대형선망 어업에서의 침몰 사고 원인을 분석하고,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국내 대형선망 어업은 대규모 어획 작업의 특성상 어획물 이동과 복원력 감 소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는 선박 침몰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금성 135호 사고는 대량 어획 작업 중 어획물 이동 과 복원력 상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사고 원인이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음에도 초기 정황과 분석을 통해 주 요 위험 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등선 위치 조정, 자동 장력 조절 장치 및 실시간 하중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그리고 복원성 기준 개선과 같은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안은 하중 이동과 복원력 저하로 인한 사고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대량 어획 작업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금성 135호 사고는 대형선망 어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안전 기준 마 련과 기술적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 방안은 유사 사고를 예방하고 어업 현장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대형선망 어업의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적·기술적 대응책 마련에 중요한 자료를 제 공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근해 선박의 친환경 기술 도입이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정 책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와 정부·기관들은 해양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탄소중립 목표를 달 성하기 위해 다양한 친환경 기술의 적용을 촉구하고 있으며, 특히 연근해 운항 선박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미세먼지(PM)와 같은 주요 오염물질의 저감이 시급한 상황이다. 다양한 대체연료(LNG, 메탄올, 배터리 등)와 후처리기술(DPF)을 시나 리오별로 적용하고, 각 시나리오에서 대기오염물질(PM10, PM2.5)의 배출 감축량을 예측하였다. 분석 결과, 2030년까지는 DPF와 바이오 연료와 같은 즉각 적용 가능한 기술들이 효과적인 저감 수단으로 나타났으며, 2050년까지는 무탄소 연료와 전기 추진 기술의 상용화 가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친환경 기술 도입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해운 분야의 친환경,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정책적, 기술적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부의 지원 및 규제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new grading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to AI-based automatic sorting machines, reflecting curren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rends. The current domestic grading standards for onions in South Korea are based on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Quality Control Act”. They classify onions based on criteria such as uniformity, shape, color, and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Onion grading standard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bulb diameter and weight. However, in the actual domestic market, onions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a five-grade classification based on bulb diameter.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onions into eight grades, reflecting curren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rends in the domestic market. These grades are applicable to AI-based automatic sorting machines. Marketable onions were classified into A1 (extra large) to A5 (extra small) based on the diameter of a single bulb. Onions used for non-marketable purposes (processing) were classified as grade B. Additionally, grade C and grade D were designated for processing and disposal, respectively. By establishing quality grading classifications that align with curren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market trends as well as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I-based automatic sorting machines, we can expect improvements in work efficiency and reductions in distribution costs. Following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comprehensive quality grading standards that include both external criteria (such as bulb weight and size) and internal criteria (such as detection of internal decay and disease occurrence).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in circulation, the indoor air quality in automobile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other possible health concern. However compared to data regarding indoor air quality in other spaces, there are insufficient data on indoor air quality in automobiles. In addition, there is no standard for the evaluation method. In this study,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in the vehicle while driving under real road conditions was analyzed in order to use it as basic data for a method to evaluate vehicle indoor air quality. Through the selection of measurement target materials and test vehicles and the preparation of test methodologies, evaluation was performed on vehicle, route, and HVAC modes.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in the vehicle was the lowest in the RC (In-vehicle recirculation) condi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decreased with time. The highest average concentration was confirmed in the OA (Outside air ventilation) condition, and the concentration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ing HVAC mode was observed in the Auto condition.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side the vehicl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ctors such as season, external concentration, and HVAC conditions, along with a weak correlation to powertrain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methods for evaluating vehicle interior air quality in future work.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of major domestic feed sources for Hanwoo. Five feed sources mainly used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corn meal (CM), soybean meal (SM), wheat flour (WF), palm kernel cake (PKC), and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 (DDGS). These feed sources were purchased from a commercial feed company. For 24 h rumen incubation, each feed source (0.3 g) was placed into the incubation bottle with the rumen mixture (30 mL) in quadruplicates. After incubation, total gas production was measured and sub-sampled for CO2 and CH4 analyses, and the bottle content was centrifuged for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Crude protein content was highest in SM and lowest in CM. Ether extract content was highest in DDGS and lowest in SM, while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contents were highest in PKC and lowest in CM. Propionate content was highest in DDGS, and butyrate and A:P ratio contents were highest in PKC (p<0.05). Total gas emission (mL/g DMD) was lowest in SM and DDGS, while CH4 emission (mL/g DMD) was lowest in DDGS (p<0.05).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DDGS could be an alternative feed source to reduce methane emissions.
Alfalfa hay varieties have been developed and cultivated in Korea to enhance the self-sufficiency rate of domestic rough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feeding domestic and imported alfalfa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economic feasibility of Hanwoo bull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eight Hanwoo bulls, aged 6 to 7 months, during their growing period. Hanwoo bul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fed imported alfalfa and the other group fed domestic alfalfa. Dry matter intake, weight gain, and blood metabolites were analyzed for two months of the growing st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dry matter intake and body weight. However, the price of domestic alfalfa is lower than that of imported alfalfa, so feeding domestic alfalfa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production costs.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mpare not only the growth performance but also carcass characteristics after slaughter by feeding domestic alfalfa to Hanwoo for a longer period during their growing stage.
This study examined domestic consumption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mushroom-based alternative food products. It found that 85.5% of consumers were aware of alternative foods, with a higher recognition rate among younger age groups and variations based on household composition and monthly income. Additionally, 70% of consumers familiar with alternative foods had tried them. Among those who had not, taste (16%) and purchasing challenges (15%) were the primary barriers. Minced meat was the most commonly consumed alternative (25%), while dumplings (7%) and burgers (1%) were less popular. Notably, dumplings and burgers showed the highest potential for development using mushroom-based ingredients.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advancing mushroom-based alternative food products.
This study measured the displacement that occurs when applying expansion joints between the jointed concrete pavement (JCP) and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RCP) on domestic expressway and obtained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rational design of expansion joints. Displacement gauges were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CRCP expansion joints, and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s were measured for five years to derive daily and seasonal displacements, which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btained at the JCP and anchor lug ends. The expansion joints of the CRCP terminal ends were observed to have initially expanded by 5.8 and 5.9 mm. The daily displacements were 0.024 and 0.034 mm/℃ on average, and the seasonal displacements decreased rapidly with an increase in distance from the CRCP ends. In addition, the displacements at locations 50–150 m away exhibited behaviors that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suggesting that they were more affected by the surrounding cracks. The seasonal displacement measured at the end of the CRCP expansion joint was 0.0292–0.0701 mm/℃. The displacement occurring at the end of the domestic CRCP expansion joint was estimated to consist of short-term expansion and seasonal displacements and was lower than when the asphalt separation layer was used. This was because the surface behavior was strongly suppressed below the lean concrete layer. Therefore, continuous observation is necessary, as different trends may be observ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CRCP thicknes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user experience with UV-C disinfection devices in clinical settings to obtain critic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devices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efficient environmental disinfection in healthcare settings, particularly in terms of effective multidrug-resistant organism control. Methods: A qualitative approach was employed involving 21 participants (infection control nurses, staff nurses, and device manag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ive sessions of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was undertaken. Results: Four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i) Introduction and usage status of UV-C disinfection devices, with ‘Surge in demand for rapid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and ‘Diversified application and management of UV-C disinfection devices based on needs’ subcategories; (ii) Advantages of using UV-C disinfection devices, with ‘Significantly reduced disinfection time,’ ‘Easy and simple operation,’ and ‘Providing a sense of reassurance from a visible confirmation of disinfection’ subcategories; (iii) Limitations of current UV-C disinfection devices, including ‘Ambiguous disinfection range and presence of disinfection blind spots,’ ‘Lack of standards for disinfection efficacy verification and management,’ ‘Safety concerns regarding ultraviolet radiation exposure,’ and ‘Issues related to maintenance of UV-C disinfection devices’ subcategories; and (iv) Expectations for domestic UV-C disinfection devices, including ‘Minimization of disinfection blind spots,’ ‘Variety in device sizes,’ ‘Auxiliary devices for enhancing usage efficiency,’ and ‘Clear protocols for device usage and maintenance. Subcategories.’ Conclusion: UV-C disinfection devices offer valuable benefits for infection control; however, improvements are needed to enhance their efficacy and usability. Practical recommendations include developing standardized safety protocols, enhancing UV-C coverage, and improving device mobility and maintenance to meet diverse healthcare needs. Such advancements in UV-C technology can significantly support effective infection control and operational efficiency in healthcare settings.
본 연구는 국내산 목재의 효율적인 이용과 이용확대를 목표로, 낙엽송, 소나무 그리고 백합나무의 도장처리에 따른 흡수성과 방사방향 및 접선방향 의 고습환경하의 팽윤율을 조사하였다. 도장처리재는 미처리재에 비해 3수종 모두 고습환경에 노출 된 후 150시간 이후의 흡수율은 작게 나타났고, 도장처리재의 흡수율은 백합나무(2.2%) > 소나무(2.1%) > 낙엽송(1.9%)의 순이었다. 고습환경에 노출된 후 150시간 이후의 함수율은 흡습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그 크기는 백합나무 > 낙엽송 > 소나무의 순이었으나, 소나무의 경우 양자의 차이가 적은 것이 확인되었다. 도장처리재의 방사방향 팽윤율은 2.18% - 3.44%의 범위였고, 그 크기는 낙엽송이 백합나무나 소나무에 비해 현저히 적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장처리재의 접선방향 팽윤율은 4.17% - 6.36%의 범위에 있었고, 이 값은 방사방향과 같이 낙엽송이 가장 적었고, 소나무, 백합나무의 순이었다. 이 값은 미처리재에 비하여 0.85 – 0.96배의 적은 값을 나타내었고, 방사방향의 약 1.9배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정환경 수정 연구의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RISS, KISS, e-article를 이용하여 2014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 가정환경 수정 을 적용한 연구를 검색하여 최종 8편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은 근거수준 2-5단계였으며 3단계가 가장 많았다. 고령자와 장애인이 대상자였으며, 가정 환경 수정은 평가, 중재, 재평가 과정으로 대상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였다. 평가와 중재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이루어 졌고, 가정환경 수정만 적용한 연구 5편, 가정환경 수정과 다른 중재를 함께 적용한 연구가 3편이었다. 종속변인은 낙상 관련 요인이 가장 많았고, 주거환경, 건강상태, 작업 및 활동, 부양부담감 등이었으며, 평가도구는 총 13개로 낙상 위험 환경을 평가하는 HOME FAST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중재 결과 모든 분석논문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고하였다. 결론 :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 적용된 가정환경 수정 연구의 특성을 확인하고 임상에서 가정환경 수정을 적용하는데 기 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육성 사과품종들 중 대구광역시 군위지역에 재배가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자 ‘골든볼’, ‘아리원’, ‘아리수’, ‘이지플’, ‘피크닉’, ‘컬러플’사과품종에 대하여 과실특성 및 저장성을 분석하였다. 각 품종에 대해 품종등록시 과실특성과 비교하였을 때, ‘골든볼’사과는 수확시 경도가 88.4 N으로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매우 높고, 당도와 산도가 각각 14.4 oBrix와 0.37%를 보였으며, 과피색의 황색도는 44.1로 황색계통의 특성이 충분히 발현되었다. 그리고 ‘피크닉’사과는 경도가 66.2 N, 당도 14.7 oBrix, 산도 0.33%를 보였고, 과피 양광면의 적색도는 29.9로 적색계통의 특성이 잘 나타났으나, 바탕면의 적색도는 2.5로 낮아 과실 전체의 착색이 부족하였다. 그리고 ‘아리원’, ‘아리수’, ‘이지플’, ‘컬러플’과실들은 품종등록시 과실특성 기준에 비하여 당도와 산도가 모두 낮은 결과를 보였다. 저온저장중 과실품질변화를 보면, 경도는 6품종 모두 수확시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히, ‘골든볼’ 사과는 저장 80일 후에도 경도가 79.7 N으로 높게 유지되고, 당도와 산도, 그리고 당산비는 수확 시와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저온저장중 과피색 변화는 품종과 관계없이 명도는 유지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구광역시 군위지역에서는 과실의 유전적 특성이 잘 발현되는 ‘골든볼’사과품종의 재배가 가장 적합할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국내 연속철근 콘크리트포장(이하:CRCP)은 1987년에 개통된 중부 고속도로에 대규모로 사용되었고 당시 국외사례를 참고해서 설계 했으며 단부에 앵커러그를 설치하여 수평 변위를 억제하였다. 2014년 고속도로 CRCP 설계지침은 일부 조건에 국한하여 단부에 팽창 줄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했고 수평변위를 허용하는 경우 국내 환경 조건에서 발현하는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중부 고속도로 CRCP는 린콘크리트 위에 분리층 없이 시공했고 최근 시공된 CRCP도 중부 고속도로 사례를 참고해 분리층을 생략한 시공을 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조건은 분리층을 적용하는 국외 CRCP와는 다른 수평변위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량화를 통한 설계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CRCP 시험시공 구간에 계측기를 설치하여 축적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거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계측은 국외 사례를 참고해서 단부와 단부에서 이격된 지점에 변위계를 설치해 온도에 따른 수평변위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변위계는 측정지점 CRCP를 천공해 고정하고 길어깨에 관입해 설치한 강봉과 연결하여 절대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5년 간 축적된 계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발생추세를 조사하였고 이를 국내외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계측결과 국내 CRCP 수평변위의 발생량은 국외 계측결과와 비교해 낮은 수준을 나타냈고 단부에 가까울수록 온도와 비례하는 관계를 나타냈으나 단부에서 멀어지는 경우 반비례를 나타내는 경우도 계측되었다. 이는 단부와 멀어질수록 변위가 감소해 측정부 주변에 발생한 균열 수평변위에 영향을 받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CRCP(Continuously Reinforced Cement Pavement)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공법 중 하나이다. 한국형 포장 설계법(KPRP: Korean Pavement Research Program)은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된 도로 포장 설계법으로, 2011년에 최초로 개발되었다. 현재 최신 버전은 2016년 4월에 발표된 것으로, 이후 약 8년간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포장 설계법 내 기존 CRCP 해 석 모듈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선된 CRCP 해석 모듈은 추후 개발 예정인 고속도로 역학적-경험적 설계법(EXPD: EXpressway Pavement Design)에 적용될 예정이다. 문헌 조사를 통해 한국형 포장 설계법의 설계 매뉴얼인 국토교통 부의 도로포장 구조 설계요령(2015)과 TxCRCP-ME의 설계 매뉴얼인 Texas Tech University의 Develop Mechanistic-Empirical Design for CRCP(Soojun Ha 외, 2012)의 내용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형 포장 설계법 내 기존 CRCP 해석 모듈이 Texas Tech University에서 개발한 역학적-경험적 설계 포장 프로그램인 TxCRCP-ME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휨강도, 탄성계수, 함수비, 복합지지력 K값, 허용하중반복횟수 등 사용자가 입력한 값에 기반한 계산 과정과 공용성 해석에서 기존 KPRP의 CRCP 해석 모듈이 설계 매뉴얼인 국토교통부의 도로포장 구조 설계요령(2015)과 차이점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추후 개발 예정인 EXPD-CRCP는 기존 KPRP에서 설계 매뉴얼과 상이한 부분을 국토교통부의 도로포장 구조 설계요령(2015)을 준수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역학적-경험적 설계법으로 개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