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anostructured dysprosium oxide ( Dy2O3) was synthesized by the co-precipitation method and incorporated with graphitic carbon nitride (g-C3N4) using the ultrasonication method. The resultant product is denoted as Dy2O3/ g-C3N4 nanocomposite which was further used for electrochemical sensing of riboflavin (R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y2O3/ g-C3N4 nanocomposite were examined using several characterization techniques. The obtained results exhibit the nanocomposite formation with the preferred elemental compositions, functional groups, crystalline phase and desired surface morphology. The electrocatalytic performance of Dy2O3/ g-C3N4 nanocomposite was scrutinized with a glassy carbon electrode (GCE) via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DPV) and cyclic voltammetry (CV) techniques with the conventional three-electrode system. The modified electrode distributes more active surface area suggesting high electrocatalytic activity for the RF detection with two linear ranges (0.001–40 μM and 40–150 μM), a low detection limit of 48 nM and sound sensitivity (2.5261 μA μM−1 cm− 2). Further, the designed sensor possesses high selectivity, excellent stability,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Finally, the fabricated sensor was successfully estimated for the detection of RF in actual food sample analysis using honey and milk with better recovery.
        5,200원
        3.
        201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음료분야 전문의 글로벌 시장조사 기업인 Innova Market Insights (이노바 마켓 인사이트, 네덜란드 푸드밸리)는 글로벌 식품산업에서의 로봇 산업에 대한 인사이트를 소개한다. 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 중의 하나인 “인공지능과 지능형 로봇”은 전세계적으로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식품산업도 예외는 아니며, 가정에서의 서비스 로봇의 개발도 이미 상업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글로벌 식품산업과 소비자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해야 하는 시점에서, 대표적인 사례들을 통해 인공지능과 식품 서비스 로봇의 개발 현황을 살펴본다. 1. Attraction for food & drink manufacturers in robotics 2. Ready to do cognitive cooking? Chef Watson 3. Robo Chef ? Moley Robotics robo chef 4. Bionic Bartender ? MakrShakr 5. AI advise Master brewer ? Intelligent X 6. Machine Learning Understand Consumer Preferences ? Graze 7. Opportunities in Service Robot Innova Market Insights (이노바 마켓 인사이트): 네덜란드의 FoodValley에 본사를 둔 Innova Market Insights b.v.(이노바 마켓 인사이트)는 글로벌 식품산업에 Innovadatabase(이노바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세계에서 유일하고, 가장 앞선 식음료 관련분야의 전문적인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으로서, “새로운 기술”과 “신제품 정보”, “마케팅관점의 트렌드 보고서”, “혁신적인 패키지” 등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제공하고 있다. 해외의 혁신적인 브랜드와 패키지, 새로운 제품들을 가장 먼저 만날 수 있다. 이미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Innovadatabase를 이용하고 있으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트렌드로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4,500원
        4.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relating to food packaging and design for status of small and medium food enterprises. A company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to October, 2015 and targeted 1300 small and medium domestic food enterprises. Finally, a total of 1300 (recovery rate 100%) useable data were select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data utilizing the SPSS PASW Statistics 18.0 for Window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awareness and importance of food labeling were high, but performance of English inscription of product name was relatively low.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food labeling was ‘providing correct information on food’ 910 (72.8%). Accordingly, a system which can provide the latest information by continuously monitoring mandatory disclosure requirements for types of foods in individual countries is needed.
        4,500원
        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rawberry jelly as a universal design food was developed using strawberry juice (SJ), sugar, xanthan gum (XG), and locust bean gum (LBG). Experimental variables included SJ concentration (30-40% (w/w)), sugar concentration (7.5-10.0% (w/w)), and the ratio of XG/LBG (0.3-4.0% (w/w)), and response variables were textural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and color properties. The formulation of strawberry jelly was optimized against hardness and the interactions among variables were predicted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ontrolled storage test at 5 or 15°C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values of the jelly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optimal SJ and sugar concentrations and the ratio of XG/LBG against hardness were 40, 10, and 1.5%, respectively. The color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at 5 and 15°C (p>0.05). However,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increased significantly at 5°C (p<0.05) and the hardness was appropriate to be us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helf life of the jelly. The shelf life at 5°C generated from a zero-order kinetics (R²=0.96) was 40 d according to a criterial value, 1.8 N, of hardness. The Q10 value was calculated as 0.6, which allowed prediction of the shelf life values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ed a formulation of strawberry jelly as a universal design food and allowed determination of the shelf life of the food product.
        6.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based on a Box-Behnken Design (BBD) was applied to optimize the thermal-alkaline pre-treatment operating conditions for anaerobic digestion of flotation scum in food waste leachat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rmal temperature, NaOH concentration and reaction time were evaluated. The maximum methane production of 369.2 mL CH4/g VS was estimated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at 62.0°C, 10.1% NaOH and 35.4 min reaction time. A confirmation test of the predicted optimum conditions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BBD with RSM. The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d that methane production was more sensitive to both NaOH concentration and thermal temperature than reaction time. Thermal-alkaline pretreatment enhanced the improvement of 40% in methane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experiment due to the effective hydrolysis and/or solubilization of organic matters. The fractions with molecular weight cut-off of scum in food waste leachate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pre-treatment to estimate the behaviors of organic matters. The experiment results found that thermal-alkaline pre-treatment could reduce the organic matters more than 10kD with increase the organic matters less than 1kD.
        4,000원
        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mong immigrant housewives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aim of introducing educational plans suitably designed for them. Our survey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holidays most well-known to the immigrant housewives are New Year's Day and Chusuk. Sambok and Chusuk are at the top in terms of preference. Samgyetang, Ddukguk, and Ogokbab are among the best known festive food to immigrant housewives for holidays such as New Year's Day, Jeongwol Daeboreum, Sambok, Chusuk, and Dongji; Samgyetang is the most preferred food, followed by Ddukguk and Patjuk. In addition, a vast majority of immigrant housewives who have ever attended Korean traditional cuisine education programs found the need for such an experience, with the score of 4.16 out of 5. In addition, the survey shows the order in which the immigrant housewives want to learn: the recipe of Korean food (53.5%), followed by table setting and manners (16.5%) and then nutrition (15%). The recipe of interest for most respondents is the one concerning daily food (69.5%).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prefer cooking practice as a desirable educational method. The difficulties that they have when attending such an educational course are usually inability to understand the language,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ingredients (seasonal), and lack of cultural understanding.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method is direct lecture (71.5%), followed by written materials such as books and newspaper (10.5%) and the Internet (9.5%). Finally, strategies for promoting traditional food culture are suggested as following: developing educational resources (31.5%), mak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more available (25%), narrowing the cultural gap (22%),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21.5%).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diffuse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first, and then provide many immigrant housewives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ese efforts will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in the early stage of international marriages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harmony in multicultural families.
        4,800원
        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automatic control methods employed to implement a open-close mechanism for a food compression processor. The automatic open-close mechanism is intended as a robust approach in compressing incoming food that posses a wide range of physical properties. The method is based on the estimation of compression pressure through current measurement. Tes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chanism effectively controls the compression pressure of the processed food which results in enhanced overall system robustness.
        4,000원
        10.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가 간 문화의 차이에 의하여 생활습관이나 방식이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중에서도 음식은 다른 분야보다 많은 차이를 나타난다. 특히 음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음식도구 중 디자인요소가 동일하고 유사한 것이 있거나 다른 요소와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각 국가 간의 음식도구를 유니버설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에 대한 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여 국가 간 음식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도구의 디자인요소를 창의성의 관점에서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과 내용으로는 첫째, 음식에 대한 소비자행동분석 프로세스의 개발 및 관찰을 통하여 행동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행동분석을 접목하여 음식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둘째로,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 간 음식의 주문부터 평가까지의 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나타난 현상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각 국가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식도구에 대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셋째, 국가별 개발된 디자인 안을 대상으로 선호도,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통하여 국가별 선호요소와 창의성평가요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는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별, 음식별, 행동별, 식당형태별로 비교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고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음식도구 디자인에 이용할 수 있으며 국가 간 동일 아이템을 디자인 교육시간에 진행시켜 대학의 디자인교육의 비교를 통하여 상호간에 협력과 상호보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 아이디어 전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4,000원
        12.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5.
        202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od design is a new interdisciplinary subject. In the Netherlands, France,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the academic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food design have been developed. By contrast, research of Food Design in China is still in its infancy. Firstly, This paper summarizes the history of food design, secondly discusses the current category and three focuses of this discipline. Then draw a conclusion of the designer role, and finally predicts the development prospect of the subject to provide reference for academic research on Food Design.
        16.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북도는 미곡 생산량 기준 전국 약 374만 여 톤 중 60만 톤을 생산하며 전국 3위에 속해 있으며 전국 대비 많은 양을 생산하고 있다. 이에 전라북도는 쌀을 포함한 식량작물을 가공하여 상품화하기 위해 전라북도 지자체에서 사업을 추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판매 및 마케팅을 위한 포장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업경영인 38명을 모집하여 포장 디자인 의식을 조사 분석하고 식량작물 상품 135개(한과63개, 누룽지72개) 샘플을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통해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업인 의식 결과 상품 개발 시 상품 및 목표 고객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포장 디자인의 필요성이 92.1%로 높았다. 최근 포장 디자인 제작은 자비 비율이 68.2%였으며, 현재 포장 디자인의 만족도(5점)는 3.32점으로 낮았고 만족하는 비율이 38.4% 수준이었다. 포장 디자인 특성의 중요도 및 만족도의 차이가 5점 기준으로 1점 이상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보아 중요성은 충분히 감지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실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품 현황 분석 결과 한과 샘플은 8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누룽지 샘플은 12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종합적으로 농업인의 포장 디자인 중요성 및 관심도는 높으나 전문가 부족, 비용 부담 등으로 애로사항을 겪고 있고 포장 디자인 현황은 대부분 종이류 및 플라스틱 비닐을 활용하고 있으며 일관성 없는 컬러로 상품 차별화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원스톱 교육, 수준별 교육, 현장 교육 확대, 전문 멘토제, 그룹 스토리 미팅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여 농업인 역량을 강화하여 의식 수준을 높이고 경쟁력 있는 식량작물 상품화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17.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과 같이 브랜드가 넘쳐나는 시장 상황에서 패키지는 제품의 속성만을 표현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소비자의 needs, 시대 의 트랜드를 반영한 차별화된 디자인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강력한 브랜드를 구축하는데 있어 필요한 다양한 패키지 디자인의 구성요소 중 4가지를 선정하여 색채, 캐릭터, 일러스트, 형태에 대해 패키지 차별화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뚜렷한 사례를 가진 국, 내외 브랜드 위주의 사례를 켈러의 CBBE모델을 기초로 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내용을 요약하면 첫 번째, 감성 시대로 발전한 오늘날에 기업들은 다른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차별화를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한다. 두 번째, 색채의 사용은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 하다. 세 번째, 아트마케팅을 적용한 패키지 디자인은 독특하고 품격 있는 세련된 이미지로 소비자에게 신선하게 다가감을 알 수 있다. 네 번째, 독특한 형태를 적용한 패키지는 브랜드를 알리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위의 디자인 사례를 종합 해보면 차별화 된 패키지 디자인은 주목성과 재미를 주는 패키지로 보는 이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여 소비 욕구가 생기게 하며, 관련 상품과 기업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전략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브랜드 강화 전략 중 차별화의 한 전략으로 패키지 디자인의 다양한 사례를 파악하고자 한다.
        18.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6차산업화 농특산품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상품 경쟁력 제고를 위해 포장디자인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6차산업화 농특산품의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문제점 분석에 따른 개 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먼저, 국가기관의 공모전에 출품된 6차산업화 농특산품 41점을 대상으로 전문가 5 인이 포장디자인 평가의견을 기술하도록 요청하여 질문지를 수집하였고, 다음으로 사진촬영을 통해 이미지자료를 수집하 였으며, 마지막으로 질적 자료분석 소프트웨어인 Nvivo 11을 활용하여 6차산업화 농특산품의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 였다. 연구결과 6차산업화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의 문제점은 시각커뮤니케이션(50%)>법적표시사항(23%)>패키징(15%)>브 랜딩(12%)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분야별로 세부항목들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구체화 하였다. 그 결과를 근거로 각 분야별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6차산업화 농식품의 포장디자인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있어 실증적 근거 를 제시하였다는 점과 디자인분야에서 디자인 평가에 대한 비구조화된 자료들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구조화하 고, 논리적 분석을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데 있다.
        19.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시장이 세분화되고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진 현실에서 단순히 품질과 가격, 기능 등의 경쟁력만으로는 더 이상 비 교우위를 점할 수 없다.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유발시키기 위해 기존의 농식품과 구별되며 독창적이고 특별한 포장디자인 의 차별화 요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삶의 여유와 인간 본연의 가치가 확대되면서 친환경과 기능성 소재 등을 활용한 응용제품 산업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 고조와 더불어 신선농식품 포장 기능성 강화를 위한 닥섬유 친환경 포장디자인 개발에 따른 포장디자인에 관련한 선 행연구로서, 농식품 포장디자인 제작에 있어 영향을 주는 요소를 추출하여 요인을 분석하고 실제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자료조사를 통해 농식품 포장디자인에 관련한 국내·외 문헌과 학술전문지를 조사하고,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해 포장디자인 관련 항목을 추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를 활용하였으며, 전문가들의 직관을 동원하여 중요한 요소에 대한 의견을 수렴코자 델파이기법을 이용하여 세 차례의 라운드 조사를 통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추출된 포장디자인의 주요한 요소들로 49개의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근간으로 중요도에 따른 클러스터링을 통해 대표적 요인으로 신뢰성, 심미성, 경제성, 환경성, 기능성이 선정되었다. 또한10가지 디자인 요소의 중 요도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요소는 농식품 포장디자인 제작 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로 본 연구에서 추출된 디자인요소와 그 밖의 감성요소와의 관계성을 알아보고, 실제 포장디자인 적용 시 가이 드라인이 되는 포장디자인 제작 시스템구축을 하고자 한다.
        2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는 글로벌 경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지역문화의 새로운 창출과 지방자치정부의 재정자립을 위해 지역특화상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대사회는 이름만 가지고는 그 지역의 특화상품을 알리기에는 협소하다. 그 지역의 혼과 맛이 담긴 패키지디자인 개발은 특화상품으로서 우수성을 홍보하고 특성을 쉽게 전달할 수 있으며, 문화 전도사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지역특화 농식품 패키지디자인 개발에 대한 컬러별, 로고타입별, 전통콘텐츠를 활용한 사례를 기준으로 전북지역 농식품 패키지디자인 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지역특화상품 패키지디자인 개발은 부가가치를 상승시키고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오늘날과 같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농식품 특화상품의 효과적인 디자인 진단으로 상품의 품위를 높이고 시장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역민에 대한 디자인 개발의 중요성과 인식이 전환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 및 효율적인 교육으로 관심을 유도하고 참여도를 높여 주민 소득창출 및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새로운 활력지역으로 거듭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전라북도 농식품 패키지디자인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 지방화시대 지역특화상품 패키지디자인 개발을 통해 지역의 경제 발전과 시장경쟁력을 갖춘 바람직한 패키지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