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

        64.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oxidant enzym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variations in drying methods of diploid and tetraploid in Platycodon grandiflorum were determine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were measured a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peroxidase (POX), and ascorbate peroxidase (APX).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were freeze-dried, indoor-dried, hot-air dried, and microwave dried. The root extract of P. grandiflorum have shown the highest SOD enzyme activity of 92% in tetraploid of freeze-dried and indoor-dried while diploid of microwave dried showed the lowest SOD enzyme activity of 47.5%. The activity of CAT showed higher values in the root of tetraploid than in the diploid of P. grandiflorum in all drying methods. The APX activity showed relatively higher values in the root extract of freeze-dried both the diploid and tetraploid, but the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other extracts was not significant. The POX activitie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f diploid and tetraploid in P. grandiflorum showed relatively high values in freeze-dried and indoor-dried compared with other drying methods, and the POX activity between the diploid and tetraploid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drying metho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variation in drying methods of diploid and tetraploid in P. grandiflorum was the highest in the freeze-dried, and was higher in tetraploid than diploid in all the concentrations. In conclusion, the root of P. grandiflorum had the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in both diploid and tetraploid. In particular, the tetraploid root of P. grandiflorum showing high antioxidant enzyme activity could be good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source of functional healthy food.
        6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llect the basic data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 var. purpurea Makino drying. By the drying methods of R. glutinosa, the content of water, inorganic components, reducing sugar, catalpol and benzo[α]pyrene were investigated. The water content was 15.6~17.2% when R. glutinosa was dried by cold-warm air moisture absorption drying method (CAMAD) at 60℃ during 6 days. Among of the inorganic components of R. glutinosa the K content was the most followed by P, Na, Ca and Mg.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R. glutinosa by the hot air drying method (HAD) was much more than that by the CAMAD. The catalpol content of R. glutinosa was not different by the drying temperature when it was dried by the CAMAD. The catalpol content of the large size tuber (about 50.0 g/uni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from 60℃ until 70℃ drying temperature, but that of the small size tuber(about 4.0 g/unit) was decreased as being a trend as the drying temperature high when R. glutinosa was dried by the HAD, But the catalpol content R. glutinosa had a tendency to drop significantly at drying temperature above 80℃. The benzo[α]pyrene content was little detected when R. glutinosa was dried by both the SLD and the CAMAD, and the sampling by the HAD indicated within the scope of 5 μg/kg which was the scope to regulate by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 conclusion, it seemed that an appropriate drying temperature of R. glutinosa by the CAMAD and the HAD was about 60℃ and about 70℃, respectively, when we consider the catalpol content and benzo[α]pyrene detec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drying R. glutinosa.
        66.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조방법이 복분자 분말의 갈변 및 흡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신선 복분자를 천일, 적외선 및 동결 건조한 다음 분쇄하고 이 분말의 색도와 수분활성도 () 0.11-0.90 범위에서 평형수분함량(EMC)을 각각 측정하였다. 갈변지표인 값과 값은 동결 건조한 복분자 분말이 다른 방법으로 건조한 분말보다 높고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황색도인 값은 동결 건조 분말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EMC는 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67.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전복과 3가지 건조방법, 음건법, 냉풍건조법 및 진공동결건조법으로 건조한 전복의 육과 내장에 대하여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생전복 육은 수분이 , 조단백질 및 탄수화물 이었다. 건조 전복 육의 경우 수분은 냉풍건조가 로 가장 많았으며, 진공동결건조 한 것이 로 가장 적은 함량을 보였다. 생전복 내장은 육과 비교하여 조단백질은 적었지만 다른 성분은 많았다. 생전복은 구성아미노산 총함량이 이고, glutamic acid가 로 가장
        68.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장기저장이 가능한 김치제조를 위해 사용된 20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된 김치와 동결건조된 김치의 미생물학적,조직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김치의 총균수는 감마선조사 후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나 동결 건조된 김치는 비조사 대조구에 비해 1 log 수준의 미생물 감소를 나타내었다. 감마선조사 김치의 경도는 동결건조 후 재수화된 김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자현미경을 통한 김치 조직 관찰 결과 동결건조 후 복원된 김
        69.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시에 대량 수확되는 양파의 소비를 촉진시키고 식품의 원 부재료로서의 이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열풍건조, 진공건조, 동결건조 중의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진공건조가 건조 5일째에 수분함량 5.23%를 유지하여 가장 빨리 분말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중량감소율은 동결건조가 건조 7일째 중량감소율이 90.0%를 나타내었다. 갈색도는 동결건조가 건조 7일째에 흡광도 1.173으로 가장 낮은 갈색도 변화를 보였다. 색도 중 백색도(L
        70.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상도지역에서 예로부터 먹어오던 무말랭이 김치(골곰짠지, 오그락지)의 품질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천일건조와 열풍건조 그리고 천일건조의 문제점을 보완한 냉풍건조를 이용하여 말린 무말랭이의 품질 특성을 연구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 속도는 열풍건조가 가장 빨랐으며 냉풍건조가 가장 낮은 건조속도를 나타내었다. 건조시 갈색도는 냉풍건조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고 열풍건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Vitamin C의 함량은 냉풍건조가
        71.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추장의 보존성,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공장생산 고추장을 분무, 진공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 화 한 후 수화시킨 고추장의 관능과 물성, 색도, 성분변화를 검토하였고 분말고추장을 밀봉하여 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과정 중 색도 및 성분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관능검사 결과 건조 고추장의 품질은 동결건조 고추장이 대조구와 가장 비슷하였고 분무건조 고추장, 진공건조 고추장 순 이었다. 원료 고추장을 동결, 분무, 진공건조 하
        72.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유효성분과 선도유지에 적합한 건조방법을 구명하고자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건조시킨 후 건조방법별 유효성분 함량과 선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방법별 건조시간은 양건에 비해 열풍건조와 동결건조시 88~93% 단축되었다. 건물수율은 동결건조 〉 양건 〉 열풍건조 순으로 높았고, 건조후 수분 함량은 양건 〉 열풍건조 〉 동결건조 순으로 높았다. 2. 총페놀성 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은 동결건조 〉 열풍건조 〉 양건 순으로 높았으며, 열풍건조후 볶음 또는 건조전 증자 처리를 함으로써 감소되었다. 항산화 활성은 동결건조에서 가장 높았고, 열풍건조와 양건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열풍건조후 볶음 또는 건조전 증자 처리를 함으로써 증가하여 총페놀성 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과는 다른 경향을 보였다. 3. 적색도 (a)는 동결건조 〈 열풍건조 〈 양건 순으로 낮았다. 4. 열풍건조시 부위별 총페놀성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은 꽃 〉 잎 〉 세절 〉 줄기 순으로 높았으며, 항산화 활성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부위별 적색도는 잎 〈 세절 〈 꽃 〈 줄기 순으로 낮았다. 5. 삼백초의 유효성분과 선도유지에 적합한 건조방법은 세절하여 동결건조하거나 잎과 꽃만을 열풍건조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73.
        200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식 제조공정 중 주요공정인 건조방법에서 효율적인 방법을 찾기 위하여 건조방법에 따른 생식 원료 곡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쌀, 현미, 찹쌀, 보리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식이섬유 등 성분의 함량은 열풍건조(50, 55, 60)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중의 b값이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료가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료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niacin의 함량은 6
        74.
        200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분자의 포제에 있어 건조방법이 추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생복분자 딸기를 5분간 증자하고, 자연 양건, 적외선 건조 또는 동결건조한 다음 20 mesh 크기로 분쇄하고, 열수나 40% 에탄올(80)로 3시간 추출한 후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고형분과 총당의 추출수율은 동결건조품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적외선 건조품, 양건품 순이었으며, 건조법에 무관하게 에탄올보다는 물 추출액에서 높게 나타났다.
        75.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조분말두부의 열풍, 진공 및 동결 건조방법에 따른 흡습특성과 평형수분함량 예측의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GAB식이 더 높은 유의성을 보였으며 수분흡습을 위한 엔탈피, 자유에너지, 엔트로피의 변화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수분활성도가 0.11에서 0.93으로 증가할수록 흡습엔탈피의 값은 감소하였으며 등온흡습곡선의 경우 수분활성도가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높아졌으며 수분 활성도가 높을수록 필요로 하는 흡습에너지가 낮아져 흡습이 쉽게 이
        76.
        200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건조방범과 감의 성숙도에 따른 반건시의 품질을 알아보기 위해 자연건조, 열풍건조, 원적외선 건조, 제습식건조 방법과 미숙, 적숙, 과숙과를 구분하여 반건시를 제조하였다. 자연건조의 경우 건조 기간 중 과습때문에 건조대에서 떨어지거나 미생물에 의한 오염으로 발생한 손실율이 7.0%이었으나, 열풍건조 등 인공건조를 하였을때는 손실율이 0.0%였다. 건조소요일은 자연건조 17∼18일, 원적외선건조 6∼7일, 열풍과 제습식 건조 7∼8일 소요되어
        77.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의 예건 방법 및 기간이 저장 중 부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만생종인 창녕대고 품종을 이용하여 1997년~1998년의 2개년 동안 양파를 수확 후 노지 포장과조립식 간이하우스(통풍) 및 조립식 간이하우스(무통풍)에서 1~3일간 예건 후 저장하여 실험하였다. 예건 기간중의 최고기온은 무 통풍 하우스에서 가장 높았고 노지 포장에서 가장 낮았으며 특히 무통풍 하우스에서 1997년 처리 2일째 및 3일째와 1998년 처리 2일째는 41.6
        78.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현미를 상온저장시 2주까지는 발아율에 차이가 없으나, 저장 3주후부터는 발아율이 급격히 감소되어 발아율이 80%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발아현미의 재배를 위해서는 도정후 2주 이내의 현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24시간 침종처리가 무침종에 비하여 현미의 초기발아율이 약 2-3%증가되었고, 25℃ 는 현미의 발아율과 생육상태가 좋았을 뿐만 아니라 부패발생도 적었다. 3. 동결건조된 발아현미는 열풍건조된 발아현미와는 달리 호분층 및 내배유부분의 분리현상이 발생되었고, 배유의 전분 저장세포뿐만 아니라 전분립간의 균열현상이 관찰되었다. 4. 열풍건조는 동결건조 보다 유리하였고, 55℃ 로 48시간 건조시 발아현미의 불쾌취가 제거되었다. 5. 조단백 및 amylose는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함량의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조회분, 조섬유 및 유리당은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되었고, 조지방과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6. α -amylase활력은 발아 5일부터 급격히 증가하다가 발아 8일부터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7. 유리당의 함량은 발아기간(0-8일)중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sucrose와 glucose의 감소가 현저하였고 발아 5일 이후 fructose와 maltose는 증가되었다.
        79.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Bullion)의 건조방법에 따른 휘발성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생체시료와 건조시료에 대한 SDE (steam distillation & extraction) 추출분석과 Headspace 분석을 하였다. 건조방법별 오미자의 정유함량은 생체시료에서 0.58%, 냉동건조시료에서 0.60%, 열풍건조 (60℃) 시료에서 0.30%를 나타냈다. SDE 추출된 정유의 성분조성을 조사한 결과, 생체시료의 주요 성분은 terpinen-4-ol(9.01%), γ-terpinene(7.02%), β-myrcene(7. 55%), 기타 sesquiterpene류(28.48%) 등으로 나타났다. 냉동 건조시료의 경우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열풍 건조시료에서는 γ-terpinene(5.40%), β-elemene(8.28%), 기타 sesquiterpene류(50.38%)등을 주로 함유하여 열풍건조에 의해 성분 조성이 달라졌다. Headspace 분석의 경우 SDE 분석과는 다른 성분조성을 보였는데 생체시료는 β-myrcene(22.05%), γ-terpinen(9.47%), α-pinene(8.91%), sabinene (8.48%) 등이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건조시료의 성분조성은 대체적으로 냉동건조, (60℃) 열풍건조, (80℃) 열풍건조 순으로 β-myrcene, α-terpinene 등은 감소하였고, α-ylangene, α-pinene, camphene 등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건조조건에 따라 정유성분의 함량과 조성 이 SDE 분석과 Headspace 분석 모두에서 변화하였는데, 전반적으로 monoterpene류와 알코올류의 조성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고비점 화합물인 sesquiterpene류의 조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80.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 in the component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f jujube. Raw jujube was dried with five methods such as sun-drying, hot-air drying after pretreated with sunlight, blanching, microwave treatment,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soluble sugar and protein in sun-dried jujube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drying methods. The free sugars of dried jujube were consisted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And the contents of free sugar was not different by drying methods. The major organic acids of dried jujube were oxalic acid, citric acid and malic acid. The contents of glutamic acid, glycine and alanine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amino acids, and the content of each amino acid was not different by drying method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