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삶의 질과 거주성 측면에서 국내 농촌지역의 실제 생활 환경을 분석하고 농촌 생활환경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농 촌은 고령화, 인구감소, 경제활동 저하, 기초생활서비스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 기 위한 농촌 생활환경 개선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Quality of life)과 거주성(Livability)개념을 바탕으로 이론적 측면에서 국외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농촌 생 활환경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삶의 질과 거주 성 측면에서의 이론적 연구 경향 분석을 통해 실제 우리나라 농촌 생활환경에 직면한 문제점을 분석하 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농촌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1)녹지 및 생태시설 조성, 2)지 역과 개인 및 주민 간 상호작용 개선, 3)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주거공간 마련, 4)다양한 관점에서 농촌환 경을 포괄할 수 있는 목표 설정의 4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내 농촌의 개선 목표로 제시되고 있는 지속가능성과 더불어 농촌 회복력(Rural resilience)의 개념을 도입하면 농촌의 기능 회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참여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 중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가정환경수정 중재에 있어 필요한 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서구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의 필요도 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대상자는 2020년 상반기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중복으로 신청했던 16,388명이며, 이 중 가정환경수정 이용한 1,075명 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과 주거환경,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주거환경,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이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개선이 필요 한 주거환경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및 그래프를 활용하였다. 결과 :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은 조명, 계단, 문턱, 온수,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이 좋을수록 일상생활 활동의 독립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대상자의 고령, 여자보다는 남자일 때, 높은 사회보장수급권, 열악한 바닥 과 벽지, 이동이 불편한 계단과 문턱, 낮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인지기능이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가정환경 개선 욕구에서는 안전 손잡이, 욕조, 바닥과 벽지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노인의 맞춤형 가정환경수정을 위해서는 신체적 기능과 인지적 기능을 고려하여 바닥과 벽지, 계단, 문턱 등 환경 적 측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4,300원
        3.
        2022.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여성의 면 생리대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에는 A시 관내 성인 여성 50명이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환경교육이 면 생리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리 시 느끼는 불편감은 면 생리대 사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일회용 생리대의 위해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45명(90%)은 들어 봤고, 정보 출처는 언론이 32명(64%), 교육 11명(22%)이라고 답했다. 넷째, 면 생리대 사용 을 망설이는 이유는 세탁 등 뒤처리가 어려워가 37명(74%), 생리혈이 샐까 봐 불안해서가 7명(14%)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미혼보다는 기혼의 면 생리대 사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면 생리대 사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활환경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것이 필 요하다. 본 연구가 여성의 건강과 지구의 건강을 지키는 데 활용되기를 바란다.
        4,300원
        4.
        2022.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환경이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인 천,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복지관, 노인회관, 경로당 이용 노인과 지역사회에 거 주하는 65세 이상 거주노인 35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WIN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건 강상태와 생활환경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 효과로서 사회참여활동을 높 이는 변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 째, 노인복지정책의 주요 대상자인 노인의 특성과 초고령사회를 직면함에 따른 다양한 건강상태 욕구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복지 수요를 이해하고, 사회참여활동으로서의 사회 서비스와 제도적 지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둔 우리나라 사회적 문제의 대응 차원에서 노인의 생활환경에서 물리적 환경의 개선과 사회참여활동 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건강해지는 우리나라 노인들 의 특성과 원인을 파악하여 경제⋅여가⋅봉사 등의 자립적인 사회참여활동을 독려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과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 하다.
        11,100원
        5.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기반 일상생활활동 중재를 병행한 가정환경개선 서비스를 제공하였을 때 일상생활 안전 및 낙상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 9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4회기에 걸쳐 제공되었으며 가정을 방문하여 주거환경 평가 및 수정을 진행하고 수정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훈련을 진행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센터로 방문하여 가상현실 환경 내에서 일 상생활동작 훈련을 하였다. 아울러 일상생활활동 중재의 일환으로 운동 처방 및 코치를 제공하였다. 결과 : 중재 전·후 가정 내 안전 및 낙상 위험요소는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est(HOME-FAST) 평가 결과 평균 6.2(SD ± 3.9)에서 11.7(SD ± 3.7)로 개선되었다(p = .00). 낙상 관련 행동요인은 Falls Behavioural Scale(FaB) 평가 결과 97.8(SD ± 3.9)에서 103.1(SD ± 6.2)로 향상되었고(p = .02), 활동특이적 균형 자신감은 Activity-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ABC)평가결과 496.6(SD ± 303.7)에 서 742.2(SD ± 315.7)로 향상되었다(p = .02). HOME-FAST, FaB, ABC 모든 평가에서 서비스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가정 내 낙상 예방 및 낙상 위험 행동요인의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낙상에 대한 균형 자신감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시행한 혼합형 중재 모델의 가정환경개선 서비스에 대하여 전반적인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가상현실기반 일상생활활동 중재를 병행한 가정환경개선 서비스 모델을 통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낙상 예방과 일상생활에서의 안전사고 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작업치료 중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4,600원
        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dementia patients'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and behavior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in dementia patients living in urban type dementia care villag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 households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mong residents of dementia care village in Gunsan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permission of their famil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main variabl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order of environment improvement was in the order of entrance (51.4%), toilet and stairs (48.6%), kitchen (11.4%), bedroom and laundry room (10.0%).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ADL was correlated with age (r=.315, p <.01), BPSD (r=.322, p<.01) and living environment inconvenience (r=.640, p<.01) while, living environment inconvenience correlated with environment improvement need (r=.669, p<.01).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dwellers in dementia care villages, especially the stairway and entrance hall is necessary.
        4,000원
        7.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F-MF exposure levels of the elderly groups in their living environments using 24-hour personal measurement. In addition, EMF risk percep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evaluations of ELF-MF exposure levels in the proximity of the participants of 58 elderly groups, it was found that TWAam was 1.31 mG (TWAgm: 0.84). ELF-MF exposure levels of the elderly group that live in the proximity of a non-visible power line was high,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n-visible power line elderly group and visible power line elderly group. Moreo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F-MF exposure according to gender, age, city classification, incomes, residence type, and siz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ELF-MF was very low, as indicated by more than roughly 58.6% of the elderly surveyed saying that they did not know what ELF-MF was. In addition, there was no awareness among the group of how to avoid behavior of EMF from some electric equipment and facilities. Thus,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the determination of ELF-MF management and risk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living environment for elderly people.
        4,000원
        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유효응답자수 56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환경관련 행동을 생활환경 여건과 비교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환경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환경행동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법률 또를 조례로 정하여 규제하고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만 환경보전의식이 낮은 사람의 경우에는 모든 항목에서 실천의지가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변수에 의한 환경관련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주거형태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공동주택보다는 단독주택 거주자의 실천의식이 높았다. 나이에 따라 서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환경보전 실천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실천 강도가 낮았다. 다만 교육수준과 관련해서는 학생집단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관련 의식과 실천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 제도적인 대응보다는 환경의식의 개선이 필요하며, 환경관련 행동을 위한 정책은 일반화 보다는 성별, 거주유형, 교육수준 등 환경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방법을 달리 하는 것이 필요하다.
        4,000원
        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measured and analyzed the heavy metal (Cd, As) content of fine dust in the city of Gwangyang, Jeonnam from September 19 to September 22, 2016. For cadmium, the arithmetic average was 0.21 ng/m3 (0.12~0.49 ng/ m3), which did not exceed the WHO's recommended level. The average of arsenic was 2.41 ng/m3 (0.30~142.08 ng/ m3) and the geometric mean was 11.18 ng/m3, which exceeded the WHO's recommended standard in 16 out of 24 measurements. In the case of cadmium, the CTE of male was 9.22 × 10−8 RME 1.91 × 10−7 and the female CTE was 9.44 × 10−8 RME 1.92 × 10−7, which did not exceed the EPA limit of CTE 2.18 × 10−5 RME 1.51 × 10−4 for men and CTE 2.23 × 10−5 RME 1.51 × 10−4 For women, CTE 2.23 × 10−5 RME 1.51 × 10−4 results were obtained, which exceeded the EPA's recommended limit and also exceeded the maximum allowable limit of 10-4.
        4,000원
        10.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이 접근성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유형별로 규명해 보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주거실태조사자료에 담긴 5,127명의 장애 인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에 입각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접근성 여부에 따라, 그리고 장애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 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외부장애인의 경우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 모두에서 접근성은 삶의 질 향상에 부분 매개효과를 구현하였다. 둘째, 내부 장애인의 경우 일상생활능력 은 접근성을 부분매개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으나, 일상생활환 경은 삶의 질에 대한 접근성의 매개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료기관, 공공기관, 복지시설 등 일상생활 환경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나, 이에 대 한 접근성이 가지는 의미는 장애유형에 따라 상이함으로 접근성 을 제고하는 정책을 시행함에 있어 장애유형별로 대처방안이 달 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8,600원
        11.
        201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해양환경 행정조직 및 법체계의 역동적인 진화과정은 환경법적 관점에서 수많은 연구과제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환경의 개념과 범위 설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근 논의가 필요한 생활환경으로서 해양환경의 보전을 위한 법체계의 개선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과거 해양은 인간의 환경으로 인식되지 않거나, 혹은 주로 인간으로부터 거리가 먼 자연환경으로 인식되는 대상이었다. 그러나 최근 해양환경에 대한 인식의 중심축이 자연환경에..
        4,000원
        1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이 환경을 보전 복원하고자 하는 목적은 자연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환경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받기 위함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류오염에 대응하고 복원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인간의 생활 및 생산환경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유류유출의 사회경제적 피해영향 및 복원정도 모니터링은 손상된 자연환경의 기능 회복에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사회경제적 영향평가는 직간접적 관련자들의 이해와 직결되어 있어 적절한 조사 및 평가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어렵고 결과를 해석하는 것도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를 대상으로 생활 및 생산환경 피해 모니터링의 주요 지표인 수산, 관광부문의 영향평가를 위해 기존의 문헌 및 통계자료조사 외에 지역주민 체감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 결과, 복원의 수준은 40~50 % 수준이고, 복원정도는 둔화 혹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감조사결과가 문헌 및 통계자료 조사결과 보다 2~10 점 정도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사회경제적 영향평가를 위해 기본적으로 수행하여 왔던 문헌 및 통계자료를 통한 분석이 피해영향 복원의 지표로 삼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실제 피해지역 주민들이 체감하는 영향과 복원정도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4,000원
        15.
        2006.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rchitecture, constitutions of space are subjected to the structural material and interior finishing material. Interior environment can exert a great effect on people by means of space constitution. In this study the constitution of space was set to consider five materials: control, wood, steel, wire mesh, and concrete structural material. In this study, experiments with mice, were carried out on condition of each living environment with different living environment using control, wood, steel, wire mesh and concrete structural material. The experiments with mice were made by five-month-old mice(BALB/C) with about 15 grams weight. In order to evaluate the adaptability of the target mice, such variables as body weight, food consumption, and water consumption were monitored against living environment for normal BALB/C mice during the same period. The weight, total foods, and total water consumption were measured under the living environments for 55 days with 2~3 days intervals. To test five different living environments, i.e., control, wood, steel, wire mesh and concrete, 5 mice were allocated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ase of wood living environment resulted in a gain in weigh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other side of steel, wire mesh and concrete showed a slight decrease for weight. The weight variation of the experimental mice was assumed under five different living environments that resulted from the stabilize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he wood living environment.
        4,000원
        1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we can see worldwide the rapid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the aged people, while that of young people is decreasing. Especially present Japan has a super-aged society, and it is a big social problem how to take effective measures to that in the future, Some items as well as researches have come out of various research them to the user. Such a change in population will be seen also in South Korea. Because South Korea has many social things in common with Japan, though they have different languages. Through this repor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good example for Japan PT to expand its activities and will connect to the future joint research of South Korea and Japan, by introducing it to South Korea.
        4,000원
        17.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ntion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in the customized AI speak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smart city environment. Based on the quality of life model of the elderly,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on the sustained use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Residents in Suwon, Gyeonggi-do, selected as candidate local governments for the Smart City Challenge Project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June 2019 to measure the perceived technology acceptance of potential users for the AI technology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s part of the smart city technology. In order to evaluate the intention of using AI speaker, which is the target system of this study, a video of a chatbot using experience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as produced. Results: First of all, in ord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o have an attitude to use AI-based speakers, there should be a perceived usefulness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However, ease of us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to attitude toward use. In addition, the attitude toward use weak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use. In other word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ere not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ttitude toward use. However, feeling that AI speakers are easy to use will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hich in turn led to the attitude toward using AI speakers, which could lead to indirect effects. Finally, the perceived usefulness of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have a weak effect on direct use intentions. Conclusions: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of service environ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specific user group who live alone in the smart seat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AI speaker on the elderly living alon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18.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environment of rural people on migration. The analysis data were us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r the survey of welfare systems for farmers and fishermen in 2017, and samples of 3,776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variables were divided into a group of migrants, a group of permanent residents, and a group of decision-keep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environment of each of the 10 rural areas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basic living base and safety of rural residents were having a positive effect.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jects for developing rural areas, which increase the basic living base, are making substantial contributions to preventing the breakaway of the rural population. Safety has been neglected in the area of rural planning, but if the level of discontent is not enough, it ha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livelihoods of rural residents. Welfare and cultural leisure set the main demand level for welfare and cultural leisure to the elderly and vulnerable classes, and interpret it as a result of weakened defense against stress from relocation of residence, difficulty of migration due to low income levels, and migration. Therefore, the paradoxical analysis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measur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people on welfare and cultural leisure should be taken.
        1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Due to the lack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 increase of sedentary behaviors such as screen time, the health condition for contemporaries has been deteriorat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the use of worktable or tools unfit for body and sedentary behaviors can exercise influence on muscular skeletal disease and how it has an impact on lowering work efficiency and the quality of life with the medium of the muscular skeletal disea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 has developed a questionnaire with 5 hypothesis. The questionnaires were also made by interview and E-mail. 35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15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valid data responses. SPSS ver.22.0 were used and made Cronbach's and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Baron & α Kenny 3 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earch has found that living environment factor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occurrence of musculosketal disease. Particularly, repeated use of unfit worktable or tool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uscular skeletal disorder. And sedentary lifestyle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isease. The musculoskeletal disease caused by living enviro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lowering the work efficiency. This study has also showed that the muscular skeletal disease h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environment factors and the decrease of work efficiency due to musculoskeletal disease.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can effect the decrease of the quality of life as well, for the decrease of work effici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Conclusions - Sedentary lifestyles, the use of worktable unfit for body, and the repeated use of a tool have caused the increase of muscular-skeletal diseases, and reduction of productivity as well as the hight cost of medical treatment for our contemporaries. Understanding the cause of disease morbidity, finding ways to prevent the disease, and educating people about them would contribute not only to improvement of individual health but also to the advancement of welfare for all.
        2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시행된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에 제시된 항목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 항목을 우주방사선, 지각방사선, 공정부산물 등으로 나누고, 그에 따른 측정 장소를 상공 8000m의 비행기, 해발 1000m의 산악지대, 지하 15m 건 물, 건설 현장, 해발 0m의 바닷가를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우주방사선을 기준으로 상공 8000m 비행기에서는 유효선량이 연간 2.45mSv로 측정되었다. 우주방사선 과 지각방사선의 측정 장소로 선정된 해발 1000m 산악지대는 기준점인 0m인 바닷가에 비해 0.17mSv 높게 측정되었 다. 공정부산물의 측정 장소로 선정된 건설 현장은 3.32mSv로 실험항목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완공 된 건물 보다 약 5배 정도 높은 선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발 0m인 바닷가는 2.89mSv로 측정되었고, 지각 방 사선을 기준으로 설정된 지하 15m 건물에서는 2.36mSv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지하로 내려갈수록 지각 방사선을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건물 안에서의 지각 방사선은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에서 제시된 각 항목들은 ICRP에서 제시한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연간 유 효선량 기준에는 크게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일반인의 연간 유효선량보다는 약 2~3배 정도 높은 선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아직 시행 초기 단계인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