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has been suggested that Helicobacter pylori(H. pylori) infections can promote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gastric cancer through the modulation of cell cycle regulators such as p27Kip1 and Skp2. p27Kip1 is a cyclin-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 that blocks the G1/S transition necessary for cell cycle progression. Skp2 is a component of the ubiquitin ligase complex called SCFSkp2(SKP1-Cullin-F-box), which specifically binds and promotes the degradation of p27Kip1. A low level of p27Kip1 and a high level of Skp2 have been reported in many types of cancers, including gastric cancer. In addition, a decrease in p27Kip1 has been reported in H. pylori-infected specimens. However, data on Skp2 in H. pylori infections are limited.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status of Skp2 in H. pylori-infected gastric epithelial AGS cells. For this, we stimulated AGS cells with H. pylori(NCTC 11637) at the ratio of 300:1(bacterium:cell) for 6 hours. The results of an immunoprecipitation analysis, followed by a western blot, indicate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Skp2 and 14-3-3 was elevated 3 hours after the H. pylori treatment. In addition, there was an increase in cytoplasmic Skp2 after 3 hours, whereas there was no change in the nuclear level. Since it has been reported that interaction with 14-3-3 and the subsequent cytoplasmic translocation of Skp2 can increase its protein stability, increases in the interaction with 14-3-3 and the cytoplasmic Skp2 after the H. pylori treatment can increase the level of Skp2 in AGS cells. This phenomenon may explain, at least to some extent,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 pylori infections and gastric carcinogenesis.
This paper analyzes phenolic compounds, carbon isotopes, and sugar components of whiskys based on the maturation period. For this, the paper considers a total of 40 whiskys(mainly imports) distributed in Korea.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presence phenolic compounds(e.g., furfural, syringaldehyde, vanillin, syringic acid, and vanillic acid) because these are found only in whiskys ripened in oak.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otal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storage period regardless of the type of whisky. In terms of vanillin/syringaldehyde(V/S), Scotch whiskys had 0.4~0.5; American whiskies, 0.30~0.34; and Canadian whiskies, 0.31~0.33. In terms of Scotch whiskys, Macallan had 0.25~0.34, making it unique among Scotch whiskys. In terms of the ratio of carbon isotopes,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between malt Scotch whiskys, blended Scotch grain whiskys, American whiskys, and Canadian whiskys: -23.4~-24.3, -16.8~-21.0, -11.0~-11.5 and -9.5~13.9, respectively. In addition, malt Scotch whiskys contained 40~230 ㎎/ℓ of fructose; blended Scotch whiskys, 20~120 ㎎/ℓ; American whiskys, 50~70 ㎎/ℓ; and Canadian whiskys, 20~100 ㎎/ℓ, demonstrating that the fructose content of single-malt whiskys was twice the average fructose content. On the other hand, malt Scotch whiskys contained 30~170 ㎎/ℓ of glucose; blended Scotch whiskys, 20~120 ㎎/ℓ; American whiskys, 20~30 ㎎/ℓ; and Canadian whiskys, 10~110 ㎎/ℓ, demonstrating that the glucose content of single-malt whiskys exceeded the average glucose content. This study’s results can be used as a database of classification for whiskys based on the fermentation of raw ingredients and the period of maturat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whiskys. In addition, the results can facilitate the verification of genuine whiskys by allowing for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t types of whiskys based on the period of matur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various methods of soft steaming(i.e., forced convection-boiler, forced convection-fan, and natural convection) on the quality of potatoes. In particular, the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oking conditions (the steaming method, the treatment time, and the temperature) on the color(L, a, b), moisture content, texture profile, and ascorbic acid of potatoes. The results indicate that not only the cooking method, the treatment time, and the temperature but also the heat transfer mechanism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potato quality. In addition, natural convection steaming was superior to other treatment methods in terms of nutrient retention and texture mainten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seful for establishing commercial standards for processing potato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rmally processed foods.
This paper reviews 14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1392~1909) to examine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in Korean festivals. A total of 12 studies mentioned Seollal, Daeboreum, Dongji, Nappyeng as festivals involving. Traditional foods 10, Yudu, 9, Sambok and Junggujeol, 8, Chuseok and Seotdalgeummeum, 7, Samjinnal, Chopail, and Dano, 5, Jungwon, and 4, Hansik. In terms of the types of traditional foods, 13 studies mentioned red bean gruel, 12, Yaksik, 11, Tteokguk, 10, sudan and dog meat, 8, the custom of cracking the outer shell of different types of nuts, 7, Guibagisul(an ear-quickening wine), rice cakes(azalea hwajeon, zelkova rice cake, bean and turnip rice cake), 6, a chrysanthemum cakes, 5, Songpyeon, charunbeung(wagon-wheel rice cake), chrysanthemum wine, and sparrow meat, 4, Gangjeong, red bean grue, wine and snack, Jeonyak, 3, rice cakes, the making of soy sauce, Nabyak, roasted hare meat, foods for guests during, New Year festivities and rice cakes. The most frequently recorded festival foods were rice cakes and wine in various forms. This paper's review of ancient documents from the Joseon Dynast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s folk customs, particularly traditional foods. In addition, this paper's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sustain Korea's traditional customs and foods and facilitrate the spread of Korea's food culture worldwide.
For the purpose of production of GABA-rich tomato pas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ABA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Kimchi and optimize the culture conditions. As a result of fermentation, Lactobacillus brevis B3-20 amo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at the pre-experiments was the best producer of GABA at the tomato paste medium with 50%(wet-base) levels of dionized water. At the result of fermentation on the tomato paste medium with 0.5%(w/w) yeast extract, as a source of nitrogen, 3%(w/w) MSG(monosodium glutamate) and dionized water(the ratio of tomato paste and water was 2:8), Lb. brevis B3-20 produced the maximum GABA concentration, 143.38 mM. GABA-rich tomato paste showed the activity of free radical scavenging. Because GABA-rich tomato paste have functional ingredients such as ascorbic acid, lycopene, carotenoid, as well as GABA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GABA-rich tomato paste can be considered high functional materials.
상승 온도와 상승 CO2 농도 처리가 무의 생장량, C/N율, 그리고 식품 일반 영양성분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대기 온도보다 2~2.5℃ 범위의 온도 상승은 무의 건물생산을 26~39% 범위의 감소를 가져오며, 대기 CO2 농도가 220~230ppm 상승함에 따라서 건물생산의 감소가 9~15% 범위로 어느 정도 줄어들지만, 온도 상승에 의한 감소 효과를 극복하지 못했다. 온도 상승은 무의 T/R율을 봄에는 86%, 가을에는 60% 증가시켰으며, C/N율을 낮추고, 조단백질, 조지방, 그리고 회분의 함량을 높이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상승 CO2 처리는 C/N율은 높이고 조단백질, 조섬유, 그리고 회분의 함량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앞으로 온도 상승과 CO2 농도 상승 정도에 따라 무의 건물생산, T/R율, C/N율, 그리고 일반 영양성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블루베리 즙을 첨가하여 젤리의 제조조건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16개의 블루베리 즙을 이용한 젤 시료는 Design Exper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최적화를 위해 블루베리 즙(100~200 g), 설탕(40~160 g), 젤라틴(8~20 g)의 양을 독립변수로, 텍스처, pH, 관능평가 항목을 종속변수로 각각 선정하였다. 반응표면 분석법을 사용하기 위한 실험설계로 중심합성계획을 이용하였다. 각 항목별 최적조건은 Canonical 모형의 수치 최적화(numerical optimization)과 모형적 최적화(graphical optimization)를 통하여 선정하였으며, 그 중 가장 높은 desirability를 갖는 최적점을 선택하여 지점 예측(point prediction)을 통해 도출한 결과, 각 독립변수의 예측된 블루베리 즙을 첨가한 젤리의 최적값은 블루베리 주스 133.63 g, 설탕 160.0 g, 젤라틴은 12.78 g이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value-added sauce(ketchup) products with Korean advanced chile peppers (Capsicum annuum L.), determine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duct a sensory evaluation. American chile ketchup products were collected from American local favorites and analyzed based on their compositions. The Korean chile ketchup contained tomato paste(37.5%), Korean chile pepper(14.1%), sugar(14.8%), vinegar(14.1%), garlic(8.5%), herbs, plum extract, and oligosaccharide. Its physiochemical analysis showed: moisture 59.61±0.28%, crude protein 2.18±0.11%, crude lipid 1.99±0.04%, crude ash 9.26±0.13%, crude carbohydrate 26.97±0.48%, reducing sugar 35.19±0.97%, salt 3.04±0.04%, acidity 2.22±0.01%, pH 3.7±0.01, and °brix 36.3±0.14. Korean chile ketchup showe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American local favorite chile ketchup. This result suggests the possibility for replacing chile ketchup products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USA and Europ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healthy image on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meat and animal products. The study looked into beef, pork, chicken, sausage, mackerel, cutlass fish, croaker, tuna, squid, shrimp, clams, fish cakes, eggs, milk, yogurt, ice cream, and cheese. A total of 359 usable surveys give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While milk had the healthiest image, sausage had the least healthy image. The respondents preferred yogurt the most and sausage the least. The intake frequency of eggs was the highest and clams the lowest. The healthy imag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for all studied foo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both gender and ag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image and preference was significant for all foods, and a healthy image alway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reference. The relationship of healthy image and intake frequency was significant in 14 foods except for mackerel, cutlass fish, and tuna. Also a healthy image create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ake frequency of 14 foods.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건강기능성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자외선 처리를 하였을 때 매향, 장희, 육보 딸기의 생물활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과실류 및 채소류의 수확 이후에도 세포 활성이 유지된다면 자외선 등 여러 가지 외부 자극을 통해 2차 대사산물이 세포 대사에 의해 유도합성이 가능하다는 기작에 근거하여 딸기의 생물활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가설에 근거를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딸기의 생물활성은 항산화 효능, 해독화 효소 발현 조절 능력, 암세포 사멸 능력 및 항염증 효능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평가 결과에 의하면, 딸기의 품종과 UV 조사량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딸기 수확후 자외선을 조사하면 항산화 효능, 해독화 효소 발현 조절 능력, 암세포 사멸 능력 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항염증 효능은 자외선 처리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딸기 수확 이후 자외선 자극을 통해 생물활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후속연구를 통해 보다 정밀한 기작에 대한 규명이 뒤따라야 함을 또한 지적해 두고자 한다.
The effects of different ingredient formulations on physicochemical qualities and consumer preferences were investigated using Baikseolgi incorporated with perilla powder, a healthy food ingredient, as a model system. Perilla powder was incorporated into the formulation at five different amounts (0%, 5%, 10%, 15%, and 20% (w/w)) by replacing equivalent amount of non-glutinous rice flour. After appropriate mixing, rice cakes were steamed and quality attributes were evaluated after cooling. The pH increased but moistur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n increase in the perilla powder substitution (p < 0.05). Lightness (L*)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80.32 to 70.73 with the higher incorporation of perilla powder (p < 0.05), indicating that the color of Baikseolgi became dark. Redness (a*) and yellowness (b*); on the other hand,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5). Hardnes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perilla powder content increased in the formulation (p < 0.05). With respect to overall acceptability, the control received the highest mean score of 5.90; however, th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ll samples tested except for 20% sample (p > 0.05). Five percent sample received the highest or competitively high preference scores in all attributes; thus, incorporation of 5% perilla powder in the formulation of Baikseolgi would be recommended while taking advantages of the health benefits of perilla without sacrificing the quality acceptance by the consumers.
광펄스 기술은 광범위한 파장의 강한 빛을 짧은 시간동안 조사하여 미생물을 사멸시킴으로서 식품을 살균하는 새로운 비가열 살균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를 회분식 방법으로 광펄스 처리하여 살균 효과를 살펴보고, 저장 중의 품질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광펄스 처리 후 막걸리는 처리하지 않은 막걸리에 비해 2 log cycle 정도의 생균수의 감소를 보였으며, 균수는 1.8-2.7×104 CFU/mL 정도였다. 저장 기간 중 생균수는 4oC에서는 처리구와 무처리구 모두 효모, 세균 및 젖산균의 수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 후 4주간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30oC에서는 광펄스 처리하지 않은 막걸리의 경우 106정도 수준에서 7일간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처리구는 2일 정도 후에 무처리구와 비슷한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품질 변화를 보면 pH는 저장 온도와 상관없이 무처리구와 처리구 모두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적정산도는 4oC에서는 일정하게 유지가 되었으나 30oC에서는 무처리구의 경우 2일 후부터 급격한 증가를 보였지만 처리한 시료의 경우에는 저장 6일 후까지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환원당의 경우에는 저장 온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처리구와 무처리구 모두 저장기간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막걸리를 적절한 조건으로 광펄스 처리하였을 경우 품질변화를 최소화하고 생균수와 적정산도의 증가를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은 복분자주스의 기능성 및 품질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오렌지주스, 포도주스와 발효음료를 비교실험을 하였다. 과즙을 함유하지 않은 음료에서 수분이 높에 측정되었고 조회분, 조단백, 조지방이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과일음료에서 과일 과즙의 첨가 여부에 따라 일반성분 분석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다. 복분자음료의 제조 공정 중 당도, 산도, pH, 색도를 다른 주스들과 비교한 결과 오렌지주스와 포도주스에 비해 복분자 음료의 당도는 낮은 값은 수치를 나타냈다. 아미노산 분석에서는 오렌지주스와 포도주스에서 다양한 종류에 아미노산이 측정되었다. 또한 복분자주스에서도 20%의 함량에 비하면 다수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하지만 발효음료에서는 4가지의 아미노산 성분이 검출되었다. 이는 과즙을 함유한 음료와 그렇지 않은 발효음료의 차이라고 판단된다. 무기성분 분석에서 오렌지주스의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발효음료에서는 마그네슘의 함량이 다른 음료들에 비해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복분자주스는 다른 음료들에 비해 낮은 Na함량을 보였고 상대적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지닌다. 이는 복분자 자체가 지니는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등에서 나타나는 항암, 항바이러스, 항균작용 등으로 인한 작용으로 판단된다.
The rancidity of soybean (Glycine max L.) in powder forms was evaluated by fluorescence spectrum test (FST). The results from the FST were validated by comparing those of 2-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and acid value. The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of soybean powders were at the room temperature, 50, and 90oC for 20 days. The maximum excitation and the maximum emission of fluorescent compounds generated from the soybean powder during storage were observed at the wave length of 360 nm and 430 to 440 nm, respectively. The mean particle size of soybean powder was controlled to be 40 μm. The FST results showed that the lipid oxidation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and 50oC was not progressed actively (p < 0.05), but dramatically progressed at 90oC. All the values at room temperature and 50oC showed a similar pattern during storage. But, at 90oC, the FI (fluorescence intensity) values and the acid values showed similar patter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FST might be useful to measure the rancidity of soybean powder because FST did not require oil extraction to measure the rancidity.
옥수수 섬유질을 수분함량 20과 30%, 스크루 회전속도 150과 200 rpm으로 조절하고 배럴온도 160oC, 원료 사입량을 120 g/min으로 고정하여 압출성형하였 때, 압출성형 조건이 옥수수 섬유질의 화학적 특성(일반성분, 환원당 함량, 항산화 활성, 효소 반응성),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 물리적 특성(팽화율, WSI, WAI)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압출성형에 의하여 환원당과 전분, 항산화 활성, 효소반응성, WSI가 증가하였다. 특히 수분함량 20%에서 증가폭이 더 컸다. 효소반응성은 Viscozyme L에 대한 반응성이 더 컸으며, 특히 수분함량 20%,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에서 효소반응성이 가장 높았다. 수분함량이 20에서 30%로 증가할 때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감소하였으며, 직경 팽화율과 WSI도 감소하였으나, 비길이 및 WAI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분함량이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품의 열에 의한 손상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비열살균기술로 유전체장벽방전 플라즈마(DBDP)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E. coli에 대한 살균효과를 전류세기와 전극간격을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DBDP 살균효과는 초기에는 크게 나타나다가 이후 감소하는 2 구간으로 구성된 1차 반응으로 나타났고, 전류세기에 따라 살균효과가 증가하였다. 전극간격에 따른 살균력은 2.65 mm에서 가장 높았으며, 3.33 mm, 1.85 mm 순으로 감소하였다. DBDP 살균패턴은 Singh-Heldman 모델에 적합하였으며, 시료를 고정하고 DBDP를 처리한 경우 곡선형상계수(n)는 0.545-0.783 범위의 값을, D'-value는 0.565-3.268min의 값을 보였다. 최소 D'-value는 전극간격 2.65mm, 전류 1.25 A에서 나타나 가장 우수한 살균력을 보이는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DBDP 처리 시 시료를 이동시키면 고정하여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살균효과는 크게 향상되었으며, 양방향 이동식 처리가 단일방향 이동식 처리에 비하여 양호한 살균력을 보였다.
미생물 발효에 의한 녹차 추출물의 쓴맛 감소와 관능성 개선을 위하여 식품으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녹차 추출물을 발효시킨 후 catechin 성분 분석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된 100종의 미생물을 2, 4, 6, 8, 10%(w/v) 녹차 추출물에 배양하였을 때 2%와 4% 녹차 배지에서 최대 생육도을 나타내었다. 녹차 추출물 발효액의 HPLC에 의한 catechin 종류별 분석 결과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epigallocatechin (EGC), epicatechin(EC)는 발효에 의해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고(EGCG : 125.45→65.42 μg/mg, EGC : 85.96→38.03 μg/mg, EC : 25.64→13.84 μg/mg), gallocatechin gallate (GCG)와 gallocatechin(GC)의 함량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GCG : 7.79→85.22 μg/mg, GC : 9.46→64.59 μg/mg). 발효 후 galloyl residue를 가지는 cathechin(EGCG, ECG, GCG, CG)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나타낸 유산균 11주를 선정하여 녹차 추출물을 발효시킨 후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62901과 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K200132가 전체 기호도 조사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기호도가 좋게 나타난 샘플의 맛 패턴 특성을 살펴보면 구수한 향미는 강해지고 상대적으로 풀 비린 향미와 쓴맛이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업기술을 정보기술과 융합하여 농산물에 대한 in-situ 신속측정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농업기술과 정보기술에 대한 가교적 컨텐츠(bridging contents)가 요구된다. 사과의 전분 함량은 성숙도 또는 숙성도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 중의 하나이다. 사과의 전분 함량을 현장에서 신속히 평가하게 되면 수확 및 저장 관리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시각에 의해 사과의 전분 함량을 신속히 평가하는 방법을 고안하고자 먼저 3종의 전분지수를 제안한 후, 총 전분 함량 및 아밀로오스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전분함량에 대한 전분지수의 검정력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전분지수를 HLS(Hue-Lightness-Saturation) 영상으로 전환 후 전체 면적 대비 순청색(pure blue)에 해당하는 면적의 비로 정의할 때 총 전분 함량을 가장 잘 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총 전분 함량은 수분 함량의 영향을 배제한 건량 기준으로 표시할 때 전분지수의 검정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분지수 표시법을 정보기술과 접목하면 매우 효과적인 현장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비만의 증가로 식품 산업계에서는 열량이 없거나 적은 원료로 고열량의 원료를 대체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젤라틴과 한천을 원료로 동일한 경도의 젤을 만들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동일한 경도를 갖는 젤의 제조를 위하여 물 150 g에 정백당 60 g과 각각 젤라틴 12 g, 한천 2 g을 첨가하여 물 50 g 이 증발할 때까지 중탕하여 성형, 냉각한 후 젤을 제조하였다. 경도는 젤라틴과 한천 젤 각각 22.36, 22.80으로 동등하게 제조하였으며, 이 때 응집성, 부착성, 씹힘성 등은 젤라틴 젤이 더 높았다. 제조된 한천 젤과 젤라틴 젤의 pH는 각각 8.17, 7.05였으며, 당도는 각각 12.97, 14.43oBx를 나타내었다. 응력완화를 측정한 결과 5초 후 한천과 젤라틴 젤의 응력은 각각 3.3, 9.5 N 이였으며 각각 5초, 1초 동안에 급격히 응력이 감소된 후 서서히 완화되었으며 응력완화시간은 한천 젤은 2.54초 였고 젤라틴 젤은 측정이 불가능 하였다. 보수력은 한천과 젤라틴 젤이 각각 98.83, 100%였으며 이는 사용된 한천의 농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젤라틴 대체 시 경도를 동일하게 하였을 경우 질감을 비롯한 다른 요소들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rheometer를 이용하여 식용유 함량을 75, 80, 85%로 달리하여 제조한 3종류의 마요네즈의 정상유동특성과, 진폭을 작게 한 전단변형하에서의 동적유동특성을 광범위한 전단속도와 frequency 영역에서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정상유동특성의 전단속도 의존성 및 동적점탄성의 frequency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마요네즈는 항복응력과 shear-thinning 및 thixotropy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들 성질은 식용유 함량이 증가할수록 강화되었다. 점탄성의 측정결과 광범위한 frequency 영역에서 G'값은 G"값보다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G'과 G"의 frequency 의존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n'과 n"은 각각 0.10, 0.20이었으며 G"이 G'보다 frequency 의존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75, 80, 85% 마요네즈의 부피평균직경은 각각 3.89 μm, 3.04 μm, 3.15 μm로 식용유 함량이 75%인 경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