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및 국제심포지엄 (2017년 10월) 322

12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가리왕산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고, 종다양성이 높으며, 국유림지에서는 다양한 산림관리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6년도까지 조사된 딱정벌레목을 중심으로 산림관리가 종다양성에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자료는 구글 스칼라, 네이버 전문정보를 통해 학술 논문 및 보고서, 국립산림과학원조사 결과 등을 통하여 얻었다. 자료에는 총 52과 473종의 딱정벌레가 기록되었으며, 반날개과와 딱정벌레과가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종풍부도는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 여름에 가장 높았다. 또한 딱정벌레를 먹이섭식기능군에 따라 구분하였을 때 포식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계절에 따라 기능군의 구성이 달라졌다.종다양성은 산림관리가 시행되지 않은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산림관리가 딱정벌레목 종다양성에 크게 영향을미쳤다.
12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북미 지역이 원산지인 미국선녀벌레는 2005년 국내 분포가 발견된 이후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침입해충이다. 현재까지 미국선녀벌레에 대해 생활사 등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으나, 확산과 관련된이동 능력에 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국선녀벌레의 확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1) 단거리수평 이동, 2) 도약 이동성, 3) 확산성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실험실내에서 미국선녀벌레를 방사 후 일정기간관찰 진행하였다. 단거리 수평 이동은 미국선녀벌레 60개체를 30 분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이동 거리는 약 260cm, 출발점 기준 직선 이동 거리는 100 cm 이내였다. 80개체를 이용한 도약 이동성 실험에서 평균 비행 시간은10 초였으며, 약 270 cm를 도약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주식물 존재 시 미국선녀벌레의 확산성에 관한 실험에선134개체가 2시간 동안 평균 약 3 m를 이동하였으며, 최대 25 m까지 이동하는 개체들이 관찰되었다.
12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공검지는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위치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저수지 중 하나이다. 공검지는 생물다양성이풍부한 습지임을 인정받아 1997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또한 환경부는 2011년 저수지를 비롯하여 주변논 경작지와 산림구역이 포함된 공검지 일대 0.264㎢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였다. 본 조사는 공검지 보호구역내의곤충상을 비교하기 위해 공검지를 저수지 구역, 논 구역, 산림 구역으로 나누어 곤충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시기는5월, 8월로 총 2회 실시하였으며, 조사방법으로 Sweeping과 Pitfall trap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세 구역에서총 7목 50과 102속 105종 786개체가 채집되었다. 조사구역별로 저수지 구역에서 4목 25과 37속 38종 502개체, 논구역에서 7목 31과 45속 46종 164개체, 산림 구역에서 5목, 29과 52속, 52종, 120개체가 조사되었다. 유사도 분석결과저수지 구역과 논 구역은 0.31로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냈다.
12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t insects possess two different acetylcholinesterases (AChEs) loci (ace1 and ace2). In contrast, cyclorrhaphan flies,including Drosophila flies, are known to have only a single ace2 locus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sequenceinformation of two different ace genes of Drosophila suzukii have been reported in GenBank. To identify two ace genes(Dsace-A and Dsace-B) in D. suzukii, therefore, we extracted total RNA from 6 individuals and two ace genes successfullywere amplified using gene-specific primers, suggesting that two Dsace genes are transcribed. According to the amino acidsequence analysis, DsAChE-A possesses typical amino acids for 3D structure and catalytic activity of AChE, while someamino acid residues were not conserved in DsAChE-B, suggesting that DsAChE-A and DsAChE-B may be respectivetrue gene and pseudogene of two ace in D. suzukii.
12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무인항공기인 드론과 무인헬기를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솔수염하늘소 성충을 대상으로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10%)를 항공 살포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고 수관부 및 지피물에서의 살포약제의 검출량을 조사하였다. 무인헬기를 이용하여 소나무림 ha 당 20배 희석액 20ℓ와 드론을 이용하여 40배 희석액 40ℓ를 살포한 결과,수관 상부에서 72.0%와 45.5%와의 살충률을 보였고, 수관중부에서 73.6%와 70.0%의 살충률을 보여 수관중부에서살충효과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제살포 4시간 경과 후 소나무 수관상부와 수관중부의 2~3년생 가지를대상으로 솔잎을 제거한 가지부와 지피물 소나무 솔잎을 대상으로 티아클로프리드의 약제 검출량을 조사한 결과무인헬기 살포구의 수관상부 가지에서 0.74~6.74㎎/㎏이 검출되었고 수관중부 가지에서 0.49~4.47㎎/㎏이 검출되었으며, 지피물에서는 1.29~24.44㎎/㎏이 검출되었다. 드론 살포구에서의 수관상부와 중부가지 및 지피물 솔잎에서의약제 검출량은 각각 0.02~2.20㎎/㎏, 0.04~3.18㎎/㎏, 0.11~6.04㎎/㎏이 검출되었다.
126.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report here one species, Ampelodesmus cf. granulosus myrmecophilus millipede (Pyrgodesmidae) collected fromcolonies of Brachyponera chinensis (Formicidae: Hymenopera). The family Pyrgodesmidae contained over 500 speciesdistribute mainly in tropics (Shear, 2011). Some species are found only in ant colonies, and are considered obligate myrmecophiles(Stoev et al. 2005). Myrmecophilus pyrgodesmid millipedes are known to scavenger as they feed on debris of host ants.Largely unknown is how millipedes can avoid from aggression of host ants, but host ants completely ignoring their invader(Komatsu, unpublished data). Two genera and four species of family Pyrgodesmidae were known from Japan which werecompletely unknown from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provide description, especially gonopods of male, host informationand breeding records of Ampelodesmus cf. granulosus.
12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a result of the curation of NIBR Insect Collection (NIBR, 2016), we found a new species and 4 newly recordedspecies, Tropideres distinguendus sp. nov., Acorynus latirostris (Sharp), Illis anna Shibata, Phaulimia confinis Sharp, Choraguscissoides Sharp. The genera, Acorynus Schoenherr and Illis Jordan are also newly recorded to Korean fauna. The newspecies, Tropideres distinguendus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species by the tubercles and dorsal pubescence pattern.Phaulimia confinis is similar to P. rufobasis, but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by blackish elytral color and tibialpubescence band. Choragus cissoides is similar to C. cryphaloides, but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by the absenceof lateral carina of pronotum.
12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북방수염하늘소는 중요한 소나무재선충 매개충으로, 일중 행동패턴의 연구는 방제 시기 등 방제에 중요한 역할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북방수염하늘소의 일중 행동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타이머부착 페로몬-유인제 트랩을이용하여, 행동패턴을 조사하였다. 페로몬-유인제 루어로는 monochamol, a-pinene, ipsenol, ethanol을 스프레이 캔에주입한 후, 타이머를 연결하였다. 분사시간은 일출-오전(05:00-11:00), 한낮(11:00-17:00), 일몰을 포함한 저녁(17:00-23:00),한밤(23:00-05:00)의 4 구간으로 나누어 15분에 1회 분사하였다. 트랩은 cross-vane 트랩을 사용하여, 20미터 간격으로설치하고, 블록간 간격은 최소 500 미터로 총 5 블록을 설치하였다. 그 결과, 한낮인 11:00-17:00시간대에 가장많은 수의 북방수염하늘소가 포획되었고, 일출-오전, 일몰을 포함한 저녁, 한밤의 순서로 포획수가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북방수염하늘소는 주행성인 것으로 판단된다.
12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의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곤충들을 기후에 대한 지표 생물이라고 볼 수 있으며, 대표적인 분류군이나비류이다. 본 연구는 기 채집된 나비 날개의 길이와 채집된 지역, 시기별 평균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것이다. 1990-2016년까지 채집되어 표본을 소장한 서울여자대학교와 목포대학교의 나비표본 10종(긴꼬리제비나비,사향제비나비, 모시나비, 네발나비, 노랑나비, 배추흰나비, 줄흰나비, 대만흰나비, 작은주홍부전나비, 푸른부전나비),680개체에 대하여 앞, 뒷날개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평균온도와 나비 날개 길이는 월 단위로 평균 내어 분석하였다.분석 결과,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날개의 길이가 짧은 종(작은주홍부전나비)은 길이가 감소하였으나날개의 길이가 긴 종(작은주홍부전나비 외)은 길이가 증가하였다. 나비 날개와 평균온도에 관한 연구는 선례가적으므로, 본 결과가 나비의 기후변화 지표종으로의 가능성을 제고하고, 기후 변화 연구에 활용될 기초자료로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노린재목(Hemiptera)으로 분류되는 물장군(Lethocerus deyrollei (Vuillefroy))은 수서곤충 중 가장 대형 종으로 습지,농수로 등에서 서식한다. 최근 서식지 파괴, 농약 사용, 수질오염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현재 환경부가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7월 13일부터 9월 22일까지 광주기가 인공 부화된물장군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재현하기 위해 30℃, 광주기 16L:8D, 12L:12D, 8L:16D 조건에서 조건별 40개체를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16L:8D에서 각 령기별 생장 기간은 4.43일(1령), 4.97일(2령), 5일(3령),6.63일(4령), 13일(5령)로 총 34.08일, 12L:12D에서 4.11일(1령), 4.75일(2령), 4.12일(3령), 5.33일(4령), 10.61일(5령)로총 28.77일, 8L:16D에서는 5.03일(1령), 3.92일(2령), 4.44일(3령), 5.8일(4령), 10.72일(5령)로 총 29.84일로 나타나면서12L:12D조건이 16L:8D, 8L:16D조건 보다 생장 기간이 짧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13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published 'The Compilation of National List of Indigenous Insect Species ofthe Korean Peninsula' in 1996 including 11,853 species.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originallycompiled the national species list of insects to establish a national inventory of endemic biological assets with the joinedefforts from all distinguished Korean taxonomists since 2008. For the convenience of taxonomists participating in theproject concurrently, the NIBR has developed the NIBR inventory description method and inventory system from 2008to 2017. Until September 2017 in this study, the NIBR has established the national insect inventory of 17,493 speciesincluding Collembola. The insect fauna of the Korean Peninsula comprises 579 families from 30 orders. The largest ordersare Coleoptera (114 families, 4,489 species), Lepidoptera (72 families, 3,868 species), Hymenoptera (63 families, 3,581species), Hemiptera (88 families, 2,102 species) and Diptera (79 families, 2,128 species). The fractions of the main insectorders in the fauna of the Korean peninsula correspond to those in the Holarctic temperate zone.
13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명나방(Maruca vitrata)은 주 기주식물이 콩 , 팥, 녹두, 동부 등 콩과식물로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 대만,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등 넓은 지역에 결쳐 분포하고 있는 아열대종이다. 콩명나방은 온난화와더불어 그 중요도 및 피해가 커지는 해충으로 성페로믄을 이용한 모니터링에 적합한 트랩을 개발하기 위하여콩명나방 성충의 교미 행동을 관찰하였다. 콩명나방 수컷 성충은 암컷의 주위를 맴돌다 교미하고자 하는 암컷의등에 올라탄다. 이 후 수컷은 암컷의 등위에서 빙그르르 돌아 내려가 교미한다. 콩명나방의 교미 전 사전 행동시간은 3~4초 정도로 짧았다. 암컷 성충을 미끼제로 이용한 유인 실험에서 콩명나방 수컷은 암컷 미끼 트레이주변을 배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가끔 트랩을 벗어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정지역(약 30cm) 이상을 벗어나지는않았다. 일부 콩명나방 수컷 성충은 돌진하듯이 암컷 미끼 트레이에 접근한 후 트랩에 포획되는 모습을 보이기도하였다
13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의 나무주사는 살선충제를 중심으로 실시되어 왔으며,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의 방제는 주로 항공방제나 지상방제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나무주사를 통하여 매개충(솔수염하늘소)을 방제하기 위한 연구로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 DC약제의 나무주사시 솔수염하늘소의 약효발현농도, 수목내 약제의 이동특성 및 치사율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실내 약효발현농도 시험에서는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 DC 모두 0.1ppm 이상의 농도에서 평균 6일 경과 후 100.0% 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야산에서 나무주사를 통하여 솔수염하늘소에 대한 효과검토 결과,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DC 모두 처리 60일 후 90.9%의 치사율(가지섭식 14일 후 기준)을 나타내었으며, 죽지 않는 개체는 가지의 약제침투특성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13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기・강원도 7개 군, 중국 길림성과 요령성의 벼, 옥수수, 콩, 감자, 맥류 노지 포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들을조사하였다. 국내 북부지역 벼에서 벼물바구미, 멸강나방, 애멸구; 옥수수에서 멸강나방, 조명나방; 콩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세줄콩들명나방; 감자에서 큰28점박이무당벌레 등이 주로 발생했다. 북방 유사지역인 길림성과 요령성주요 식량작물 포장에 발생하는 해충들은 발생밀도에 차이는 있으나, 국내 북부지역과 유사하게 발생하는 특성을보였다. 유효적산온도를 이용하여 북방 지역에서의 벼물바구미의 월동성충 및 신성충 이동시기를 추정하면, 북방서부지역의 월동성충은 국내발생과 비슷하였지만 북방지역의 내륙 및 북부지역에서는 발생시기가 늦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양, 신의주, 안주 등의 신성충 발생시기는 국내 서해안 지역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북부지역에서는늦어졌고 일부지역은 이들이 발생해도 성충까지 완전하게 발육하지는 못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13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흰점박이꽃무지 성충 및 유충을 대상으로 실내조건(26±1℃, 70%RH)에서 광조건 L:D=16:08, L:D=12: 12, L:D=0:24의조건에서 조사하였으며, 성충 산란수는 성충 우화 후 2주부터 6주까지 5회, 유충은 5주간 5회 유충무게를 측정하여광조건에 따른 산란수와 유충무게 변화에 대한 비교를 하였다. 그 결과 L:D=16:8, 12:12, 0:24의 처리구의 산란수는각각 55.2±2.6, 66.8±11.1, 49.6±5.54개이었다. 처리구 L:D=12:12에서 가장 많은 수의 산란수를 보였으며, L:D=16:8과0:24의 처리구에서는 산란수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유충의 경우 L:D=16:8, 12:12, 0:24의 처리구에서5주 후 유충 1마리의 평균무게는 각각 2.62±0.09g, 2.70±0.05g, 2.57±0.06g이었으며, 처리구별 유충의 무게변화에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번 실험 결과 흰점박이꽃무지 성충의 산란과 유충의 성장에는 광조건이 큰 영향을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광조건 L:D=12:12처리구에서 산란수와 유충의 성장이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136.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increased use of organic phosphorous based chemical pesticides in domestic and overseas agriculture has resultedin emergence of tolerant strains of insect pests. These pests have spread throughout South Korea and are responsible forsignificant reduction in crop yields. Furthermore, as yet there is no effective way of controlling these insects or the damageresulting from pest infestation. To this end, we are attempting to develop biological control based methods to protectcrop plants against insect pests. A screen for biocontrol agents conducted in five farms that were heavily infested bynematodes in 2015-2016 identified Aspergillus niger F22 strain that was very effective against root-knot nematode. Afour-time treatment with A. niger F22 at an internal of ten days was able to reduce nematode population by 70-90%compared to untreated controls. The biocontrol agent was also more effective compared to ograno-phosphorus based pesticide,which caused a 30% reduction in nematode population. Notably, the extract (suspension concentrate) prepared from A.niger culture was equally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root-knot nematode and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as a marketableproduct under the brand name “NAMAFREE”.
13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asonal distribution of disease vector species including mosquitoes and ticks plays a key role in establishing risk managementof vector-borne disease. However,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vector species are notcurrently well understood. Therefore, we conducted a two-year field sampling to address the population dynamics of mosquitoesand ticks in Gyeonggi-do in 2015 and 2016. In 2015, the population density was highest in May for ticks (e.g. Haemaphysalislongicornis) and June for mosquitoes (e.g. Aedes vexans), whereas both pest groups peaked in August in 2016. Culexpipens (82.3% Species Ratio), Ae. vexans (77.3% SR), and Anopheles sinesis sp. (45.3% SR) were the most dominantspecies in urban area, cow shed and wild bird refuge, respectively. For ticks, H. longicornis (47.7% SR) was the mostdominant throughout four potential habitats.
13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ough an integration of seasonal climate forecasts (SCF) and rice pest epidemiological models, a potential risk forrice pest epidemics can be predicted even before a cropping season start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velopand evaluate an epidemiological “rtdSim” model for tungro, a vector-born rice disease, aiming at predicting a seasonaltungro risk in the Bicol Region of the Philippines. Predicting tungro epidemics requires many components explaining thecomplex nature of the three-cornered pathosystems (virus, vector, and host) and their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variables.The rtdSim model successfully calculated number of rice hills infected with the rice tungro virus through its vector, thegreen leafhopper (GLH). The present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a climate-based early warning systemfor rice pests, thus allowing better decision-making on a seasonal level.
13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강원지역 신소득 작물인 결구상추의 지역별 병해충 발생 추이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고자, 2017년5월부터 10월까지 홍천 등 3개 지역 결구상추 주산지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병해로는 무름병, 균핵병,세균성점무늬병이 발생하였는데 지역별 발생양상을 보면 재배기온이 높은 춘천지역에서 무름병이 높았고, 홍천에서는 균핵병, 횡성에서는 세균성점무늬병이 주로 관찰되었다. 끈끈이 등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해충 발생양상 조사결과 총채벌레, 파밤나방, 멸강나방, 담배나방, 담배거세미나방, 왕담배나방, 도둑나방이 발생하였다. 총채벌레의경우 지역별 발생양상은 차이가 있었으나 결구상추 재배기간 동안 지속적인 발생을 보였고, 나방류에서는 파밤나방이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홍천지역에서는 달팽이가 가을재배 시에 발생되어 결구상추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것도 확인 하였다.
14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최근 강원도내 재배면적이 증가한 멜론 및 수박의 주산지별 병해충 분포 특성을 구명하고, 문제가되는 병해충의 발생을 예찰 및 진단을 통해 방제적기를 확립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강원지역 멜론 및 수박재배면적은 2010년 76ha에서 2016년 181ha로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멜론과 수박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병해로는바이러스, 흰가루병, 노균병 등이 있었고, 바이러스의 경우 생육중기에서 후기에 최대 발생주율을 보였으며, 박과류에주로 나타나는 CABYV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흰가루병의 경우 생육초기 최대 33.3%의 발병엽율을보였으며, 노균병은 생육말기에 최대 28.0%의 발병엽율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점무늬병도일부 확인 할 수 있었다. 발생해충으로는 가루이류, 총채벌레류, 굴파리 등이 있었고, 가루이의 경우 시설 내에서작물재배기간 동안 꾸준히 발생하였고, 생육말기인 7월 하순 트랩당 105.3마리의 최대발생밀도를 보였다. 총채벌레의경우 개화기에 발생밀도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트랩당 최대 206.4마리가 발생하였다. 그 외에도 점박이응애,목화바둑명나방, 진딧물류 등의 해충발생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