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정기총회 및 국제심포지엄 (2017년 4월) 313

16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Aridelus Marshall is a cosmopolitan genus of the subfamily Euphorinae. The genus comprises about 50 species worldwide, including 11 species in the East Palaearctic Region. Korean species of the genus have been investigated by several researchers (Papp, 1992; Belokobylskij, 2000; Ku et al., 2001). The members of the genus Aridelus parasites on nymphs and adults of Pentatomid species (Shaw, 1985). In this study, Aridelus aulacocentrum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Diagnosis and photographs are provided. A key to the Korean species of genus Aridelus is also given.
16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Thyrididae was known as a small group comprising 760 species in the world. Among them, about 30% of the species in the family was unnamed(Choi, 2005).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Thyrididae is a window-like transparent pattern of wings. In this study, the preliminary catalogue of the family Thyrididae was presented with two newly recorded species, Striglina sp. and Rhodoneura sp.,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ll the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host plants, distributional ranges and synonymic list were provided for the further study.
163.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Phyllonorycter is one of the large group, in the family Gracillariidae, comprising 401 described species in the world. In this study, a total of 21 species of the genus Phyllonorycter is recognized. Among them, six newly recorded species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ll available materials were examined for adult and genitalic characters with know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llecting localities, illustrations of adults and genitalia.
164.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쌀바구미류(Sitophilus spp.)에 대한 분류학적 정립의 모호함과 쌀바구미(S. oryzae; rice weevil)와 어리쌀바구미(S. zeamais; maize weevil)를 외부형태적 특징으로 구별하기 어려워 2000년 이전까지 국내 저장 쌀에 발생하는 바구미와 관련하여 보고된 거의 대부분의 문헌들은 쌀바구미(S. oryzae)로 다루어졌다. 그 후, 분류학적 재정립과 쌀바구미와 어리쌀바구미의 생식기 구조상 차이로 확실하게 구별이 가능하여 국내 여러 기관들이 소장하고 있던 쌀바구미류 표본들을 검경한 결과, 모두 어리쌀바구미(S. zeamais)로 동정되었고, 쌀바구미(S. oryzae) 표본은 확인되지 않았다(홍 등, 2001). 그러나 2015~2016년 전국의 미곡처리장(RPC) 및 저장창고에 발생하고 있는 저곡해충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충북 청주와 보은, 전북 군산, 전남 장성 소재의 창고에 저장된 쌀에서 쌀바구미(S. oryzae)의 발생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쌀바구미류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성충의 생식기 및 유충의 아랫입술수염 형질을 비교하는 한편, 종 특이프라이 머를 이용한 구별방법을 제공한다.
16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ranefly genus Tipula Linnaeus, 1758 (Diptera: Tipulidae) contains up to 2,790 species in 40 subgenera distributed in all biogeographic regions. The richest fauna is known in the Palaearctic region with 1,224 speices. The Korean Tipula wa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by Alexander in the early 20th century. According to the ‘Checklist of Korean aquatic insects (2014)’ 30 species in 12 subgenera are recorded in Korea. Baek and Bae (2016) additionally reported 5 species new to Korea. We reviewed all known species of the genus Tipula in the Korean Peninsula. We also provided a key to the subgenera and specie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fun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of the Republic of Korea (NIBR201722202).
16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icidal susceptibility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investigated under laboratory and greenhouse conditions using commercial insecticides at their recommended concentrations. Neonicotinoid insecticides, especially acetamiprid SP, clothianidin SC, imidacloprid WP and thiacloprid WG were not toxic to F. occidentalis collected from horticultural crops. Excepting the insecticide of spinosin or pyrrole class, there was a little class of insecticides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F. occidentalis in horticultural crop areas. Considering all the results in this study, spinosin insecticides including over 4 and 10% of spinetoram and spinosad, and pyrrole insecticide including over 5% of chlorfenapyr should be recommended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F. occidentalis
167.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식물방역법은 1995년 WTO '위생 및 식물위생조치(SPS)' 체제 출범에 따라 그 해 12월 전면 개정되어 검역병해충 1,379종(금지 39종, 관리 1,340종)이 지정되었다. 그 후 여러 번의 개정을 거쳐 현재 2,002종(금지 60종, 관리 1,942종)이 검역병해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식물검역과정에서 검출된 병해충에 대한 정보를 농림축 산검역본부 내에서 운영하는 병해충정보시스템(Pest Information System)에 기록 및 관리하고 있다. 병해충정보시스템(PIS)의 병해충검출통계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우리나라로 수입된 식물 3천 2백만 건에 대해 해충 검출동향을 파악․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충 검출 건수는 2000년부터 2007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정점을 이루고 이후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최근 3년 사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러 검출품목 중에서도 생화훼류의 해충 검출건수가 최근 급증하였다. 작년 한해동안 검출 빈도가 높았던 해충은 갈색머리대장(359회), 바나나가루깍지벌레(321회), 캘리포니아붉은깍지벌레(196회) 등으로 나타났고, 금지해충인 코드린나방, 관리병해충 8종이 신규검출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16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진딧물의 내부기생벌인 Aphidius transcaspicus는 산업화된 A. colemani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기생하 는 진딧물 종류가 서로 간에 다르다. 즉, A. colemani는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에 효과적인 반면 A. transcaspicus는 Hyalopterus, Melanaphis 그리고 Rhopalosiphum 속의 진딧물들을 기생하며 특히 H. pruni(복숭아가루진딧 물) 방제에 효과적인 천적으로 보고되어있다. 이 종은 지중해, 소아시아, 트랜스코카시아, 중앙아시아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는 보고된 바가 없다. 2016년 3월에 예천에서 채집한 기생벌을 형태적 및 유전자진단법으 로 비교하였다.
169.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최대 곶감 생산용 감 품종인 상주둥시 과원에서 방제력 적용에 따른 병해충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적으로 방제 횟수별에 따른 병해충 방제 효과를 예비 방제력을 적용하여 경북 상주지역에서 수행하였다. 11종의 살균제와 5종의 살충제를 조합하여 6월 중순부터 3회 처리와 4회, 5회 처리를 한 후 병해충 발생을 조사하였다. 가지에서는 거북밀깍지벌레와 식나무깍지벌레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잎에서는 담배거세미나방의 피해가 발생하였고, 과실에서는 식나무깍지벌레와 노린재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식나무깍지벌레는 가지에서는 무처리구와 처리구 사이 에 방제가의 차이가 없었으나 과일에서는 4회와 5회 처리구의 방제효과가 높았다. 둥근무늬낙엽병은 무방제구에서 낙엽 감소율이 94.5%로 약제처리구의 8-17.4%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으며 무방제시 낙과율도 97%에 달하였다. 둥근무늬낙엽병의 이병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방제시기를 당기고, 깍지벌레류 관리를 위한 약제 처리 시기도 조절하여 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70.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is a serious pest and virus vector of many crops. To understand thermal tolerance of B. tabaci at molecular level, effects of rapid and acclimated thermal stress were analyzed by measuring mRNA levels of two heat shock proteins (hsp), hsp23 and hsp90, of B. tabaci using quantitative real-time RT-PCR. Mortality of adult whiteflies were 65.5% by 45°C for 1 h but 100% by 50°C for 1 h. However, mortality by subsequent exposures to 35°C for 1 h then 45°C for 1 h was 43.3%. Comparison between rapid and acclimated heat shock treatments showed that different patterns between hsp23 and hsp90 levels. At acclimated condition, hsp90 was higher but hsp23 was lower than rapid heat shock.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heat acclimation response is possibly advantageous to whiteflies that are often exposed to drastic temperature fluctuations.
17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oxicity of neem extracts that induce abnormality and lethality is strongly enhanced by the ingestion rather than surface contact. Oral toxicity of neem extracts was analyzed using a plant sapping pest Bemisia tabaci. When adults were allowed to ingest various doses (0, 5, 10, and 50 ppm) of azadirachtin diluted in 20% sugar solution in a double-layered parafilm chamber for 72 h, mortality was 12.5, 77.5, 97.5, 100%, respectively. When a cucumber leaf which has many nymphs were submerged into the solution of neem extract, adult eclosion was decreased to 87.0, 16.6, 16.1, and 6.6%, respectively. Further, when neem extracts were irrigated into the tomato cultivar the average number of nymphs per leaf was decreased to 60.3% in comparison with the untreated control. These result suggest that systemic treatment of neem extracts was effective for the control of whiteflies as well as other sucking insect pests.
17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의 잠재적 서식지 분포를 MAXENT(Maximum entropy, version 3.3.3k) 모형으로 예측하였다. 모형 구동을 위한 자료는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2016년도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현황 자료와 Worldclim에서 제공하는 1960~1990년 동안의 평균 기후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형 구동결과, 모형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AUC(Area Under the Curve) 값은 0.862로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환경 변수의 기여도는 가장 더운 달의 평균기온에서 36.2, 가장 습한 달의 평균기온에서 28.6으로 추정되었다. MAXENT 결과는 솔수염하늘소의 생리적 특징과 기후자료를 종합한 CLIMEX모형 결과와 일본에서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위험도 추정을 위하여 개발된 MB(Monochamus, Bursaphelenchus)지수 및 JPS(Japanese Pine Sawyer)지수를 이용한 결과와 각각 비교하였다.
173.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남지역 미국선녀벌레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2009년 김해지역의 단감 농가에서 발생된 이후 창원, 밀양, 진주, 함양 등 경남 전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산림지역 방제의 어려움 등으로 발생밀도가 해마다 급격하게 증가하여 단감, 사과 등 농작물의 피해가 심각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선녀벌레의 과수원내 이동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월동난, 약충, 성충의 발생밀도를 진주와 밀양에서 사과와 단감을 조사하였고, 미국선녀벌레의 피해를 구명하기 위하여 접종수준별 감의 발육에 미치는 피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미국선녀벌레는 과원에서 산란을 선호하지 않고 주변 식생인 아까시나무에서 주로 산란하여 월동난의 발생밀도가 높다. 미국선녀벌레의 과수원 주변 식생에서 과원 내 유입시기는 약충 5월 하순, 성충 7월 중순이며, 과원에서 발생 최성기는 약충 6월 상순, 성충 7월 하순이다. 미국선녀벌레 접종수준별 피해를 조사한 결과 접종기간이 길고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잎의 낙엽과 그을음병 발생정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었다. 향후 미국선녀벌레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제전략으 로 본 연구 자료를 활용하고자 한다.
174.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화진딧물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기주 범위 또한 매우 넓은 해충 중 하나이다. 기주식물의 즙액을 흡즙하여 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바이러스를 매개하여 피해를 준다. 본 연구에서는 목화진딧물 방제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뱅커플랜트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백일홍의 콜레마니진디벌 보호효과를 평가하고자 실내와 비닐하우스내에 서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내평가는 암실조건에서 Y- tube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백일홍에 대한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목화진딧물이 접종된 오이와 백일홍 혼합 처리구에서 목화진딧물이 접종된 오이 처리구 보다 유의한 수준의 선호성을 보였다. 망사케이지내에서 오이를 백일홍을 포함한 동반식물과 재식한 후 목화진딧물과 콜레마니진 디벌을 방사하여 기생된 머미수를 조사한 결과는 백일홍 처리구와 보리 처리구에서 머미 밀도가 가장 높았다. 비닐하우스 실험에서는 봄 / 가을작기 2회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오이재배 포장에 백일홍을 가장자리에 재식하여 콜레마니진디벌의 목화진딧물 밀도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봄작기 때 뱅커플랜트 단독처리구보다 백일홍 처리구에서 목화진딧물의 밀도가 낮았고, 가을 작기에는 대조구인 유기농업자재 처리구에서와 비슷한 수준의 목화진 딧물 밀도를 나타냈다. 위의 실험들을 통하여 백일홍을 뱅커플랜트와 함께 처리하였을 때 콜레마니진디벌 활성을 높여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백일홍처리에 따른 콜레마니진디벌 성충의 산란수 및 수명 변화 등 실내실험 및 포장에서의 콜레마니진디벌에 의한 목화진딧물 기생율 조사 등 추가 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7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비래해충은 중국에서 봄철 바람을 타고 넘어들어와 문제가 되는 해충으로 애멸구를 제외한 나머지 것들의 월동은 불가능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후변화는 이러한 비 월동개체군의 월동 가능성 및 토착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비하여 비래해충의 피해가 있는 주 재배지별 비래해충의 발생과 유입특성 파악을 위한 실태조사가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호남지역 도별 각 2개의 시군을 선정하여 비래해충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중 멸구류 (벼멸구(Nilaparvata lugens),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는 육안조사, 포충망 조사를 이용하였고, 나방 두 종류(멸강나방(Mythimna separata), 혹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는 종 특이적 페로몬을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호남 지역에서 멸구류는 애멸구, 흰등멸구가 벼멸구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조사되었고, 나방류는 전남 보성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혹명나방의 밀도가 증가한 뒤 멸강나방의 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7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겨울철 녹비 처리별 논 월동 곤충상을 조사하기 위해 함정트랩을 설치하여 2년간 조사하였다. 볏짚 피복, 호밀, 헤어리베치, 무피복의 4처리 3반복으로, 반복 당 2개의 트랩을 설치하였다. 녹비종자는 15년 10월 17일과 16년 10월 13일에 파종하였고, 100m2 의 크기로 조성하였다. 트랩은 에틸렌글리콜과 에탄올을 1:1로 섞어 200ml를 붓고 접시로 덮어주었다. 1년차에는 매달 1회 2주간 트랩 설치 후 조사하였으며, 2년차에는 12월 말부터 3월 말까지 2주 간격으로 트랩을 교체하였다. 톡토기목, 거미목, 파리목,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잠자리목, 벌목, 메뚜기목이 채집되었다. 1년차는 헤어리베치 처리구에서 거미와 톡토기류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호밀과 무처리순으로 나타났 다. 3월 말까지 경향이 지속되었다. 2년차는 녹비 처리구 톡토기류 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거미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녹비식물이 겨울철 습해로 인해 생육이 원활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177.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én)에서 Drosophila-type AChE 유전자(ace2)의 full-length mRNA 서열 정보를 얻기 위해 RACE PCR 후 클로닝을 하였다. 총 12개의 변이를 얻었으며 아미노산으로 번역된 서열의 사이즈가 304 ~ 681 a.a로 다양하였다. 노랑초파리의 ace2 (X05893.1: 649 a.a)와는 56.9 ~ 62.3%, 근연종인 벼멸구, 흰등멸구와는 90% 이상 유사하였다. 애멸구의 ace1 (KC470080.1: 716 a.a)과는 30.9 ~ 44.6% 유사하였다. 12개 변이중 일부만이 노랑초파리의 ace2 (X05893.1: 649 a.a)와 active site, disulfide bonding site, domain 등을 모두 공유하고 있었다. 한편, 애멸구 발육단계별/부위별(머리, 가슴, 배) ace1과 ace2의 상대적 RNA 발현양을 비교하였다. 이때 ace2의 경우, 참고한 시퀀스 위치가 다른 세 개의 primer set를 사용하였는데 세 개의 primer set 모두 ace1 대비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ace2의 3′말단에 더 가깝게 제작된 primer (comp34855-3′)는 모든 샘플에서 공통적으로 ace1 (primer: comp33022)의 발현양 보다 2배 이상 낮게 나타났다.
17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sessments were made of fumigant and contact toxicities of 6 Myrtaceae plant essential oils (EOs) and their components against spotted wing drosophila (SWD), Drosophila suzukii (Matsumura) (Diptera: Drosophilidae). Median lethal dose (LD50;mg/L) values of Leptospermum citratum EO for fumigant activity were 2.39 and 3.24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All tested EOs except Kunzea ambigua EO exhibited effective contact toxicity. LD50(μg/fly) values for contact toxicity of manuka and kanuka were 0.60 and 0.71, respectively, for males and 1.10 and 1.23, respectively, for females. β-Triketone fractions, composed of flavesone, isoleptospermone and leptospermone, exhibited efficient activity with the LD50 values of 0.13–0.37and0.22–0.57μg/fly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
179.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owpea aphid Aphis craccivora Koch (Hemiptera: Aphididae) is an important pest on several species of legumes.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eriods and survivorship of A. craccivora nymph, and longevity and fecundity of A. craccivora adult. The study was conducted at five constant temperatures of 10, 15, 20, 25, and 30°C, respectively.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LDT) and thermal constant (K) of A. craccivora nymph stage were estimated by linear regression. Higher temperature threshold (TH) and lower temperature threshold (TL) were calculated by biophysiological model. Developmental completion of A. craccivora nymph stage was described using a two-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model. Life table parameters were estimated by the jackknife method.
180.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llosobruchus chinensis (Coleoptera: Bruchidae) is a cosmopolitan pest of stored grain legumes.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low-temperatures (4, 0, and -4℃) and seven durations of storage (1, 5, 10, 15, 20, 25, and 30 days) on the survival, development, and adult performance of C. chinensis in laboratory. The effects were studied on three life stages (egg, larva [2-3 instar], and pupa) of C. chinensis. The results showed that low-temperatur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fe variables of C. chinensis. Among the stages, egg and pupa stages were most sensitive to low-temperature. The very low survival rates of eggs and no pupa survived at –4℃ after 10 days storage. Cold exposure at -4℃ not only increased egg and pupa mortality, but the negative effects also transmitted to the larvae and pupa developed from these eggs. Increasing the duration of cold exposure further reduced survival rates. Low-temperature treatments have also affected on the adult performances such as adult weight. However, there were not any negative effects of low-temperatures on the seed germination. The life variables of C. chinensis are discussed in terms of targeting particular susceptibilities to low-temperatures in different storage duration as an alternative to chemical trea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