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5 한국육종학회 차세대BG21사업단 GSP사업단 공동심포지엄 (2015년 7월) 419

포스터 발표

6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terial spot of tomato is a disease complex caused by at least four species of Xanthomonas and leads to severe yield and quality losses in humid growing conditions in the world. Five physiological species (T1-T5) have been defined by their virulence on tomato varieties. These races are associated with three species: X. euvesicatoria (T1), X. vesicatoria (T2), and X. perforans (T3-T5). Recent epidemics of X. gardneri has occurred in the Midwest United Stat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germplasm with resistance to multiple species of bacterial spot. Six advanced breeding lines with at least three different source of resistance were crossed and their F1 hybrids were inter-mated to produce a complex breeding population consisting over 1,100 progeny. Three lines (OH7663, OH7667 and 2k7-6117-S2) were selected by field evaluations of the population against T1, T2, T3, and X. gardneri. Graphical genotypes demonstrated that these breeding lines contain a QTL and Rx-4/Xv3 in coupling phase on chromosome 11 as well as Rx-3 on chromosome 5. In order to test the combining ability of the lines, we developed hybrids from multiple crosses and conducted replicated field trials to evaluate bacterial spot resistance and yield. As a male parent, OH7663 showed acceptable combining ability for yield and for resistance against multiple species of Xanthomonas. Several hybrids produced yields tha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yields of commercial varieties.
6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모1039호”는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에서 중산간지 적응 복합내병성 고품질 벼를 육성하고자 2007년 하계에 고품질인 무사시노7과 고시히까리와 벼멸구 저항성 계통인 익산495호를 교배한 계통을 인공교배한 F1 계통을 세대촉진을 위하여 약배양을 실시하여 식물체를 양성한 후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육성 선발하면서 주요 농업형질 조사 및 병해충·미질검정을 실시하였다. 2010~2011년 생산력검정을 실시한 결과 내도복이고 복합내병성이며 수량성이 우수한 HR27645AC166-4 계통을 선발하여 “상주48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12~2014년 지역적응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대조품종에 비해 수량성이 높고 내도복성이며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며 외관품위와 도정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2014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하여 “중모1039호”라 명명하였다. “중모1039호”는 평균 출수기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3일로 오대벼보다 8일 늦고 만기재배에서 8월 26일로 금오벼보다 1일 빠른 준조생 품종이다. 간장이 62cm로 단간이며, 주당수수가 오대벼보다 많으며 등숙비율이 85.6%로 오대벼보다 높고 현미천립중이 21.7g으로 중소립종이다. “중모1039호”는 도열병,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에 모두 저항성인 복합내병성 품종이다. 쌀알은 심복백이 거의 없이 맑고 투명하며 도정률 및 완전미 도정수율이 각각 76.7, 72.4%로 오대벼보다 높다. 쌀수량은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와 만기재배에서 각각 5.47, 5.04MT/ha로 오대벼와 금오벼보다 5% 증수하였다. “중모1039호”의 적응지역은 남부중산간지, 북부평야지 및 중산간지, 남부고냉지, 동북부해안지이다.
63.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쌀 재고량 증가 및 생산성 향상으로 증산된 잉여량의 인위적 조정에 의해 벼 재배면적이 줄어들고 있어 식량안보나 논의 공익적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세계 곡물가격의 잦은 변동으로 축산농가의 경영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녹우’는 출수기가 중부 및 호남평야지에서 각각 8월 22일과 8월 21일로 ‘녹양’보다 13일, 8일 늦고 영남평야지에서는 8월 23일로 ‘녹양’보다 9일 늦은 만생종이다. 보통기 다비재배로 4개소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평균 총체건물수량이 16.5 MT/ha으로 기존 품종인 ‘녹양’ 보다 14% 증수되었다. 또한 직파재배 시 중요한 저온발아성이 좋고 파종 후 30일째 묘의 길이가 21.8 ㎝로 양호한 편이며 간장이 122㎝로 길지만 좌절중이 높아 포장 도복에도 강한 편이다. 잎도열병 밭못자리 검정결과 14지역 중 3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중정도 이상의 저항성 반응을 보였고 목도열병은 포장검정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흰잎마름병, 바이러스병 및 충에는 모두 약한 반응을 보였다. 현미 장폭비는 2.01로 ‘녹양’과 비슷하며 아밀로스 함량이 26.3%로 높은 편이다. 사료적성은 ‘녹양’에 비해 조회분 및 조지방의 함량은 높으나 조단백질은 5.3%로 낮고 가소화양분총량(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이 68.8%로 양호한 편이다. 열대자포니카 벼를 이용하여 육성된 ‘녹우’는 차후에 논 농업다양화 및 조사료 자급률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64.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대벼의 재배안정성을 파악하기 위해 중산간지 2지역에서 벼 군락주위의 온도변화에 따른 생육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생종 재배지역인 철원과 상주에서 벼를 재배하는 경우 재배환경과 생육양상이 비슷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온도변화와 벼 생육에서 상이한 패턴을 보였다. 시험지의 위치를 보면 철원은 위도가 38∘15‘ 경도 127∘15‘ 표고 192m이고 상주는 위도 36∘26‘ 경도 127∘26‘ 표고 285m에 소재하였다. 벼 식물체 주변의 온도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생육시기를 이앙기-분얼초기, 분얼초기-분얼성기, 분얼성기-유수형성기, 유수형성기-출수기, 출수기-수확기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온도변화는 대기와 군락내 온도, 수온, 지온 등으로 나누어 5월20일부터 9월27일까지 조사하였다. 주요온도의 변화를 비교해 보면 이앙기-분얼초기, 분얼초기-분얼성기는 철원에서 상주보다 높았으며 생육중∙후반기에 이르러 분얼성기-유수형성기, 유수형성기-출수기, 출수기-수확기에는 상주지역에서 높았다. 특히 대기 평균 온도의 지역간 차이는 컷으나 지온의 평균온도는 그 차이가 적은 편이었다. 한편 철원과 상주의 생육양상의 차이를 비교해 보기 위해서 초장(cm)이나 경수/수수(개/m2) Biomass(g/m2)를 조사해본 결과 생육전반기에는 철원지역에서 생육이 월등히 왕성했고 분얼성기를 지나면서 생육후반기에는 상주지역에서 생육이 훨씬 양호했다. 위도는 높지만 표고가 낮은 편인 철원은 초기생육을 조장하고 표고는 높지만 위도가 낮은 남쪽에 위치한 상주지역에서는 후기생육에 유리한 온도조건이어서 초기에 왕성한 생육이 필요한 조생종인 오대벼는 철원에서 생육이 적당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일장 일조량 강수량 등을 포함하여 정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65.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development new variety ‘Miho’ (Hordeum vulgare L.) is a favorite with livestock feed and develop varieties resistant to disease and lodging. ‘Miho’ was carrying the growth habit of group Ⅲ, green and mid-wide leaf. Awn that are related to preference of livestock is a semi-smooth awn. This cultivar had 96cm of culm length, 650 of spikes per m2. Heading date of ‘Miho’ is April 27, and maturing dates on May 30, which were later than cultivar ‘Youngyang’. It also showed strong winter hardiness, and similar resistance to shattering and BaYMV compared with those of check one. The best thing among the traits of one is a new good quality with the plant green at the latter growing period. The average forage dry matter yiel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about 13.1, 12.1 MT per ha in upland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which were 9%, 2% higher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It’s also showed 6.8% crude protein, 27.1%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67.5%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whose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above -8℃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66.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열대지역은 낮의 길이가 짧고(단일조건) 기온이 높아 온대벼를 재배하면 이앙 후 25일 경 이삭이 나오는 불시출수현상이 나타나 정상적인 생육을 기대할 수 없고, 수량은 약 1톤/ha 로 정상의 15% 정도 수준에 불과하다. ‘아세미1호’는 이러한 장벽을 타파하기 위해 육성한 품종으로 낮의 길이에 감응하지 않고 꽃이 피는 비감광성이고, 온대지역과 열대지역에서 잘 자라는 광지역적응성이다. ‘아세미1호’의 출수기는 중부평야지 보통기 재배에서 7월28일인 조생종으로 반직립성 초형이며, 이삭추출도 양호하고 탈립은 잘 된다. 저온발아성이 높고, 잎도열병에는 강하지만 다른 병해충에는 약하였다. 또한 쌀이 맑고 단백질함량은 7.4%로 다소 높으며, 도정특성은 ‘화성’보다 미흡하였다. 수량성은 중부평야지 4개소에서 582㎏/10a로 ‘화성’ 대비 108%, 중산간지에서 605㎏/10a로 ‘오대’ 대비 109%로 높았으며, 조기재배에서 549 ㎏/10a 로 ‘조평’대비 105%, 소득작물 후작에서도 521 ㎏/10a 로 ‘금오’대비 112%로 높았다. 필리핀 현지에서도 내도복, 다수성으로 평가되었다. 벼키는 89cm, 주당수수 13개, 현미천립중이 23g이었으며 도정률은 현지 품종 IR 72가 62%인데 ‘아세미1호’는 65%로 높았고 수확량도 5.2 t/ha으로 IR72보다 10%가까이 높았다. 특히, 열대아시아지역에서 우리 입맛에 맞는 쌀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기후온난화에 대응하여 고온 적응 품종 개발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6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deficiency is one of the most serious challenges which restrict crop production. Root is the primary tissues exposed to water limitation in soil. Although a number of transcriptome data under water limitation have been produced in rice, but most of them have analyzed the effect of leaf or shoot. Thus, understanding of relating molecular mechanism is still limited. To get global view of the effect on water deficiency in rice root, we carried out RNA-Seq experiment. To do this, we compared the RNA-Seq transcriptome data of 3 day samples under water deficiency with those of unstressed rice roots with unstressed control. As a result, we identified 1,098 genes upregulated in water stress condition for 3 days. Gene ontology (GO) enrichment analysis revealed that 18 GO terms are overrepresented. Of them, valyl-tRNA aminoacylation, transcription from RNA polymerase II promoter, glycine catabolic process, and L-phenylalanine catabolic process are more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ranscription of new transcripts, control of translation fidelity, and reuse of primary and secondary metabolites can be activated during water stress.
68.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earch on salinity stress has strongly increased over the last decade, as salinity stress is a main key factor limiting the global crop production in many regions of the world. In recent years,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rge amount of genotypic data in a short time due to a reduction in genotyping costs. This wave of genomic information has effected the development of new strategies for the integration of molecular information in breeding programs. However, phenotyping is still a manual activity, and different from each species, environment, and trait. It often generates high labor costs, and can b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sometimes includes the individual biased assessments from different people.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phenotypic data of high quality. The current objective of phenomics is phenotyping a large number of individuals for many traits in a nondestructive manner and with good accuracy. Here we described the image-based technology as applied to alleviate the bottleneck for the development of high-throughput phenotyping platforms. Several trials to measure stress responses of rice plantlets based on image data under the salinity condition are underway to develop automation for the next-level of phenotyping.
69.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96 BC3F5 introgression lin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Hwaseong and O. rufipogon were genotyped with 131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quantitative traits loci (QTLs) associated with grain quality traits in rice. 96 BC3F5 lines displayed a wide range of variation for days to heading and agronomic traits. Results indicated that one major QTL (qDTH6) on chromosome 6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variation for days to heading. 83 lines without the O. rufipogon segment at qDTH6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grain quality traits. QT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wo groups, 96 and 83 introgression lines, and a total of 25 QTLs were detected for rice quality traits. 16 QTLs were detected in a group of 93 lines, 11 QTLs detected in a group of 83 lines, and 2 QTLs were commonly identified in both groups. Most of the QTLs detected in this study were located on the same or adjacent regions as those reported by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wild alleles negatively affected quality traits. In contrast, the wild allele at qGCR9 for the glossiness of cooked rice on chromosome 9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glossiness which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ice eating quality. Three ILs with the wild allele at qGCR9 displayed better eating quality than the recurrent parent, Hwaseong. To confirm the effect of qGCR9, high density mapping of the qGCR9 with a series of NILs will be conducted.
70.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는 꿀풀과 1년생 식물로 우리나라 주요 유지작물 중 하나이다. 들깨의 국내 재배면적은 2013년 30.1천 ha에서 2014년 37.5천 ha로 약 20% 이상 늘어나고, 2014년 들기름 일본 수출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 이유로 들기름의 지방산 조성 중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알파-리놀렌산이 심장질환 예방, 학습능력 향상, 알레르기 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들깨는 주로 조미용이나 착유용으로 많이 이용되므로, 종피가 부드럽고 기름함량이 많은 품종을 선호하고 있다. 2014년에 개발된 ‘소담’은 2004년에 K015926을 모본으로 하고 IT274257(밀양27호)를 부본으로 하여 육성된 품종으로 계통육종법에 따라 육성하였으며, 수량 및 종실특성이 우수하여 2012년 ‘밀양6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소담’은 특히 분지수가 11개로 적으며 분지각도가 좁은 신초형이다. 종피는 회백색이며, 부드럽고 기름함량이 46.4%로 높다. ‘소담’은 성숙기 10월 2일로 기존 품종보다 4일 빠르며, 6월 중하순경 파종하였을 경우, 경장이 116 cm이고, 화방군수가 83개로 많았다. 종실의 수량성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표준품종인 새엽실들깨보다 95% 수준이며, ㏊당 수량은 0.97MT이다.
7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cumber is a typical monoecious plant with individual male and female flowers, and sex expression in cucumber is mainly determined by three major genes: F/f, M/m and A/a. Gynoe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ucumber hybrid breeding and use of gynoecious lines as maternal parent ensures high produ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co-dominant molecular marker linked to F locus to distinguish homozygous and heterozygous gynoecious plants for cucumber breeding programme. Firstly, we analyzed the sequence polymorphism of 5 gynoecious and 5 monoecious inbred lines to detect polymorphism to develop the marker linked to F locus. A pair of specific primer based on insertion/deletion polymorphism on branched-chain amino acid transaminase (BCAT) gene was designed and examined the polymorphism in the parents, F1 and F2 segregating population derived from gynoecious (WJEF11) and monoecious (WNEF8) inbred lin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specific fragment amplified with Cs-Female-F/Cs-Female-R, was identified as a co-dominant marker and co-segregated with sex phenotype in F2 population. Furthermore, we present a new linkage map for F locus using Indel markers. This is the first report for the development of F locus specific co-dominant marker which can distinguish homozygous and heterozygous gynoecious and it could be used in marker-assisted selection in cucumber breeding.
7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캐나다산 봄 재배용 카멜리나 종자에 적합한 펠렛 물질의 탐색과 이들 피복 물질들과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십자화과에 속하는 카멜리나 종자는 오메가3와 같은 지방산이 풍부하여 대체 의료 작물뿐만 아니라 바이오 디젤용 작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있으나 유럽과 캐나다 등지에서는 오일을 추출하여 의료용, 화장품 그리고 대체 연료를 이용할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카멜리나는 파종 기계를 이용하여 포장에 직파를 하는데 종자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파종시 종자 소요량이 많고 파종밀도가 불균일하여 발아 후 묘소질도 떨어지는 데다 새나 쥐와 같은 동물들이 가해하여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소립종 종자들에 펠렛 코팅을 하는 주요한 목적은 파종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입모주수의 확보 그로인한 입모 주수의 확보와 수량 증대에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겨하기 위하여 소립종 종자들의 종자표면에 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불활성화 물질을 코팅하여 그 크기를 임의로 조절하여 파종하고 있다. LD, MD 그리고 HD의 세 가지 형태별 카멜리나 펠렛종자의 형태적 특성은 MD와 HD 형태의 펠렛 가공종자가 LD형태에 비하여 표면이 더 매끄러우며 펠렛 종자의 경도는 HD 형태의 것이 0.54㎏으로 가장 단단하였으며 수분흡수 후 열 개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내 표준발아 시험에서 세 가지 형태의 카멜리나 펠렛종자는 카멜리나 종자들에 비하여 발아율, 발아속도(GR), 발아속도지수(PI)가 모두 낮게 나타났으나 하우스에서 실시한 토양 출현력 검정시험에서는 카멜리나 종자를 포함한 세가지 형태의 펠렛종자들의 발아율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발아속도(GR)와 발아속도지수(PI)의 값에서는 HD형태의 펠렛종자가 낮은 결과 값을 보였다.
73.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부지역 재배에 적합한 중생 품종은 ‘화성’과 ‘하이아미’가 있지만 다양성이 부족하고, 또한 지구온난화에 의한 병해충 발생에 대응하여 재배안정성을 갖춘 품종이 부족하다. 또한 중부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외래품종을 대체할 만한 품종이 부족하여 내병충성 및 내재해성을 갖추면서 밥맛이 우수한 품종 육성이 필요하다. ‘선품’은 벼의 3대 주요병해인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고, 쌀알은 심복백이 거의 없어 맑고 깨끗하며, 밥맛이 화성과 추청보다 우수한 품종이다. 출수기 화성보다 4일 늦은 8월 12일로 중생종이다. 화성과 비교하여 주당수수는 같고 수당립수는 많으며 등숙비율이 높고 현미천립중은 22.8g으로 비슷한 편이다. 수량성은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9개소)에서 5.74 MT/ha로 화성대비 9% 증수된 수량성은 보였다. 중부평야지 및 중서부해안지, 남부중산간지와 동남부해안지가 적응지역으로, 중부지역 적응 품종을 다양화하여 생산자부터 도정 및 유통업자와 소비자까지 만족하는 우리 쌀 품질고급화를 통하여 농가소득증대와 쌀 산업 경쟁력 제고가 기대된다.
74.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종실수량과 SSR 마커 사이의 상관분석을 위하여 종실용 옥수수 9개의 자식계통을 이용하여 반이면 교잡(Half-Diallel Cross)을 통해 얻어진 36개의 F1 교잡종들에 대하여 수량과 농업형질 그리고 유전적 거리와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업형질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에서 가장 가까운 계통은 Wf9와 ND203으로 0.809를 보였고, BSSS (Iowa Stiff Stalk Synthetic) 그룹인 B73과 B14A가 0.810으로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같은 LSC(Lancaster Sure Crop) 그룹인 Va85와 C103은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나타나서 농업형질로 유전적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92개의 SSR primer들을 가지고 step-by-step 방식으로 옥수수 종실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분자마커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선발된 9개의 SSR primer들을 이용하여 옥수수 종실중과의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고도의 정의 상관(R2=0.703**)을 보였다. 선발된 SSR 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거리와 교잡종의 주요 농업 형질의 상관분석에서 종실중, 이삭장, 이삭경 등 수량관련 형질뿐만 아니라 간장, 착수고도 유의성을 보였다.
75.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oot-fresh-weight (SFW) is one of the parameters, used to estimate the total plant biomass yield in soybean. Understanding the genetic and molecular basis of SFW could help increase the total biomass production. In this particular study, we identified QTLs associated with SFW in a Recombinant Inbred Line (RIL) population derived from interspecific cross of PI483463 and Hutcheson. A total of 551 (535 SNP and 16 SSR) markers, were found to be polymorphic between the parental lines and were used to screen the RILs to develop the genetic map. Linkage analysis and QTL mapping were performed using with the software QTL IciMapping version 4.0, with the minimum LOD score of 3.0 and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a QTL and its corresponding effects at every 1cM. QTLs with LOD value > threshold LOD, as determined by 1000 permutation tests at p > 0.05 were considered as significant QTLs. The analysis identified a total of 5 QTLs associated with shoot fresh weight over two environments, with the phenotypic variation (PV) ranging from 6.34 to 21.32%, and the additive effect from -0.54 to 0.33. Among these QTLs, qFW1314_19_1 had the largest LOD scores, with PV of 21.32%. Interestingly, three QTLs, qFW2013_19_1, qFW2014_19_1, and qFW1314_19_1 identified on chromosome 19(L), showed negative additive effects, indicating the contribution from the wild parent PI483463. The QTLs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be the targets to identify the candidate genes for the SFW and can help in developing cultivars with increased biomass potential.
76.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xglove aphid, Aulacorthum solani (Kaltenbach), is a Hemipteran insect that infected a wide variety of plants worldwide and caused serious yield losses in crop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utative QTL for foxglove aphid resistance in wild soybean, PI 366121, (Glycine soja Sieb. and Zucc.). One hundred and forty one F2-derived F8 recombinant inbred lines developed from a cross of susceptible Williams 82 and resistant PI 366121, were used. The phenotyping of antibiosis and antixenosis was done through choice and no-choice assays with total plant damage (TPD) and primary infestation leaf damage (PLD); a genome-wide molecular linkage map was constructed with 504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utilizing a GoldenGate assay. Using inclusive composite interval mapping analysis for foxglove aphid resistance, one major candidate QTL on chromosome 7 and 3 minor QTL regions on chromosome 3, 6 and 18 were identified. The major QTL on chromosome 7 showed both antixenosis and antibiosis resistance responses. However, the minor QTLs showed only antixenosis resistance response. The major QTL mapped to a different chromosome than the previously identified foxglove aphid resistance QTL, Raso1, from the cultivar Adams. Also, the responses to the Korea biotype foxglove aphid were different for Raso1, and the gene from PI 366121 against the Korea biotype foxglove aphid were different. Thus the foxglove aphid resistance gene from PI 366121 was determined to be an independent gene to Raso1 and designated to Raso2. This result could be useful in breeding for new foxglove aphid resistant soybean cultivars.
7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ow temperature is a major abiotic stress that adversely affects rice production in rice cultivation regions of the world. Low temperature during the rice growing season, can inhibit growth and development at any development stage, from germination to grain filling. Among the rice growth stage, reproductive stage was known as the most sensitive to low temperature, causing sterile grain and lead yield loss. However, low temperature during the grain filling stage also, may cause delay and incomplete grain maturation. In this study QTL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QTLs associated with percent of grain filling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 during the grain filling stage. A 139 RIL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Milyang23’ (Tong-il, cold susceptible) and ‘Gihobyeo’(Japonica, cold tolerance) were exposed to air and water of 17℃ at the same time for 14 days during the grain filling stage. One significant QTL associated to percent of grain filling was detected on chromosome 7. This QTL could explain 14.7% of the phenotypic variance for percent of grain filling. We have the plan to confirm the detected QTL through further study.
78.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호밀은 척박한 토양환경이나 내한성이 강하고,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높은 특성 때문에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조사료나 녹비로서 많이 재배하는 동계 작물이지만, 종자 생산용으로 재배 시 결실기 장마 등으로 인한 도복피해의 발생으로 국내 채종이 어려워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호밀의 국내 채종을 위한 증수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육성품종인 “곡우” 의 파종량에 따른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장소는 강원도 영월군에 소재한 농가 채종포에서 실시하였다. 토양은 pH가 5.8~6.9, 유기물 함량이 16~20 g/kg, 유기인산은 38~150 mg/kg, 가리, 칼슘, 마그네슘은 각각 0.15~0.50, 2.4~3.5, 0.7~1.6 cmolc/kg이었고, 전질소 함량은 0.07~0.10 %, 질산태 질소와 암모니아태 질소함량은 각각 1~25, 1~2 mg/kg, 토양수분은 18.5~28.4 %로 비옥도가 양호한 사질양토이었다. 시험처리는 파종량에 따라 3, 5, 7 kg/10a의 3수준으로 각각 처리하였고,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파종은 2014년 10월 1일에 손으로 세조파(25cm×5cm)하였다. “곡우” 호밀의 출현일수는 6일이었고, 출현양부는 95%이상이었으며, 생육재생기는 2015년 2월 21일이었다. “곡우” 의 월동율은 95.3~99.0 %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3개의 파종량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곡우”의 단위면적당 지상부 건물중은 파종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수, 이삭수 및 개체수 또한 같은 경향을 보였다. 간장 및 수장은 3개의 처리구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9.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기지역의 콩 다수확 선도단지를 선정하여 경기지역에 적합한 다수확 품종과 각 지역의 작부체계 및 재배 매뉴얼 설정을 추진하였다. 대상지역은 경기 연천 단작지대 1개소, 양평 이모작지대 1개소 및 예비시험지 3개소를 선정하여 선도농가에 다수확품종을 보급하고, 재배매뉴얼을 보급하여 파종에서 수확 후 관리 및 병해충 방제 등을 교육하였다. 지역별 최대 수량은 연천군 연천읍에서 연풍콩이 328㎏/10a로 가장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양평 지평면에서는 강풍콩이 271㎏/10a로 가장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파주시 적성면에서는 우람콩이 비닐피복시 360kg/10a로 가장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중북부권 콩 작부체계 모형으로 콩 재배면적 6,293ha의 84%(5,281ha)가 단작형태로 재배를 하고 있었고, 단작형태 중 가장 많은 재배면적을 차지하는 곳은 연천, 파주, 화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모작형태는 감자+콩, 맥류+콩, 콩+채소 순이었으며, 감자+콩 재배가 1,012ha로 이모작 중 56%(568ha)를 차지하였으며, 콩+채소, 맥류+콩 및 기타형태의 이모작은 444ha로 전체적으로(또는 감자+콩) 이모작 재배면적은 안성에서 가장 많은 반면 맥류+콩 작부체계는 평택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경기지역에서의 이모작 재배 문제점은 감자+콩 작부체계의 경우 감자 수확 후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 콩 파종시 한발조건이 되면 재파, 3파를 시도하여도 활착이 잘 되지 않아 생육이 균일하지 않았고, 비닐 피복시 타공 구멍이 작으면, 물 부족으로 인해 유묘기에 자엽 및 생장부가 고사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여 금후 대책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80.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blast caused by the fungal pathogen, Magnaporthe oryzae, is a serious disease affecting yield loss and decreasing its quality in rice production. Rice breeders in Korea have developed many japonica varieties showing resistance to blast. However, the blast resistance in most japonica varieties has broken down within a few years after they were released to farmers because of the spread of new virulent races of M. oryzae. There is the most effectiveness to look for novel resistant gene(s) that can express the resistance to broad-spectrum races in di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We identified a major QTL, qLB4.1 linked tightly to RM6352 and RM3643 in 52.6 cM region on chromosome 4 related to the resistance for isolate inoculation and nursery test, and neck blast from a Korean weedy rice, Geumleungaengmi33. This QTL explained 26.1∼28.6% and 45.3∼53.1% of total phenotypic variation by the allele of GL33 for isolate inoculation and nursery test, respectively. A line SR30058(52)-1-1 (Suweon545) that containing the QTL qLB4.1 was developed from Ilpum*4/GL33 by marker-assisted backcross method. This line showed resistant reactions to blast nursery test across regions and years, and resistance to neck blast at the hot-spot field in Jecheon. Suweon545 showed also durable resistance of lower 10% of diseased leaf areas (DLAs) in sequential planting method. This line screened by graphical mapping using 136 SSR markers that evenly distributed on 12 chomosomes. Suweon545 contained GL33 alleles of donor parent in a total of 12 loci (8.8%) including QTL region on chromosome 4. In future, Suweon545 would be useful to develop the broad-spectrum resistance variety in japonica rice breeding program.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