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의 작업수행능력을 알아보고 작업의 참여와 우울, 불안 및 삶의 질, 그리고 수면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14세∼19세의 중·고등학생 청소년으로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청소년 202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였다. 설문지는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과 작업활동분류, 청소년 우울, 불안검사와 삶의 질 검사로 구성되었다.
결과 : 청소년의 휴식, 사교활동에 높은 흥미점수를 보였으나 수행을 나타내는 빈도에서 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청소년의 작업활동 결과 휴식활동의 흥미, 빈도, 즐김점수가 높을수록 불안점수는 높게 나타났다. 지식활동의 빈도와 잘함점수가 높을수록 우울과 불안점수는 낮았고, 삶의 질 점수는 높았다. 사교활동의 잘함, 즐김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점수는 낮았고 삶의 질은 높았다. 수면시간과 우울, 불안 및 삶의 질과의 상관성 결과 휴일 수면시간이 길수록 불안점 수는 높았고 삶의 질 점수는 낮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작업참여에 대한 흥미, 빈도, 잘함, 즐김 정도를 알아 볼 수 있었고, 휴식과 사교활동이 다른 활동에 비해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휴식과 사교활동, 수면은 청소년의 우울 및 삶의 질과 상관성이 있음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청소년의 우울, 불안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활동 요인분석과 적극적인 작업 참여를 유도한 다양한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hybrid seismic energy dissipation device composed of a viscoelastic damper and a steel slit damper connected in parallel. A moment-framed structure is designed without seismic load and is retrofitted with the hybrid dampers. The model structure is transformed into an equivalent simplified system to find out optimum story-wise damper distribution pattern using genetic algorithm. The effectiveness of the hybrid damper is investigated by fragility analysis of the structure with and without the damper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fter seismic retrofit the probability of reaching damage states, especially the complete damage state, of the structure turn out to be significantly reduced.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upercooling property and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supercooling storage of fruits and vegetables. Freezing point and nucleation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hardness, sugar content, and pH of nineteen fruits and vegetables were measured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reezing poi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isture content and sugar content (p<0.01), while ice nucleation temperature showed a correlation (p<0.05) only for sugar content. In particular, the water content and sugar content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the freezing supercooling difference (FS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SD, aerobic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yeast, and mold, FSD showed a correlation (p<0.01) with aerobic bacteria. The experiments of the saline solutions inoculated with aerobic bacteria at different concentrations showed FSDs of about 2 for saline inoculated with 9.4 log CFU/mL and about 6 for saline inoculated lower than 5 log CFU/mL. Therefore, the aerobic bacteria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to be a key factor affecting the supercooling storage of fruits and vegetables.
해운시장의 건화물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New York Produce Exchange 정기용선계약서”는, 특히 NYPE 1993 서식은 정기용선계약의 주류를 이루면서 현재까지 용선시장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운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던 NYPE 1993 서식이 20여년을 경과하게 되면서 현재의 상거래 관행 및 법적 발전 부분을 담아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발틱국제해운협의회, 선박중개인-대리점협회 및 싱가포르 해사재단의 협업으로 개정을 검토하게 되었다. NYPE 2015 서식이 추구하는 바는 계약당사자간의 상업적 이해관계에 대한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특히 건화물 분야의 실무가들 사이에 널리 이용되어 온 수정사항(amendments)과 추가약관(rider clauses)을 수용하여 전 세계적인 범용성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서식은 용어를 명확하게 하고 법적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 결과물로 해운업계에서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에서는 NYPE 2015에 대한 주요 개정 약관에 대한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이용하게 될 실무자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철도안전법 상의 사고 분류 이외에도 철도운영기관의 실무 차원에서 인적 오류를 유발한 당사자에게 책임이 있다고 판정할 경우 처벌과 불이익을 부과하는 책임사고 판정제도가 있다. 책임사고경험이 있는 당사자는 심리적, 신체적 피로와 긴장감을 경험하는 한편, 사고 및 장애발생의 가능성을 늘 염려하면서 주어진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철도분야 인적오류 연구의 공식적 대상에서 제외되어 왔던 철도차량 검수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책임사고경험이 이례상황 스트레스 및 건강의 한가지 척도인 신체적 우울감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AMOS 통해 밝혀보았다.
연구 결과, 검수직 종사자의 책임사고 경험은 이례상황 스트레스를 부분 매개로 하여 신체적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공정(MBR)은 과다한 에너지 사용, 제품의 높은 단가 등이 단점으로 지목되었으나, 제품 및 시스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BR 공정의 운영시 발생되는 대부분의 막 오염은 슬러지 특성에 따른 유기물 오염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러지 여과능과 TMP 증가 기울기는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MBR 공정에서 분리막의 막오염 제어를 위해 슬러지 여과능은 중요한 관리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슬러지 여과능에 대해 colloid 물질, 특히 EPS 와 SMP 유분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하⋅폐수처리 MBR 공정을 운영함에 있어서 특정 오염물에 따른 멤브레인 회복률 저하를 자주 경험하게 되며, 이에 따른 화학세정 시 막오염 물질 제거에 필요한 약품선택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폐수 성상의 MBR 처리 시 발생할 수 있는 Ca 막오염에 대해서 다양한 세정약품 적용을 통한 멤브레인의 회복률 증대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K 폐수처리시설에서 1년간 운영한 (주)에코니티의 분리막을 샘플링하여 투과도 측정 및 막표면 분석 후 막오염 물질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각종 화학약품의 적용실험을 통하여 최적약품 도출 및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