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대상지는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대천리, 석곡리 일원으로 농업환경과 상업가로지역, 역사문화자원 등이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역이다. 하지만 열악한 교통여건과 부족한 대표이미지로 인해 외부방문객들에게는 통과지역으로만인식되고 내부적으로는 면소재지임에도 불구하고 정비되지 않은 가로 환경과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커뮤니티를 지원할수 있는 공공시설의 부재로 인해 갈수록 쇠퇴하고 있는 대표적인 농촌지역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당진영덕고속도로개통과 고덕IC의 개설, 내포신도시로 충청남도청 이전 등 인근지역의 여건 변화로 인해 그동안 쇠퇴되었던 지역을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고 따라서 본 계획에서는 주변 여건 변화에 발맞춰 지역 환경을 개선하고대상지가 보유하고 있는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통과지역으로서 인식되던 이미지를 개선함으로써 발전적인 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계획에서는 ‘경관정비’, ‘지역자원활성화’, ‘정주기반정비’를 계획전략으로 수립하여쾌적한 정주환경 및 도농복합 거점공간으로 조성하고자 계획내용을 수립하였다. 본 계획을 통해 그동안 낙후되고 노후화된지역의 공공시설 및 경관자원의 개선과 고유한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해서 고덕면소재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남산의 소나무림, 신갈나무림 그리고 아까시나무림에서 2008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의 월별 낙엽생산량과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조사하였다. 소나무림은 2008년과 2009년 모두 10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2008년 1월과 2009년 12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적었다. 신갈나무림은 2008년과 2009년 모두 11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2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적었다. 아까시나무림은 2008년 11월과 2009년 10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2008년 1월과 2009년 12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적었다. 이것은 한반도 중부에서 상록성의 소나무림이 낙엽성의 참나무숲 보다 더 일찍 낙엽이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 아까시나무림의 2년 평균의 낙엽생산량은 7.07, 6.36, 5.02 ton ha-1로 소나무가 가장 많았다.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 아까시나무림의 2년 평균의 토양유기탄소량은 76.2, 68.6, 72.5 ton C ha-1로 소나무림에서 가장 많았다. 이처럼 소나무숲에서 높게 나타난 것은 남산에서 신갈나무나 아까시나무를 벌목하여 임목밀도가 줄었기 때문이다.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지지면의 안정성 변화가 상지기능 수준과 체간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D광역시 ○○재활병원에 내원중인 편마비 환자 15명(남 9명, 여 6명)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양발지지, 손상측지지와 비손상측지지를 사용하여 지지면의 안정성 변화를 중재하였다. 상지기능 수준은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KEPAD) 다차원 상지기능 작업표본검사로 측정하였고 체간근육의 활성도는 표면근전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앉은 자세에서 세 가지 지지방법 간에 상지기능 수준을 비교한 결과 양발지지가 손상측지지에 비해 상지기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비손상측으로 지면을 지지한 경우와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간근육의 활성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편마비 환자에게 앉은 자세로 작업수행을 할 경우 양발로 지면을 지지하는 것이 상지기능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는 환자에게 양발로 지면을 지지하도록하여 자세 안정성을 극대화시킨다면 기능적인 상지의 움직임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OSHMS(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s able to define as a typical convergence of all kinds of activities and elements that support maintaining safety at workplace and protecting employee's health. In particular, fundamental function of OSHMS is preventing diverse hazards at workplace through high level of regulation compliance. Furthermore, insuring safety in workplace, protecting employee's health and increasing effectiveness in manufacture are OSHMS's additional functions. Based on the division of manufacture in 2009 Survey on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 Health & Safety data, the study analyses certain relation between OSHMS and level of regulation compliance. The main finding is that most activities and elements which formed by OSHMS are being affected by regulation clauses.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generally regulates employer's business principles in the workplace to maintain safety environment. This act has the fundamental purpose to protect employee's safety and health in the workplace by reducing industrial accidents. Authors tri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and level of regulation compliance using Survey on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data by the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generalized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poison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s of those method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significant affecting compliance factors were different among those statistical methods. This means that specific interpretation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each statistical method. In the future, relevant statistical technique will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type of occupational injur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tic inter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or meat quality traits (birth weight, weaning weight, average daily gain, market weight,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water, ash, fat, protein, water holding capacity and pH) and 6 SNPs located on six selected candidate genes (MC4R, PGK2, TNNI1, TNNI2, PIK3C3, and CTSK) in Korean native pigs. The genotypes were identified in the 6 SNP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procedure, and association of the genotype on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was analyzed by general liner model.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the MC4R c.1426A>G was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p=0.032) and the PGK2 g.122T>G was associated with pH (p=0.026). These findings obtained in the present revealed that the each SNPs of MC4R and PGK2 could be useful as potential genetic markers for birth weight and pH in Korean native pigs, respective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have an effect on control the growth of algae such as "Actinastrum fluviatile" which occurs frequently in the aquaculture tank using by a cold plasma, and it also would be expected to promote the growth of water plants due to active element causing OH radicals in the water. In addition, it was verified on the death rate as 99.9% on the scale protrusion of "Aeromonas hydrophila" as well as E. coli, especially, under extreme conditions more than 100 million pathogenic bacterium in the aqua pet tank, the ornamental fish had to act in a safe and healthy environment at over 98% death rate within 48 hours. It has been proven to give no affect on aerobic bacteria that exist in the filter or soil because there was no residual toxicity in the water tank. As the results, it will help to develop and apply on the sterilization device in other industries as well as aquarium organisms due to adopted energy-saving algorithm and reliability in use.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Urban Hanoks around Cheongryangri district. Cheongryangri district became one of Seoul’s administrative district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urban area. It i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Dongdaemun, the development was to deal with the lack of residential houses in the city. This research was to specify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Urban Hanok in Cheongryangri area by analyzing the changes in residential Urban Hanok for to the influence the market. First, Cheongnyangni Urban Hanok shows the changes in the configuration of plan in accordance with change of the purpose and the way household are divided. Second, as the function of Urban Hanok changed there has been changes in cross-section area. Third, Urban Hanoks with different function have different location. Fourth, the functional change in shops does not cause the change in the plan.
미국 도시에서 주거지와 상업지 간 공간적 분리는 다양한 부정적 외부효과를 파생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즉, 주상 토지이용 분리로 인하여 잠재적 통행발생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교통체증, 대기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로부터 형성된 자동차 위주의 생활방식은 보행활동의 빈도를 감소시켜서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 및 관련 질환 발생의 간접적 요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도시가 보이는 외연적 확장 과정의 핵심적 특징, 즉 주거와 상업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토지이용의 결과로 파생된 공간구조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주상 분리지수를 제안하고 이를 실증자료에 적용하여 활용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 뉴욕 주의 이리 카운티를 대상으로 1900년부터 1995년까지 1년 단위로 주거와 상업적 토지이용의 공간적 분리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리 카운티의 경우 1920년대를 기점으로 주거와 상업이 뚜렷하게 분리된 공간구조를 형성해 왔으며, 카운티 내 교외와 도심 지역에서 각각 주거와 상업적 토지이용이 우세하게 이루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교외 지역의 고밀도 주거지를 중심으로 외연적 도시 확장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혼합적 토지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도구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m×20m 조사구 20개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 ordination, 평균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감탕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곰솔군집, 곰솔-종가시나무군집 등 총 5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동백동산 암괴기반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 지역은 교목층에서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구조이었고 일정 토심을 유지하는 지역은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였다. 곰솔군집은 동백동산이 제주도기념물로 지정되기 이전 훼손된 지역 중 일부 토심이 유지되는 지역에 식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백동산은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과 곰솔이 우점하는 식생 모두 향후 종가시나무-동백나무 군집으로의 천이가 예상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상록활엽수군집에서는 1.0268~1.0717이었고 곰솔군집이 1.2102로 가장 높았다. 상록활엽수 10종의 상재도가 80% 이상이었으나 향후 교목층을 형성할 수 있는 구실잣밤나무와 생달나무는 출현빈도와 우점도가 낮았다. 고령의 동백나무가 모든 조사구에서 출현했는데 과거 숲이 훼손될 시에도 신성시 여겨져 보호되어 왔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동백동산은 기존의 제주도 상록활엽수림과는 다른 식생구조를 보여 천이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태이었고 과거 훼손 영향으로 다른 상록활엽수림과 다른 식생구조와 천이경향을 일부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동백동산은 지속적 관찰이 요구되며, 식생이 안정될 수 있는 기간이 흐른 뒤에 천이방향과 군집특성을 규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실린더 후류 와류에 의한 진동을 제어를 위해 적용되는 나선형 뱃전판의 효율향상을 위해 다양한 회전각에 대해 모델실험을 실시하였다.실험은 회류수조에서 레이놀즈수 Re=4.0×103,Re=5.5×103 및 Re=7.0×103에서 균일유입유동에서 2-프레임 그레이레벨 상호상관 PIV기법을 이용하였다.실험결과 원형실린더와 뱃전판을 부착한 실린더와의 비교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