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65

        7482.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rvival and hatching rates after refrozen-thawed bovine IVF blastocysts. The survival rates after refrozen-thawed bovine IVF blastocysts produced on day 7, day 8 and day 9, were 66.6%(16/24), 62.5%(15/24) and 65.3%(17/26), respectively. The survival and hatching rates after the first frozen-thawed bovine JVF blastocysts were 90.0%(27 /30) and 70.0%(21 /30), but in refrozen-thawed bovine IVF blastocysts were 66.2%(49 /74) and 45.9%(34 /74),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ggest that refrozen-thawed bovine IVF embryos had survival ability.
        4,000원
        7483.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cess canned ask shell with highly quality by management of proper prosessing conditions for prevention of oxidation and discoloration by heating. Ark shell has hemoglobin as blood pigment in red blood shell which same as other cockles. Hemoglobin is easy to come oxidation and browning reaction, and it has large contents of carotenoid as meat pigment. Proximate compositions in ark shell were 76.9% of moisture, 18.1% of crude protein, 1.8% of crude lipid, 1.3% of carbohydrate and 1.6% of crude ash. And contents of carotenoid and hemoglobin were 0.67∼1.02 mg% and 0.98∼1.64/dl, respectively. When the living ark shell was soaked in 2% Nacl solutions, about 89% of mud was removed after 10 hours soaking, and over 91% was removed when the pH was adjusted to 7.5. Carotenoid pigment were prepared that extracted from ark shell by using acetone. And determined visible spectrum were two peak at 452 nm and 687nm, and λ_max were 452 nm. During thermal treatment at 95℃, 111℃, 116℃ and 121℃ for 60 minutes, retention ratio of carotenoid were 71.8%, 66.8%, 64.4% and 36.5%, and after 120 minitues retention ratio were 56.6%, 30.6%, 30.3% and 17.2%, respectively. When heated at 95℃, 111℃, 116℃ and 121℃, formation of browning material were increased at high temperature and long time treatment.
        4,000원
        7484.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쥐의 체중은 실험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식이별로는 대조군이 가장 높은 체중 증가를 보였다. 콜레스테롤의 첨가는 흰쥐의 정상적인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콜레스테롤 첨가군에서는 콜레스터롤 대조군의 체중증가량이 유의하게 가장 낮았다. Rutin과 메밀채소를 식이에 첨가하였을 때 흰쥐의 콜레스테롤에 의한 성장억제 작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헐청에 총콜레스테롤 함량과 과산화지질 함량은 낮아진 반면에 HDL-cholesterol 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시킨 흰쥐의 장기에서는 칼슘침착이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보였으며, 메밀채소 섭취에 의하여 칼슘침착의 정도는 완화되었다.
        4,000원
        7485.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위궤양에 대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48마리를 사용하였며, 대조군(CO)과 3개의 투여군(E-1, E-2, E-3)으로 나누어 1996년 7월 29일부 1996년 8월 25일까지 4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Opuntia dillenii Saw.(선인장)는 1일 1회 경구투여하였으며, 각각 30 mg/kg BW(E-1) 및 120 Mg/kg BW(E-3)의 농도를 투여하였다. 결과느 s다음과 같다. 1. 체육은 전 군에 걸쳐서 고르게 증가되었으며, 특히 실험시작 후 13일째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4. Alcian bule staining을 통한 위점액량 산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전 농도에서 점액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군 E-1군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실험군 E-2의 경우 그 증가가 현저하였다(p<0.01). 이로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가 위의 점액생성을 촉진시키거나 위에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서 위궤양 발생저하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5. shear rate 11.25, 45.0, 90.0 및 225.0 sec^(-1)에서 전혈점도 및 혈장점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shear rate에서 C군>E-3군>E-1군>E-2군의 경향성을 보였다. E-1(3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shear rate 11.25, 45.0 sec^(-1)에서는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shear rate 90.0, 225.0 sec^(-1)에서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2(6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E-3(12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shear rate 11.25 sec^(-1)에서 매우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p<0.01), shear rate 45.0, 225.0 sec^(-1)에서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동일한 shear rate에서의 혈장점도는, E-1(30 mg/kg BW)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shear rate 90.0 sec^(-1)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2(60 mg/kg BW)군의 혈장점도는 대조군에 비해 shear rate 90.0, 225.0 sec^(-1)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3(120 mg/kg BW)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 shear rate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가 스트레스하에서 발생하는 위의 미세혈관 협류흐름장애를 개선시켜 위게양 발생저하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6. 전 실험군의 위를 조사한 결과 출혈을 동바한 궤양이 형성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서 궤양의 면적과 깊이가 다소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위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을 투여한 실험군에 비하여 대조군의 궤양이 매우 심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E-2군의 경우 궤양이 경미한 정도였다. 8. 위궤양의 지표로 사용한 pH, 위점액량, 전혈점도, 혈장점도, 조직병리학적소견 등을 종합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항궤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양의 2배를 투여한 E-2(60 mg/kg BW)군에서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4,000원
        7486.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의약품과 식품을 포함한 자연이나 환경속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들은 암 및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것들에 의한 유해작용을 줄이려 노력하고 있으나 완전히 없애기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식생활 습관을 개선하거나 식품내에 존재하는 발암억제물질을 이용하여 암의 발생된 위한 연구는 암의 치료제 개발과 더불어 관심의 대상ㅇ디 되고있다. 여러 가지 식품속에 자연적으로 함유된 ellagic acid는 항돌연변이와 함암역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단기간 ellagic acid의 발암억제효과를 알아보기위하여 전암지표효소인 GST-P 양성중식소를 측정하였다. Diethylnitrosamine으로 간장에서 암을 유발하였고 phenobarbital과 간부분절제술로 암을 촉진시켰으며, ellagic acid를 400과 800ppm 투여근으로 구분하고 투여시기를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따라서 diethylnitrosamine으로 유발된 간장의 긴장의 발암은 ellagic acid에 의해 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다.
        4,000원
        7488.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n films of Eu(TTA)3(phen), which was known to show red-light emitting properties, were deposited under various deposition condition. The thickness, surface morphology, and photoluminescence(PL) were measured with α-step profiler, Atomic Force Microscopy(AFM), and PL measurement apparatus. It was found that the thickness of Eu(TTA)3(phen) film can be controlled precisely by adjusting the amounts of Eu(TTA)3(phen) in the boat. As the thickness of these films increases, the surface roughness also increases. A structure of Al/Eu(TTA)3(phen)(850a)/TPD(600a)/ITO was fabricated, Electroluminescence(EL) spectrum of which shows the peak at the wavelength of 618nm.
        4,000원
        7489.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초에 채집하여 Blackman(1987)의 기주선호성과 형태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분류한 방법에 의해 두가지 타입을 (M. persicae Sulzer와 M. nicotianae Blackman)으로 구분된 무시성충 복숭아 혹진딧물 8 클론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을 위하여 RAPD-PCR방법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random primer(10-mer) 100개 중에서 20개의 primer을 선발하였는데 GC content가 70, 80, 90%인 primer에서 각각 26.9%, 50.5% 및 66.^%로 GC content가 높아질수록 PCR결과 band의 양상이 좋게 나타났다. simple matching coefficient를 구하여 matrix를 작성해 본 결과 유사계수(similarity coefficient)의 범위는 0.414~0.808사이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 clone 간에 유사계수가 가장 높은 것은 PG2와 PG3 클론으로 0.808로 나타났으며, DBR클론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PG2 클론간의 유사계수를 0.414로 유사도가 가장 낮았다. 유사계수를 이용하여 8가지 클론의 진딧물들에 대한 유전적 근연관RP를 살펴보면 M. persicae typer에 속하는 PG1, PG2, PG3 클론들과 M. nicotianae type에 속하는 RED 클론이 유사도 0.643에서 한그룹, M. nicotianae type에 속하는 GR1, GR2, BRN크론들이 유사도 0.636에서 유연관계가 있었으며 그리고 M. persicae type에 the하는 DBR클론 등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따라서 연초에서 발생한 복숭아혹진딧물 형태형 2종 (M. persicae와 M. nicotianae)에 대하여 RAPD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해본 결과 뚜렷한 유전적 유연관계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4,000원
        7490.
        1998.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Nx 는 리소그라피 마스크의 흡수체나 VLSI 기술에서 금속연결의 확산방지재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 RF마르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여러 증착변수에서 제조한 WNx 막을 고찰하였다. SiNx 멤브레인 위에 증착된 박막의 결정구조는 질소아르곤 가스유량비(0-30%), 가스압력(10-43mTorr), RF출력(0150W)및 기판과 타겟사이의 거리 6cm에서 증착한 WNx 박막은 비정질이였으며 다른 조건에서는 표면이 거친 다결정질이었다. 비정질 박막은 rms가 3.1Å으로 아주 매끈하여 X-선 마스크용 흡착제로써 적합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7491.
        1998.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O2 기판과 dimethylethylamine alane(DMEAA)을 반응소스로 하여 알루미늄을 증착시켜 증착전 전처리 가스 종류와 수소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증착속도의 차이와 미세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iN기판에 증착된 알루미늄의 증착속도는 증착전 수소 가스에 의한 전처리한 경우 아르곤이나 헬륨에 의한 전처리에 비해 빠른 증착속도를 나타내었다. 이르곤 플라즈마 전처리나 플라즈마 전처리 하지 않고 SiO2기판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였을 경우에 비해 수소 플라즈마 전처리에 의해 알루미튬증착시 잠복기(incubation time)가 감소하였으며 치밀한 미세조직을 얻을 수 있었다.
        3,000원
        7492.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tudied behaviour patter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hoal by a method of shoal echo integration and tested species identification by a method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using the acoustic data collected in the East China Sea in March 1994 and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of Korea in March 1995. Between areas, frequency distribution of 10 shoal descriptors was different, which showed characteristics of shoal behaviour in size, bathymetric position and acoustic strength. The range and mean of shoal size distribution in length and height was wider and bigg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Relative shoal size of China Sea. Fractal dimension of shoal was almost same in both areas. Mean volume reverbration index of shoal was 3 dB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The depth layer of shoal distribution was related to bottom depth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while it was between near surface and central layer in the East China S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hoal descriptors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shoal size and acoustic strength which was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Correlation was also found among the bathymetric positions of shoal to some degree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The anchovy shoal of two areas was identified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contribution factor index (Cio) of the shoal descriptors between two areas were almost identical feature. The shoal volume reverberation index (Rv) was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species identification, while shoal length and shoal height showed relatively high negative contribution to the species identification.
        4,000원
        7493.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조과정 중의 amine의 함량 변화는 초기건조 온도의 상승으로 DMA와 TMA의 함량이 건조 9일째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인공건조의 경우가 자연건조보다 DMA, TMA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TMAO의 경우, 건조과정 중 분해되어 함량이 감소되어 DMA, TMA 함량과 역상관계를 보였다. DMA와 TMA의 생성은 건조과정에서 생성되고 있으며 유통과정에서 더욱 많이 발생된 것으로 사료되므로 유통에 따른 유해성 문제점을 심각하다고 판정되므로 유통방법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7495.
        1998.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MC(Sheet molding compound)욕조 생산시 발생하는 폐 FRP를 보강재로서 재활용하기 위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 수지에 보강하고 보강재와 매트릭스 수지의 계면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보강재를 실란계 커플링제[3-methylacryloxyviny1 silane (MAOS)]로 전 처리하여 복합재를 제조하고 기계적 물성 및 계면현사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보강률이 20wt%인 복합재의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이 각 각 110MPa, 8.0GPa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커플링제(MAOS)의 노동가 0.50wt%인 복합재의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은 약 10%정도 향상되어 각 각 120MPa, 9.2GPa을 나타내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보강재를 커플링제(MAOS)로 처리한 복합재의 보강재와 매트릭스 수지는 물리, 화학적을 잘 결합하여 보강재와 매트릭스 수지의 계면에서 pull out현상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크랙도 발생하지 않았다.
        4,000원
        7497.
        199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산형 연료전지(PAFC)용 전해질 매트릭스의 표면 거칠기를 감소시켜 분극저항을 줄이고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SiC whisker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테이프 캐스팅법으로 제조된 매트릭스의 거친 표면을 평탄화 처리하였다. 구형 입자의 분무공정을 이용하여 표면 평탄화 처리(process l)하는 경우와 롤링을 이용하여 표면 평탄화 처리(process 2)하는 두가지 공정을시도하였으며, 두가지 공정 모두 기공율과 인산 함침도를 유지시키면서, 매트릭스의 표면 거칠기를 감소시키고 기공압, 가소성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위와 같이 제조한 매트릭스로 연료전지를 구성하여 교류 임피던스 분석을 한 결과, 표면 평탄화 처리는 매트릭스 표면의 거칠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전극과의 접촉시 계면에서의 분극 저항을 감소시켜 전지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cess 2는 표면의 거칠기 감소뿐 아니라 표면에서의 인산함침도가 커서 가장 우수한 전지특성을 나타내었으며, process 1은 매트릭스 표면에 불규칙하게 존재하는 거대 기공을 완전히 제거하고 기공압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형의 매트릭스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4,000원
        7498.
        199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속응고법으로 Fe-Nd-C 합금을 제조하여 합금의 조성 및 제조 조건의 변화에 따른 상변화와 자기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강자성 Fe14Nd2Cx가 초정으로 정출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냉각속도의 변화에 따른 as-spun 합금에서의 상변화를 조사해 본 결과,10m/s로 제조한 Fe-Nd-C 리본합금은 α-Fe가 일차상, Fe17Nd2Cx가 이차상으로 존재하는 결정질이었으며. 20m/s에서는 α-Fe의 정출이 억제되거나 비정질화하여, Fe14Nd2Cx가 일차상, α-Fe가 이차상으로서 비정질상과 함께 존재하였다. 냉각속도의 증가에 따라 비정질화가 증가하여 30m/s에서는 대부분 비정질화되었으며,40m/s에서 비정질화가 완료되었다. 따라서 Fe14Nd2C는 as-spun 상태에서는 얻어지지 않고 주조합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열처리를 통한 고상변태에 의해서만 얻을 수 있었다. Fe14Nd2C를 얻을 수 있는 유효온도구역은 주조합금의 경우보다 넓은 700~900˚C였고,비정질화가 완벽한 합금보다 다소 덜 완벽하거나 Fe17Nd2Cx와 비정질상이 혼합된 합금에서 열처리에 의한 보자력의 향상이 더욱 현저하였다. Fe를 다량 함유한 Fe-Nd-C 조성 중에서 높은 보자력이 기대되는 조성 범위는 극히 제한되어, 750~800˚C에서 몇 분간의 열처리로 10kOe 이상의 높은 보자력을 얻을 수 있는 조성은 77~78 Fe, 7~8 C (at.%) 정도였다.
        4,000원
        7499.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intended that the biochemical patterns, bioserological characteristics, resistance of antibiotics, and transferable resistance patterns of 35 Escherichia coli strains from 79 fish and shellfish samples in marine markets from August to October, 1995. The Standard plate count,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were also counted in the 79 cases and analysed the correlationship each other. Geometric means of Standard plate count in seawater fish, shellfish, mollusca and crustacean were 1.4 × 105 CFU/g, 4.0 × 10^5 CFU/g, 2.4 × 10^5 CFU/g, 4.7 × 10^5 CFU/ g, and those of coliforms were 1.3 × 10¹ CFU/g, 4.8 × 10³ CFU/g, 8.9 × 10² CFU/g, 5.8 × 10³ CFU/g. There were no fecal coliforms in the fish and mollusc. However, the geometric means of coliforms in the shellfish and crustacean (1.1 × 10¹ CFU/100g, 10 CFU/100 g) were less than those of fish and mollusca. The important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 coli distinguished from the shellfish and crustacean were motility, ornithine decarboxylase, mucate, esculin. The fermentative properties of E. coli were also sucrose, salicin, sorbitol, and raffinose. Of 35 isolates of E. coli, 13 strains (37.1%) showed the pathogenic O antisera, which were O:27 3 strains (23.1%), O:159 2 strains (15.4%) and O:148, O:119, O:142, O:158, O:136, O:18, O:128, and O:168 1 strain (7.7 %), respectively.
        4,000원
        7500.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an effort to develop a cryopreservation system of immature and mature porcine oocytes. For this aim, the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and equdibration time on the viability of frozen-thawed oocytes by using trypan blue(TB) and fluorescene diacetate(FDA) test. The viability of frozen immature oocytes evaluated by TB test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rozen mature oocytes. The viability(25.O%) after IVM of frozen-thawed immature oocytes greatly decreased that(42.9%) of oocytes just after thawing, but it was higher than frozen-thawed mature oocytes(15.8%). When immature oocytes were equilibrated for 10, 20 and 30 minutes before freezing the oocyte viability was 20.0, 31.3 and 42.9%, respectively. There was a tendency for long equilibration before oocyte freezing to be more effective for the immature oocytes and a short equilibration time for mature oocyte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viability index of frozen oocytes hetween the viability test methods, the index of TB test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DA test. The viability(FDA test) of frozen-immature oocytes with 3 different crtoprotectants was 22.2% for propylene glycol(PG), 9.3% for polyehtylene glycol(PEG) and 65.6% for PG+PEG, in which PG+PEG was more protective against freezing effect.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