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8

        28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urine and vitamin E on ovarian granulosa cells damaged by bromopropane (BP) in pigs. We evaluated cell viability, plasma membrane integrity (PMI) and apoptotic morphological change in porcine ovarian granulosa cell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1-BP (0, 5.0, 10, and 50 μM), 2-BP (0, 5.0, 10, and 50 mM), taurine (0, 5.0, 10, and 25 mM), and vitamin E (0, 100, 200, and 400 μM) for 24 h. 10 μM 1-BP and 50 μM 2-BP inhibited viability and PMI, and induced apoptosis in porcine ovarian granulosa cells (p < 0.05). Cell viability and PMI were increased by taurine (10 and 25 mM) and vitamin E (100 and 200 μM), and apoptosis decreased (p < 0.05). Finally, the porcine ovarian granulosa cells were co-treated with BPs (10 μM), taurine (10 mM) and/or vitamin E (200 μM). Cell viability and PMI in the co-treated cells were increased, and apoptosis was decreased. In conclusion, taurine and vitamin E can improve cell viability and inhibition of apoptosis in porcine ovarian granulosa cells damaged by bromopropane.
        4,000원
        282.
        201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의 파골세포양 거대세포 미분화 암종은 그 발생 빈도는 드물지만 높은 악성도를 가지는 외분비 췌장암이다. 췌장 의 파골세포양 거대세포 미분화 암종은, 복부 전산화단층촬 영에서 괴사와 출혈을 동반한 낭성 및 고형 종괴의 소견을 보이며, 다른 췌장의 낭성 종양과 감별이 필요하다. 현재까 지 명확하게 정립된 치료법은 없으며, 조기 진단 및 종양의 완전 절제만이 생존률 향상을 가져온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58세 남성 환자에서 발생한 췌장의 파골세포양 거대 세포 미분화 암종이 수술 및 항암치료에도 불구하고 연조직 전이로 진행하여 사망한 1예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000원
        28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dentification of specific marker proteins in cells is useful for isolating cells and determining their cellular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Based on our previous study showing that matrix metalloproteinase 9 (MMP-9) can be used as a marker for porcine spermatogonia, the expression pattern of MMP-9 was determined in both pre- (5-month old) and post-pubertal (11–month old) bovine testes. Hist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spermatogonia were located near the basement membrane in both testes, while spermatozoa were not detected in the 5-month old pre-pubertal bovine testes and epididymides. Mature spermatozoa were observed in the 11-month bovine testes and epididymides, and MMP-9 expression in 11-month old bovine testes was lower than 5-month old testes, according to reverse transcription-PCR and real-time-PCR data. To determine the specific expression sites of MMP-9 in the bovine testes,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Expression of MMP-9 was observed in cells near the basement membrane of seminiferous tubules in both 5- and 11-month old testes. Furthermore, MMP-9 positive cells expressed protein gene product 9.5 (PGP9.5) and deleted in azoospermia (DAZL) that are already known as bovine spermatogonial stem cells markers. In the present study, MMP-9 expression was identified in both pre- and post-pubertal bovine spermatogonia expressing PGP9.5 and DAZL, and located near the basement membrane of seminiferous tubules. Thus, MMP-9 can be used as a marker for bovine spermatogonia, and may provide useful platforms for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 between germ cells and extracellular matrix during spermatogenesis in the seminiferous tubules.
        4,000원
        284.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생물을 포함한 천연물질은 신약개발의 원천 소재로서 매력적이며, 특히 무수한 미지의 해양생물들의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미크로네시아에서 채취한 해면동물 40여종에 대하여 항증식 효과를 다양한 암세포주에서 검색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Cos-cinoderma sp.의 작용 및 그 기전을 살펴보았다. 특히, 암억제유전자 p53의 발현을 억제시킨 세포주(HCT116 p53KO 과 RKO-E6)에서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세포생존률 시험에서 Coscinoderma sp. 추출물은 p53의 유무와 상관없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 암세포증식 억제 효과가 p53 존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 발현양을 Coscinoderma sp. 처리한 각 세포주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Coscinoderma sp.를 HCT16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p53과 Nox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caspase-9이 분절되면서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apoptosis를 일으킨다고 여겨진다. 반면, p53이 결핍된 HCT116세포주에서는 Coscinoderma sp. 에 의하여 p21과 mTOR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senescence를 야기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로부터 Coscinoderma sp.는 p53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이한 작용기전을 매개하여 대장암 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새로운 항암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Coscinoderma sp.의 활성 성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28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tramedullary plasmacytomas (EMPs) are rare soft tissue malignant neoplasms composed of plasma cells. They are sometimes found in soft tissues. The majority of primary EMPs occur in the head and neck region, especially in the upper respiratory tract and oral cavity. We present a case of a 52-year-old female with an EMP. The patient’s initial chief complaint was swelling of the soft palate. An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Final pathologic diagnosis was EMP of the soft palate with partial involvement of the resection margin. In order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multiple myeloma, a bone marrow exam with chromosomal study was completed. The patient was also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for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PORT); however, the patient refused to undergo PORT. The patient is currently under close observation for signs and symptoms of recurrence or metastases through regular follow-up visits and imaging studies.
        4,000원
        28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in oral cavity (POSCC) and paired metastatic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cervical lymph node (MOSCC) via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Ki-67 and p53. The subjects included ten patients (20 specimens) who were diagnosed with OSCC with metastatic lymph nodes from 2010 to 2015 and surgically treated involving neck dissection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wenty specimens were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Ki-67 and p53. The degrees of immunostaining by Ki-67 and p53 was evaluated as 0 (no positive cells), weak (1~25% positive cells), moderate (26-50% positive cells) and strong (>50% positive cells). Despite the strong tendenc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between expressions of Ki-67 and p53 in POSCC or MOSCC. We found that high expression of Ki-67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or degree of differenti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expression of Ki-67 may be a predictable factor for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POSCC and MOSCC.
        4,000원
        28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crophages play a pivotal role in the innate and adaptive immune 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separate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CZPS) in macrophages. Polysaccharides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were extracted by the ethanol precipitation method. RAW 264.7 mouse macrophage cell line was treated with CZPS (4 to 128 μg/mL), and there was no cytotoxicity at a dose below 32 μg/mL. The levels of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nterleukin (IL)-6, IL-1β) production in the CZPS treated group (32 μg/mL) were 6.5±0.12 μM (NO), 1252.8±79.85 (TNF-α), 305.4±29.41 (IL-6), and 683.3±59.71 (IL-1β), respectively, and the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2±0.03 μM (NO), 452.3±38.34 (TNF-α), 31.7±5.75 (IL-6), and 184.1±11.52 (IL-1β). Additionally,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phosphorylation of MAPKs and NF-κB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CZPS treatment.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olysaccharides separate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CZPS) may have a potential immunomodulatory activity in macrophages through MAPKs and NF-κB signaling, and this information is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immune enhancing adjuvant materials using a natural ingredient.
        4,000원
        28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agocytosis is a primary and an essential step of host defense, and is triggered by the interaction of particles with specific receptor of macrophag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tracts of Rudbeckia laciniata (RLE) on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 by monitoring the phagocytosis-associated signal transduction. RLE markedly increased phagocytosis of serum-opsonized zymosan particles (SOZ), while phagocytosis of IgG-opsonized zymosan particles (IOZ) or none-opsonized zymosan particles (NOZ) remained unaffected. However, RLE did not affect the binding of opsonized zymosan particles (OZ) with the cell surface of macrophage. This suggests that RLE may regulate SOZ-induced intracellular signaling during phagocytosis of macrophage. To confirm this hypothesis, we investigated whether RLE was involved in the RhoA-mediated signal transduction during phagocytosis of SOZ. Inhibitors of the RhoA-mediated signaling pathway, such as Y-27632 (for ROCK), ML-7 (for MLCK), and Tat-C3 (for RhoA), totally blocked phagocytosis of SOZ enhanced by RLE, as well as phagocytosis of SOZ. Additionally, RhoA activity was markedly increased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RLE, suggesting that RLE could increase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 via RhoA-ROCK/MLCK signal pathway. Thus, RLE may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foods for immunity.
        4,000원
        28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obtain vitamin, mineral, flavonoid, and polyphenol profiles of Rudbeckia laciniata (RL),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extract of RL (RLE) on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aCaT keratinocyte for the utilization of RL as natural raw materials to develop functional food.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checked the contents of the general nutrients of RL. The contents of vitamin A, vitamin B1 and vitamin B2 were 7.49 μg/g, 51.96 μg/g, and 132 μg/g respectively, while vitamin C and vitamin D3 were not detected. The contents of mineral such as Ca, K and Fe were 2.01 mg/g, 6.06 mg/g and 0.03 mg/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of RLE were 0.25 mg/g, and total polyphenol were estimated as 1.43 mg/g. Because RL contains high levels of vitamin A which is associated with skin aging,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LE on physiological function of keratinocytes with respect to skin aging. We found that RL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rowth rate of HaCaT cells and reduced ultraviolet radiation B (UVB)-induced cellular toxicity. Also, the extract of Rudbeckia laciniata attenuated the UVB-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aCaT cells. In addition, treatment with the extract dose-dependently increased migration activity of HaCaT cells. Thu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RLE could regul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keratinocytes, and may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foods.
        4,000원
        29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금의 주요 성분인 커큐민과 대두 추출물인 이소플라본의 피부 미용 측면에서 생리활성을 연구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포실험을 통해 커큐민과 대두 추출물을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 및 항염증을 확인하고, HPLC을 이용하여 대두 추출물의 성분분석과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수분과 유분, 홍반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커큐민이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항염증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8주 동안 커큐민과 대두 추 출물이 함유된 화장품과 식이를 병행하여 사용하였을 때 수분함량 변화, 유분함량 변화, 홍반 지수의 감 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여드름 피부에 유의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커큐민과 대두 추출물이 화장품 소재로 사용 시 여드름 피부 개선에 효과적인 화 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291.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영지버섯 유래의 유용성분으로 알려진 터페노이드 계열의 가노데릭산 22종( A, B, C, C2, C6, D, F, H, I, K, M, N, S, Y, Z, AM1, DM, CM2, S2, TR, TN, TQ)에 대한 아질산염 억제능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성대 조구로 쓰인 Ascorbic acid가 94.5%였으며, 가노데릭산 22종은 모두 70%를 넘었으며 대부분 항염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며, 그 중에서 가노데릭산 DM은 79.3%로 가장 높은 항염효능을 보였다. 다음으로 가 노데릭산 22종에 대한 위암세포(AGS) 생장 저해율을 분석을 한 결과 항암제로 쓰이는 Cisplatin을 양성대조 구로 썼으며 암세포 생장 저해율이 96.8%였으며, 이와 견줄 정도로 가노데릭산 22종은 높은 암세포 생장 저해율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며, 그 중에서 가노데릭산 C6는 87.9%로 가장 높은 암세포 생장 저해율을 보였다.
        292.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웰빙식품,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버섯의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주로 생버섯으로 소비되 고 2차 가공식품의 기능성 구명으로 새로운 용도 개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버섯의 고부가가치 창 출을 위해서는 버섯의 생산 및 단순가공형 산업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신기능성 구명 연구를 통해 새로 운 미래 바이오산업 확대를 위한 용도 창출을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내용은 버섯류 35종 에 대한 전립선암세포내 PSA발현 억제 효능 및 이를 통해 확인된 버섯자원들의 함유성분 중 암에 관 련된 화합물들에 대한 구조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35종의 버섯류는 99% 에탄올 추출 및 물로 추출 후 동결건조하여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35종의 버섯중 느티만가닥(Hypsizigus marmoreus), 눈 꽃동충하초(Cordyceps takaomontana),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 양송이 (Agaricus bisporus) 등에서 전립선암세포내 PSA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들 버섯들은 면역력 을 높이는데 유효한 성분인 베타글루칸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증진에 따른 전립선암세포의 증식 억제에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293.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녹각영지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lipopolysaccharide (LPS)/interferon (IFN)-γ로 자극 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녹각영지버섯의 항산화 활성 을 확인하기 위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과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소거 활성 및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효과에 대한 IC50은 각각, 80.74, 52.28 ㎍/ml의 radical 소거능이 관찰되었으며 ROS 생성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ROS 및 nitric oxide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활성산소 종 ROS와 염증 매개물질인 NO는 투여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염증과 관련된 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녹각영지버섯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염증을 지닌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 료된다.
        294.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버섯산업은 자동화, 대량생산시스템이 구축되면서 급속하게 성장하여 2010년의 경우에 재배면적 353ha에서 생산량 20만 톤 그리고 생산액으로 8,860억 원을 달성하였다. 수출도 2만 2,000톤을 하여 약 5,000 만 달러로 최고에 다다랐다. 그러나 2010년을 정점으로 해서 소비량이 줄어들고 수출이 둔화되어 버섯산업 전체가 지금 현재 정체상태에 있는 상황이다. 정체된 이 버섯산업을 극복하고 새로운 버섯산업의 성장 동력 을 창출하기 위해서 기존의 5대 버섯(느타리, 새송이, 팽이, 양송이, 표고) 외에 새로운 품종을 개발해서 부가 가치가 높고 수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시장 맞춤형 버섯품종을 개발하였다. 육성 경위를 살펴보면 2013 년에 품종출원한 아위느타리 ‘비산1호’와 국내외 수집된 백령느타리 20균주에 대한 자실체 특성을 조사하여 2개의 우수균주를 선발하였다. 2014년 우수균주 가운데 수량성이 뛰어난 아위느타리 ASI 0629(‘비산1호’)와 백령느타리 ASI 0663(‘백령20’)의 단포자를 분리하여 Mon-Mon 교배법으로 교잡하였다. 2014년 200여개의 교 잡주 중에서 자실체 형태는 백령느타리를 띠면서 아위느타리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가진 세포질전환 종간 교잡주 8계통을 선발하였다. 2015년 생산력 검정시험을 통해 저온처리없이 백령느타리 형태를 띠는 고품질 우량계통 KiMB-Plft-15-81를 선발하여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5년 주요 농작물 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 에 상정하여 아위x백령 느타리 신품종 ‘백황’으로 명명하여 품종보호 출원하였다.
        29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이코사노이드는 탄소수 20 개의 다가불포화지방산 산화물로 구성된다. 이들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생합성 전구물질을 탐지하기 위해 파 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서로 다른 조직으로부터 지방산을 분리하여 GC/MS로 조성을 분석하였다. 파밤나방 5령 유충에서 소화관, 지방체, 혈구 및 체벽을 분리하고, 각 조직에서 지질을 추출하여 각각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로 분리하였다. 대부분의 조직은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oleic acid (18:1), linoleic acid (18:2) 그리고 linolenic acid (18:3)를 주요 지방산으로 함유하였다. 그러나 이들 지방산의 조성은 조직과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지방체와 혈구세포는 이들 주요 지방산 이외에 myristic acid (14:0)와 3 종류의 미동정 지방산들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서로 다른 지질 종류 가운데 인지질은 중성지질이나 당지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linolenic acid를 지닌 반면 포화지방산의 함유량은 낮았다. 전체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도 조직과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인지질은 지방체, 혈구 및 소화관에서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유 량을 나타냈다. 세포성 인지질분해효소인 calcium-independent phospholipase A2 (iPLA2)는 지방산 조성을 조절하는 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 유전자의 RNA 간섭은 중성지질과 인지질에서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의 전구물질로 여겨지는 아라키도닉산을 검출하지 못했다. 이는 곤충에 있어서 아이코사노이드는 포유동물과는 다른 새로운 생합성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29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 발전소는 442기가 가동 중이며, 62기가 충원될 예정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증가에 따라 방사성 폐기물 유출에 대한 위험성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 에,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는 인간, 동물, 식물을 포함하는 자 연 생태계를 보전하는 관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방사성 폐 기물 유출은 그 지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 제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입체 배양세포에 방사성 핵종원 소 (세슘, 스트론튬, 코발트)를 처리하였고 이에 대한 영향력 을 확인하였다. 입체 배양 구조체는 아가로오스 하이드로겔 을 이용하여 제작했으며 암세포 및 정상세포 (HeLa, HepG2, COS-7)를 사용하여 입체 배양을 실시 하였다. 입체 형태로 세포를 배양한 후 세슘, 스트론튬, 코발트 농도 변화에 따라 세포 생존능력을 분석하였다. 이때 입체 배양세포에서 생존 능력이 단층 배양세포 보다 최대 42%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 다. 입체 배양구조체는 세포가 형태 및 생리학적으로 in vivo 환경인 조직과 비슷하게 배양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입체 배양구조체는 기존의 단층 배양 한계점인 in vivo 환경 에 적용시킬 수 없다는 한계를 극복하였다. 본 입체 배양 기 술이 중금속 독성평가 및 단시간 내에 다수의 물질 분석을 수행하는 고속 대량 스크리닝 기술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 다.
        4,000원
        297.
        2016.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혼합 간세포-담관암종은 조직학적 특성이 다양한 원발성 간암의 드문 형태이다. 혼합 간세포-담관암종의 근치적 치료 법은 수술적 절제가 유일하나, 진행성 혼합 간세포-담관암종의 치료에 대해서는 잘 정립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진행성 혼합 간세포-담관암종에서 선행항암화학요법을 시행 후 근치적 수술이 가능하였고, 수술 15개월 후까지 재발을 보이지 않은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298.
        2016.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자들은 십이지장의 팽대부에서 발견된 종양에 대해 조직검사를 시행, 신경내분비종으로 판단하여 내시경적 유두부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신경절세포 부신경절종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였으며, 신경절세포 부신경절종이 내시경적 유두부절제술로 성공적으로 치료되었기에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