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해양오염사고 예방에 관한 관심과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는 가운데, 지방정부 중심의 해안방제체 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방향 설계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지방정부의 해안방제능력을 진단하고 해안방제 실행력 강화를 위해 필요 한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방안이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일어났던 대규모 해양오염사고 사례분석을 통해 지방정부가 해안방제를 어떻게 수행했는지를 분석하고, 해안방제에 관한 지방정부의 문제점을 찾아내 어, 향후 발생가능한 대형 해양오염사고의 해안방제 대비에 필요한 사항을 중심으로 단계별 대응체제 구축, 교육훈련 강화, 인적 네트 워크 활성화, 방제자원 확보근거 마련, 전담부서 신설 등 지방정부의 해안방제능력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방정부 의 해안방제관리능력에 관한 연구가 일천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시험적 연구라고 판단되며,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시험적 연구로서 다음의 후속 연구에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는 차세대 랫드에서 혈액 지질 감소에 관한 식이 내 오메가 6와 3 지방산 비율의 생 화학적 메카니즘을 조사하였다. 실험처리군은 오메가 6:오메가 3비율 0 (대조구), 1:1, 8:1, 19:1로 구 분하였다. 혈액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질단백질(LDL-C),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glucose의 수준은 오메가 6:오메가 3 비율 1:1 그룹에서 가장 낮았다. 혈액 고밀도지질단백질(HDL-C), 인지질의 수준은 오메가 6:오메가 3 비율 1:1 그룹이 가장 높았다. HMG-CoA reductase activity는 전체 저리구 가운데 오메가 6:오메가 3 비율 1:1, 8:1 그룹에서 가장 강하게 억제되었으나 분을 통한 스테롤의 배설량은 촉진되었다. 혈액 오메가 6:오메가 3 비율은 섭취한 식이 내 오메가 6:오메가 3 비율 증가에 따른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 세대로 부터 차세대 랫드에 이르기까지 오메가 6:오메가 3 비율이 8:1 이하로 낮아진 식이를 섭취하면 영양소 대사작용 활성화 메카니즘에 의한 혈액 중 유해지질 감소, 간 기능 유지 및 성장을 자극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나타낸다.
This paper tries to show the efficiency of water financing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rom the year of 2017,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for change water pipes has been provided by central government as block grants system(RDSA: Regional Development Special Account). Even though the water financing is responsible for local government, water drought and high production cost in poor area affects the quality of life nowadays. Then, fiscal transfer through block grant for water financing has been decided to invest regional SOC. The purpose of the paper sheds light on the function of the block grant for public provision by water financing. The firstly tried empirical results are based on the survey from local governments and ministry of environments. The point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local governments does not have proper measurement for unexpected water leakage and termination until now. In a policy manner, the paper raises the issues about benefit principle for water users by the increase of tariffs. In order to do so, the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provision and fiscal status of each local governments.
Aloe-emodin (AE) is the major bioactive component in aloe and known to exhibit anti-inflammatory activities. However, it has not been elucidated whether its anti-inflammatory potency can contribute to the elimination of obesity.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E on toll-like receptor 4 (TLR4) pathways in the presence of lipopolysaccharide (LPS) in 3T3-L1 adipocytes. 3T3-L1 adipocytes were treated with AE (0-20 μM) for one hour, followed by LPS treatment for 30 min and then, adipokine mRNA expression levels were measured. Next, TLR4-related molecules were measured in LPS-stimulated 3T3-L1 adipocytes. A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the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6 (IL-6),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AE suppressed TLR4 mRNA expression. Further study showed that AE could suppress the nuclear factor-κB (NF-κB) and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receptor-activated kinase (pERK).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E directly inhibits TLR4/NF-κB/ERK signaling pathways and decreases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adipocyt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such as nitric oxide(NO) production, expression of TNF-α and interleukin-6(IL-6), of Tenebrio molitor larva using RAW 264.7 cells. The content of total fatty acid in Tenebrio molitor larva was 76.14%, which was composed of oleic acid(42.12%), linoleic acid(32.67%) etc. There was no cytotoxicity at a dose level of 0.1, 1.0, 10, and 100 μg/mL of freeze dried Tenebrio molitor larva ethanol extract(FDTEtOH) on RAW 264.7 cells. FDTEtOH significantly decreased NO production in LPS(lipopolysaccharide)- stimulated RAW 264.7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lso, FDTEtOH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TNF- α and IL-6. Thus, these results showed that Tenebrio molitor larva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anti-inflammatory food to improve immunity.
전분의 노화는 전분질 식품의 소화율과 기호도를 떨어뜨리고, 경도를 증가시키는 등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며 유통기한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식품의 상품적 가치가 떨어지게 되어 이는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전분노화 억제 소재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결정형영역에서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전분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 결정형 영역과 무정형 영역의 변화의 종합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화학적 전분노화 억제제인 글리세롤(Glycerol)과 HLB 값이 16인 자당지방산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를 첨가한 가래떡을 제조 및 상온에서 저장하여 노화 과정 중 발생하는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습식 제분쌀가루를 수분함량 45%로 반죽하여 쌀가루 기준 1, 5, 10%의 글리세롤과 0.1, 0.3, 0.5%의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각각 첨가하여 지름이 1.5 cm인 가래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가래떡을 진공포장 후 상온에서 14일까지 저장하여 떡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초기 가래떡의 외관은 변화가 없었으나 저장 7일 이후부터 모든 가래떡 표면에 부분적으로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관찰하였다. 글리세롤과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첨가한 가래떡이 4일차까지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가래떡(Control) 보다 경도가 낮았으며, 같은 노화 억제제일지라도 첨가한 양이 많을수록 경도가 더 많이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저장 5일차부터 control과 샘플 가래떡의 경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후 14일까지 변화의 폭이 미미하였다. X선 회절도실험에서, Native 쌀가루는 15, 17, 23˚에서 peak가 나타나는 A 타입 결정 특성을 보이는 반면, 노화된 떡은 20-21˚에서 peak가 나타나는 B 타입 결정 특성을 보였다. 14일차 저장했을 때, 노화 억제제가 첨가된 샘플 떡이 control보다 상대적 결정화도가 낮았으며 글리세롤과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비교했을 때, 글리세롤의 상대적 결정화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노화된 떡의 무정형 영역 및 결정형 영역의 재결정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리전이 온도(Tg’)과 아밀로펙틴 용융엔탈피(ΔHr)의 변화를 DSC로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Control 떡과 샘플 떡의 Tg’은 증가하였으며 샘플 떡의 Tg’가 control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샘플 떡의 ΔHr 값과 변화 정도가 control보다 낮아 노화억제제로서 분자들 간의 결합을 방해했음을 암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화학적 전분노화억제 소재들의 전분노화억제 효과를 알려주고 이것을 이용한 전분질 식품의 저장안정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The occurrence of atypical lipomatous tumor of the head and neck is rare, and clinical and histologically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tumor is needed for other similar diseases. Herein we report atypical lipomatous tumor arising in neck area. And literature review was done. Complete excision with negative margins followed by long-term follow-up is recommend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these uncommon entities.
동물들은 항상성 유지를 위해서 지방에 축적된 에너지의 양을 판단하고 섭식량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 조절 메카니즘은 아직 확실히 알려져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노랑초파리로 지방세포에서 섭식조절과 관련된 유전자를 찾기 위해 mRNA의 과발현을 이용한 1차 스크리닝(screening)과 RNAi를 이용한 2차 스크리닝을 수행하여 지방세포에서 발현하는 유전자 purple이 섭식조절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전자 purple은 조효소인 tetrahydrobiopterin (BH4)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데, 연구결과 BH4생합성에 관련된 다른 유전자인 Punch와 Sepiapterin Reductase (Sptr) 뿐만 아니라 BH4도 섭식행동을 조절하는데에 관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흥미로운 사실은 Punch와 purple은 지방에서 발현되어야 하는 반면 Sptr은 뇌에서 발현되어 섭식행동을 조절한다는 사실이다. 추가연구를 통해 BH4가 섭식에 관련된 뉴런인 neuropeptide F (NPF)을 억제하여 섭식억제가 이루어지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유형의 섭식억제제 개발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목 적 : 간 자기공명영상에서 Screening Dixon, Multi Echo Dixon, High-speed T2-corrected Multi Echo acquisition at 1H MR spectroscopy의 지방간 평가를 초음파 검사와 비교하여 간 자기공명상에서 지방간 평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4. 8월~2015. 8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간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 중 검사시행 3개월 전· 후에 초음파 검사를 동시에 시행한 138명(남: 101명, 여: 37명, 평균연령: 60.2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 된 MRI 장비는 Magnetom Skyra 3.0T(Siemens Healthcare, Germany)였으며 18ch Body array coil을 이용하여 Screening Dixon, Multi Echo Dixon, High-speed T2-corrected Multi Echo acquisition at 1H MR spectroscopy(이하 HISTO) 기법의 검사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장비는 iu22(Philips healthcare, Netherlands), E9(GE healthcare, America)였으며 C3-5 convex probe를 사용 하였다. 지방간의 분석은 Screening Dixon에서 지방간의 유·무와 Multi Echo Dixon, HISTO 기 법간의 지방간 유무를 각각 비교하였으며 Multi Echo Dixon과 HISTO 기법에서는 지방 함유량에 따라 normal(5% 이하), mild(5~33%), moderate(33~66%), severe(66% 이상)로 나누어 두 기법 간 비교 및 초음파 검사와 비교하여 그 유의성을 SPSS2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rson χ2(카이제곱) 검증하였다.
결 과 : Screening Dixon과 Multi Echo Dixon, Screening Dixon과 HISTO 기법을 비교한 결과, Screening Dixon에서 지 방간을 가진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며(p>0.05), Multi Echo Dixon과 HISTO 기법을 normal, mild, moderate, severe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두 기법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반면 Multi Echo Dixon과 초음파, HISTO와 초음파의 각각의 비교에서는 초음파 검사에서 지방간으로 평가되는 환자가 Multi Echo Dixon, HISTO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normal 군의 환자가 많이 감소한 반면 moderate, severe군으로 평가되는 환자가 많이 증가하였다.
결 론 : Screening Dixon, Multi Echo Dixon, High-speed T2-corrected Multi Echo acquisition at 1H MR spectroscopy(HISTO)의 지방간 평가를 초음파 검사와 비교한 결과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평가에서는 기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초음파와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검사는 간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부가적인 검사로 짧은 시간에 지방간을 정량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orn powder and starch on the blood parameters of mice fed a high-fat diet. The moisture, crud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of acorns were 37.99±0.37%, 1.61±0.06%, 4.36±0.18% and 3.22±0.15%, respectively. Acorn powder and starch contains antioxidant minerals such as selenium and zinc. The iron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corn powder than in acorn starch (p<0.05). The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148.50±29.72 mg/dL in the high-fat starch diet (HFS) group, while in the high-fat diet (HF) group it was 201.50±39.15 mg/dL (p<0.05). Serum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S group (50.50±10.79 mg/dL) than in the HF group (62.00±20.85 mg/dL; p<0.05). The serum IL-1β levels in mi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IL-10 levels were higher in the HFP group than other groups. There is a need for strong recognition that acorns are good ingredients worldwide.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products using acorn powder and starch powder. There is also a need for a strategy to globalize food using acorn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energy nutrient intake, health related factors, physical characteristics, blood biochemical indices,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odds ratio (OR) of metabolic syndrome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Subjects were 1,205 men aged 40~64 years. The average fat intake was 52.8 g.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ficient, normal, excess)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The dietary fat energy rations of the three groups were 36.9%, 42.9% and 20.2%, respectively. Energy and protein intak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dietary fat energy ratio (p<0.001), whereas carbohydrate intake decreased (p<0.001). In health related factors, amount of smoking alone showed increase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p<0.001). In compa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blood pressure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excepting diastolic blood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p<0.01~p<0.001). The rate that exceeded criteria in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the serum triglyceride (41.2%) and was lower in the waist circumference (22.2%).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37.9%, an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to dietary fat energy ratio (p<0.05). The OR of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deficient and excess group than in normal group, but it had no relationship between fat energy ratio and metabolic syndr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fat intake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m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lettuce (Lactuca sativa L.) extract on the inflammat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 and blood lipid improvement in hypercholesterolemic mice fed a high cholesterol diet. The lettuce extract (100% ethanol extrac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and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n HUVEC treated with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The lettuce extract suppressed the adhesion of THP-1 to TNF-α-treated HUVEC. The lettuce extract decreased the TNF-α-stimulat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interleukin-6, interleukin-8 and chemokin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1. In hypercholesterolemic mice, the lettuce extract reduced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 while the lettuce extract elevated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atherogenic index and cardiac risk factor leve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ettuce extract can be an useful resource to show an anti-inflammatory effect and improve lipid metabolism
본 논문에서는 약용매에서 용해될 수 있는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를 합성하였고, 합성한 수지 의 용해도 평가가 이루어졌다.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를 합성하기 위하여 비스페놀A형, 페놀 노볼락형 및 오르소 크레졸 노볼락형의 3종류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였고, 여기에 지방산, dodecyl phenol (DP), toluene diisocyanate (TDI)를 도입하였다. 합성조건은 당량기준으로 에폭시수지/지방산 = 1/0.5, 지방산/DP = 0.25/0.25, TDI 0.5이었고, 에폭시수지 종류에 따라 12종류의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가 합성되었다. 합성 된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에 대하여 점도 및 용매√가용성을 평가한 결과, 벤젠고리와 글리시딜기의 함량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약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용매에 용해성 이 우수한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투명 도료를 제조하여 물성을 평가한 결과, 비스페놀A형 에 폭시수지/지방산/DP/TDI의 당량비가 1.0/0.25/0.25/0.5인 것과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수지/지방산/DP의 당량비가 1.0/0.25/0.25인 조성에서 건조시간, 접착력, 도막경도, 내충격성, 내알칼리성에서 양호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목 적 : Screening Dixon기법 사용 시 Gd-EOB-DTPA 주입 전, 후에 따른 정량화된 지방 비율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12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조직 생검을 통해 간 지방증 진단을 받은 환자 30명과 간 기증자 30명(남/여: 36/24, 평균연령: 46.35±13.25,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장비는 3.0T MRI system MAGNETOM Skyra ( Siemens, Munich, Germany)와 18 channel body coil을 사용하였으며, Screening Dixon (TR:4.10msec, TE:1.23, 2.46msec, matrix:187×256, Bandwidth:1500, NEX:1) 기법을 이용하였다. Gd-EOB-DTPA 주입 전과 주입 후 15분 지연 영상을 획득하였다. Screening Dixon의 conclusion report에 대한 진단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검 결과와 비교하였다. 정량적 분석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후 Fat과 Water영상에서 간의 2-8segment에 300mm² 크기의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F/W(fat-only/water-only)와 지방분율(F/(F+W)×100%)의 평균값을 계산하였으며, 각 평균값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결 과 : Screening Dixon의 conclusion report값은 지방증 환자에서(조영제 주입 전 100% 지방, 후 100% 정상)으로 제시되었고, 정상 간 기증자에서 (조영제 주입 전, 후 모두 100% 정상)으로 제시되었다. 정량적 분석에서 지방증 환자에 대한 조영제 주입 전 평균 F/W값은 segment (Ⅱ:0.081±0.011, Ⅲ:0.082±0.012, Ⅳ:0.076±0.016, Ⅴ:0.079±0.011, Ⅵ:0.079±0.010, Ⅶ:0.081±0.010, Ⅷ:0.076±0.014)로 나타났고, 조영제 주입 후 평균 F/W값은 segment (Ⅱ:0.039±0.006, Ⅲ:0.037±0.005, Ⅳ:0.040±0.006, Ⅴ:0.037±0.004, Ⅵ:0.039±0.008, Ⅶ:0.037±0.006, Ⅷ: 0.037±0.007)로 나타났다(p<.001). 정상 간 기증자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평균 F/W값은 segment (Ⅱ:0.049±0.010, Ⅲ:0.055±0.005, Ⅳ:0.032±0.004, Ⅴ:0.044±0.007, Ⅵ:0.050±0.007, Ⅶ:0.043±0.008, Ⅷ:0.032±0.004)로 나타났으며, 조영제 주입 후 평균 F/W값은 segment (Ⅱ:0.033±0.007, Ⅲ:0.031±0.007, Ⅳ:0.023±0.004, Ⅴ:0.020±0.003, Ⅵ:0.023±0.013, Ⅶ:0.018±0.004, Ⅷ:0.020±0.007)로 나타났다 (p<.001). 지방분율의 전체 평균 값은 지방증 환자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7.73±1.30%에서 주입 후 3.09±0.41%로 감소하였고, 정상 기증자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3.86±0.59%에서 주입 후 2.09±0.37%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결 론 : Screening Dixon은 F/W, I/O dual ratio를 통한 정량화된 수치를 conclusion report로 제시하며, 정상 간 실질을 구분하는 기준은 F/Wnormal threshold≤0.05로 알려져 있다. F/W값이 0.05 이상이 될 경우 비정상간 실질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계산식을 이용해 fat, iron, combined deposition으로 구분한다. 본 연구에서 Gd-EOB-DTPA 주입 후 적용한 Screening Dixon은 지방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모두 정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조영제 주입 후 water의 T1이완시간 감소로 인한 신호 증가가 F/W값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Gd-EOB-DTPA를 사용하는 검사에서 간 지방 정량화를 시행하는 경우 조영제 주입 전에 Screening Dixon을 시행하는 것이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목 적 : 간 이식 공여자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지방정량화 기법은 비 침습적으로 체내 지방분율을 측정할 수 있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지방정량화에 있어 환자 및 펄스 시퀀스의 특성은 교란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 이식 공여자를 대상으로 Dual-echo dixon과 T2* multi-echo dixon기법의 유용성을 비교하고, 지방 정량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10월부터 2015년 12월 까지 간이식 기증을 목적으로 본원을 방문한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구조는 남자 76명, 여자 52명, 평균연령은 26.44±7.31세였다. 실험장비는 3.0T MRI System MAGNETOM Skyra (Siemens, Munich, Germany)와 18 Channel body coil을 사용하였으며, Non-T2* corrected Dual-echo dixon:(TR/dual-TE:3.97, 1.29, 2.52, matrix:195×320, Bandwidth:1040, NEX:1)과 T2* Corrected Multi-echo dixon:(TR/six-TE;9.00, 1.09, 2.46, 3.69, 4.92, 6.15, 7.38, matrix:104×160, Bandwith:1090, NEX:1)기법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Fat-only, Water-only영상에서 간 내의 가장 넓은 부위 세 곳에 ROI를 설정하였으며, 각 영상에서 획득한 Fat-only, Water-only의 평균 신호강도를 이용하여 지방분율을 계산하였다. (F/(F+W)×100%). 또한 각 기법의 평균 지방분율을 5.5%를 기준으로 지방증, 비 지방증으로 구분하여 초음파 결과와 비교하여 진단능력을 평가하였다. 위치에 따른 각 기법의 평균 지방분율 차이와 진단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t-test와 McNemar‘s test를 실시하였다.
결 과 : 각 영역의 평균 지방분율은 Dual-echo(ROI1 : 5.64±1.94%, ROI2 : 6.13±2.06%, ROI3 : 6.32±2.43%), Multi-echo(ROI1 : 3.60±1.69%, ROI2 : 3.88±1.63%, ROI3 : 3.99±1.97%)로 Dual-echo가 Multi-echo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초음파 검사를 기준으로 한 각 검사 기법의 Sensitivity는 Dual-echo:80.6%(29/36), Multi-echo:83.3%(30/36), Specificity는 Dual-echo:58.6%(54/92), Multi-echo:84.8%(78/92). Positive predictive value는 Dual-echo:43.3%(29/67), Multi-echo:68.2%(30/44), Negative predictive value는 Dual-echo:88.5%(54/61), Multi-echo:92.9%(78/84), False-positive는 Dual-echo:19.4%(7/36), Multi-echo:16.7%(6/16), False-negative는 Dual-echo:41.3%(38/92), Multi-echo:15.2%(14/92), Accuracy는 Dual-echo:64.8%, Multi-echo:84.4%로 나타났다.
결 론 : 연구의 결과는 T2* corrected multi-echo dixon을 이용한 지방 정량화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Sensitivity와 Specificity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1강조영상에 가까운 Dual-echo dixon은 물보다 짧은 지방의 T1이완시간으로 인하여 지방분율을 지나치게 과대 평가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Specificity와 False-negative 값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반해, T2* Multi-echo dixon기법의 경우 많은 Echo를 얻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물과 지방의 T2* 붕괴에 대한 오류를 T2* Correction으로 보정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한 지방정량화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T2* Multi-echo dixon기법의 경우 Dual-echo dixon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신호 대 잡음비를 나타내어 T2* 보정 과정이 신호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간 기증자의 지방정량화 검사 시 Dual-echo dixon기법과 T2* Multi-echo dixon기법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이해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지방정량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