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0

        403.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중부지방의 복숭아과원에서 발생하는 해충의 발생실태를 1999년부터 2008년 까지 월동해충(2월 중하순), 생육초기(5월 중하순), 생육중기(7월 중하순), 생육후 기(9월 중하순)로 나누어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도별 월동해충을 조사한 결과 뽕 나무깍지벌레, 점박이응애, 나방류 유충, 진딧물류 등이 월동기 주요 해충으로 조 사되었다. 월동해충 중에서 뽕나무깍지벌레는 한주에 5가지당 1.2(‘05)∼3.7(’00) 마리, 점박이응애는 25㎠ 당 0(‘00)∼5.6(’99)마리, 나방류 유충은 5주당 0(‘00)∼ 1.9(’02)마리, 진딧물류는 100눈당 알수가 0(‘00)∼10.7('08)개였다. 복숭아 생육 초기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 복숭아순나방, 복숭아굴나방, 복숭아유리나방, 점박 이응애, 하늘소류, 뽕나무깍지벌레가 조사되었으며, 이중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이 50개 신초당 0.5(’99)∼33.6(‘00)마리가 발생하여 발생밀도가 높았다. 생육중기에 서는 점박이응애, 복숭아굴나방, 복숭아순나방, 복숭아혹진딧물, 복숭아심식나방, 복숭아유리나방, 하늘소류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중에서 점박이응애가 100엽당 5(’08)∼175.5(‘00)마리로 발생밀도가 가장 높았다. 중부지방의 복숭아는 다른 과 종 보다 빨리 수확이 종료되어서 9월 중순 이후에는 지상부 해충의 조사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10년간의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복숭아에서는 생육시기에 따라 해충 의 다발생 종이 다르지만, 점박이응애, 복숭아혹진딧물, 복숭아유리나방 등이 해 마다 발생되었으며 심식충류에 의한 과실피해는 높지 않았지만 해마다 발생하 였다.
        404.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밤나무 품종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남부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주요 품종의 과실 특성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조사하였다. 품종별 착과수는 37.7 (광주조율)~183개 (주옥)로 품종 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밤송이 내에 들어 있는 평균 함과수는 1.2~2.0개로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대 (Idea)는 1.2개였고, 산대와 광은은 2.0개였다. 입중도 품종간 차이가 많았는데, 광덕이 31.3 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광주조율은 14.1 g으로 가장 소립품종이었다. 건전과의 비율이 가장 높은 품종 은 창방감율 (89.9%)이었으며, 건전과 비율이 80% 이상인 품종은 국견, 유마, 축파, 광은, 평기 5품종이었 다. 부패과에 있어서는 신이평과 출운이 각각 10.8, 16.8%의 비율을 나타내어 수확 후 저장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열과율에 있어서는 0 (창방감율)~20.6% (세일)로 품종별로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산 대, 이평, 주옥, 광덕, 세일은 15% 이상이었으나 국견, 유마, 축파, 만성, 창방감율, 축파변이, 출운은 3% 이 하로 나타났다.
        4,000원
        405.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부지방에서 동절기간에 적용 가능한 상록지피식물의 이용을 확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광조건에서의 생장변화를 조사하였다. Nandina domestica는 동절기 동안 광조건에 관계없이 음지에서 높은 엽록소값을 나타냈다. 이후 4월에는 서울의 반포지역에서 엽록소 값이 광조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 지 않았으나 북풍에 노출되어 있는 과천지역에서는 양지에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잎이 모두 낙엽 되었 다. Ophiopogon japonicus는 지역에 관계없이 2월에 양지보다 음지에서 엽록소값이 두 배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L과 b값도 조사기간 동안 음지조건에서 높게 나타났다. 4월에는 반포지역에서 광조건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과천지역에서는 양지에서 동절기 동안 엽색이 탈색되었다. Pachysandra terminalis는 조사지역과 기간에 관계없이 음지조건에서 엽록소값과 L, b값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 부지방에서 상록지피식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음지조건의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40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xicity of 3-MCPD that comes from food manufacture and processing is well-known.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3-MCPD fatty acid ester which is formed by metabolic material was 10~2000 times as much as 3-MCPD in food. This study made analysis method of 3-MCPD fatty acid esters by recent research and laboratory work, and determined the content of 3-MCPD and 3-MCPD fatty acid esters in sources and meat processing products. 3-MCPD fatty acid esters were analysed by GC/MS, which were hydrolyzed from fatty acid and then transferred 3-MCPD was extracted and reacted with derivative subject. As a result of analysis method validation, LOD was 5.4ppb,LOQ was 9.0ppb.
        4,000원
        40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녹두 유전자원의 지방산 함량을 신속 대량 검정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유전자원 활용 및 육종 촉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유전자원 평가에 적합한 신속하고 비파괴적인 지방산 함량 평가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공시자원 1, 125점의 녹두 종자를 종실상태와 분쇄한 분말상태로 근적외선분광분석기(NIR)를 이용하여 1, 104~2, 494 ㎚에서의 스펙트럼을 얻고 이들 중 스펙트럼이 중복되지 않는 원산지가 다양한 대표자원 106점을 선발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고, 이 값과 NIR 스펙트럼 흡광도값 간의 상관분석을 위한 calibration set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및 total fatty acid에 대한 NIR 흡광도와의 상관 계수 R2이 각각 0.74, 0.18, 0.12, 0.72, 0.48 및 0.78로 나타났고, 이들 중 R2가 높은 검량식을 미지의 시료 10점으로 검증한 결과, palmitic, linoleic 및 total fatty acid에 대한 검증 상관계수 R2이 0.96, 0.74, 0.81로 나타나, 다양한 녹두 유전자원의 지방산함량 신속 대량 예측에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시된 녹두 유전자원 115점 중에서 자원번호 IT208075 자원은 저 지방산 자원(14.24 ㎎g-1)으로 선발되었고, IT163279 자원은 고 지방산자원(18.43 ㎎g-1)으로 선발되어 향후 녹두작물의 성분육종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1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urethane adhesive is used in various fields as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including a food packaging fie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ynthesis of polyurethane adhesive which uses aliphatic isocyanate, and compares with aromatic isocyanate. The isocyanates for this test are toluene-2,4-diisocyanate(TDI), hexamethylene diisocyanate(HDI), 4,4-dicyclohexyl ethane diisocyanate(H12MDI), and isophorone diisocyanate(IPDI). And, the effect of any other diisocyanate are evaluated by several methods as for curing rate test, accelerate weathering test, and peel strength test. The polyurethane adhesive using curing catalyst and HDI has adhesion strength of about 560 g/15 mm between aluminium foil and nylon, about 1,520 g/15 mm between nylon and CPP. Those parameters are similar to polyurethane adhesive with TDI. Also, in case of curing rate, those are similar to TDI type polyurethane adhesive. Moreover, data of δE as color variation by QUV tester is equal to 4.12, as 48% against those of TDI type.
        4,000원
        41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ansesterification of rapeseed oil, soybean oil, and mixed fat were conducted at 65℃ with Al2O3-supported CaO, 0.8 wt% KOH, 1 wt% NaOH and mixed catalyst. The overall conversion(%) of rapeseed oil indicated to be 96% at the 12:1 molar ratio of methanol to oil, 8 wt% CaO and 2 wt% water. The pH ranges of biodiesel for mixed fat using four catalysts and for three fats using 8wt% CaO were 7.3-9.1, 7.3-7.5, respectively. The volumes of water needed to wash biodiesel from rapeseed oil using 0.8 wt% KOH and 8 wt% CaO were 15 mL and 3 mL.
        4,000원
        41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마늘 (FGP), 홍마늘 (RGP) 및 흑마늘 (BGP)의 동결건조 분말을 각각 3%씩 비만 유도된 흰쥐에 4 주간 혼합 급이한 후 혈청, 간 및 분변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이효율은 마늘 분말 급이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혈청 중 총 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7.0~20.9%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RGP군은 42.1%, BGP군은 40.8%정도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마늘 분말 급이시 정상군과 유사한 수 준이었으며, LDL-콜레스테롤은 마늘 분말 급이시 감소되었으나 대조군과 유의차는 없었다. 간 조직의 총 지질은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RGP와 BGP 급이군에서 30%이상 감소되 었다. 분변의 지질 함량은 마늘 분말의 급이 기간이 길수록 지질 함량이 높았으며, RGP군에서 총 콜레 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배출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혈청과 간 조직의 TBARS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 여 RGP군과 BGP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항산화능은 혈청에서 RGP군이 68.1%로 대조군에 비하 여 유의적으로 상승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고지방식이로 인해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게 홍마늘 및 흑마늘 분말을 급이는 체지방 증가 억제, 체내 지질 배출 증가 등에 의한 체내 지질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 료된다.
        4,300원
        416.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자치입법의 활성화는 자치입법의 양적 증대와 질적 우수성의 제고를 동시에 의미한다고 할 수 있는데, 자치입법의 양적 증대와 관련하여서는 규율가능한 대상사무의 확대가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할 것이며 질적 우수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상위법령과의 적법한 체계의 형성과 함께 지방자치단체의 개별적 상황을 잘 반영하고 지역의 당면과제에 기능할 수 있는 자치입법의 형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자치입법의 양적 증대와 질적 우수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입법과정의 절차를 통한 사전적 조정의 중요성이 크다는 인식하에 절차법적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를 수행하였다. 즉 크게는 자치입법의 제정 등의 과정에 있어서의 주민참여절차와 자치입법과 관련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정부와 국회에 의견을 제시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절차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우리의 조례제정개폐청구제도는 매우 엄격한 절차를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영향력은 매우 약하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서 주민투표와의 연계, 청구요건의 완화, 청구대상의 확대, 심의단계에서의 절차적 권리의 보장, 이의제기권의 보장 등의 문제가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역시 국가 내적 존재이기 때문에 헌법과 법률에 의한 한계 내에서만 입법권한이 인정되고 행사할 수 있고, 따라서 자치입법권한의 인정과 행사에 있어 발생하는 법적 문제점은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의 입법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절차적 보장이 충분히 이루어짐으로써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현행 법제는 아직 이러한 절차를 충분히 보장하고 있지는 않으며, 입법적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이라 하겠다.
        417.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water content in high omega-3 fatty acid Saury nuggets for the desirable texture. The approach was made with adding water and onion at various levels (0~20%). The main ingredients of the nuggets included saury mince, mild pizza cheese, and hydrated textured soy protein concentrate. The formulated products were molded (dia. 4.5, thickness 1.5 cm, 20 g), lightly battered, and flash fried for 4 min. at 160℃, and then frozen until tested. The frozen nuggets were cooked at 165℃ and subjected to sensory evaluations, texture analysis, and water content analysis during warming (0~60 min), as well as assessments of acid, peroxide, and TBA values (during 10 days of storage at 24℃). In the sensory evaluation, preference for texture was highest in the nuggets made with a 15% onion level. The hardness of the nuggets increased with increasing onion level. Moisture content was highest in the nuggets made with a 20% water level. Changes in hardness during warming (0~60 min) of Saury nuggets containing various water and onion levels increased in nuggets made with the 20% water level. The acid, peroxide, and TBA values of the Saury nuggets made with herbs and oriental herbal extracts decreased up to 10 days of storage.
        4,000원
        418.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ve types of determination methods including the Soxhlet method as well as 3 kinds of extraction solvents, wer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ccurate crude fat contents in wheat flour and 5 kinds of dry noodles. According to the results, crude fat contents were 0.09~1.37% in the wheat flour and 0.07~1.36% in the dry noodle samples. This variation resulted from the types of lipids in the wheat flour and various kinds of dry noodles. Nutrition facts labels showing crude fat contents in the 5 kinds of domestic dry noodle samples indicated levels of 0~1.5%. Lipid composition and content were determin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differences. The results indicated free lipid at 1.02% and bound lipids at 0.21% in the wheat flour, and free lipids at 0.95~1.01% and bound lipid at 0.21~0.25% in the wheat flour. Polar and nonpolar lipid contents were also measured in all samples.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contents in the free lipid were 58.5%, 33.6%, and 8.6% in the wheat flour, and 49.2~58.2%, 33.3~41.6%, and 8.5~9.3% in the dry noodle samples, respectively. For bound lipids, amounts were 16.7%, 33.5%, and 49.5% in the wheat flour, and 13.2~15.3%, 35.6~45.7%, and 41.6~49.4% in the dry noodle samples,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an acid hydrolysis methods should be used to determine accurate crude fat contents in wheat flour and dry noodles.
        4,000원
        42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적외선 분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참깨의 지방함량의 신속측정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검량식의 기본 모형은 다중 회귀 모형으로 하였으며, 회귀 모형의 독립 변수의 선택은 step-wise법을 이용하였다. 1. 참깨의 121점 중 지방산 함량 분포는 palmitic acid(IT028899-7.2%, IT169359-10.0%), stearic acid(IT028897-4.5%, IT028910-7.0%), oleic acid(IT170020-32.2%, IT156371-46.5%), linoleic acid(IT156348-36.5, IT169926-49.6%), 그리고 linolenic acid(IT169316-0.2%, IT156367-0.6%)로 나타났다. 2. 지방함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검량선 작성시 종래의 화학적 방법에 의한 분석치와 NIRS 분석치 와의 상관계수는 oleic acid(r2-0.834) and linoleic acid(r2-0.925)로 판단되어 linoleic acid의 이용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