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8

        921.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공원녹지네트워크는 환경복원과 생태계로서의 가치, 방재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 많은 국가와 한국에서도 지역계획 및 도시계획에서 공원녹지네트워크구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뉴타운 개발과 더불어 지구스케일로 기 조성된 공원녹지네트워크를 연구대상지로 선정, 주민의 공원녹지네트워크에 대한 만족도평가를 실시하여 의 평가를 실시하여 향후 공원녹지네트워크구축계획에 있어서 계획론적 이론과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628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과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공원녹지네트워크의 만족도와 그 요인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공원녹지네트워크의 높은 만족도를 형성하는데 연결성, 공원의 관리, 접근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922.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북부지방산림청 관내 숲유치원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자연중심의 녹색교육 전문화를 위한 숲유치원 활성화를 위해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의 제공과 앞으로의 숲유치원 적합모델 개발 방향성을 제시 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방법은 우리나라 국민 1/2 이상의 생활권역인 수도권과 강원 영서지역에 운영 중인 북부지방산림청 관내 7개 기관의 숲유치원 14개 원을 대상으로 숲유치원의 운영현황, 프로그램, 시설물, 참여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거의 모든 유치원이 체험형 숲유치원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모두 사전 협약을 체결하였고 주말 운영을 하였다. 둘째, 감각, 신체, 창의성, 자연지식, 영성・감성, 기타 교육 유형으로 구분하여 숲유치원 대상지의 시설물 및 환경에 맞춰진 지도교안에 따라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가장 많이 조성된 시설물은 식물교육장 및 야외교육 시설이었고 대피소의 구실을 하는 시설물 마련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장 높은 참여도를 보인 곳은 접근성이 양호하고 숲해설 코스가 잘 발달하여 있는 수락산 숲유치원이었고 두번째는 강원 영서지역의 숲체원 숲유치원이었다. 이곳은 휴양 기능을 겸비한 국내 유일의 숲문화 체험 교육전문 시설로 숲 속 골든벨등 독특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923.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기호성이 높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녹색계 중소형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1995년에 녹색 화색에 빨간 점무늬가 있는 조생종 중소형종‘A-one’과 중소형종 녹색계 ‘Oji’ 품종을 교배하여 2008년에녹색계 ‘그린허니’(Cymbidium ‘Green Honey’) 신품종을 개발하였다.1995년부터 2007년까지 종자기내파종, 온실양성, 선발 그리고 특성검정으로 균일성, 안정성, 화색, 화수, 엽형 등이 우수하여 2008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심의회를 거쳐 ‘GreenHoney’로 명명하였다. ‘Green Honey’ 품종은 밝은 연한 녹색계(RHS, G142A)이며, 1개 꽃대에 11.2개의 소화가 착생하며 화폭이 약 6.8 cm로 크지 않다. 꽃모양은 평피기와 안아피기의 중간형으로 윗 꽃받침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모양이고,꽃대는 반직립성이며 식물체 크기는 중소형이다.꽃은 보통재배시 11월 중순경부터 개화하는 조생종이며 잎형태는 꼬임이 적은 직립성이고 꽃대의 길이는 51.5 cm로 짧은편이며 내수용 재배에 적합하다.
        926.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ass balance of process was calculated by using the analysis of basic unit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ll the processes of Busan fashion color industry cooperative that operates a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and a bio treatment plant. The mass balance for the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was done, based on boiler and water treatment processes while each unit reactor was used for the bio treatment plant. From the results above, a resource recycle network, a treatment flowchart for food waste water/wastewater treatment and a carbon reduction program were established.
        92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lexural performance of a SHCC (Strain 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panel which was manufactured by steam curing method for precast slab system. From the bending test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HCC panel showed approximately 7.32 MPa of maximum flexural strength, 58 mm of mid-span deflection appearing excellent strain hardening behavior and multiple micro cracks between bending moment section of the specimen.
        928.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heating and cooling system propose to the smart green tunnel which is reduction of green house gas. Ground temperature calculated to planning the installation of underground heat exchanger at the bottom of the tunnel, It drew a deduction of the economic saving as calculating amount of existing fuel reduction and amount of heat through heating and cooling system
        929.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is strengthened in order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ll over the world, we need to reduce greenhouse gas in urban planning. we derived the elements of the plan for a carbon balance of Seoul and suggested a methodology of urban design guidelines regarding the carbon balance.
        931.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an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carried out on the whole process of industrial business activities to establish a basic plan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energy independency. The whole process was divided into each discharge process in terms of water, air, solid waste, green house gases and refractory organic compounds. The flowcharts and basic unit of process were analysed for three years (2008-2010), being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life cycle assessment. It was found that the unit loading for the whole process significantly depends on changes in the operation rate change and highly concentrated wastewater inflow. About 35% of solid waste production was reduced by improving the incineration method with co-combustion in coal boiler, generating about 57% of electricity used for the whole process, and consequently reducing the energy costs. As the eco-efficiency index was found to be more than 1,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it can be said that improvement in general has taken place.
        93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청2호’는 녹색 자엽의 검정콩으로 내재해성이 우수하고 가공용에 적합한 신품종육성을 목표로 숙기가 매우 늦은 대립 검정콩인 ‘밀양78호’와 소립 내재해 도입종인 ‘Peking’을 1996년 인공교배한 YS1262 조합으로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하였고 계통명은 ‘밀양182호’이다. 꽃은 백색이고 자엽색은 녹색이며, 입형은 장타원형이며 성숙기가 지나면 협의 개열에는 약하다. 성숙기는 10월 2일로 ‘청자콩’과 같이 다소 빠른 품종이며, 경장은 56 cm로 ‘청자콩’보다 10 cm 짧고 100립의 무게는 12.2 g인 소립인 품종이다. 도복에 강하며 포장 재배시험에서 콩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다소 발생하였고, 불마름병에 대한 유묘 접종 및 포장반응은 ‘청자콩’과 비슷하나 약한 편이다. 종실성분으로 조단백 함량은 38.8%로 ‘청자콩’보다 다소 낮았고, 종실의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2,031㎍/g으로 ‘청자콩’보다 높았다. 청국장 가공적성에서 ‘일품검정콩’보다 발효 정도는 다소 낮으나, 청국장 수율 및 풍취에서 우하였다. ‘소청2호’의 중남부지역 5개소의 평균 수량성은 ha당 2.00톤으로 ‘청자콩’ 대비 7% 증수하였다.
        933.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een roof policies has helped to advance urban greening by creating green spaces on previously unused rooftops. However, there are no requirements covering matters such as greening methods, operation and maintenance obligations and many problems for sustainability and functioning of green roof and green space have been pointed out.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clarify the contents and criteria of green roof policies currently implemented in Korea, Japan and other countries, compare them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ustainable and public benefit rating systems and propose comprehensive indices for evaluating the multidimensional functions of green roof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open spac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obligation, grant, reimbursement, density bonus and tax credit are frequently used as green roof policies and 41 criteria including percentage of greening area, percentage of trees or shrubs, reduction of heat island effect, open space, landscape, and promotion of biodiversity are identified as criteria applicable to evaluating the multidimensional functions of green roof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open space, respectively.
        93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verify curative effect of lavender and lawn, a green space composition factor. Thus, the physiological index value of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salivary amylase were measured with object of 16 women in their 20~30s for stress relaxation effect at lavender garden and lawn square, and impression assessment upon SD method as for psychological value was performed in this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necessity and reason of urban green space with object of 345 men and women urban workers. As a result of variance analysis between groups and multi test of Turkey upon object place, the blood pressure was lowered the same at lavender garden and lawn square, and especially, high blood pressure was greatly lowered to 30 mmHG at lavender garden. On the other hand, low blood pressure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a little increasing at the same places. And for the pulse,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high blood pressure group and normal group at the same places. To conclude, at lavender garden and lawn square the blood pressure was made to be lowered when it’s high, and when it’s low, the effect of returning to sound status, the function of increasing, was verified. In case of impression assessment upon SD method, the lawn square was assessed as resting place and lavender garden diversional place. And over 90% of urban workers responded to the green space’s necessity and curative effect, diversion and resting place were adopted for the reason in high-ranking items. As above the green space pattern that urban workers require and curative effect of lavender garden and lawn square were verified. Therefore, the functional green space plan is required, which curative effect, diversion and resting place are considered, for the future green space plan design.
        935.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ydrophilic polymer is suitable as soil conditioners for green roofs that use rainwater, due to promotion of water retention capacity as well as enhancement of the water absorbing capacit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hydrophilic polymer concentrations (0, 0.1, 0.2, 0.4, 0.8% w/w) on the water holding capacity and growth response of 6 species in soils amended with hydrophilic polymer in 5 cm of soil thickness on green roof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amended soil improved with increasing amount of applied polymer. The application of 0.8% w/w of the polymer increased the soil moisture by 87% compared to the control, and decreased slowly in green roofs during an arid period. The growth of Sedum spurium 'Dragon's blood' and Lampranthus spectabili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had greater than 60% relative coverage with higher hydrophilic polymer concentrations. However,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and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upon change of hydrophilic polymer concentrations. In Carex kujuzana and Carex morrowii 'Aurea variegata', growth decreased with increase of hydrophilic polymer concentrations. 30 days after planting,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Carex kujuzana, and Carex morrowii 'Aurea variegata' died back due to lowest soil thickness (5 cm), but Sedum spurium 'Dragon's blood' and Lampranthus spectabilis had greater than 90% survival.
        936.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the central ministries and regional self are competitively developing program for creating a trail and theme path by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rekkers. Even though these projects are developed in rural areas,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most of projects do not directly linked to the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s and improvement of non-farm income because of the main road itself as a resource in rural area.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y to connect the citizen and the agriculture and rural area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green road which is the experience road with rural resource. To achieve this, we investigate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36 villages where are the village was promoted various major project of first step. In second step, we considere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ith conference of expert and site investigation for the final selection of 15 villages. Through two rounds' expert group consulting with checking, related literatures review and similar case-projects benchmarking, a riverside green road which is linked long distance trail and adjacent to the riverside was developed 15 courses by 2-development types proposed.
        937.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겨울철 작물재배를 위해서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수막시설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어 과다한 지하수 이용에 따른 수위 강하 및 하천수 감소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수막시설재배 지역에서의 지하수 양수가 지하수 대수층과 연결된 하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수하리 일대 수막시설재배지역에 지하수위와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지하수 관측공을 제내지와 제외지에 설치하고 관측 결과를 분석하여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지하수 상호 유동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수위와 수온 관측 결과, 수막시설재배 기간 동안 지하수 양수의 영향으로 하천수가 지하수계로 유입되는 손실하천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하천바닥층에 대해 침윤계 실험을 통해서 유도한 수두차와 침윤량간의 관계에 자동관측된 수위자료를 대입하여 하천과 지하수계 상호간 유동량의 연속적인 변화를 산정한 결과 수막시설재배가 한창인 2월말에는 지하수 이용량의 약 16% 만큼의 하천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93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깻잎 생산 전용품종은 대부분 만생종으로서 우량종자를 채종하고자 할 경우 도복 등이 발생하지 않아 생육관리가 용이하면서 종실 충실도가 높은 파종적기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중부지역 비닐하우스에서 잎들깨 생산 전용 품종 '잎들깨 1호'를 시험재료로 하여 5월 6일부터 7월 15일 까지 10일 간격으로 8회 파종하여 생육, 도복 발생 여부, 적산온도 및 수량성을 분석하였다. 1.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경장이 짧아지고, 주경절수, 분지수, 화방군수와 화방당 삭수는 감소되었다. 그러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지상부 생육이 왕성하여 도복이 발생하였다. 2. 개화일수는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는데 5월 6일을 기준으로 파종이 1일 지연되면 개화일수는 0.86일씩 단축되었고, 개화기부터 성숙기까지의 결실일수는 29~31일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3. 등숙립율과 종실수량은 5월 6일 파종부터 6월 15일 파종까지 유의성이 없었고, 6월 25일 파종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되었다. 4. 등숙에 필요한 적산온도, 도복 발생 여부, 등숙립율과 발아율 등으로 판단하면 만생종 잎들깨 품종의 중부지역 비닐하우스에서 파종적기는 6월 5일(정식 7월 5일)~6월 15일(정식 7월 15일)이었고, 이때 10월 28일~11월 3일경에 성숙되어 종자생산이 가능하였다. 5. 연차에 따라 0℃ 이하로 떨어지는 시기가 일찍 오는 경우 한해에 의하여 노지재배는 고사될 우려가 있고, 중부지역에서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잎들깨 채종재배가 가능하였다.
        939.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4가지 인공배합토 모두는 용적밀도와 포장용수량을 고려할 때에 초본류를 적용한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뿐만 아니라 관목류를 적용한 혼합형 또는 관리․중량형 옥상녹화에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전반적으로 시간이 경과하며 인공배합토 모두는 산성화되며 펄라이트 소립과 펄라이트 소립+일반토양(v/v, 2:1)은 적정한 수준을 나타냈고, 세라소일과 세라소일+자연토양(부피비, 2:1)은 알칼리성을 나타냈다. 펄라이트 소립과 펄라이트 소립+일반토양(v/v, 2:1)은 유기물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식재 후 1년이 경과한 후에 4가지 인공배합토 모두는 척박하며 건전한 생육을 저해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재 후 1년이 경과한 후에 4가지 인공배합토에서 자란 3종의 상록활엽수는 먼저 6개월이 경과한 후에서의 식물체와 비교하여 불량한 생육을 보였고, 4가지 인공배합토 상호간에도 서로 다른 생육특성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다정큼나무는 세라소일, 세라소일+일반토양(v/v, 2:1)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육량을 나타냈고, 남천은 4종의 인공배합토 모두에서 일반토양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생육량을 나타냈으며, 영산홍은 펄라이트, 펄라이트+일반토양(v/v, 2:1)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육량을 나타냈다. 이것은 보다 건전한 식물생육을 유도하기 위해서 각각의 상록활엽관목의 생육특성을 고려한 인공배합토의 선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다양한 종류의 상록활엽관목을 옥상녹화에 도입하기 위하여 각각의 인공배합토에서 그 생육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940.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m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including trihalomethans (THMs), haloacetic acid (HAAs), haloacetonitriles (HANs) and others from chlorination of algogenic organic matter (AOM) of Microcystis sp., a blue-green algae. AOM of Microcystis sp. exhibited a high potential for DBPs formation. HAAs formation potential was higher than THMs and HANs formation potential. The percentages of dichloroacetic acid (DCAA) and trichloroacetic acid (TCAA) formation potential were 43.4% and 51.4% in the total HAAs formation potential. In the case of HANs formation potential, percentage of dichloroacetonitrile (DCAN) formation potential was 97.7%. Other DBPs were aldehydes and nitriles such as acetaldehyde, methylene chloride, isobutyronitrile, cyclobutanecarbonitrile, pentanenitrile, benzaldehyde, propanal, 2-methyl, benzyl chloride, (2-chloroethyl)-benzene, benzyl nitrile, 2-probenenitrile and hexa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