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1

        10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iboelectric property of a material is important to improve an efficiency of triboelectric generator(TEG) in energy harvesting from an ambient energy. In this study, we have studied the TEG property of a semicon-ducting SnO2 which has yet to be explored so far. As a counter triboelectric material, PET and glass are used. Verticalcontact mode is utilized to evaluate the TEG efficiency. SnO2 thin film is deposited by atomic layer deposition on bareSi wafer for various thicknesses from 5.2 nm to 34.6 nm, where the TEG output is increased from 13.9V to 73.5V. Tri-boelectric series ar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polarity of output voltage of 2 samples among SnO2, PET, and glass.In conclusion, SnO2, as an intrinsic n-type material, has the most strong tendency to be positive side to lose the electronand PET has the most strong tendency to be negative side to get the electron, and glass to be between them. Therefore,the SnO2-PET combination shows the highest TEG efficiency.
        4,000원
        10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희귀종인 한란의 보전을 위하여 ISSR 표지자를 이용한 유전변이와 분화 및 공간적 유전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유전다양성(Species level: h=0.303, S.I=0.389)은 근연종과 다른 희귀 종에 비해 높은 유전변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전자형 다양성(Species level: GN/N=0.884, D=0.996) 역시 높게 나타나 주로 타가수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소집단 A와 B 간에 분화정도 는 23%로 소집단 간의 인접거리를 고려했을 때, 집단 내에서도 분포의 위치에 따라 분화가 발생하고 있었다. 높은 수준의 유전다양성과 분화의 발생요인을 고려했을 때, 과거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된 한란 개체로부터의 영향과 매개충의 역할이 주요한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소집단의 공간적 유전구조 분 석에서 A는 9m, B는 6m 이내에 분포하는 개체들 간에 유전적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 과를 바탕으로 한란의 현지 외 보전을 위한 표본 추출 시 최소 9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제안 하는 바이다.
        4,200원
        10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내장산은 원래 본사 영은사(本寺 靈隱寺)의 이름을 따서 영은산이라고 불리었으나 산 안에 숨겨진 것이 무궁무진하 다하여 내장(內藏)산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지명도 내장 동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정읍시 남쪽에 자리 잡고 있는 내장산은 순창군과 경계를 이루는 해발 600∼700m급의 기 암괴석이 말발굽의 능선을 그리고 있으며, 동국여지승람 (東國與地勝覽)에는 남원 지리산·영암 월출산·장흥 천관 산·부안 능가산(변산)과 함께 호남 5대 명산으로 손꼽힌다. 이러한 내장산에 위치한 굴거리나무군락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물게 큰 굴거리나무가 분포하고 있으며, 굴거리나무 의 자생북한계지의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2년 12월 7일 천연기념물 제91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CHA, 2015). 이러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내장산굴거리나무군 락에 대해 분포특성과 분포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내장산 국립공원 내장사 지구의 금선계곡과 원적계곡을 중심으로 Lim and Oh (1999)의 굴거리나무 분 포 밀도 지도를 기본으로 하여 현지에서 굴거리나무의 분포 를 확인하였다. 보다 정확한 분포 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 다른 활엽수들이 개엽 전인 2월에서 3월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굴거리나무의 분포확인을 위한 현지조사는 굴거리나무가 마지막으로 출현한 지점을 최대분포지역으로 판단하여 수치지형도와 GPS 등을 이용 하여 위치를 파악한 후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굴거리나무가 분포하는 곳의 식생은 금선계곡에서는 서 어나무군락, 굴거리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서어 나무군락 등이 주요 군락으로 나타났으며, 원적계곡부의 경 우 쇠물푸레군락이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서어나무-굴거리 나무군락, 신갈나무-굴거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이 나 타나고 있었다. 교목층의 경우 수고 7 ~ 14 m이었으며 신갈 나무, 굴참나무, 서어나무, 굴거리나무, 산딸나무, 졸참나무,쇠물푸레나무, 사람주나무, 쪽동백나무, 당단풍나무, 굴피 나무 등이 우점하였으며, 식피율은 50 ~ 95%로 나타났다. 아교목층의 경우 수고 2 ~ 8 m이었으며, 굴거리나무, 사람 주나무, 당단풍나무, 서어나무 등이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관목층의 경우 사람주나무, 굴거리나무, 산가막살 나무, 때죽나무, 서어나무, 진달래, 철쭉, 덜꿩나무 등이 우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본층의 경우 금선계곡부 조사 지의 경우 모두 조릿대가 우점하였으며, 원적계곡 조사지의 경우에 십자고사리가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Lim and Oh (1999)의 연구를 기본으로 하여 내장산 굴거 리나무군락 및 개체의 분포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기 연구에 비해 굴거리나무군락의 분포 범위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 다. 금선계곡과 원적계곡의 경우 해발고도 225 ~ 600m까지 분포한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해발고도의 분포는 비 슷하게 나타났으나 분포면적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장사에서 벽련암 사이에 저밀도 수준으로 분포하였으며, 금선폭포와 원적계곡 상부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개체 분포에 있어 원적암에서 불출봉 등산로 주변까지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서래봉 북쪽, 즉 내장사 지구를 벗어난 북쪽 지역에서 굴거리나무 개체가 분포하는 것이 본 연구에서 밝혀졌다(Figure 1). 본 연구에서 관찰된 굴거 리나무 개체의 확산 방법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동물이 섭식 후 소화되지 않은 종자가 퍼질 가능성, 둘째, 굴거리나무의 자연적인 종자번식 가능성, 셋째, 기 조사 시 조사 누락, 마지막으로 사람에 의해 인위적으로 옮겨질 가능성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사가 급한 북사면의 등산 로에 소수의 굴거리나무를 식재한다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 적일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에 사람에 의해 인위적인 분포 확산 가능성은 배제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기 조사(1999) 시 조사 누락의 경우 약 15년의 시간이 경과 하였으며, 새로이 발견된 굴거리나무의 수령이 15년 미만이므로 가능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굴거리나무의 분포 범위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구온난화에 따라 상록활엽수의 분포 변화에 대한 연구의 현장 조사 결과로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굴거리나무의 생육상태, 향후 전망 등 추가적 인 연구와 함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 다.
        10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trogen (N) loading from domestic, agricultural and industrial sources can lead to excessive growth of macrophytes or phytoplankton in aquatic environment. Many studies have used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s to identify anthropogenic nitrogen in aquatic systems as a useful method for studying nitrogen cycle.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precision and accuracy of Kjeldahl processes, two reference materials (IAEA-NO-3, N-1) were analyzed repeatedly. Measured the δ¹⁵N-NO₃and δ¹⁵N-NH₄values of IAEA-NO-3 and IAEA-N-1 were 4.7±0.2‰ and 0.4±0.3‰, respectively, which are within recommended values of analytical uncertainties. Also, we investigated spatial patterns of δ¹⁵N-NO₃and δ¹⁵N-NH₄in effluent plumes from a waste water treatment plant in Han River, Korea. δ¹⁵N-NO₃and δ¹⁵N-NH₄values are enriched at downstream areas of water treatment plant suggesting that dissolved nitrogen in effluent plumes should be one of the main N sources in those areas. The current study clarifies the reliability of Kjeldahl analytical method and the usefulness of stable isotopic techniques to trace the contamination source of dissolved nitrogen such as nitrate and ammonia.
        4,000원
        105.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6.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raditional luxury shops seem to have a natural talent in creating an atmosphere of old luxury. From a semiotic perspective, those shops use a complex texture of different signs for both creating a traditional luxury myth and addressing specific customers who are looking for this brand identity. In our study, we compile a semiotic concept for analysing a shop design which seeks to reflect old luxury and traditional heritage. While the desire for semiotic analysis in the marketing and management domain is increasing, theoretical approaches and case study analyses too often remain superficial regarding the possibilities of semiotic approaches. Our study aims to present a complex analysing concept to fill this gap and apply it to the field of luxury brand management consequently. While semiotic research discusses many different approaches up to today, Peirce’s philosophy may be still regarded as one of the most complex concepts which allows the most precis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meaningful signs. On the basis of his three trichotomies and their major corresponding subcategories we analysed a traditional luxury shop design, discussing the different signs that produce simple to very complex structures of meaning with respect to approaches of creating a mythical frame. The results of our study reflect the need of a shop design using different signs with a complex texture of meaning to support the idea of traditional luxury.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theories, the semiotic patterns which are presented in our findings create a narrative frame which eventually leads to a specific myth of old luxury branding. While Peirce’s philosophy offers a complex approach, contemporary studies in marketing and management only use the surface of semiotics. Our study may contribute a rather distinguished methodology, though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apply semiotics more reasonably not only for fashion and luxury but for several fields of interests in marketing and management research. For brand managers in companies with a traditional heritage, creating myths and classical frames must be of core interest. Our study offers several implications of using semiotic signs to create an aesthetic and old fashioned shop atmosphere. As original values, our study compiles a complex semiotic concept to analyse mythical framing in traditional luxury stores. Our results present specific possibilities of creating specific meaning with respect to the need of representing brand identity within a shop. However, the concept may be also valid for other analyses in marketing and management such as advertising and brand semiotics in general.
        108.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는 물 자원이 풍부하지는 않으나 수처리 시설 및 기술의 발달, 정부의 먹는 물 공급정책에 따라 상수도 보급률이 매우 높다. 그러나 2013년 상수도 통계에 따라면 아직도 농․어촌을 중심으로 상수도 보급률은 66 %수준에 그치고 있고 이런 지역은 지하수 등 자연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사용하고 있다. 지하수의 경우 매우 유용하고 우수한 수자원이지만 지질의 영향이나 농축산업의 영향으로 인해 우라늄과 같은 자연방사성 물질, 질산성 질소 등의 물질에 오염되어 있다. 이에 오염된 물질에 대한 적정한 제거기술을 도입하여 상수도 미보급 지역의 안전한 먹는 물 공급을 위한 정부 차원의 시범연구와 지원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정부와 기업이 함께 진행하고 있는 안전한 먹는 물 공급을 위한 시범 사업을 소개하고자 한다.
        110.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an Mado Shipwreck No. 3 is presumed to have been shipwrecked between 1260 and 1268. It departed from a Southern costal area of Yeosu in Jeonnam Province to Ganghwa Island, its final destination at which the temporal regime of Koryo Dynasty was located. In the shipwreck, a total of 35 wooden tablets were found, and forwarding places, senders, receivers, descriptions, and quantities of freight were written on the wooden tablets. The names of receivers included Kim Jun, who was influential in the late Musin Era of the Koryo Dynasty, and key institutions such as Junmin and Sambyulcho of the Musin force. Twenty wooden tables had lists of food items such as barley, abalone, salted-fermented abalone, mussel, dried mussel, salted fermented mussel, dried shark meat, fish oil, pheasant, and dried dog meat. The food items in the late 13th century were systematically examined using scientifically determined food organic remains and records of wooden tablets among the marine relics of Mado Shipwreck No. 3.
        4,300원
        11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ze the factors affecting exposure to the VOCs and NO2 in the vicinity of Gwangyang industrial complex. The VOCs and NO2 levels were measured for residents of an exposure group (industrial area within 5 km) and a control group (15 km farther), respectively using the VOCs and NO2 filter badge as a passive sampler from August to September 2006. The means of indoor, outdoor, workplace and personal exposure levels of benzene were 1.10 ppb, 0.94 ppb, 1.85 ppb and 2.35 ppb respectively in the exposure group. The means regarding toluene for the exposure group were 9.29 ppb indoor, 8.09 ppb outdoor, 14.5 ppb workplace, 14.2 ppb personal exposure. The means regarding ethylbenzene were 4.96 ppb(indoor), 4.45 ppb(outdoor), 6.84 ppb (workplace), 6.10 ppb(personal exposure), and the means regarding xylene were 0.10 ppb(indoor, outdoor), 0.18 ppb(workplace) 0.17 ppb(personal exposure). The means for the indoor, outdoor, workplace and personal exposure level of NO2 were 18.40 ppb, 18.51 ppb, 18.59 ppb, 18.80 ppb respectively in the exposure group. Correlations between personal exposures and workplace concentrations of individual VOCs and NO2 exposures, and each of the microenviron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000원
        11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food culture of the Koryo Dynasty during the early 13th century based on the records of wooden tablets and marine relics from the 1st and 2nd ships of Mado wrecked at sea off Taean while sailing for Gaegyeong containing various types of grain paid as taxes and tributes. The recipients of the cargo on the 1st ship of Mado were bureaucrats living in Gaegyeong during the period of the military regime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place of embarkation was the inlet around Haenam (Juksan Prefecture) and Naju (Hoijin Prefecture) in Jolla-do. On wooden tablets were recorded 37 items of rice, cereal, and fermented foods. The measures used in the records were seok [石-20 du (斗)] for cereal, seok [15 du, 20 du] for fermented soybean paste, and pot (缸) and volume (斗) for salted fish. The places of embarkation on the 2nd ship of Mado were Jeongeup (Gobu Prefecture), Gochang (Jangsa Prefecture, Musong Prefecture), etc. On wooden tablets were recorded 29 items of rice, cereal, fermented foods, seasame oil, and honey. The volume measure for yeast guk (麴), the fermentative organism for rice wine, was nang [囊-geun (斤)], and the measure for sesame oil and honey, which were materials of oil-and-honey pastries and confections, was joon (樽-seong, 盛). Honey and sesame oil were luxury foods for the upper-class people of the Koryo Dynasty, and they were carried in high-quality inlaid celadon vases in Meibyung style. Food names and measures written on wooden tablets and actual artifacts found in the 1st and 2nd ships of Mado are valuable materials for research into agriculture, cereal, and fermented foods of the Koryo Dynasty in the early 13th century. Besides, relics such as grains and bones of fish and animals from the Koryo Dynasty are expected to provide crucial information usable in studies on food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4,300원
        113.
        2014.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dentify peculiar X-ray sources, we select 442 sources with no counterparts in other wavelength bands (as of the year 1999) from the ROSAT All-Sky Survey Bright Source Catalog. We cross- correlate this initial list with the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the USNO and WISE catalogs, and the HEASARC XRAY Master Catalog. Eventually, we are left with four unidentified sources with no counterparts in other wavelength bands. We present these four sources and their X-ray properties in this paper.
        3,000원
        114.
        2014.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udeul is traditional heating system of Korea that contains the much wisdom of Korean ancestors. It is a radiating heating system with a solid heat source. Recently, there has been a preference to Huangto and traditional gudeul heating in lawn houses, environment friendly house, healthy houses, and eco-houses. There is a reemphasis on the uniquely Korean traditional gudeul heating technique. Past researches have been on gudeul structure, terminology, development, and research on the efficiency of traditional gudeul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The gudeul has many parts and these parts work in close associ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successfully function as a heating system. The slightest bit of disassociation can lead to the decrease in efficiency or failure. Therefore there is a need find an exacting formula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ts. Therefore, an exacting survey on the sizes of gudeul need to conducted on traditional gudeul in order to preserve and develop traditional gudeul. However, there are very few surveys conducted on traditional gudeul in Designated Treasures and newly excavated sites and most of studies are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es, this is an actual survey and research of the hamsil gudeul found in Mucheomdang, which it Designated Treasure No. 411.This survey was conducted by dismantling and restoring the gudeul in Mucheomdang. It was found that the goraejaejari was about 15~20cm smaller than the usual and though there was no gultukgaejari the agunggi was placed lower so that the fire went in easily, inline with the heat principle. In order to maintain and further develop traditional gudeul, gudeul survey and actual measurements must be taken at excavation sites and whenever there are restoration processes taking place in designated treasure. It is suggested that gudeul professional be included in this process because without their input it is easy to miss important aspects. If professionals are not included there is a great chance the cultural value of gudeul maybe lost forever in the near future. Gudeul is layed differently by function and region, therefore there is no one gudeul that is exactly the sam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national, state and city government, whenever restoring or dismantling a Designated Treasure, call upon a gudeul professional. Furthermore, more traditional gudeul should be dismantled and actual measurements and surveys should be taken to collect more exacting data.
        4,300원
        11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돈분액비를 활용하여 경종·축산 연계를 통한 자원순환농업의 활용 및 동계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무경운답트리티케일 재배지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생육특성, 토양 화학성 변화 및 건물수량성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다.LPM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전 조사기간에 걸쳐 초장변화에서는 4.4~23.4cm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장에서도 최대3.9cm 차이가 나타났다. 건물량에서는 대조구 대비 23% 이상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후의 토양화학성 변화에서는전질소를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건초수량에서는 돈분액비처리구에서 747 kg/10a 으로 대조구 대비 12% 높은 수량지수가 나타났다.
        4,000원
        11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부동산에 관하여 상사유치권이 성립되는 것을 일응 전제로 하여, 상법 제58조상의 명시적인 상사유치권의 성립요건과는 별개로 상사유치권 성립 당시에 이미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에 대하여 제3자의 선행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 상사유치권자가 선행저당권자 또는 선행저당권에 기한 임의경매절차에서 부동산을 취득한 매수인에게 상사유치권으로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이와 관련하여 대상판결은, 상사유치권이 채무자 소유의 물건에 대해서만 성립한다는 것은, 상사유치권은 성립 당시 채무자가 목적물에 대하여 보유하고 있는 담보가치만을 대상으로 하는 제한물권이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할 것이고, 따라서 유치권 성립 당시에 이미 목적물에 대하여 제3자가 권리자인 제한물권이 설정되어 있다면, 상사유치권은 그와 같이 제한된 채무자의 소유권에 기초하여 성립할 뿐이고, 기존의 제한물권이 확보하고 있는 담보가치를 사후적으로 침탈하지는 못한다고 보아야 한다고 하면서 선행 저당권은 유치권에 우선하여 보호되어야 한다고 판시하였다.검토컨대 피담보채권과 유치목적물 간의 개별적 견련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다른 성립요건들이 구비되는 한 상사유치권의 성립이 가능하다고 할 것인 바, 상사유치권의 전체적인 취지, 즉 상인간의 거래에서 신속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담보를 취득하게 하는 활성 취지와 피담보채권의 모든 상사채권으로의 무한정 확장 가능성에 따른 제한 취지라는 양자 사이의 적절한 균형성을 고려하고, 상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객관적인 문언 이상으로 상사유치권을 민사유치권 보다 차별하여 불리하게 해석할 합리적 근거는 없으므로, 대상판결에서의 판시 법리는 피담보채권과 유치목적물 간의 일반적 견련성만 인정되는 형태로 상사유치권이 성립한 경우에 한정하여서만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117.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럽사법재판소는 2014. 5. 13., 이른바 구글 케이스에서 ‘잊혀질 권리’를 인정하는 내용의 판결 을 하였다. 즉, 검색엔진에 정보주체의 이름을 입력 하였을 경우, 정보주체에 관한 불리한 사실이 실린 제3자 웹사이트의 16년 전 기사로 연결되는 링크가 검색 결과 화면에 현출되면, 검색엔진은 정보주체의 요청에 따라 링크를 삭제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한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유럽 개인정보보호지침 에 근거하여 정보주체의 프라이버시권과 개인정보에 관한 기본권을 검색엔진의 경제적 이익 기타 제 3자의 이익과 비교하여 형량함으로써 도출되었다. 유럽 개인정보보호지침에 상응하는 법률인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은, 논란의 여지는 있으나, 정보 주체에게 이와 같은 삭제 요구권을 허용하지 않는다. 정보 주체는 대신, 민법상 인격권에 기하여 금지청구를 할 수 있고, 이 경우 유럽사법재판소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 나 민법상 인격권에 기한 금지청구는 행정법규인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비하여 구제 절차의 신속성 및 간편성이 떨어지므로, 이 부분에 관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이 경우 언제 정보주체의 요구를 받아들일지 여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6,100원
        11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교량 내진설계의 목적은 붕괴방지설계이고 도로교설계기준 내진설계편은 교량구조의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설계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구조형식 또는 현장여건에 의해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것이 비합리적인 경우 차선책으로 취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여 붕괴방지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기존 설계방식과 함께 내진설계편은 연성도 내진설계를 부록으로 제시하고 있다. 연성도 내진설계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으로 구성되는 교량에 적용하며 설계자가 하부구조의 소요응답수정계수를 결정하고 이로부터 심부구속철근을 설계하는 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교각기둥과 강재받침으로 설계된 일반교량을 선정하여 기존 설계방식과 연성도 내진설계를 모두 적용한 결과로부터 차이점을 확인하고 설계자가 내진설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두 설계방식을 모두 고려하는 설계절차를 제안하였다.
        4,000원
        119.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위느타리(Pleurotus ferulae)의 품종 육성은 수량성이높은 ASI 2803과 형태적으로 보기 좋은 외국 도입품종ASI 2798의 단포자를 분리한 후 교배하여 13개의 교잡주를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수량성이 높은 ASI 2803보다 수량은 적으나 백색을 띄며 형태가 좋은 우량계통GW10-68를 선발하여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선정심의회에 상정하여 통과되어 ‘비산2호’로 명명되었다. 고유특성으로는 균사체 배양의 대선형성유무에서 모균주 ASI2803, ASI 2798 및 비산1호와 대치배양하였을 때 뚜렸한대선을 형성하였다. 유전적으로는 RAPD primer를 이용하여 신품종 ‘비산2호’의 DNA pattern는 ASI 2798 및 비산1호와는 DNA밴드 패턴이 구별되는 밴드양상을 보였으나 모균주 ASI 2803과는 유사한 밴드 패턴을 보여주었다.가변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은 25oC이며, pH의 범위가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병당 123.3±25.7g으로 비산1호보다 수량이 적지만, 개체중에서는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 길이는 비산1호보다 길고,대의 색깔이 큰느타리보다 순백색을 나타내어 큰느타리와차별화하여 재배하면 큰느타리 대체품종 뿐만 아니라 수출 품종으로도 기대된다.
        4,000원
        120.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위느타리(Pleurotus ferulae)의 품종 육성은 수량성이높은 ASI 2803과 형태적으로 보기 좋은 국내 교배품종ASI 2850의 단포자를 분리하여 교배하여 13개의 교잡주를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수량성이 높고 형태가 좋으면서 자실체 형성이 쉬운 균주 GW10-95를 선발하여 ‘비산1호’으로 명명되었다. 고유특성으로는 균사체 배양의 대선형성유무에서 모균주 ASI 2803 및 ASI 2850과 대치배양하였을 때 뚜렸한 대선을 형성하였다. 유전적으로는RAPD primer를 이용하여 신품종 ‘비산1호’의 DNA 패턴은 모균주와는 다른 패턴을 형성하였다. 가변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은 25oC이며 pH의 범위가 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농가실증시험에서 245g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길이는 ASI 2803보다 길고 굵어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기존의 아위느타리보다 수량성이 높아 큰느타리 대체품종 뿐만 아니라 수출 품종으로도 기대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