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0

        2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alterations in the health behaviors and eating habits due to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 19) pandemic.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70 university students from September 22, 2021 to October 26, 2021. While the frequency of eating at home had increa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ompared to before the pandemic, there was a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eating out, drinking, and eating vegetables. However, the frequency of eating delivery, takeout, and convenience foods and the utilization of online shopping and delivery apps had considerably increased. In addition, when selecting menus, considerations of health, hygiene, and convenience were more importa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an before the COVID-19 pandemic. Physical activity more than 3 days a week had decreased, whereas sedentary time showed a proportionate increase.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to be worsening was determined to have increa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prepare for the era of infectious diseases, future research needs to identify health behaviors and dietary problems by administering surveys that include a large sample size and participants of various ages. Moreover, health promotion and nutrition management plans should be prepared accordingly.
        4,500원
        2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esticide residues in 160 stalk and stem vegetables marketed in Northern Gyeonggi-do. The QuEChERS method using GC-MS/MS and LC-MS/M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sidues of 341 pesticides in the samples. The maximum or lower than the residue limit was recorded in 75 samples (46.9%), while 4 samples (2.5%) exceeded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Thirty-nine kinds of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cluding fungicides (14), insecticides (22), herbicides (2), and plant growth regulator (1). Carbendazim and pendimethalin were the most frequelntly detected pesticides. Fenitrothion, procymidone, and diazinon exceeded MRL in garlic chives, and Welsh onion. This indicated that these vegetables along with water celery should be constantly monitored.
        4,000원
        2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ing dieckol content in Ecklonia stolonifera extract.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Method validation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of dieckol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diode arr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calibration curve (R2) for dieckol was 0.9997. The LOD and LOQ for dieckol were 0.18 and 0.56 μg/mL, respectively. The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values of dieckol were approximately 1.58-4.39% and 1.37-4.64%, respectively. Moreover, intra- and inter-day accuracies of dieckol were approximately 96.91- 102.33% and 98.41-105.71%, respectively. Thus, we successfully validated the analytical method for estimating dieckol content in E. stolonifera extract.
        4,000원
        2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ish community in the Seomjin River-Seomjin River Estuary-Gwangyang Bay coast continuum was investigated three times from March 2019 to October 2019. The collected species at the eight sites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49 species belonging to 31 families, including two endangered species. According to Bray-Curtis similarities, observation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fish community composition; two groups (group 1, 2) and two uncategorized groups (group 3, 4). ANOSIM based on spatial and temporal groupings indicated that the spatial differences in fish communities (R=0.398, P=0.001) we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the temporal differences (analysis of similarities, R=0.273, P=0.002).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1 and 2 (analysis of similarities, R=0.556, P=0.001), and similarity percentage analysis revealed that Argyrosomus argentatus (9.4%), Favonigobius gymnauchen (6.9%) and Konosirus punctatus (5.9%) contributed to these differences of fish assemblages for each group. The fish fauna distributed in the Seomjin River-Gwangyang Bay ecosystem were spatially divided and the number of species and number of individuals showed seasonal differences. This study could be a basis for understanding changes in the fish community and implementi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on major species within a continuous environment of the river-estuary-ocean continuum.
        4,500원
        25.
        202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물복지 향상에 대한 국민적 인식과 요구가 높아진만큼 작년 동물보호법 개정과 지자 체에서도 동물복지팀 신설 등 다양한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말은 동물보호법에 기재 되어 있는 동물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말에 관한 법령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아직까지 국내 경주마에 대한 복지체계는 턱없이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경 주마의 육성과 생애를 시작으로 은퇴한 퇴역마까지의 전반적인 삶에 관해 학대 및 도축, 채찍의 측면에서 나누어 해외 사례와 비교 분석한 뒤 국내 경주마 복지의 미비점 및 해결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미국의 경우 2009년 말 학대 방지법과 2011년에는 말 도축 방 지법을 제정하였으며 영국 또한 경주마 관련 법이 존재한다. 1986년 노르웨이에서는 채 찍 사용을 전면 금지하였고 2009년에는 관련 법안을 더 정교하게 개정하였다. 스웨덴 역 시 올해 2022년부터 채찍 사용이 법적으로 제한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국내 동물보호 법에 말에 관한 사항은 전무하며 이렇기에 다른 국가들에 비해 법적 책임과 복지 측면에 서의 관리 방안들이 미흡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경주마의 복지 향상을 위 해서 체계적인 법 규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4,600원
        26.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elesounder is a device that can monitor the appearance of fish in the sea on land and store fish detection dat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appearance of fish resources in coastal or near seas by using LTE communication for data transmission of the telesoun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totype telesounder that can monitor the appearance of fish groups in the waters about 50 km away from the coast and store fish detection data. In this study, the prototype telesounder including a fish finder, communication device and battery for stable operation at sea was developed. The stability of telesounder buoy, data transmission/reception and expected use time were investigated. The expected use time of the telesounder using LTE communication with a lithium battery (12 V, 120 Ah) was about 274 hours under the conditions of 10 minutes off and 10 minutes on, about 520 hours under the conditions of 30 minutes off and 10 minutes on, and about 142 hours under continuous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sea test, it was found that the telesounder can be used in the sea area moved about 34 km from the land and the telesounder buoy was evaluated to have secured basic stability (buoyancy balance, waterproof, antenna strength, etc.) for operation in a marine environment.
        4,000원
        27.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method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habits around the artificial reef, various reports such as fishing gear survey, diving, sound survey, underwater CCTV and camera, etc. are reported. Among them, the sound survey method is carried out by installing an acoustic system on the ship and can be investigated regardless of the marine environment such as time constraints and turbidity. Such method, however, tak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as the ship travels at a constant speed. Investigations around artificial reefs are being conducted in an artificial way, and a lot of time and labor are consumed as such. Maritime buoys have been operat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oute signs, weather observation,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and defense monitoring for navigation safety in the past, but studies on monitoring systems for ecological habits and distribution of fish using marine buoys are remarkab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ystem that allows users to directly monitor fish group detector data by estimating the distribution of fish groups around artificial reefs an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t sea. In order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the maritime buoy used in this study, it was operated to compare data using LTE-equipped buoy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data logger-type system buoy. Data transmission of buoys capable of LTE communication was carried out in a 10-minute ON, 10-minute OFF metho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power supply capacity, and data of the data logger-type buoy received full data.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data received from the two fish detectors. It is expected that real-time monitoring of the wireless buoy detection device using LTE will be possible through future research.
        4,300원
        30.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validation and modify the analytical method to determine quercetin- 3-o-gentiobioside and isoquercitrin in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for the standardization of ingredients in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 products. The analytical method was validated based on the ICH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Harmonization) guideline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 of on the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detection limit and quantification limit. For the HPLC analysis method, the peak retention time of the index component of the standard solution and the peak retention time of the index component of A. esculentus L. Moench powder sample were consistent with the spectra thereof, confirming the specificity. The calibration curves of quercetin-3-o-gentiobioside and isoquercitrin showed a linearity with a near-one correlation coefficient (0.9999 and 0.9999), indicating the high suitability thereof for the analysis. A. esculentus L. Moench powder sample of a known concentration were prepared with low, medium, and high concentrations of standard substances and were calculated for the precision and accuracy. The precision of quercetin-3-o-gentiobioside and isoquercitrin was confirmed for intraday and daily. As a result, the intra-day precision was found to be 0.50-1.48% and 0.77-2.87%, and the daily precision to be 0.07-3.37% and 0.58-1.37%, implying an excellent precision at level below 5%. As a result of accuracy measurement, the intra-day accuracy of quercetin-3-o-gentiobioside and isoquercitrin was found to be 104.87-109.64% and the daily accuracy thereof was found to be 106.85-109.06%, reflecting high level of accuracy. The detection limits of quercetin-3-o-gentiobioside and isoquercitrin were 0.24 μg/mL and 0.16 μg/mL, respectively, whereas the quantitation limits were 0.71 μg/mL and 0.49 μg/mL, confirming that detection was valid at the low concentrations as well. From the analysis, the established analytical method was proven to be excellent with high level of results from the verification on the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detection limit and quantitation limit thereof.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of A. esculentus L. Moench powder samples using a validated analytical method, quercetin-3-o-gentiobioside was analyzed to contain 1.49±0.01 mg/dry weight g, while isoquercitrin contained 1.39±0.01 mg/dry weight g. The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the simultaneous analysis on quercetin-3-o-gentiobioside and isoquercitrin, the indicators of A. esculentus L. Moench, is a scientifically reliable and suitable analytical method.
        4,000원
        3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계림 환성수계(環城水系)는 중국 계림 자연경관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국제적 관광 명소 건설을 위한 계림시의 중요한 공정이자 대외적으로는 계림의 대표적인 관광 브랜드다. 본 연구는 중국 계림 환성수계의 야경 디자인을 평가대상으로 야경 만족도를 평가한 것이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탐방객의 관광행태 및 환성수계와 환성수계 야경에 대한 만족도 요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델파이 조사와 AHP 분석을 통해 확정된 최종 30개 평가지표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전제로 IPA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Deng(2007)의 방법을 적용하여 성취도 측정항목을 자연로그로 변환한 후 전반적 만족도 변인들의 평균값과 편상관분석치를 상대적 중요도로 한 수정 IPA를 통해 계림 환성수계 야경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전통적 IPA와 수정된 IPA 분석 결과 약간의 차이가 보였는데 특히 1사분면 핵심우세구역과 4사분면 현황유지구역 중 지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점개선구역인 제2사분면에 있는 조명쇼의 창의적 예술성(C13), 인터랙티브 쇼의 품질(C24), 민속축제의 공연(C28) 등 주로 조명예술의 콘텐츠와 연출 관련된 지표들은 전통적 IPA와 수정된 IPA 분석 결과 모두 관광객의 기대와 중요도는 높지만, 실제 연출력과 만족도가 낮으므로 개선의 여지가 큰 지표들로 향후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항목으로 부각되었다.
        4,500원
        3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십자화과 채소인 갓(Brassica juncea) 추출물 을 이용하여 지표성분인 sinigrin의 함량을 분석하고, 내분비계 교란물질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 A (BPA)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전구지방세포에서 갓 추출물과 sinigrin 처 리에 대한 지방세포 분화 및 활성산소종(ROS) 생성 억제, 지방 생성 전사인자(PPARγ, C/EBPα, aP2)의 단백질 발현 감소 효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갓 추출물 중 sinigrin의 함량은 21.27±0.2 mg/g 인 것으로 나타났다. BPA로 유도된 3T3-L1 전구지방세포에 서 XTT assay 결과 sinigrin 180 μM 및 갓 추출물 300 μg/ 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세포 내 지방 축적량과 ROS 생성량을 비교하였을 때 갓과 sinigrin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 적량 및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갓 추출물 및 sinigrin을 처리하였을 때 지 방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전사인자 PPARγ, C/EBPα 및 aP2 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갓은 환 경호르몬 비스페놀 A로 유도된 지방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와 더불어 ROS 저감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sinigrin을 함유한 갓은 BPA로 인한 지질 대사 장애를 예방하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되며, 추가로 임상 연구 및 작용기전 입증을 위한 in vivo 모델에서의 후속 연구가 진 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달래의 전처리 방법을 통해 미생물 저감과 품질 유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물리적인 처리로는 손 세척 1분, 버블 세척, Ultrasonication 처리를 50oC와 60oC의 온도에서 각각 1분, 3분, 5분 동안 세척하였고, 화학적 처리에서는 유기산인 푸마르산과 아세트산 용액 1.5%와 2% 농도에서 각각 1분, 3분, 5분 동안 침지 처리하였다. 미생물과 품질 분석 결과 물리적 처리에서는 버블 세척 3분이 곰팡이 저감에 효과적이었으나 일반세균 저감 효과는 적었고, Ultrasonication 60oC, 5분 처리에서 미생물 저감 효과가 가장 높았으나 색도의 a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녹색이 약해졌다. 화학적 처리에서는 acetic acid에 비해서 fumaric acid에서 일반세균과 곰팡이의 저감 효과가 높았으며, fumaric acid 1.5% 용액에서 3분 처리의 저감효과가 가장 높았다. 달래의 미생물 저감 효과가 좋은 버블세척 3분 (B3), fumaric acid 1.5%, 3분 처리(F153), 두 가지 방법을 조합한 병합(BF) 처리를 실시하고 9일 동안 4oC에서 저장하며 품질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일반세균보다는 곰팡이 저감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일반세균은 BF가 곰팡이는 F153에서 미생물 감소 효과가 있었다. 색변화에 있어 BF 처리의 ΔE값이 가장 낮았으며, 유기산 처리에서 색변화를 보여 F153에서 녹색이 약해졌다. 최대응집력 변화 알뿌리 보다는 녹색 줄기에서 현격히 나타났는데 저장 9일 차에 F153처리에서 녹색 줄기의 경도가 가장 높게 유지되었고 (P<0.05), 알뿌리 부분은 물리적 방법인 버블 세척 시 6일 차부터 다른 처리에 비해 낮아졌다(P<0.05). 달래의 미생물 저감과 품질의 유지를 고려할 때 전처리 방법으로는 fumaric acid 1.5%용액으로 3분 처리 시 미생물 저감 효과와 색·최대응집력의 특성 유지가 우수하였고, 3일 이내 의 유통기간이라면 병합 처리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적용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총설에서는 해양 연체동물 내 독소 분석을 하는 연구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유통 되는 수산물 중 해양 생물독소에 오염될 수 있는 이매패류와 복족류 종들의 공식 명칭과 생태학적 특성을 소개하 였다. 또한 대표적인 생물군의 해부도를 통한 각 기관들의 위치와 공식적인 명칭을 알리고자 하였다. 향후 해양 생물독소 분석 관련 식품공전, 학술논문 및 보고서에 실험생물의 정확한 종명과 분석 기관의 명칭에 대한 통일 및 규격화가 필요하다.
        5,400원
        3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산재환자의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 실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업종별 직장복귀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로 근로복지공단 소속병원의 전자의무기록을 활용하여 2018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작업능력평가를 실시한 2,145명의 산재환자의 기초분석과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건설업, 제조업, 전문ㆍ기술업, 시설 관리 및 서비스업, 운송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으로 분류한 후 대상자들에게 시행된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의 수행 빈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능력평가에 참여한 대상자는 남성 1,798명(83.8%), 여성 347명(16.2%)이었으며, 연령대는 50-59세가 790명(36.8%)으로 가장 많았다. 산재 요양시작 이후 평균8.83 ± 5.32개월 시점에 평가가 이루어졌다. 제조업 692명(32.3%), 건설업 642명(29.9%), 전문ㆍ기술업 308명(14.4%)이 대부분이었고 손상 부위는 하지 손상이 736명(34.3%)으로 가장 많았다. 작업능력평가 시 포함된 세부 평가항목 중 어깨높이에서 밀기ㆍ당기기, 작업장 이동에서 걷기, 기어가기, 자세유지평가에서 무릎 꿇기 작업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건설업에서 들기와 옮기기의 수행 빈도가 높았고, 가장 무거운 무게까지 평가를 했으며, 제조업에서는 자세유지평가 빈도가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작업능력평가에 참여한 산재환자의 동향과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실시되는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 차이를 확인하여 임상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4,900원
        37.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곰피추출물의 항산화 및 콜레 스테롤 개선에 대한 효능평가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dieckol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ABTS radical 소거능, reducing power 및 FRAP 활성을 통하여 곰피추 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고 표준화된 곰피 추출물의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 및 세포 내 콜레스테롤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표준화된 곰피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dieckol 함량은 각각 9.64±0.04 mg GAE/g, 2.72±0.08 mg RE/g, 27.42±0.66 mg/g 으로 나타났다. 표준화된 곰피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활 성,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세포 내 콜레스테롤 생성 억제 효능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표준화된 곰피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성 화합물에 기인된 효능으로 사료되며 항산화성분, 항산화 효과, 콜레스테를 개선 효능간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향후, 표준화된 곰피추출물에 대한 in vivo 모델 에서의 전임상 연구 및 작용기전 입증되면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이중기능성을 갖는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0.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9년 1월 1일부터 전체 농산물에 확대 적용된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경기도 유통 농산물 검사 자료 28,693건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였다. 전체 검사 실적 대비 기준 초과 비율은 2018년 1.0%, 2019년 1.2%, 2020년 1.2%로 나타났고, 잔류농약 검출 비율은 2018년 12.9%, 2019년 25.1%, 2020년 37.3% 로 증가하였다. 2019년 기준초과 114건 중 55건이 일률기준(0.01 mg/kg) 적용이었고, 2020년 기준초과 115건 중 66 건이 일률기준 적용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비의 도적 오염, 미등록 작물에 관행적 사용, 부정 농약에 대한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Fluquinconazole은 비의도적 오염이 원인이었고, diazinon, chlorothalonil, methabenzthiazuron은 미등록 작물에 관행적 사용이 원인이었다. Chinomethionat 은 과거에 폐기된 농약 성분으로 밀수 농약 사용이 원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와 이후 모니터링 자료는 앞으로 제도 보완 및 현장 관리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