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

        2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tents of water soluble vitamin B6 in a total of 62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ed in local areas in Korea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To verify the method of vitamin B6 analysis, a quality control chart was formulated with in-house control using a mixture of broccoli and shiitake mushrooms. Among cereals, high content of vitamin B6 measured 234.3~260.3 μg/100 g in dried mung bean and soybean. Vitamin B6 content of non-glutinous and glutinous black rice measured 105.0 μg/100 g and 129.7 μg/100 g, respectively. In vegetables, high content of vitamin B6 were measured in passion fruit (104.3 μg/100 g), gat (55.7~84.3 μg/100 g), gomchwi (31.3~88.0 μg/100 g) and garlic (72.7~98.3 μg/100 g). Among fruits, gold kiwi 'Zespri' and green kiwi 'Hayward' revealed high vitamin B6 content of 116.3 μg/100 g and 78.7 μg/100 g, respectively. In persimmons, daebongsi had high vitamin B6 content (36.0~72.7 μg/100 g) than bansi and sweet persimmon. Vitamin B6 content in dried jujube and persimmon increased more than 86.7 μg/100 g compared to fresh materials. Among specialty crops, green tea powder (64.7~251.0 μg/100 g) and sansuyu (172.3 μg/100 g) revealed high content. Of mushrooms, vitamin B6 content of Sparassis crispa (139.3 μg/100 g) was the highest. Vitamin B6 content inform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 local areas in Korea collected from this experiment will be used as valuable preliminary data for grasp national nutritional status.
        4,000원
        2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blackberry. Since it is difficult to use blackberry as a fresh fruit,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berry powder obtained by various drying methods (freeze drying and hot-air drying at 40~80℃). The L- and b-values of freeze-dried powder was higher than hot-air dried powder. The pH (3.2) was lowest and the acidity (14.4%) was highest in freeze-dried powder. In freeze drying, the brix degree was 65.7 °Bx, but it increased from 54.7 °Bx to 68.5 °Bx with increasing temperature during hot air drying.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s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freeze-dried powder, at 9.3 and 6.2 mg/g, respectively. The levels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in hot air drying. Anthocyanin content in freeze-dried powder was 8.51 mg/g, while it sharply decreased to 1.17~2.45 mg/g in hot-air drying. Vitamin C content in freeze drying (979.4 μg/g) was higher than that in hot-air drying (48.3~303.2 μg/g). The sample concentration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RC50) was 79.7 μg/mL in freeze drying, and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Also it decreased from 122.4 μg/mL to 87.7 μg/mL with temperature increase during hot air drying. We therefore conclude from the above results that freeze drying is mor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blackberry powder, because this method showed high value of chromaticity,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thocyanin content, vitamin C and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26.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strodia elata Blum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after saccharifying by 3 methods including enzyme, malt, and rice-nuruk. The lactic acid bacteria (LAB), Pediococcus inopinatus BK-3, isolated from kimchi could reduce the unpleasant taste and odor of Gastrodia elata Blume. The total acidity value of Gastrodia elata fermented by LAB on the malt and rice-nuruk extract solution for 3 days was 2.23% and 2.33%, respectively. After saccharification by malt and rice-nuruk extract solution for 3 days, the viable cell number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was 9.14 log cfu/mL and 9.27 log cfu/mL, respectively. The total acidity values were increased above 3.35% by malt and rice-nuruk extract solution for 8 days. Thus, the viable cell number was the highest by malt and rice-nuruk extract solution fermentation for 3 days. The amino acid content of Gastrodia elata fermented by LAB after saccharification by malt extract solutio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accharifying methods. The free sugar content and p-hydroxybenzyl derivatives induced by the enzyme method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accharifying methods.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the highest at 4.2 point in Gastrodia elata fermented by malt extract solution.
        4,000원
        2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판토텐산과 비타민 B6는 비록 미량 성분이나 건강 유지를 위해 식품이나 건강보조제를 통한 충분한 섭취가 요구되 고 있으나 국내 식품에 대한 판토텐산 및 비타민 B6에 대한 데이터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은 뇌의 콜린 성분이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으로의 전환을 돕고 체내 지방산 합성과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상처치료, 콜레스테롤 균형, 스트레스 유발 호르몬 조절, 혈압 조절, 피부와 모발 노화 지연, 면역체계 증진 등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는 수용성 비타민이다. 비타민 B6(pyridoxine)는 아미노산 및 단백질 대사에 중요한 효소를 구 성하며, 신경전달 물질의 생산과 세로토닌(호르몬)의 분비에 관여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호모시스테인의 이화작용 및 인산화효소(phosphorylase) 반응의 조효소로서도 작용한다. 판토텐산과 비타민 B6 함량 분석을 위해 HPLC를 이용 하였으며 사용된 지역 농산물은 삼채 등 56 종이었다. 판토텐산은 56종의 시료 중 느타리버섯에서만 유일하게 검출되 었는데 1.9 mg/100g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B6는 51개 시료에서 검정되었으며 산수유(열매, 생것)에서 0.16~0.17 mg/100g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감, 한산모시잎, 갓, 키위 등에서 0.070 mg/100g 이상의 함량을 보였다. 본 실험 결 과는 국가 표준 식품성분표(제 9개정판)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8.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et insect therapy. The pet insect program was provided with 7session from May 2014 to July 2014. The measures used in this study includes self-esteem scale, social competence scale and stress scale. For analyses, t-tests with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SPSS 18.0. Regarding the results insec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et insect program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Self-Esteem scale, Social Competence Scale and stress Scale than those of control group. Mean scor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t least p<0.01 level. The study results means that the pet insect program had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and reduce stres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4,000원
        29.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any researcher suggest that children exhibit a natural interest towards insects, and different intervention programs have shown the presence of an insect being able to increase children’s attentiveness and motivation levels. Nonetheless, few research effort have been devoted to the identification of specific insect characteristics able to attract and engage children. This study was aimed at assessing children’s preference for insect species. Children aged 12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tested on a choice task, using pet insect program. Children’s preferences for different species and for effects of sex analyzed. Overall, girls showed a preference for more lepidoptera species like cabbage butterfly and swallowtail butterfly. On the other hand, boys showed a preference for coleoptera insect.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child-insect bond are discussed.
        4,000원
        3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프리카 특히 콩고민주공화국의 식량난 해결에 도움이 되는 벼농사 정보를 얻을 목적으로 우리나라 농림나1호를 월평균 강우가 216 mm였던 2012년 10월부터 2013년 2월까지와 32 mm였던 2013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2회에 걸쳐 킨샤사의 사질 밭에서 심토비닐피복재배하여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농림나1호는 심토에 비닐을 피복하여 재배한 것이 자연상태로 재배한 것보다 출수기가 2012년에 2일 늦었고 2013년에는 4일 더 빨랐다. 그리고 2012년과 2013년도의 포기당 경수는 각각 2.1개와 0.2개 더 많았으며 이삭당 립수는 각각 23.4%와 23.1% 증가되었다. 2. 농림나1호의 심토비닐피복재배와 무피복재배구의 평균수량은 춘분 이후에 재배한 2012년도의 시험 벼가 추분무렵에 재배한 2013년도의 시험 벼보다 38.4% 더 많았으며, 심토비닐피복효과는 2012년도 재배 벼에서 8% 더 높았다. 3. 농림나1호는 국내재배에서보다 출수기가 70일 이상 단축되고 천립중이 2 g 이상 감소되면서 심토비닐피복구 기준으로 ha당 쌀수량이 12(2012년도) ~ 38%(2013년도) 가량 적었다. 그러나 등숙률은 12.5% 더 높았다. 4. 농림나1호는 2년간 심토비닐피복과 무피복 상태로 재배했을 때의 평균수량이 현지품종인 IRAT216보다 5.1% 더 높았지만 심토비닐피복처리 효과에 있어서는 IRAT216보다 32.6% 낮았다.
        4,000원
        31.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imal-assisted-activity programs are often used in pediatric hospital settings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diversion,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about their efficacy. AAA for using insect affect children was examined in this study of 50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lf-reported (self-esteem, sociality and stress) were measured. Self-esteem and sociality rating of the children, and display of positive affect were enhance in the AAA group. This study provides further support to the numerous health benefits of AAA, particularly for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4,200원
        3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대의 많은 청소년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과 지나친 경쟁 지향적 사회풍토, 가족 기능의 약화와 해체현상의 가속화, 스마트폰과 인터넷 중독 등으로 인해 성장발달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 시기에 받는 심리적 스트레스는 개인의 육체적 건강과도 연관이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사회성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곤충을 이용한 체험학습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심리치유 효과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이며, 정규수업시간을 이용하여 총 3회에 걸쳐 곤충을 이용한 체험학습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곤충과의 상호교감 및 관계적 체험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상적 스트레스는 체험활동의 차수에 따라 편차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향후 지식전달 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놀이형태의 다양하면서도 학년과 성별에 따른 능력을 고려한 체계적인 곤충체험 프로그램 개발이 장기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청소년들은 정서적 안정과 치유 등 인성발달에 곤충체험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곤충산업 측면에서는 곤충의 가치를 높이고 수요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33.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간은 수렵과 채취의 습성을 통해 동식물과의 관계를 이어왔으며, 농경사회로 정착 후에는 많은 동식물을 애완화하거나 관상화시키면서 동식물과의 관계를 울타리 안으로 옮겨왔다. 또한 우리 문화 속에서도 곤충을 애완요소로 즐겼던 역사를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도 하다. 1990년대 초반부터 자연환경보전 정책, 체험학습 중심의 제7차교육과정 등은, 곤충사육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였고, 이에 따라서 곤충전문판매점이 생겨나 대형할인마트에서도 곤충을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애완학습용으로 곤충 이용이 정착되었지만, 이 같은 곤충의 사육경험이 소비자들에게 실제로는 어느 정도의 심리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곤충사육경험을 통한 소비자의 심리적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2013년 5월 곤충 전시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응답자의 48.3%가 곤충을 사육한 경험이 있으며, 키워본 곤충은 장수풍뎅이가 52.9%이고, 사슴벌레가 24.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현재는 곤충사육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83.1%로 나타나 곤충사육경험이 1회성에 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곤충 사육 경험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적 기대효과로 정서적 요인이 55.3%로 인지적 요인의 41.8%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서 볼 때, 남성에서는 인지적 요인에 대한 기대효과가, 여성에서는 정서적 요인에 대한 기대효과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애완곤충을 1회성이 아닌 애호적인 대상으로 이끌기 위하여 단순사육보다는 돌보기 측면으로 표준화된 매뉴얼의 개발을 통하여 애완학습곤충을 접할 수 있는 방향 정립과 성별이나 연령대의 눈높이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4.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ichorium intybus L.(CLE), Cichorium intybus L. var. folisum ‘treviso’ (CLET), Cichorium intybus L. var. folisum ‘rosaitaliana’ (CLER) in hydroponics added with Cr3+ or Selenium (Se) for 4 weeks.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s contents and FRAP values of three species of chicory were grown hydroponically with Cr3+ or Se were increased. These extracts were also showed stronger DPPH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than chicory extracts. In particular, chicories added with Cr3+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chicories added with Se. CLER and CLE extracts added with Cr3+ were also showe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cories were cultivated in culture fluid added with Cr3+ or Se could be used as high functional vegetables.
        4,000원
        35.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기후변화 협약과 관련된 교토 의정서를 계기로 산림의 탄소 축적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국 규모의 산림 바이오매 스 추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국 규모의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은 일반적으로 임업통계상의 임목축적 자 료를 이용하고 있으며, 산림 바이오매스는 줄기의 건중량대 재적 비인 줄기밀도와 임목 전체 건중량 대 줄기 건중량 비인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Lehtonen et al., 2004). 본 연구는 산림청이 권장하는 조림수종의 하나인 백합나 무를 대상으로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를 조사 분 석하여 백합나무의 바이오매스 추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 는데 목적이 있다. 이용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탐방문화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자연자원 보전과 국민 여가기회 제공이라는 국 립공원의 상반되는 가치와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환 경훼손적 탐방행태를 개선하고 지속가능성의 원리를 바탕 으로 국립공원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줄 수 있는 공원자원 의 이용이 필요하다. 본 계획은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해수욕(물놀이)중심의 이 용행태를 개선하여 우수한 자연경관과 독특한 해안생태 자 원을 통한 다양한 볼거리 제공 및 국립공원 보전의 중요도 를 일깨우는 탐방프로그램 다양화와 해안사구, 사구습지 등 핵심적인 자연생태ㆍ경관 훼손을 예방하는데 있다. 차별화된 해변길 조성을 통해 탐방객들에게 체험ㆍ사색 ㆍ명상 등 국립공원의 가치를 널리 알릴 수 있으며, 공원입 구 및 공원주변 마을지역 등 탐방객의 다양한 활동을 수용하 고 소비를 촉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연구내용 및 방법 동일한 수종일지라도 임령에 따라 줄기밀도와 바이오매 스 확장계수가 다른 것(Kauppi et al., 1992)을 고려하여, 경기도지역에서 9년생 임분과 11년생 임분, 전라남도지역 에서 30년생 임분과 , 31년생 2개 임분 등 총 5개 임분을 선정하였다(Table 1). 임분별 20m×20m 조사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한 후 흉고직경급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5주씩 총 25주의 표본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표본목을 벌목하여 줄 기, 가지, 잎으로 구분한 후 다음의 각 항목을 조사하였다. 줄기는 지상 0.2m 높이에서 2m 간격으로 절단하여 생중량 을 측정한 후 2m 길이로 절단한 각 통나무의 중앙부에서 5cm 두께의 원판을 채취하였다. 지상 0.2m 이하의 부분은 인접한 통나무에 포함시켰다. 원판은 생중량을 측정한 후 수피내직경, 수피외직경, 수피재적, 연륜수 등과 수간석해 용 자료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85℃에서 항량이될 때까지 건조시켜 건중량을 측정한 후 수피를 분리하여 수피건중량 을 측정하였다. 측정치에 의하여 각 원판의 건중량대 생중 량비, 수피건중량대 수피재적비 등을 산정하였다. 가지와 잎은 표본목별 생중량을 각각 측정한 후 임분별 3주씩 각각 1,000g 정도의 시료를 취하여 건중량대 생중량비를 구하였 다. 뿌리는 임분별 3개 표본목의 뿌리를 가급적 전량 굴취하 여 생중량을 측정하고 시료를 채취하여 건중량 대 생중량 비를 산정하였다. 각 표본목의 줄기 건중량은 2m 길이의 통나무 생중량과 중앙부 원판의 건중량대 생중량비에 의하여 산출된 통나무 건중량의 합으로 하였다. 수피의 건중량은 원판 측정치에 의하여 산출된 통나무의 수피재적과 원판의 수피건중량대 수피재적비에 의하여 산출된 각 통나무의 수피건중량을 합 산함으로써 구하였다. 목질부 건중량은 줄기의 건중량에서 수피건중량을 뺀 값으로 하였다. 가지, 잎, 뿌리의 건중량은 각각의 생중량과 시료의 건중량대 생중량비에 의하여 산정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임목 부위별 건중량 임분별 표본목의 지상부 부위별 건중량 구성비와 뿌리/ 지상부 비의 평균값 및 Duncan의 다중검정결과는 Table 2와 같다. 임령이 증가할수록 줄기의 구성비는 증가하는 반 면 가지와 잎의 구성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것은 줄 기는 지속적인 축적기관이며, 가지는 비교적 단기간의 축적 기관이고 잎의 경우 비축적기관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 다. 9년생인 임분 1은 임분 2, 3, 4, 5에 비하여 줄기의 구성 비가 낮고 가지와 잎의 구성비는 낮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 였다. 뿌리/지상부 비는 임분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0.094-0.187의 범위를 보였다. 2.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확장계수 임분별 표본목의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평균 값 및 Duncan의 다중검정결과는 Table 3과 같다. 줄기 밀도 는 0.394-0.432의 범위를 보였으며, 임분간 유의적인 차이 는 없었다.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뿌리를 포함한 임목전체 바이오매스확장계수는 임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 이었으며, 임분 1의 경우 임분 2, 3, 4, 5 등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임령이 증가함에 따라 가지와 잎의 구성비가 감소하는 경향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인용문헌 Kauppi, P.E., K. Mielikeinen and K. Kuusela(1992) Biomass and carbon budget of European forests, 1971to 1990. Science 256: 70-74. Lehtonen, A., R. Makipaa, J. Heikkinen, R. Sievanen and J. Liski(2004) Biomass expansion factors for Scotch pine, Norway spruce and birch sccording to stand age for boreal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8: 211-224.
        3,000원
        37.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ethod was establishe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in of sugar alcohols, erythritol, xylitol,sorbitol, inositol, mannitol, maltitiol, lactitol and isomalt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sugar alcohols were converted into strong ultraviolet (UV)-absorbing derivatives with p-nitrobenzoyl chloride (PNBC). HPLC was performed on Imtakt Unison US-C18 column, using acetonitrile : water (77:23) as a mobile phase and UV detection (260 nm). The calibration curves for all sugar alcohols tested were linear in the 10~200 mg/L range. The average recoveries of the sugar alcohols from three confectioneries spiked at 100 ppm of eight sugar alcohol standards ranged from 81.2 to 123.1%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anging fromo 0.2 to 4.9%. The limits of detection (LODs) were 0.5~8 μg/L and the limits of quantification (LOQs) were 2~17 μg/L. Reproducibility of 8 sugar alcohols was 0.28~1.97 %RS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nfectioneries showed that 89 samples of 130 were detected and the sugar alcohols content of samples investigated varied between 0.4 and 693.7 g/kg. A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eight sugar alcohol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trol of sugar alcohols in confectioneries, and qualilty control in food manufacturing.
        4,000원
        3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actericidal efficacy of three common sanitizers (100 or 200 ppm of sodium hypochlorite, 100or 200 ppm of n-alkyl(C12-C18)benzyldimethyl chloride, and 50 or 100 ppm of peroxyacetic acid) against Escherichia coli ATCC 10536 and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was studied using the suspension test method at various exposure temperatures (4~40℃) and times(1~60min) under both dirty and clean conditions, respectively. During the suspension tests, sodium hypochlorite (200 ppm) showed higher bactericidal activity than the other sanitizers under clean conditions, with 5 log reductions against E. coli as well as S. aureus in the first 1 min of treatments at 4℃. However,the efficacy of sodium hypochlorite decreased markedly under dirty conditions due to its susceptibility to interfering substances. The efficacy of the n-alkyl(C12-C18)benzyldimethyl chloride increased considerable as the exposure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The bactericidal efficacy of the n-alkyl(C12-C18)benzyldimethyl chloride might be less effective on low temperature, however, the longer time the sanitizer is in contact, the more effective the sanitization effect. Treatment with peroxyacetic acid (100 ppm) showed at least 5 log reduction against E. coli and S. aureus for 5min at 4℃ under both clean and dirty conditions. The efficacy of the peroxyacetic acid was not much altered by interfering substances and affected by changes in temperature or time.
        4,000원
        3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8주령 Sprague-Dawley계통의 암컷 랫드에서 제독유황을 반복경구투여 독성평가를 하기위해 시행하였다. 랫드에 처치한 물질은 사료섭취량의 0.2%, 1%, 5% 제독유황과 사료섭취량의 1% 유황으로 13주 경구투여를 하였다. 제독유황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관찰 및 검사를 하였다. 검사항목으로는 체중과 사료 섭취를 측정하였고 임상증상, 안과학적 검사, 혈액학적 검사, 혈청 생화학적 검사를 관찰하였다. 또한 랫드에 간과 신장에서 의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체중, 사료섭 취량, 혈액학적 및 병리조직검사 소견에서 대조군과 제독 유황 그룹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혈청생화 학적 검사소견에서는 0.2% 및 1%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시 용량의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보이지 않았으나, 고용량군에서는 glucose 감소에 의한 저칼 륨혈증, 인슐린 과잉분비의 독성을 의심할 수 있었으며, 또 한 ALT와 ALP의 증가는 간 독성이나 간암, 황달의 유발이 의심되었다. 한편, 병리조직학적인 검사에서는 시험 전체군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할만한 병리조직이상이 관 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료섭취량 1%의 제독유황까지 투여는 랫드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0.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ethylenediamine (EDA) and hexamethylenediamine (HMDA) in food simulants was developed, and migration amounts of these compounds was monitored for 124 polyamide (PA) utensils. The diurethane derivatives of EDA and HMDA, which produced by reaction with ethyl chloroformate,were analyzed by using gas chromatograph (GC)/flame ionization detector (FID) and GC/mass spectrometer (MS). The developed method was validated with 0.3 μg/mL of limit of detection (LOD) for EDA and 0.1 μg/mL of LOD for HMDA, > 0.999 of linearity(r2) and > 88% of recovery. The EDA was detected 1.31 and 2.06 μg/mL for 2samples in water. The HMDA was detected 0.29 - 0.93 μg/mL for 3 samples in 20% ethanol and 0.26 - 0.44 μg/mL for 10 samples in n-heptane. These migration levels were below the specific migration limits (SML) of 12 μg/mL and 2.4 μg/mL for EDA and HMDA established in EU.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