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3

        8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nalyzed the contents of γ-oryzanol, which is contained in brown rice of the nation rice varieties Chucheong, Heukjinju and Sindongjin, by HPLC. Furthermore we also performed experiments on its biological activity,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rice bran. The contents of γ-oryzanol contained in hulled rice showed 1, 587 ppm for Heukjinju, followed by Chucheong(1, 038 ppm), and by Sindongjin(472 ppm). In anti-oxidative activity, we performed an experiment,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PPH. Heukjinju showed the best effect, and Chucheong showed the worst effect. In cholesterol lowering activity, Heukjinju showed the best activity and Sindongjin showed the worst effect. In anti-bacterial activity as well, Heukjinju showed the best activity, and Sindongjin showed the worst effect. Through these experiments, we compared the contents of γ-oryzanol, which is contained in hulled rice(Chucheong, Heukjinju, Sindongjin). Also, we found the anti-oxidation effect, cholesterol lowering effec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γ-oryzanol extracts. Based on our research, we expect that γ-oryzanol can work as a new drug, or nutritional supplement.
        4,000원
        8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성’은 국내에서 답리작 재배가 가능한 조숙성 트리티케일 품종 개발을 목표로 2010년에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계통은 1992년에 국제밀 옥수수연구소(CIMMYT)에서 FAHAD_5와 RHINO1R.1D 5+10 5D'5B'의잡종에 FAHAD_5를 여교잡하여 작성되었으며,선발된 고세대 계통인 ‘CTSS92Y-A-4Y-0M-5Y0B’에 대해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계통은 숙기가빠르고 건물수량이 많아 ‘익산26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에걸쳐 제주 익산 청원 예산 나주 대구 및진주 등 7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여 2010년 11월 신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그특성은 다음과 같다. 트리티케일 신품종 ‘조성’은 농록색 잎, 황색 줄기, 황갈색의 큰 종실을가졌다. 출수기가 전국 평균 4월 24일로 표준품종인 ‘신영’보다 5일, 제주지역에서는 10일빨랐다. ‘조성’의 한해는 ‘신영’과 대등하였고,도복에 강하였으며, 습해 흰가루병 및 잎녹병등에 저항성이었다. 건물수량은 ha당 평균 14.5톤으로 16.5톤인 ‘신영’에 비해 12% 낮았다.‘조성’은 ‘신영’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5.3%로 다소 낮았으나 NDF 및 ADF 함량(%)이 낮아 TDN 함량(%)이 64.0%로 ‘신영’에 비해2.1% 높았다. ‘조성’은 ‘신영’에 비해 천립중이46.6g, 중이 692g으로 무겁고, 종실수량이 ha당 5.1톤으로 ‘신영’보다 40% 많았다.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이 10 이상인 지역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특히벼 이앙이 빨라 월동작물의 재배가 곤란한 지역에서도 답리작 재배를 통한 조사료 생산이가능하다.
        4,000원
        8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프리지아 구근수확 시기를 달리하였을 때 2단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구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온도 및 기간 등 저장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프리지아 구근 수확시기는 절화 직후와 절화 후 45일 2처리로 실시하였다. 구근 저장온도는 5, 10, 15, 20, 30οC, 저장기간은 20, 40, 60, 80, 100일 등 각각 5 처리를 두었다. 2단구는 구근의 생장점 부위에 싹이 맹아하지 않고 작은 자구가 발생하는 형태적인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저장 중 온도가 맞지 않을 경우 나타 난다. 시험결과를 보면 절화 후 바로 구근을 수확 할 경우 이본느 품종은 30οC로 80일 이상, 샤이니골드는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는 60일 이상 정식 전에 저장하면 정식 이후 2단구가 회피되었다. 절화 45일 후에 구근을 수확 할 경우에는 이본느와 샤이니골드 두 품종 모두 정식 전에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 는 40일 이상 보관하면 정식 이후 2단구 발생이 억제 되었다. 절화 직후 구근을 수확한 처리에서 구근을 30οC로 100일 저장 후 정식한 결과 샤이니골드와 이 본느 품종의 맹아소요일수는 각각 34일과 31일로 나 타나 한달 이상소요 되었지만,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은 같은 처리에서 두 품종 모두 맹아소요일수가 7 일로 나타나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의 휴면이 빨리 타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4,000원
        8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도의 변화는 종 다양성 및 풍부도 그리고 생물 종 구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 최근에는 나비를 비롯하여 곤충의 고도에 따른 분포 형태에 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계룡산국립공원의 고도에 따른 나비분포를 조사하여, 종 보전 및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종과 개체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수관울폐로 인한 그늘의 증가가 원인일 것으로 사료된다. 고도의 영향 이외에도 종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경사도 및 식생군락 그리고 수계거리가 종의 분포 변화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종들은 먹이식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추후에 숲내부의 변화를 감지하는데 적합한 생물지표종을 선정한다면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생물다양성 평가를 내릴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추후에 기후 및 미기후, 그리고 먹이식물과 같은 환경요인들의 자료를 축적하고 정량화 할 경우 나비 분포를 예측할 수 있어 종 보전에 있어 더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4,600원
        8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연구에서는 GM 유채(Brassica napus)의 환경방출실험시의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2. 문헌조사를 통해 유채의 품종 순도 유지를 위한 격리거리와 교잡가능한 종을 확인함으로써 모니터링의 범위와 모니터링 대상 식물종을 결정하였다. 3. GM 유채의 격리포장으로부터 1.3 km 거리 범위 내에서 발견된 B. napus, B. juncea 및 B. oleracea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교잡을 통한 유전자의 유출은 발견되지 않았다.
        4,000원
        8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체분리용 분리막의 투과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이온성 첨가제로 Triton X-100을 사용하여 건습식 상분리법에 의하여 polysulfone 중공사 막을 제조하였으며, 첨가제에 따른 기체투과 거동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에어갭, 고분자의 농도, 도프탱크 온도와 같은 다양한 방사 조건을 조절하여 그 영향을 관찰하였다. 제조된 중공사 막은 전자주사현미경(SEM)과 bubble flow meter를 통해 각각 모폴로지와 기체투과 특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SEM 분석을 통해 Triton X-100이 첨가된 막은 다양한 에어갭에서도 매끄러운 외부 스킨층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공사 막의 거대기공은 에어갭이 4에서 90 cm로 증가함에 따라 더욱 발달하며,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고분자 농도(30 wt% polysulfone)와 높은 첨가제 농도(15 wt% Triton X-100) 조건에서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도프 탱크 온도를 조절하였을 때, 100℃에서 제조된 막은 첨가제와 용매의 휘발로 인해 낮은 투과특성을 나타냈다.
        4,000원
        8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음 스트레스로 인한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지표로 사용되는 코티졸, 포도당, 알부민 및 glucocorticoid receptor(GCR) 유전자의 발현 양을 측정, 분석하여 노출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알부민은 노출 1시간 후에 낮은 값을 보인 반면 코티졸과 포도당은 대조구에 비해 매우 큰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GCR 유전자의 조직 발현 결과 간, 아가미, 근육 및 소장에서 많이 발현하였다. 소음 노출에 따른 시간의 변화에서 간과 아가미 근육과 소장에서 발현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뱀장어의 glucocorticoid receptor 유전자의 발현변화가 소음 스트레스로 인한 영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8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sulfur dioxide residues in medicinal herbs in Seoul Yang Nyoung Shi in 2010 (1,522 samples of 189 kinds). Samples were measured by modified Monier-Williams method. Of the total samples, 618 samples (84 kinds) were domestic, and 904 samples (158 kinds) were imported. The content of sulfur dioxide in the domestics showed the range of 0.0 to 1,298.0 mg/kg (average 12.7 mg/kg), while those in imported samples were the range of 0.0 to 3,982.2 mg/kg (average 42.4 mg/kg). The average (mg/kg) amount of sulfur dioxide by parts in medicinal herbs was as follows; Tuber 122.3, Radix 69.3, Rhizoma 37.4, Cortex 33.3, Fructus 8.8, Ramulus 4.9, Semen 4.6, Folium 3.4, Flos 2.7, Perithecium 1.4. Of the total samples (1,522), 52 samples (3.4%) were violated the KFDA regulatory guidance of sulfur dioxide. Among these 52 unsuitable samples, 16samples (7 kinds) were domestic, and 36 samples (23 kinds) were imported. Approximately 88.1% of the total samples was less than 10 mg/kg of sulfur dioxide and 6.3% of the total samples showed more than 30 mg/kg of sulfur dioxide.
        4,500원
        89.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남도 신안군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총 1004개의 도서가 위치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 대부분 섬들은 일정한 지역에 밀집이 되어있으나 각각의 섬들은 육지 또는 타도와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생물상의 조사는 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섬 생태계에서 곤충류의 종다양성은 조류를 포함한 상위포식자의 생태계 먹이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일대 28개 무인도서의 곤충상을 확인하여 무인도서의 보존 및 관리방안 설정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된 28개 무인도서의 곤충류 출현 양상은 총 12목 60과 122종 921개체가 조사되었으며 가도에서 9목 22과 32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정 곤충종의 출현 현황은 국내 미기록 1종, 남방계 특성종 3종, 해안사구 지표종 1종, 기후변화 지표종 1종이 조사되었다.
        4,300원
        90.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several sodium salts and the sodium salt mixture composed with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and sodium cyanide on Salmonella gallinarum (S. gallinarum) infection in murine derived macrophage RAW 264.7 cells. In the infection assay of S. gallinarum in macrophage cells pretreated with 15 mM sodium chlorate, 0.3 mM sodium cyanide, 0.3 mM sodium azide and the sodium salt mixture (15 mM sodium chlorate, 0.3 mM sodium cyanide, 0.3 mM sodium azide), respectively, the numbers of S. gallinarum in all treated-groups tended to decrease in the process of time after treatment, but the group treated with sodium cyanid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control. After 24 hours of treatment, the number of S. gallinarum in sodium azide (p<0.05), sodium chlorate (p<0.001) and the sodium salt mixture (p<0.001) treated-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and that in the sodium salt mixture treated-group was decreased the higher than al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odium salt mixture composed with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and sodium cyanide, has the antimicrobial activity for S. gallinarum and may be beneficial on the control of intracellular pathogens.
        4,000원
        91.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물영아리오름 습지에 서식하는 곤충류를 파악하여 습지 보전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총 9목 73과 229종이 조사되었으며, 물영아리오름 습지는 6목 39과 136종, 수령산은 9목 52과 121종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229종의 곤충류 중 멸종위기종인 애기뿔소똥구리가 포함되었다. 또한 오염되지 않은 습한 산 주위에서 주로 서식하는 늦반딧불이가 3개체 조사되었으며 이는 청정지역임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종으로 습지에서 보호되어야 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물영아리오름 습지의 나방류 확인을 위해 야간 유인등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 총 76종이 조사되었다. 넓은띠담흑수염나방이 0.12의 우점도 지수로 전체 우점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종다양도는 7월 조사에서 3.4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600원
        93.
        2011.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ior austenite grain siz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high strength hot-rolled ste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i and C contents on the precipitates and prior austenite grain size. Steel with no Ti solutes had prior austenite grain size of about 620 μm. The addition of Ti ~ 0.03 wt.% and 0.11 wt.% reduced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to 180 μm and 120 μm, respectively. The amount of Ti required to significantly decrease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was in the range of 0.03 wt.%. However, the amount of carbon required to significantly decrease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was not present from 0.04 wt.% to 0.12 wt.%. Oxides of Ti (Ti2O3) were observed as the Ti content increased to 0.03 wt.%. The specimen containing 0.11 wt.% of Ti exhibited the complex carbides of (Ti, Nb) C. The formation of Ti precipitates was critical to reduce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Furthermore, the consistency of prior austenite grain size increased as the carbon and Ti contents increased. During the reheating process of hot-rolled steel,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controlling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seems to be the presence of Ti precipitates.
        4,000원
        9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lenium (Se) obtained from dietary sources is an essential micronutrient for normal body function and it functions as an essential constituent of selenoproteins.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e on the formation of colonic aberrant crpyt foci (ACF) and tumor formation induced by azoxymethane (AOM) and dextran sodium sulfate (DSS) in male ICR mice. Five-week old ICR mice were acclimated for one week and fed on the low iron diet (LFe, 4.5 ppm) and different Se diet [Lse (0.02 ppm), Normal Se (0.1 ppm), HSe (0.5 ppm)] for 12 weeks. Animals received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AOM (10㎎/㎏ B.W. in saline weekly for 3 weeks), followed by 2% DSS (molecular weight 36,000~50,000) in the drinking water for a week. There were five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a normal control group, AOM/DSS, LFe+AOM/DSS, LFe+AOM/DSS+LSe, LFe+AOM/DSS+HSe. After sacrifice of animals, the total numbers of AC and ACF were measured in the colonic mucosa. The number of mice bearing tumors was expressed as tumor incidence rate. The iron and selenium liver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ICP-AES. 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y was determined using a GPx assay kit in the liver and colon. TUNEL and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staining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ell apoptosis and cell proliferation. In addition, immunohistochemistry of β-catenin was also performed on the mucous membrane tissue of colon. In AOM/DSS-induced colon carcinogenesis animal model, LFe diet decreased the number of 2.95±2.5 ACF/cm2 to 1.85±1.1 ACF/cm2 but it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5.06±4.2 AC/cm2 to 6.19±4.8 AC/cm2 compared with normal iron diet. In the iron-deficient mice, selenium did not affect the either the number of ACF or AC. The tumor incidence rate was higher in LFe diet groups than in normal iron diet group and high selenium diet weakly reduced the tumor incidence. Low selenium diet decreased the activity of GPx in the liver and colon. Apoptotic positive cells were decreased in the low selenium diet group. In addition, on the β-catenin staining, positive cells were increased in the low selenium diet group while they were decreased in the high selenium diet group.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etary levels of selenium was not highly enough to exhibit a significant protection against colon carcinogenesis in the iron-deficient mice. However, our results also indicate that dietary selenium might exert a protecting effect against colon cancer by increasing GPx activity and apoptosis and by inhibiting cell proliferation and β-catenin over-expression.
        4,500원
        95.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시지각 능력이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대전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저학년(평균연령= 89개월, SD= 7.49)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글쓰기 능력은 글쓰기 숙달도 선별 질문지(HPSQ), 시지각 능력은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K-DTVP 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결과: 연구 결과 글쓰기 능력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명료도는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속도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 시지각 능력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비운동성 시지각과 시각-운동 통합 시지각에서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년에 따른 비교에서는 1학년이 2학년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글쓰기 능력과 비운동성 시지각이 모두 낮은 결과를 보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명료도는 전반적인 시지각 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회귀분석에서는 글쓰기 명료도는 시각운동통합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수행시간과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학년이었다. 하지만 안정감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 결론: 초등학교 저학년의 글쓰기 능력 훈련에서 시각운동통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4,300원
        9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확시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을 구명하고자 2010년 4월 19일 파이오니아 31N27 품종을 수원 지방에 파종하였다. 7월 10일부터 9월 2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수확하여 건물률과 수량조사를 하였다. 경엽의 건물률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꾸준히 증가하다가 9월 10일 가장 높은 58.5%를 보였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고(p < 0.05), 암이삭의 건물률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전체 건물률도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p
        4,000원
        9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storag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raw rice wine (RRW) treated with Korean sun-dried salts and gamma rays. Nowadays, RRWs have received attention because they are a nutritious foo
        4,000원
        98.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퇴행성 신경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대한 마늘 물, 100% 메탄올, 디 클로로메탄 추출물들의 acetylcholinesterase (AChE) 저해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마늘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AChE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C50은 36.1 μg/mL로 나타났다. MTT reduction assay를 이용해 amyloid β protein (Aβ) 유도성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신경 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세 가지 마늘 추출물들은 대부분 40% 미만의 세포생존율을 보였고 이 결과는 Aβ 유도성 신경세포 독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세포독성을 보여주었다. LDH assay에 서는 마늘 물 추출물이 37%의 LDH 방출량을 나타내 200 μM의 vitamin C과 유사한 세포막손상 보 호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neutral red uptake assay를 실시한 결과, MTT reduction assay와 마찬가 지로 모든 마늘 추출물들에서 세포생존율의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의 경우 현저하게 낮은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다. AChE 저해활성을 갖는 마늘 디클로로메탄 추출물로부터 얻은 column fractionations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HPLC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 늘 98:2 fraction의 LC-MS 분석을 통하여 allyl methyl disulfide, diallyl monosulfide, diallyl disulfide로 추정되는 물질군이 확인되었다.
        4,200원
        10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주와 김 2009) poly (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 분해균 Burkholderia cepacia PBSA-7, Bacillus licheniformis PBSA-8 및 Burkholderia sp. PBSA-9에서 PBSA 분해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PCR을 수행하여 B.cepacia PBSA-7과 Burkholderia sp. PBSA-9는 약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