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3

        8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톱다리개미허린노린재(Riptortus clavatus)의 실내 사육에서 먹이로 이용할 수 있는 메주콩, 강낭콩, 서리태, 동부, 녹두, 팥을 대상으로 섭식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저장되었던 콩 종류별로는 메주콩과 강낭콩을 각각 15.7 ± 5.5%와 12.7 ± 2.5% 섭식하였고 나머지는 2.3 ~ 3.3% 섭식하였다. 올해 수확한 콩과 콩꼬투리의 선호성 조사에서 메주콩은 콩보다 콩꼬투리를 더 선호하여 각각 11.7%와 39.3% 섭식하였고 동부콩과 동부콩꼬투리는 16.3%와 10.7%, 강낭콩과 강낭콩잎에 대해서는 15.0%와 11.3%로 선호성을 나타내었다. 올팩토메터(olfactometer)를 이용한 조사에서는 양자간 선호성 조사의 결과와 달리 메주콩에 50.0%, 서리태에 30.0%, 동부에 20.0% 유인되었다. 메주콩에서는 콩의 13.0% 보다 콩꼬투리에서 44.0%로 많이 유인되었고 동부콩은 콩에 25.0%, 동부콩꼬투리에 19.0% 유인되었다. 콩과 콩꼬투리 의 평균 흡즙시간은 성충과 약충에서 각각 140.8 ± 80.8초와 138.3 ± 69.4초로 조사되었다. 햇콩과 콩꼬투리에서는 성충과 약충 모두 콩꼬투리를 68.3%로 선호하였으며 저장된 콩과 햇콩의 비교에서는 성충은 저장된 콩을 68.2% 약충은 햇콩을 58.6% 섭식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암컷 성충은 사육상자내의 색종이에는 산란하지 않았으며 강낭콩 잎에 2개, 솜에 7개, 비닐에 6개 그리고 아크릴 사육상자에 7개와 13개를 산란하였다.
        8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RF-EMF exposure levels in indoor daycare centers in a Metropolitan city. RF-EMF measurements were collected and surveyed from 50 volunteer daycare centers in the Korea between October 2013 and October 2014. Through our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main exposure source for indoor daycare centers is the frequency bands for TV and Radio broadcasting (FM: 88.1~107.9 MHz), mobile phone (869~894 MHz, 1840~1870 MHz, 1885~2170 MHz), wireless LAN and home electronics, etc., including TR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e RF-EMF exposure levels for all daycare centers were far below the recommended standards of EMF Guideline Korea and international reference levels proposed by ICNIRP (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Ionizing Radiation Protection). However, in terms of long term health effects some uncertainty exists, and thus minimizing exposure may reduce this uncertainty. The data we collected will be useful data for determining RF-EMF management and risk communication at daycare centers.
        4,000원
        83.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점점 애완 식품 시장이 발달하고 있음에 따라 천연물을 소재로 하여 치석, 치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성 수제 간식을 개발하고 그것을 통하여 구강의 건강을 개선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개들은 주변 학우들에게 연구에 대하여 설명을 해주고 동의한 학우들의 개들에 통하여 진행하였다. 간식 급여 기간은 2016년 5월 11일 ~ 25일까지 2주간 급여를 진행하였고, 체중을 기준으로 급여하였다. 지표를 이용하여 치석, 치태의 축적도를 관능검사로 평가하였다. 상이한 대상을 통한 연구로 인하여 정확하지 못한 실험 결과를 초래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적절한 동물들의 사용과 재료에 대한 연구와 실험방법, 실험기간을 제대로 확립한다면 치석, 치태 감소에 좋은 새로운 소재라 생각한다.
        4,000원
        84.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 10℃ 이하의 저온환경에서 콘크리트 강도 발현이 늦어지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조강 시 멘트와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혼합시멘트로 강도 발현을 개선하기 위한 응결 특성에 대한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응결 특성 분석 실험은 표 1과 같이 6종 배합과 4~10℃ 온도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2성분계 혼합 시멘트의 응결 시간에 대한 분석 결과는 그림 1과 같다. 초결의 경우 전체적으로 살펴보 면 3종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의 응결 시간이 1종 시멘트를 사용한 배합보다 더 빨리 나타났다. 4℃ 온도 조건에서는 3종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 광물성 혼화재들이 들어가지 않은 배합이 가장 빠른 초결이 나타 났으며, 다음으로 플라이애쉬, 그리고 슬래그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른 온도조건(10℃, 15℃, 20℃) 에서는 슬래그와 플라이애쉬의 초결은 큰 차이가 없었다. 1종의 경우에서는 슬래그를 사용한 경우와 혼화 재를 사용하지 않은 배합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플라이애쉬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늦었다. 이러한 경향 은 전 온도조건에서 유사하였다. 다음으로 종결에 대한 분석 결과, 시멘트 종류에 대한 경향은 초결과 유 사하였다. 1종 시멘트를 사용한 배합에서는 4℃에서 일반시멘트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빨랐으며, 다음으 로 슬래그, 그리고 플라이애쉬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고속도로 콘크리트 포장 시공 시 사용 하는 1종-F2S0-6%의 배합보다 3종시멘트에 플라이애쉬나 슬래그를 사용한 배합의 초결 및 종결 모두 다 앞당겨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0℃ 이하의 저온환경에서 콘크리트 강도 발현을 개선하기 위해 혼합 시멘트에 대한 응 결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온 환경에서 플라이애쉬 또는 고로슬래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1종 시멘트 와 비교하여 3종 시멘트를 사용하였을 때 초결 및 종결이 조기에 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3종 혼 합 시멘트 사용에 대한 특성 분석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85.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sponge cakes were prepared with replacement of 1, 3, and 5%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The specific gravity tended to increase as the ratio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increased. The control group had higher moisture content, volume, and specific volume than the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samples. As the amount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increased, L and b value increased. In terms of textural characteristics, Sponge cake levels of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increased as the amount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additive in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overall acceptability of 3%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was the highest. Based on the above results, sponge cake, made by addition of 3% spergularia marina griseb could be helpful in improving physical quality as well as taste enhanc the functionality of the product.
        4,000원
        8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중량충격음을 예측하기 위해 구조해석 모델과 음향해석 모델을 개발하고 예측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패널 임피던스 값을 사용하여 거실의 적절한 흡음 특성을 반영할 수 있었으며, 수치해석에 주파수 응답함수 특성을 적용하여 1회 수치해석만으로 다양한 충격원에 대한 응답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조진동에 의한 실내 소음해석은 유한요소 수치해석 기법이 진동 및 음향모드에 대한 응답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 연구의 예측결과는 실험결과와 비교적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향후 정확도가 보다 향상된 수치해석 모델개발을 통해 바닥충격음 저감에 효과적인 공동주택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87.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길림성의 인삼재배기술현황과 토양이화학성 등을 조사분석함으로써 FTA 대응 중국삼과 국제경쟁력을 확 보하고 국내인삼산업발전에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 하였다. 1. 지역별 인삼재배 형태는 대부분 임야를 개간하여 재배되 었고 평지 재배는 미미하였다. 이식재배가 직파재배보다 많으 며 밀식재배 하였고 종자는 주로 중국재래종을 구입하여 재배 하였고 자가채종도 40% 이상을 점유하였다. 2. 지역별 해가림 시설은 일정한 설치 방향이 없었고 대부 분 아치형 형태로 설치하였으며 한국과 달리 두둑폭이 180 ~ 200cm 로 광폭재배를 하였고, 차광자재는 흑색차광망+ 청색비닐을 사용하였다. 3. 인삼재배농가의 토양이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길림성 북 부(연변자치주)와 남부지역 모두 토성은 양토 ~미사질양토였 으며 pH는 5.2 ~ 5.5범위로 강산성을 보였고 유기물 함량이 매 우 높은 토양이었다. 4. 특히, 인삼재배토양(표토)의 EC가 0.97 ~ 1.11 dS/m로 높 아 인삼생육기 염류피해가, 치환성양이온 중 Ca함량이 8.4 ~ 12.3 cmol+/kg로 높아 양분불균형 피해가 우려되었다.
        4,000원
        8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 포도재배가 늘어남에 따라 이마점애매미충(Arboridia maculifrons), 이슬애매미충(A. maculifrons), 검은볼애매미충(A. nigrigena)의 발생이 늘어나고, 농가에서 방제의 어려움을 격고 있다. 애매미충류는 포도잎을 가해하는 노린재목 흡즙성 해충으로 약충과 성충 모두 엽록소를 파괴하기 때문에 광합성효율을 떨어뜨리고, 당·산도 함량 및 착색 등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 미소해충 중의 하나이다. 애매미충류의 친환경적인 방제를 위해 완전 비가림하우스에서 접착트랩 색에 대한 유인효과를 검정하였다. 검정결과 yellow>blue,purple,white>red 순으로 유인반응을 보였다 실내에서 모니터링 상자를 이용한 LED(Light emitting diode) 반응은 white> green>blue>yellow>red 순으로 유인 반응을 보였으며, 포장시험에서도 white의 효과가 인정되어 일몰후 1시간, 일몰후 2시간, 19~21시로 나누어 야간 시간대별 LED 유인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야간온도가 25℃이상에서 유인효과가 인정되었으며, 20℃이하에서는 유인효과가 없었다. 이는 미소해충이 운동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기온과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8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변산반도국립공원 인공조림지 간벌예정지역의 대조구, 30% 및 50%의 조사지역에 20m X 20m 크기의 방형구를 각각 3개소씩, 총 9개소의 고정조사구를 정한 후 간벌직후, 간벌1개월 후에 지표성 곤충과 비행성 기생벌 채집 trap을 설치하여 채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간벌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중 곤충의 다양성의 변화에 대하여 모니터링 하고 분석하여 간벌의 효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pit-fall trap 조사시 총 6목 24과 51종 1,165개체로 딱정벌레목과 벌목(개미)의 종 수와 개체수가 가장 많이 채집 되었으며, Malaise trap으로 채집된 기생벌의 경우 총 12아과 17종 35개체로 딱정벌레목과 나비목에 기생하는 종들이 골고루 채집되었다. 각 간벌지역의 조도에 따른 곤충상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분류군은 벌목의 지표성 개미와 비행성 기생벌로 판단된다.
        9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지 포도재배는 강우에 직접 노출되어 열과와 병 발생이 많아진다. 그래서 도입된 것이 간이 비가림 재배이지만, 이것 역시 열과와 병 발생을 예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간이비가림 시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완전하게 강우를 차단하면서 자연적인 환기가 가능한 비가림 시설을 개발하여 적설하중과 풍하중을 내재해 규격에 맞추었다. 개선된 비가림 시설의 특성을 검증 하기 위해서 100m2 규모의 시설을 설치한 다음 관행 비 가림 시설과 시설 내외부 온도 분포와 그에 따른 포도 캠벨얼리의 품질, 갈반병 발생 및 열과율 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관행 비가림 시설과 개선된 비가림 시설의 온도 조사 결과 외기온이 34oC 이상일 경우 시설 내부온도가 관행 최대 40.7oC, 개선 시설은 37.4oC로 측정되어 개선 시설이 3정도 낮았고, 32oC 이하에서는 관행과 개선 시설 간에 온도 차이가 없었다. 과실 품질은 개선된 비가림 시설이 관행 비가림 시설보다 당도와 상품과율이 높았다. 개선된 비가림 시설이 관행에 비해 열과율과 갈반병 발병율이 현저히 낮았다.
        4,000원
        9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F (Extremely Low Frequency) exposure on the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103 students 12~13 years old were chosen for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56 students who went to school near an overhead powerline. The ELF exposure and environmental hazard factors were evaluated during a 24-hour exposure period. The body and dw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s well as disease occurrence related to the respiratory system and allergie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brain wave and electrocardiogram were also inspected. The exposure of the group exposed while at a school located near a powerline was 6.8 mG (p<0.01).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ults, neither the body or dw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ere affected by the ELF emitted from powerli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relation to the rate of occurrence of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wheezing, asthma and bronchitis. Although brain waves of the group exposed to ELF were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not exposed to it in terms of absolute power of gamma and beta,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ealth status of the two groups. According to our study, school students who lived near a power line were exposed to higher ELF levels than those away from a power line. The two group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Brain wave and ECG, but this change doesn't mean there is a difference in health status. Finally, our study has a limita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and the restricted area examined.
        4,000원
        94.
        2015.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umina dispersion strengthening copper(ADSC) alloy has great potential for use in many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contact supports, frictional break parts, electrode materials for lead wires, and spot welding with relatively high strength and good condu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xidation behavior of ADSC alloys. These alloys were fabricated in forms of plate and round type samples by surface oxidation reaction using Cu-0.8Al, Cu-0.4Al-0.4Ti, and Cu-0.6Al-0.4Ti(wt%) alloys. The alloys were oxidized at 980 oC for 1 h, 2 h, and 4 h in ambient atmosphere. The microstructure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OM)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equipped with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S). Characterization of alumina was carried out using a 200 kV field-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 As a result, various oxides including Ti were formed in the oxidation layer, in addition to γ-alumina. The thickness of the oxidation layer increased with Ti addition to the Cu-Al alloy and with the oxidation time. The corrected diffusion equation for the plate and round type samples showed different oxidation layer thickness under the same conditions. Diffusion length of the round type specimen had a value higher than that of its plate counterpart because the oxygen concentration per unit area of the round type specime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late type specimen at the same diffusiondepth.
        4,000원
        9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paper describes the expansion caused by the alkali-aggregate reaction (AAR) in concrete pavement currently in service. It also discusses the effects of joints installed to release the stress induced by the AAR expansion. METHODS: The expansion effect on concrete pavement was verified by a visual inspection and long-term measurement of the joint width of a cut-section. The behaviors of 16 newly installed joints were monitored as part of the investigation and long-term monitoring was carried out for three years after cutting. RESULTS: The behavior of a bridge was affected when AAR occurred in the connected pavement. The newly installed joints shran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fter cutting. The width of the joints decreased over the six months after cutting. A large portion of the joint width (8.5cm) was found to have closed nine months after cutting. It had ultimately shrunk by about 92 percent when the final measurement was taken. CONCLUSIONS : The expansion of the pavement due to AAR was quantitatively described by visual inspection and the long-term monitoring of the newly cut joints. However, the width of the new joints decreased over the six to nine months after cutting.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termine a means of controlling the expansion due to AAR in the pavement.
        4,000원
        9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부한 다음에 개별 스톨에서 사육하고 3주 후 임신진단을 하여 임신을 한 경산돈을 개별 스톨 시설과 Shoulder length barrier 시설에서 각각 계절별 30두씩 12주 동안 사육한 후 분만 1주일 전에 분만사의 분만틀 시설로 옮겨 4주 동안 사육하고 산자수, 생시체중, 이유두수, 이유체중 및 체평점 등을 평가함으로써, 임신돈사의 개별 스톨 시설과 Shoulder length barrier 시설이 분만모돈의 분만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동일 계절에서 시설 간의 분만모돈의 생산성은 차이가 없었으나(p>0.05), 봄, 가을 및 겨울에 비하여 여름에 더위 스트레스로 인하여 산자수와 이 유두수가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신기간 동안 임신돈을 사육하는 개별 스톨 시설과 Shoulder length barrier 시설이 분만모돈의 분만성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7.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여러 형태의 이유자돈사에 대하여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상으로 모델화하여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실제 돈사에서 각종환경요인과 이유자돈의 증체율 및 폐사율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에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돈사로는 복도-더그매 예열 음압환기방식 무창이유자돈사(Model-1), 더그매 예열 음압환기방식 무창이유자돈사(Model-2), 그리고 윈치커튼형 음압환기방식 개방이유자돈사(Model-3)가 이용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Model-1이 Model-2와 Model-3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낮은 풍속과 균일한 풍속분포도를 나타냈으며 모델간의 평균 온도, 평균 상대습도 및 평균 암모니아 농도가 차이가 없었으나(p>0.05) Model-1과 Model-3의 종료체중과 일당증체량이 Model-2에 비해 높았다(p<0.001). 따라서 Model-1이 Model-2와 Model-3에 비하여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200원
        98.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멸구는 벼를 가해하면서 벼줄무늬잎마름병(RSV)을 매개하여 큰 피해를 주는 노린재목 멸구과(Delphacidae)에 속하는 벼의 주요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 대염기서열분석법(NGS)을 이용하여 이배체 양성생식을 하는 애멸구(상동염색 체: 14쌍, 성염색체: XX(♀), XO(♂))(Noda and Tatewaki, 1990)의 전장 게놈 유전 체 해독을 위한 준비단계로 해독 라인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Paired-end sequencing 방법으로 얻어진 실내 누대 사육 애멸구 집단들(Y, S, NA, NB)의 게놈 염기서열을 k-mer distribution analysis를 통해 애멸구의 예상 게놈 사이즈와 Heterozygosity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sequencing coverage 1 이후 좁고 높은 피크 가 형성된 집단은 찾지 못하였으나 그중 넓지만 상대적으로 높게 피크가 형성된 NB 집단을 통해 애멸구의 예상 게놈 사이즈는 약 528~559Mb로 추정되었다. NB 집단의 read sequence를 de novo contig assembly를 진행한 결과 total size 671Mb 로 나와 예상 게놈 사이즈와 100Mb 이상 차이를 보였다. NB 집단으로부터 Inbreeding 라인을 3세대 이상 만들어 애멸구 게놈 유전체 해독 라인으로 활용할 예 정이다.
        99.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orphous (a-Si) films were epitaxially crystallized on a very thin large-grained poly-Si seed layer by a silicide-enhanced rapid thermal annealing (SERTA) process. The poly-Si seed layer contained a small amount of nickel silicide whichcan enhance crystallization of the upper layer of the a-Si film at lower temperature. A 5-nm thick poly-Si seed layer was thenprepared by the crystallization of an a-Si film using the vapor-induced crystallization process in a NiCl2 environment. Afterremoving surface oxide on the seed layer, a 45-nm thick a-Si film was deposited on the poly-Si seed layer by hot-wire chemicalvapor deposition at 200oC. The epitaxial crystallization of the top a-Si layer was performed by the rapid thermal annealing(RTA) process at 730oC for 5 min in Ar as an ambient atmosphere. Considering the needle-like grains as well as the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top layer as produced by the SERTA process, it was thought that the top a-Si layer wasepitaxially crystallized with the help of NiSi2 precipitates that originated from the poly-Si seed layer. The crystallinity of theSERTA processed poly-Si thin films was better than the other crystallization process, due to the high-temperature RTA process.The Ni concentration in the poly-Si film fabricated by the SERTA process was reduced to 1×1018cm−3. The maximum field-effect mobility and substrate swing of the p-channel poly-Si thin-film transistors (TFTs) using the poly-Si film prepared by theSERTA process were 85cm2/V·s and 1.23V/decade at Vds=−3V, respectively. The off current was little increased underreverse bias from 1.0×10−11 A. Our results showed that the SERTA process is a promising technology for high quality poly-Si film, which enables the fabrication of high mobility TF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poly-Si TFTs with low leakagecurrent can be fabricated with more precise experiment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