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8

        10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수× 수수 교잡종의 원형 곤포 및 트렌치 사일리지의 부위에 따른 사료가치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천안에 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자원개발부 에서수행되었다. 수수× 수수 교잡종 SS405는 5월초순에 파종한 다음 출수기에 수확하여 사일리지로 조제하였다.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조단백질, NDF 함량 및 in vitro 건물소화율은 트랜치사일리지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NDF 및TDN 함량에서는 원형 곤포사일리지 보다 트랜치 사일리지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사일리지부위별 조단백질 함량은 외부나 중간부위 보다내부에서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p<0.05),NDF, ADF 및 TDN 함량 및 in vitro 건물소화율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젖산 함량은 트랜치 사일리지 보다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초산 함량도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을 뿐 유의차는 나타나지않았다. 그리고 사일리지 부위별 젖산, 초산 및낙산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000원
        10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남 신안군 비금도 간척 논에서 백수현상이 나타난 벼를 조사료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백수 벼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유기산 등 품질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벼 백수현상이 가장 심한지역의 총체 벼의 수량은 정상지역보다 약 800 kg/ha 정도 감소되었다. 그리고 벼 백수현상이 가장 심한지역에서의 총체 벼의 조단백질 함량 및 TDN 함량은벼 백수현상이 없는 정상생육 지역 보다 약간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ADF 및 NDF 함량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p<0.05). 벼 백수현상이 가장 심한지역과 정상지역의 총체 벼 사일리지pH는 4.0~5.0을 나타냈으며 젖산균 접종에 의해 pH가 저하되었다. 벼 백수지역과 정상생육지역 모두 젖산균 접종에 의해 젖산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초산과 낙산함량은 감소되었다(p<0.05). Flieg법에 의한 총체 벼 사일리지의품질등급은 젖산균을 접종함으로써 2~3단계 상승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백수현상이 나타난 벼도 조사료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10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간척 논에서 재배된 벼의 백수를 조사료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백수 벼의 아미노산 조성을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분석된 벼 시료는 전남신안군 비금도 벼 백수 피해가 일어난 약1,000 ha의 벼에서 채취하였다. 총체 벼의 조단백질 함량은 엽 > 알곡 > 잎집 > 줄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백수정도에 따른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가장 심한지역>중간지역>정상생육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한지역, 중간지역 및정상생육지역 모두 엽, 알곡, 잎집 및 줄기 내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가장 높은 함량을보였으며 methionine이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벼 백수 피해가 일어난 지역의 벼와 정상생육이 진행된 벼의 아미노산 함량은비슷한 수준을 보였지만 벼 백수피해 정도에따라 조사료원으로써 영양적인 가치가 차이가있을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조사료의 영양적측면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4,000원
        106.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강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피틴산을 식육에 적용하여 식육에서의 항균활성과 항산화능을 조사함으로써 식품보존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피틴산이 첨가된 Tryptic soy broth에 S. Typhimurium KCCM 11806을 배양하였을 경우 1%(w/v) 피틴산 첨가 시 S. Typhimurium의 생육을 완전히 저해시켰다.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 효과는 1.0%(w/v) 피틴산 첨가 시 약 3.0 log 단위의 생육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신선한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에 S. Typhimurium을 접종하고 피틴산을 첨가하여 37o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피틴산의 항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식육에서 항균효과가 피틴산 농도에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1%(w/v) 피틴산 첨가 시 약 3.0 log 단위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생육인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에 피틴산을 여러 농도로 첨가한 결과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는 모든 생육에서 0.5% 피틴산 첨가 시 약 2.0 log 단위의 생육저해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가열 처리된 식육에서도 첨가된 피틴산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식을 억제하였다. 생육에 피틴산을 첨가하여 4oC에서 3일간 저장할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TBARS(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값이 증가하였으며 피틴산을 5 mM 첨가하였을 때 TBARS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식육에서의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4,000원
        107.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e of scapular alignment on the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of the trapezius in people with a short pectoralis minor muscle. For the study, we recruited 15 volunteers who had positive results for short on a pectoralis minor muscle length test. We measured the EMG activity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trapezius muscles. The participants lifted their dominant arm to ear level with the thumb up toward the ceiling in the prone position on a table with the shoulder at a flexion angle of 180 degrees and a horizontal abduction angle of 120 degrees. Scapula was manually aligned by an experienced physical therapist prior to arm lift for the scapular alignment condition. A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capular alignment on the EMG activity of the trapezius muscles. The EMG activity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test with the scapular alignment compared to that without scapular alignment (p<.05), while the upper trapezius and middle trapeziu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ditions (p>.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scapular alignment may alter the recruitment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 during arm lifting in the prone position in people with a short pectoralis minor muscle.
        4,000원
        108.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해안 주요 개 방풍림의 식생구조를 8 분석하고 관리 방안을 모색하여 새만금 유역의 방풍림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8개 방풍림에 출현하는 식물은 총 25과 40속 4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교목층은 모두 곰솔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수종의 단층구조를 보이는 방풍림은 2개소이며, 단일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된 방풍림은 2개소였으며, 4개 방풍림은 여러 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기능적으로 안정적인 방풍림의 구조는 수직적으로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이 모두 존재하는 복층구조가 적합하며, 수평적으로는 교목은 내륙 쪽에 관목은 해안쪽에 식재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단순림보다는 침엽수와 상록활엽수를 함께 혼합하여 식재하는 혼효림이 방풍림 기능의 효과를 더 향상시킬 것이며 병해충에 대한 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109.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생물 발효에 의한 녹차 추출물의 쓴맛 감소와 관능성 개선을 위하여 식품으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녹차 추출물을 발효시킨 후 catechin 성분 분석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된 100종의 미생물을 2, 4, 6, 8, 10%(w/v) 녹차 추출물에 배양하였을 때 2%와 4% 녹차 배지에서 최대 생육도을 나타내었다. 녹차 추출물 발효액의 HPLC에 의한 catechin 종류별 분석 결과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epigallocatechin (EGC), epicatechin(EC)는 발효에 의해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고(EGCG : 125.45→65.42 μg/mg, EGC : 85.96→38.03 μg/mg, EC : 25.64→13.84 μg/mg), gallocatechin gallate (GCG)와 gallocatechin(GC)의 함량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GCG : 7.79→85.22 μg/mg, GC : 9.46→64.59 μg/mg). 발효 후 galloyl residue를 가지는 cathechin(EGCG, ECG, GCG, CG)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나타낸 유산균 11주를 선정하여 녹차 추출물을 발효시킨 후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62901과 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K200132가 전체 기호도 조사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기호도가 좋게 나타난 샘플의 맛 패턴 특성을 살펴보면 구수한 향미는 강해지고 상대적으로 풀 비린 향미와 쓴맛이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1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E. coli, total coliform and S. aureus of seasoned dried fishes (SDF) in Korea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81 SDF samples were purchased randomly from 28 stores. Contamination range of total aerobic bacteria, total coliform and S. aureus were 150~1,700,000, 10~31,000and 10~220 CFU/g, respectively. E. coli was detected in only one samples in the qualitative test. We have analyzed quantitatively Staphylococcal enterotoxins (SE-type A, C and D) produced by S. aureus contaminated in SDF using a TECRA kit and standard curve. The curve equation was Y = 0.1499 * X + 0.1183 and maximum amount of SEs in SDF was 0.71 ng/ml. Reduction speed of S. aureus in SDF stored at 37 ℃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stored for 8 days at different temperature of 7, 18 and 37℃ .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DF in Korea can be contaminated by a variety of pathogenic bacteria. Therefore, precautionary measures are necessary for consumer protection,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sanitary conditions in the processing plants in Korea.
        3,000원
        111.
        2011.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원자력을 이용한 황-요오드 수소생산 공정 중 황산용액을 이송하는 기존의 시스템과 달리 새로운 황산 이송장치는 벨로우즈 박스 내에서 벨로우즈 외측으로 고온 부식성 액체인 황산이 흐르고, 벨로우즈 내측으로는 냉각수가 흐르는 상태에서 주기 운동을 통해 황산용액이 펌핑 되도록 구성된다. 200 ℃ 이상의 고온 부식성 액체인 황산용액을 정량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장치의 주요부품인 벨로우즈 주변의 열해석을 통해 온도분포를 확인하여, 테프론 재질의 벨로우즈의 내식성 및 내열성을 파악하고, 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취득하고자 하였으며, 냉각수 입구직경 3 ㎝, 질량유량이 3.9199 ㎏/s로 고정한 경우 벨로우즈의 길이에 관계없이 테프론 변형온도 이하임을 알 수 있었다.
        112.
        2011.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피해목 가해 환경 분석을 위해 피해목과 버섯해충에서 분리된 Trichoderma atroviride, T. citrinoviride, T.harzianum, Gliocladium viride 등 4종의 푸른곰팡이에 대해서 서로 다른 온도, pH, 배지에서 키워 최적의 생장 조건을 조사하였다. 온도 실험 결과 4종 모두 25℃ 및 30℃에서 잘 생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richoderma citrinoviride가 가장 빠른 생장을 보였는데, 특히 37℃, 30℃ 그리고 25℃에서 빠른 생장을 보였으며, 15℃와 20℃에서는 생장이 느렸다. Trichoderma harzianum은 비교적 빠른 생장을 보였으며, 37℃에서는 T. harzianum 과 Trichoderma atroviride는 생장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재배사의 온도 변화에 따라 이들 균류의 생육이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데 특히 종에 따라 약간 고온성과 저온성이 존재하고 이들 간에 서로 길항관계를 나타내고 있지 않으므로 이들 종이 섞여서 피해목에 존재할 경우 20도와 35도 사이의 온도분포를 지니는 재배 환경에서는 모두 표고골목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pH 테스트와 배지별 생장 테스트 결과 4종 모두 pH5 - pH9에서 큰 차이 없이 생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고 골목의 산도가 보통 5.5이므로 이들 4종의 해균이 생육하기에는 무리가 없는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서로 다른 배지인 PDA, MEA, CYA 에서도 대체로 큰 차이 없이 생장하였지만 CYA 배지에서 T. harzianum과 Gliocladium viride는 다른 2종과 비교할 때 생장이 조금 느린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해균의 영양 요구도가 종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버섯파리 피해가 발생한 재배사의 온도와 습도에 대한 실내 모니터링을 2010년 6월 25일부터 2011 1월 16일 까지 실시한 결과 여름철(7월, 8월) 재배사내 온도는 17℃~34℃범위로서 이는 시험한 4종의 푸른곰팡이균에 있어서는 최적 생장 온도범위였다. 특히 온도가 가장 낮은 시간대인 새벽 5시에는 17℃~25℃ 였는데 이러한 온도에서는 T. atroviride가 최적의 생장을 보이고 있고, 온도가 가장 높은 시간대인 낮 2시는 대게 30℃ 이었고 최고 기온은 34℃ 이었는데 이러한 온도에서는 T. citrinoviride와 G. viride가 최적으로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온도가 많이 올라가는 낮 시간대에는 T. citrinoviride와 G. viride가 생장을 하여 표고골목에 피해를 줄 수 있고, 비교적 낮은 온도인 새벽시간에는 T. atroviride와 T. harzianum가 생장하여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봄부터 가을 까지 재배사내환경은 4종의 푸른곰팡이가 밤낮으로 표고골목에서 증식할 수 있음을 추정 할 수 있었다.
        114.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순천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품종의 과실 특성을 파악하여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품종별 밤송이의 착과수는 축파가 평균 122.5개로서 가장 많은 착과수를 나타내었고, 품종별 변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밤송이당 평균 함과수의 범위는 1.3 (국견)~2.4 (평기)로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입중은 17.5 (출운)부터 28.1 g (국견)까지로 품종간 변이가 컸다. 밤나무 과실 수확량은 상림의 1,000.4 g부터 축파의 5,479.5 g까지 품종간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전과의 비율이 가장 높은 품종은 창방감율 (90.8%)이었으며, 80% 이상의 건전과 비율을 나타낸 품종은 국견, 단택, 축파, 대보, 평기, 신이평의 6품종이었다. 열과율은 0.0~26.1%로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창방감율이 0.0%로 가장 낮았으며 광덕이 26.1%로 가장 높았다.
        4,000원
        115.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탈지미강으로부터 피틴산을 추출 및 정제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설정하였다. 탈지미강을 10배수의 0.5% HCl 용액으로 1시간 처리하였을 때 피틴산의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중화제로는 0.5% NaOH 용액이 적합하였다. 피틴산의 정제를 위하여 Diaion HP20 흡착 컬럼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여러 가지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피틴산을 정제하였을 때 Amberlite IRA-416 이온교환수지의 회수율이 가장 높았다. Amberlite IRA-416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피틴산을 수지에 흡착시킨 다음 0.5% NaOH 용액으로 용출시켰을 경우 89%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피틴산의 총단백질 함량은 0.14%(w/w)로 대부분의 단백질이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4,000원
        116.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and black rice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y of rice and to show the potential of rice as a functional ingredient. Bioactive compounds were extracted from brown and black rices with aqueous solvents like 80% ethanol.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brown and black rices’ extracts were determined. Brown rice showed much higher amou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tive capacity than those of milled rice indicating that most of bioactive compounds are located in the bran layer. Black rice showed higher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tive capacity than those of brown rices. The highest antioxidative capacity was obtained from Heugjinju followed by Heugseol, Sinnongheug-chal, Hopum and Samkwang. This result indicated that antioxidative capacity is affected by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Both brown and black rices contained higher amount of ferulic acid than that of p-coumaric acid.
        4,000원
        118.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와 같은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한 친환경 고성능 3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 교면 포장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하였다. 광물질 혼화재의 혼입률 변화에 따른 3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의 최적배합을 찾기 위하여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시험을 하였으며 최적배합을 사용하여 내구성 시험인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동결융해, 박리 저항성, 균열 저항성 및 알칼리골재반응 시험으로 친환경 고성능 3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 교면 표장의 내구성 평가 및 신 구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착강도 시험을 하였다. 시험결과, 시멘트 70%, 고로슬래그 미분말15% 및 플라이애시 15%의 배합 바인더에서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최적배합으로 도출하였다. 실내 및 시험시공에서 최적 배합을 사용한 실험결과는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 표면박리 저항성, 알칼리골재 반응 억제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특수 제작된 Polymer Cement Mortar(Brooming)를 사용한 신 구 콘크리트의 부착력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4,000원
        119.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blood test is a laboratory analysis performed on a blood sample that is usually extracted from a vein in the arm using a needle, or via fingerprick. They are used to determin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states, such as disease, mineral contents, drug effectiveness, and organ function. Although the term blood test is used, most routine tests (except for most haematology) are done on plasma or serum, instead of blood cells. Main advantage of using saliva in diagnostics is easy and non invasive sample taking compared to peripheral blood. According to the study published, saliva contains more than 20 percent of the proteins found in blood.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compare biochemical enzymes in saliva and in blood serum an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saliva specimens instead of blood in dental clinic. The saliva from 215 healthy over 50 years of aged people lived in Dong-gu district, Gwangu city was collected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six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 ELISA results were compared with blood chemistry results. The values or patterns on Alanine Aminotransp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perase (AST),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saliva were not correlated with those in blood serum. However, Albumine and γ-glutamyl transpeptidase (γ-GTP) were foll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blood chemistry. These result showed that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lbumine and γ-GTP level could be established by saliva ELISA analysis, so that ELISA assay on saliva could be useful alternative to serum testing.
        4,000원
        120.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밤나무 품종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남부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주요 품종의 과실 특성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조사하였다. 품종별 착과수는 37.7 (광주조율)~183개 (주옥)로 품종 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밤송이 내에 들어 있는 평균 함과수는 1.2~2.0개로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대 (Idea)는 1.2개였고, 산대와 광은은 2.0개였다. 입중도 품종간 차이가 많았는데, 광덕이 31.3 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광주조율은 14.1 g으로 가장 소립품종이었다. 건전과의 비율이 가장 높은 품종 은 창방감율 (89.9%)이었으며, 건전과 비율이 80% 이상인 품종은 국견, 유마, 축파, 광은, 평기 5품종이었 다. 부패과에 있어서는 신이평과 출운이 각각 10.8, 16.8%의 비율을 나타내어 수확 후 저장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열과율에 있어서는 0 (창방감율)~20.6% (세일)로 품종별로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산 대, 이평, 주옥, 광덕, 세일은 15% 이상이었으나 국견, 유마, 축파, 만성, 창방감율, 축파변이, 출운은 3% 이 하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