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8

        18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성인과 아동에서 굴절이상 정도와 안광학 상수 간에 상관성이 감소하는 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방 법: 청주에 거주하는 194명(성인 116명, 아동 78명)을 대상으로 자동굴절력계와 안구계측기로 굴절검 사와 안광학 상수를 측정하였다. 각막곡률반경과 전안방 깊이는 전안부 안광학 상수로, 안축장은 후안부 안 광학 상수로 이용하였다. 전안부와 후안부의 통합된 안광학 상수인 안축장 대 각막곡률반경의 비(AL/CR ratio)와 굴절이상 정도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각 안광학 상수와 굴절이상 정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한 후 안축장에 따라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이 없어지는 값을 찾고, 이를 등가구면굴절력으로 제시하였다. 결 과: 성인과 아동에서 굴절이상 정도와 안광학 상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안축장과 각막곡률반경을 각각 적용하였을 때 보다 안축장 대 각막곡률반경비(AL/CR ratio)로 나타날 때 설명력이 높았다(아동 그룹 r2=0.681, p=0.000, 성인 그룹 r2=0.723, p=0.000). 성인과 아동에서 전안부와 후안부의 안광학 상수 사이 에 상관성이 없어지는 안축장의 길이를 찾았다. 아동에서 각막곡률반경과 안축장의 상관성은 안축장 24 mm 를 기준으로(r=-0.174, p=0.238), 전안방 깊이와 안축장은 25 mm를 기준으로(r=-0.153, p=0.585) 안축장 이 길어질 때 상관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에서 각막곡률반경과 안축장의 상관성은 24.5 mm를 기준으로, 전안방 깊이와 안축장은 26.0 mm를 기준으로 안축장이 길어질 때 상관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r=0.178, p=0.083, r=0.054, p=0.796). 기준점이 되는 각 안축장 값을 등가구면굴절력으로 나타냈 을 때 아동에서 24 mm는 약 -1.30D, 25 mm가 약 -3.20D로 나타났고(r2=0.609) 성인에서 안축장 24.5 mm가 약 -2.10D, 26 mm가 약 –4.30D로 나타났다(r2=0.450). 결 론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은 정시를 벗어나 어느 정도 비정시가 된다 하더라도 지속적인 상관관계 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시화는 특정 나이나 시력에 대한 기존의 기준과 더불어 지속적 연구를 통해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 유무에 대한 고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200원
        18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20대 이후 성인의 연령에 따른 시기능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 법: 눈의 이상 질환과 전신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200명의 우세안을 기준으로 시기능 요소를 조절타 깃(근점봉), PD자, 그리고 포롭터를 사용하여 3회 반복 검사하였다. 결 과: 전체 연령 평균은 39.57±11.41세이고 남자 131명 39.56±10.50세, 여자 69명 39.58±13.06세이 었다. 우안 우세안은 168명(84%), 좌안 우세안은 32명(16%)으로 나타났다. 우세안에서 안구돌출도 13.62±1.07 mm, 근시도 –2.48±1.91 D, 원거리 외사위 3.51±1.78 Δ, 근거리 외사위 5.73±2.44 Δ, 폭주 근점 9.63±2.82 cm 그리고 조절근점 21.73±10.28 cm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원거리 외사위, 근거리 외 사위, 안구돌출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폭주근점, 조절근점, 원거리 내사위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근 거리 내사위도는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근시, 난시, 나안시력은 연령 의 증가와는 관련성은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연령이 증가할수록 원거리 외사위, 원거리 내사위, 근거리 외사위, 폭주근점, 조절근점 그리고 안 구돌출도는 증가하였다. 반면 근거리 내사위는 감소하였고, 근시, 난시 그리고 나안시력은 연령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4,000원
        18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status by household income in female adults, using data from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Subjects were 8,356 women over the age of 20 year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y household income level. Dietary data from 24 hr recall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nutritional status. The obesity rate of the low incom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tes of other income groups. Additionally,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low income group was worse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percentage of carbohydrate in total energy intake was higher and food security status was lower in the low income group than in other groups. Awareness and adherence to dietary guidelines were also lower in the low income group. Adherence to a dietary guideline of ‘avoiding salty foods and trying to eat foods with bland taste’ and ‘eating a variety of foods from each foo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However, the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among the low income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oth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low income women should decrease the percentage of carbohydrate in total energy intake and adhere to dietary guidelines, especially those of avoiding salty foods and eating a variety of food groups, in order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4,500원
        18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etary intake according to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less than 10% = low-risk group; 10~20% = middle-risk group) based on Framingham risk score (FRS), on 122 male adult subjects. The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while height of the low-risk group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that of the middle-risk group. The daily energy intake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 in the low-risk group with 1,910.88 kcal, compared to 1,606.63 kcal of the middle-risk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nutrient intake per 1,000 kcal of energy, while the low-risk group had significantly high intake of animal protein, fat, and animal fat compared to the middle-risk group, the intake of plant protein, carbohydrate, and plant ir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 The daily food intake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 in the low-risk group (1,445.16 g), compared to the middle-risk group (1,075.12 g). The low-risk group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 intake of sugars, eggs, and beverages compared to the middle-risk group, while mushrooms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middle-risk group. Dietary variety score (DVS)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low-risk group with 26.42, compared to 22.66 of the middle-risk group. Dietary diversity score (DDS) was indicated to be significantly high in the low-risk group with 3.70, compared to 3.27 of the middle-risk group. The low-risk group wa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ly high score in DDS of dairy products and fruit group, compared to the middle-risk group. In the correlation between diversity index of food intake (DVS and DDS) and FRS, DDS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ion with FRS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To sum up these results, the adult males with low-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had more various consumptions of fruits and milk, compared to the subjects with the middle-risk. The proportion of consuming major food groups such as cereals, meat group, milk, fruits, and vegetables more than a fixed quantity was indicated to be high. Accordingly, dietary habit for intake of various food seems to be necessary, to prevent coronary heart disease.
        4,200원
        185.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아세포종은 주로 유년기에 발생하지만, 성인에서도 발생하는 아주 드문 췌장의 종양이다. 성인에서 발생하는 경우예후가 나쁘지만, 조기 진단 및 수술적 절제가 장기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상학적 검사에서는 고형 유두상 상피성 종양, 관샘암종, 세엽세포암 등을 감별진단에 포함시켜 야 한다. 수술적 완전 절제가 원칙이며, 수술후 보조 항암치료 및 항암방사선치료의 경우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소화불량으로 내원하여 영상학적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췌장 종괴로 고형 유두상 상피성 종양을 의심 하에 수술을 계획하였고, 수술후 조직학적으로 췌아세포종을 진단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4,000원
        186.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awareness, preferences, and the current state of consuming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 while eating-out in 435 adults aged 20 and above in Daegu, Korea. Most subjects (95%) showed awarenes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 and 88.5% of subjects answered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 is ‘needed’. The percentage of eating out for families was 58.9%, and 49.0% of subjects said they eat out one to three times per month on average. In addition, subjects preferred a price range between 10,000 and 20,000 won per person when eating out, and they mostly favored Korean restaurants when ordering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 Analysis of awarenes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 showed that among ‘health’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dietary essential’ factors, ‘health’ factor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for awareness. A survey on preferred foods by gender showed that both genders preferred vegetables the most. The results show that subjects in their 20s and 30s favored vegetables and fruits while subjects in their 40s preferred vegetables and grain animal products. Analysis of preferred type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foods showed that men preferred polished rice while women preferred brown rice. Subjects in their 20s and 30s preferred strawberries, whereas those in their 40s preferred cherry tomatoes and those in their 50s and above favored tomatoes (p<0.001). Among root and tuber crops (63.4%), sweet potato was the most preferred. Among fruits, subjects preferred apples while among special crops, they most preferred oyster mushrooms; both genders preferred Korean beef. The most preferred livestock product of subjects in their 20s was pork, whereas subjects in their 30s preferred Korean beef. Subjects in their 40s preferred Korean beef and pork in the same proportions, whereas subjects in their 50s and above favored eggs the most.
        4,300원
        18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e Hyun-hee and Park Chul-woo. 2013. The correlation between adult literacy and their vocabularie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1(3). The subject of literacy is no longer new, as it is clear that understanding various types of text is essential for daily lif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once adults have completed their formal school education, they are typically not provided with formal opportunities to improve literacy or vocabulary skills. In the context of lifelong learning, this reality opens the need for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iteracy and vocabulary. This paper discusses the findings from an experiment on adult literac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consisted of fifty adults over the age of fifty, and Group B consisted of fifty undergraduate stud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Group A overestimated their own literacy and vocabulary abilities, while Group B underestimated these skills. Secondly, in terms of the four language skill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Group A reported relative ease of use of these language functions. In comparison, Group B responded that they sometime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reading and writing. However, on test items pertaining to lexemes, synonyms, content, and genre,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rom Group A was lower than that of Group B.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we can conclude that the actual literacy of Group A was lower than that reported in their self-evaluations. Based on this finding, we suggest the necessity of literacy and vocabulary education for adults. (245 words)
        8,100원
        18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에서 식품섭취 조사를 실시한 대상자 8,019명 중 19~64세 연령의 성인 대상 자 4,556명(56.8%)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19~64세 성인의 상 용음식(밥류, 면․만두류, 국․탕류, 찌개류) 1인 1회 섭취분 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존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 성인 의 주요 상용음식의 1인 1회 섭취분량의 변화 패턴을 알아보 고자 하였다. 밥류 중 가장 높은 섭취빈도를 보인 것은 쌀밥 이었고, 1인 1회 섭취분량은 265 ㎖로 2005년 자료로부터 설 정된 250 ㎖와 유사하였다. 두 번째로 높은 섭취 빈도를 보인 것은 잡곡밥으로 3,472의 빈도로 거의 흰쌀밥에 가까운 섭취 빈도였고, 1회 1회 섭취분량은 250 ㎖였다. 면․만두류 중 가 장 섭취빈도가 높은 음식은 라면이었고, 1인 1회 섭취분량은 500 ㎖로 기존에 설정된 400 ㎖에 비하여 25.0%의 증가를 보 였다. 칼국수와 짬뽕은 2005년 설정량에 비하여 40% 이상의 감소를 보였다. 국․탕류에서는 콩나물국의 섭취빈도가 가장 높았고, 가장 높은 섭취빈도를 보인 국은 콩나물국의 1인 1회 섭취분량은 250 ㎖로 기존 설정량과 동일하였다. 상용 음식 으로 설정된 39종의 국 종류에서 기존 설정량과 항목이 일치 하는 28종 중 11종이 1인 1회 섭취분량의 감소가 보였다. 섭 취 빈도가 가장 높은 찌개류는 된장찌개였고, 1인 1회 섭취분 량은 125 ㎖로 기존 설정량(175 ㎖)에 비하여 28.6%의 감소를 보였다. 다음으로 섭취빈도가 높은 찌개류인 김치찌개의 1인 1회 섭취분량은 200 ㎖로 기존의 섭취분량(250 ㎖)에 비하여 20.0%의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2010년 국민건강영 양조사 자료로부터 설정된 1인 1회 섭취분량은 밥류의 경우 큰 변화가 없었으며, 섭취빈도가 높은 주요 국과 찌개의 경우 는 감소, 면류의 경우 라면은 증가, 칼국수와 짬뽕의 경우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 성인 상용식품의 1 인 1회 섭취분량이 조금씩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국과 찌개류 섭취량의 감소 추세는 나트륨의 저감화 정책 차원에 서 바람직한 변화로 사료된다.
        4,000원
        18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50~64세의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 해 일반사항, 건강관심도, 흡연 습관, 식습관 조사, 식생활 평 가 및 영양소 섭취 상태를 조사하였다. 1. 직업의 종류로는 비흡연군는 전문직, 흡연군의 경우는 영업직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p<0.05). 한 달 수입 은 조사 대상자의 29.8%가 500만원 이상이라고 답하였으며, 한 달 용돈은 전체 조사 대상자의 58.7%가 20만원 이상이라 고 답하였다. 2. 흡연군(42.0%)은 비흡연군(67.2%)에 비해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낮았으며, 운동을 하는 비율(비흡연군의 85.9%, 흡 연군의 50.0%)도 낮게 조사되었다. 3. 흡연 습관을 보면, 흡연은 처음 군대에서 호기심으로 시 작한 비율이 높았으며, 하루에 흡연량은 10개피 이상 피는 비 율이 68.0%로 조사되었다. 흡연자의 88.0%는 금연을 시도한 적이 있지만, 대부분 의지 부족(62.0%)으로 실패했다고 응답 하였다. 4. 흡연군에서는 고지방 육류를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섭취 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비흡연군의 경우 54.7%는 고지방 육 류 섭취를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비흡연군이 흡연군에 비해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5. 흡연군과 비흡연군에서 비타민 B2, 엽산 및 칼슘의 섭취 가 한국인영양섭취기준(2010)보다 매우 낮았다. 그러나 조사 한 영양소 중 나트륨의 섭취량은 두 군 모두에서 기준치(2010) 의 3배 이상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흡연군에 비해 비흡연군 에서 건강의 관심도가 높았으며, 고지방 육류의 섭취비율이 낮았고, 세 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흡연군은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낮았고, 운동하는 비 율도 낮게 조사되었으며, 고지방 육류를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영양소 섭취 상태에서는 두 군 모두 에서 비타민 B2, 엽산 및 칼슘의 섭취가 낮았고, 나트륨은 과 잉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흡연자의 경우에는 육류의 섭취를 줄이고, 항산화 물질이 많이 함유한 과일이나 채소의 섭취를 늘리도록 유도해야 하며, 저염식을 위한 영양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
        19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는 개인의 식품 소비에도 많 은 영향을 주었으며, 외식의 비중 또한 크게 증가하였다. 외 식의 증가로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올바른 음 식선택을 위한 영양성분이나 건강정보를 알려주는 영양표시 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외식업체 영양표 시가 의무사항은 아니며 외식 시 소비자들의 영양표시 활용 에 대한 인식 또한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한식 메뉴에 대한 영양표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영양표시를 통한 영양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한식당 영양표시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부 경기지 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2010년 2월 5일 부터 2월 27일까지 한식당 영양표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SPSS 18.0 package program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양표시 내용과 영양성분별 중요성 차이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는 전체 268명으로 여자(60.4%)가 남자(39.6%) 보다 많았으며, 연령은 50대 이상(40.3%)이 가장 많았다. 학 력은 고졸(47.8%)과 대졸(42.2%)이 전체의 90.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외식횟수는 한 달에 3~4회가 54.5%로 가장 많 았다. 2. 한식당 메뉴 영양표시 요구도는 3.99점으로 높았으며, 메뉴 선택 시 영양표시 활용의지(3.89) 또한 높았다. 영양표 시 내용으로는 건강이나 영양관련 정보제공이 4.06점으로 가 장 높았으며, 식재료와 영양소의 설명 3.93점, 1인 분량의 표 시 3.77점이었다. 3. 영양표시를 원하는 영양소로는 나트륨이 4.16점으로 가 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콜레스테롤(4.15), 열량(4.04), 지 방(3.93), 칼슘(3.84), 단백질(3.83), 당질(3.71)의 순이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한식당 영양표시 요구도와 활용의 지 차이 분석 결과, 영양표시 요구도는 여성(4.05)이 남성(3.91) 보다 높아 유의적인 차이(p<0.01)가 있었으며, 20대가 4.29점 으로 가장 높았으며, 학력은 대졸(4.15)이 높아 유의적인 차 이가 있었다(p<0.01). 영양표시 활용의지는 여성(3.97)이 남성 (3.77)보다 높았으며(p<0.01), 영양표시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경우에 활용의지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양표시 내용으로는 1인 분량에 대한 중요성은 여성(3.89)이 남성(3.58)보다 높아 차이가 있었 으며(p<0.01), 중졸(3.13), 고졸(3.70), 대졸(3.90), 대학원졸(4.08) 순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차이(p<0.01)를 보였다. 식재료와 영 양소에 대한 설명은 여성이 4.02점으로 남성 3.77점에 비해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p<0.01), 학력이 높을수록 식재료와 영양소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5). 건강이나 영양정보 제공은 50대 이상이 4.18점으로 높아 유 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6. 한식 메뉴의 영양표시가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 (3.73)보다는 여성(4.01)이 컸으며(p<0.001), 학력이 높을수록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결과, 한식당에서의 영양표시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도가 높고, 건강한 외식을 위한 메뉴 선택 시 활용의지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영양표시가 건강한 식생활 영위를 위한 중요한 교육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 성들이 영양표시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영양표시 내용이나 영양소에 대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외식업체에서는 운영 메뉴와 주고객 층에 맞는 차별화된 영양표시 방안의 마련이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9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creasing numbers of Korean adults, especially women, are adopting vegetarian diets for various reason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rianism among females residing in Seoul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dietary habits and eating behaviors between vegetarians and non-vegetarian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48 females (73 vegetarians, 75 non-vegetarians) were recruited an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ating habits were completed. The eating behavior and daily intake of food groups was assessed using the three factor eating questionnaire-R18 (TFEQ-R18)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ages, BMI, education, and religious affili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More than 30% of vegetarians had followed a vegetarian diet for longer than 24 months. The most common motivations for vegetarianism in study participants were ‘health or weight control’ (46.6%) followed by ‘environmental concerns or animal welfare’ (24.7%). Vegetarians had a lower intake of cereals, Kimchi, and soda, but a higher intake of potatoes and sweet potatoes, vegetables, mushrooms, seaweed, and fruits compared to non-vegetarian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ting behavior scores were also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particular, vegetarians reported higher levels of restrained eating and emotional eating than non-vegetarians. Scores of uncontrolled eating, howev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vegetarianism is associated with healthy dietary habits, it is associated with restrained eating behaviors which may increase the risk of eating disorders in women.
        4,000원
        19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the problems affecting dietary habits and health status between a long-term exercise group and non-exercise group of males older than 50 years. Most subjects of the two groups consider regular exercise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maintaining health, and recognize hypertension as the number one concern. The most common nutritional supplement among subjects is multiple vitamins, and sleeping time range from 6~8 hours. Breakfast fasting rate was 15.9% among non-exercise group (NEG), where overeating and eating out rates were higher among exercise group (EG) when comparing to NEG. Fasting rates of breakfast, and consumption rates of milk and dairy products, vegetables such as kimchi, and fruits and fruit juices are higher among the EG. Overeating and eating out rates are lower among NEG, whereas eating rates of proteins like meat, fish, eggs, beans, fried foods, high-fat meats carbonated drinks, ice cream, and salt intakes are higher. Rates of health,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are higher among EG. Energy intakes among the two groups were below the standard level, Vitamin B2 intake is low in EG, and folic acid and calcium intakes were higher in NEG. The exercising group care more about health,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s, and low smoking rates are being observed. Thus, specific dietary improvement programs for adult men, are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4,000원
        19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aksun, a medicinal diet, has been traditionally prepared and applied (based on theories in oriental medicine) for the modulation of disease symptoms and signs. However, restaurants that serve and claim Yaksun mainly focus on stamina foods. A consistent definition of Yaksun has not been provided, which can confuse the public interpretation of Yaksu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Yaksun in Korean adults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Chungbuk regions. Among the participants (M=55, F=168, 25y), only 10.4%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Yaksun (mainly through the broadcast media). The frequency of Yaksun consumed when eating out was 2~3 times per month in 50.2% of participants. The main reason for choosing a Yaksun menu (46.3% of participants) when eating out was for health. The mean satisfaction score of Yaksun was 3.5±0.8 on the five point Likert scale. Participants highly agreed (3.8±0.8) that Yaksun is composed of nutritious foods combined with oriental medicinal herb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with learning experience on Yaksun (p〈0.05). Interestingly, participants showed neutral to the description, that a diet without oriental medicinal herbs is not Yaksun (3.1±1.0),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enders (p〈0.05). Men recognized more than women that Yaksun should be based on oriental medical theory (p〈0.05) and should be prepar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p〈0.05). In conclusion, the concept and terminology of Yaksun need to be defined and publicized in modern diet.
        4,000원
        197.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한국 성인의 혈압에 따른 안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30,893명(남자 15,735명, 여자 15,158명, 연령 20∼89세)의 검진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은 안과적 시야변화나 녹내장성 유두함몰이 없고,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의 병력이 없는 경우로 선별하였다. 자료는 ANOVA,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에 따른 안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이 높을수록 평균안압과 고안압율이 유의하게(p
        4,000원
        19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안면근력을 측정하여 표준치를 제시하고 성별, 연령에 따른 근력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5월부터 2013년 1월까지 20~89세의 건강한 성인 341명을 대상으로 아이오와 구강 수행도구(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를 사용하여 구강안면근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부위는 구강안면근으로 혀의 전·후방 거상, 좌·우측 볼근, 입술로 각각 3회 측정 후 그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결과 : 1) 성별에 따른 건강한 성인 구강안면근력의 차이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강한 근력을 보였다(p<.01).2) 연령이 증가할수록 구강안면근력은 유의하게 저하된 것을 알 수 있었다(p<.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구강안면근력의 표준치를 알아보았으며 성별, 연령에 따른 근력 변화는 삼킴을 치료하는데 있어 기본적 지침으로 환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나아가 치료방향을 고려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19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무용공연체험프로젝트‘춤추는 우리동네’에 참가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진지한 여가로서 커뮤니티댄스 참가와 공연 체험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가져다주는지를 밝히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3월 28일까지 커뮤니티댄스 공연을 위해 약 3개월에 걸쳐 주 3회 3시간씩 커뮤니티댄스에 참가한 무용공연체험프로젝트‘춤추는 우리동네’참여자 12명 중 세평적 사례선택방법을 이용하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커뮤니티댄스 공연 참 여자들을 대상으로 진지한 여가활동으로서 커뮤니티댄스 워크숍과 공연 체험에 대한 심층면담 과 일지, 연구 참여자의 직접 지도와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적 방 법에 근거하여 수집한 자료를 전사, 주제별 약호화, 의미 범주화와 의미 개념화의 세 가지 단계 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성인 여성들의 진지한 여가로서의 커뮤니티댄스 공연 참 여자들에게 있어 체험은‘행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커뮤니티댄스를 통해‘즐거움’을 체험하는 복합적 구조로 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커뮤니티댄스 공연 활동은 그들의 삶에 행 복한 경험을 느끼게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여자들은 일반인이 춤을 춘다는 것과 공연을 한 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용기를 통해 극복해야 하는 대상으로 설정하고, 두려움으로부터 벗어 나기 위하여 자신의 진지한 여가활동인 커뮤니티댄스 공연에 몰입하였다. 이러한 참여자의 몰입 은 그들의 삶의 태도를 변화시키며 건강을 포함한 즐거움과 행복을 느끼게 하였다.
        5,400원
        200.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abdominal draw-in maneuver (ADIM) with isometric shoulder flexion, extension, adduction, and abduction selectively contracted deep abdominal muscles. This study's subjects were 13 males 17 females. In order to evaluate the comparison of effects of ADIM and ADIM with isometric shoulder flexion, extension, adduction and abduction, measurements were made on transverse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e (IO), and external oblique (EO) using a real-time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system. Each position was repetitively measured three times with a real-time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system and their mean valu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ADIM with isometric shoulder flexion, extension, adduction and abdu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hickness of TrA relative to the ADIM only (p<.05). The ADIM with isometric shoulder abdu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hickness of IO compared to the ADIM only (p<.05). The ADIM with isometric shoulder extension and abdu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hickness of EO compared to the ADIM only and the ADIM with isometric shoulder extens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hickness of EO relative to the ADIM with isometric shoulder adduction (p<.05). ADIM with isometric shoulder abduction is an effective method to selectively strengthen deep abdominal muscles and therefore may be employed as an intervention for trunk stabilizati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