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1

        181.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w and roasted oats for the production of processed goods. Changes in particle size, pH, moisture content, Hunter b value, polyphenols, proteins, flavonoids, lipid rancidity, β-glucan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were compared between raw and roasted hulled oats (HO) and de-hulled oats (DO) after heating treatment at 0, 80, 120, 160 and 200°C. HO was more finely crushed than DO. The Hunter b value of HO was lower than that of DO, which increased sharply at 200°C. The pH range was from 6.2 to 6.6, with an average value of 6.4. In contrast to the protein contents of the two oat types, polyphenol content showed gradual decrease as roasting temperature increased. A comparison of the flavonoid content of HO with DO, indicated difference in the increase of flavonoid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protein content of HO was observed to be higher than that of DO. Furthermore, the protein level was sligh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Malonidialdehyde (MDA) content was statistically identical from 0°C to 160°C, but then increased sharply at 200°C. As expected, the β-glucan content of HO was higher than that of DO. The β-glucan content of HO was decreased at 80°C, but increased from 120°C to 200°C. In contrast, the β-glucan of DO increased const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Variations in sensory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taste, smell and overall preference were observ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two oat types heated at 0°C and 120°C and at 160°C and 200°C (p<0.05). Our collective results, including those for particle size, MDA, protein, β-glucan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HO would be mor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goods than DO, and that an optimum temperature for roasting oats is approximately 160°C for 15 min. Moreover, our results indicate that suitable roasting temperatures and cultivars are necessary to produce high-quality processed oat goods.
        182.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 도토리가루의 일반성분, pH, 총 폴리페놀함 량, 전자공여능, 호화도를 분석한 결과와 내냉동성 효모 및 비타민 C를 첨가하고 도토리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한 반죽을 -18℃에서 4주간 냉동저장하면서 매주 꺼내어 해동 하여 발효시킨 현미증편반죽의 품질특성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토리가루의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도토 리가루의 호화개시 온도(To)와 피크온도(Tp) 그리고 종료 온도(Tc)는 각각 3525.12 mg%, 16.71%, 68.41℃, 73.83℃, 82.96℃이었다. 도토리가루 첨가량 및 냉동저장기간에 따 른 도토리현미증편 냉동반죽의 효모수 변화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냉동저장기간에 따른 시료의 CO2 발생량은 도토리가루 6% 첨가군 에서만 냉동저장 1주일에 증가하였 다가 3주일 이상 냉동저장시에 약간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냉동저장기간에 따른 도토리현미증편 냉 동반죽의 효모수 변화가 없었고 CO2 발생량도 도토리가루 6% 첨가군 에서만 3주일 이상 냉동저장시에 약간 감소하였 으므로, 내냉동성 효모의 사용은 도토리현미증편 냉동반죽 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냉동반죽의 제조 시에 항산화활성을 지니는 총 폴리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이 높 은 도토리가루의 첨가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었다.
        183.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밀 수량성 향상을 위해 이삭 길이가 길고 1수립수가 많은 장수형 계통의 품질과 이들 특성과 관련된 표지인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장수형 164계통의 회분, 단백질, 침전가, 습부율, 밀가루 입자 크기와 밀가루 색택 밝기의 평균은 금강밀보다 회분과 단백질함량이 높으며 습부율은 높고, 밀가루 밝기와 입자 크기는 비슷하였으나 침전가는 낮게 나타났다. 단백질의 질적 특성에서 단백질함량은 침전가, 습부율, 밀가루 입자 크기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고, 밀가루의 밝기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품질특성 관련 표지인자를 평가한 결과, 장수형 164계통은 모두 Glu-A3c, Wx-A1a, Wx-B1a, Wx-D1a의 유전자형을 나타내 금강밀과 동일하였다. 장수형 계통은 주로 Glu-A1c, Glu-B1c, Glu-D1a, Glu-B3g, Pina-D1b와 Pinb-D1b의 유전자형이 많았다. Glu-A1b과 Glu-B1b 유전자형은 단백질함량이 많고, 습부율이 높은 특성을 나타냈다. Glu-D1d, Glu-B3h과 Pinb-D1b 유전자형은 다른 유전자형에 비해 회분과 단백질함량이 많으며, 침전가와 습부율이 높고, 밀가루 입자가 크고, 밀가루의 색이 어두운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장수형 계통은 수량성 증대를 위해 필요하고, 향후 용도별 품질 우수 자원의 특성을 집적하여 용도별 다수성 밀 품종개발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186.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increased consumption of mixed-grain flour products have led to improved human health in busy modern life. For this reason, the verification of commercial food authenticity is one of important subjects. The development of DNA techniques such as real-time PCR has led to the increasing efficiency of illegal food product detection. Here, we have developed a comprehensive method for detecting the grain flour of various rice cultivars in commercial food products derived from different plant species. In the genetic variation analysis of different protein coding genes on various chloroplast genomes, we found the high numbers of segregating sites in rpoB and rpoC2 more than in other genes. Thus, we have attempted to develop chloroplast DNA (cpDNA) markers, which were Os_m_rpoB in rpoB, and Os_m1_rpoC2 and Os_m2_rpoC2 in rpoC2.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ree cpDNA markers, we have identified the appropriate statistical measurements of each marker in various mixed-grain flour samples derived from rice cultivars and different plant species by real-time PCR, In addition, the three cpDNA markers successfully applied for detecting of nonexistent rice flour in different commercial food products.
        187.
        201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쌀 가공제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을 제공하고자 분무건조공정에 의해 유산균을 포집한 미분을 제조하였으며 유산균포집 미분의 품질특성 및 유산균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제조는 미분을 24시간 배양한 유산균 배양액 대비 각각 10%, 20%, 30% 및 50%(w/v)을 첨가하여 분무건조하였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아밀로오즈함량 및 손상전분함량은 각각 14.18~17.75% 및 24.65~34.08%이었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입자크기는 82.28~131.17 μm로 미세캡슐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구형의 모양을 보여주어 분말 흐름성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분함량의 경우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3.34%)에 비하여 유산균포집 미분이 2.32~2.62%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지수 측정결과 유산균포집 미분제조시 흡습성이 낮고 용해성이 양호한 분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시차주사열량계에 의한 호화특성을 측정한 결과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호화에 필요한 호화엔탈피가 높아 취반 특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유산균 포집특성을 확인한 결과, 미분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60.02~73.85%로 유의적으로 높은 유산균 생존율을 보여주어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50% 미분을 첨가한 유산균포집 미분의 유산균수, pH 및 산도는 각각 7.11 log CFU/g, pH 4.11 및 0.31%이었으며, 이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유산균포집 미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한 유산균포집 미분은 쌀 가공제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의 제조가 가능하고 유산균 안정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88.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공용 쌀 품종으로 개발된 분질미, 연질미, 경질미의 쌀 가공제품 이용 가능성과 활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건식제분 쌀가루의 수분함량은 7.68~7.99%, 습식제분 쌀가루는 7.03~7.57%이었고, 조단백 함량은 건식제분 쌀가루에서 7.96~8.35%, 습식제분 쌀가루에7.94~8.12%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건식제분 쌀가루에서 1.32~1.49%, 습식제분 쌀가루에서 0.71~0.99%이었고, 조회분 함량은 건식제분 쌀가루에서 0.71~0.82%, 습식제분 쌀가루에서 0.25~0.31%이었다. 백색도 측정 결과, 습식제분 분질미 쌀가루에서 96.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식제분 연질미 쌀가루에서 95.6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적색도 측정 결과, 건식제분 분질미 쌀가루는 –0.37로 가장 높았고 습식제분 경질미 쌀가루는 –0.6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황색도 측정 결과, 건식제분 경질미 쌀가루는 3.46으로 가장 높았고 습식제분 분질미 쌀가루에서 2.5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입자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쌀 전분 특유의 입자 형태를 보였고, 건식제분 쌀가루가 불규칙하고 거칠며 큰 입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흡수지수와 수분용해지수는 습식제분 연질미와 경질미 쌀가루가 높았고, 건식제분 분질미가 가장 낮았다. X-선 회절도 분석결과, 모든 시료는 전형적인 A 도형의 특징을 나타냈고, 건식제분 쌀가루의 회절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Amylogram에 의한 호화 특성 분석 결과, 습식제분한 연질미 쌀가루는 최고점도, breakdown, setback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식제분한 연질미 쌀가루는호화개시온도에서가장높았으나최고점도와breakdown에서는 가장 낮았다. 습식제분한 경질미 쌀가루는 호화개시 온도와 setback에서 가장 낮았다. 시차열량주사계에 의한 호화 특성 분석 결과, 건식제분한 연질미 쌀가루는 호화개 시온도, 호화정점온도, 호화종료 온도에서 가장 높았으나 호화엔탈피는 가장 낮았다. 따라서 분질미 쌀 품종은 건식 및 습식제분에서도 안정성이 높게 나타나 손상 전분이 적어쌀 가공제품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189.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다수성 쌀품종인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이화학 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용 쌀냉동 반죽의 품질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초다수성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은 수분 함량, 회분 함량, 단백질 함량, 아밀로 오즈 함량, 손상전분, 수분 결합력, 입도 및 색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 대조구의 수분함 량 및 회분 함량은 각각 7.70, 7.28, 13.14% 및 0.39, 0.35, 0.39%로 나타났다. 또한 단백질 함량의 경우 대조구가 8.68%로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6.62 및 6.05%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아밀로오즈 함량은 각각 19.05 및 23.04%를 나타냈다. 손상전분의 경우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는 각각 13.73 및 14.09%의 전분 손상도를 나타냈으며 대조구의 경우 4.45%의 전분 손상도 를 나타내어 쌀가루의 전분 손상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수분 결합력의 경우 대조구의 경우 177.69%의 수분 결합력 을 보인 반면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수분 결합력은 270.50 및 281.17%로 높은 수분 결합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한아름 및 다산2호 쌀가루의 평균 입도 는 각각 50.05 및 49.50 μm를 나타냈으며 대조구의 경우 48.54 μm의 평균 입도를 나타냈다. 시료의 색도 분석의 경우 대조구 명도는 92.63을 나타낸 반면 한아름 및 다산2 호 쌀가루는 93.72 및 93.51을 나타내어 대조구보다 높은 명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초다수성 쌀가루를 이용한 쿠키용 쌀냉동반죽의 해동시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쌀냉동반죽 이용 쿠키의 명도는 해동 시간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쿠키용 쌀 냉동반죽을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의 직경은 해동 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쿠키 두께의 경우 다산 2호 쌀가루 이용한 냉동반죽을 30분간 해동 후 구운 쿠키의 두께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쌀냉동반죽 을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의 경도를 분석한 결과 초다수성 쌀가루 중 다산 2호 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한 냉동반죽을 해동 후 바로 구운 쿠키의 경도가 980.78 g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19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rent consumers have interest in nutrition and health. So, the interest in barley for other food and industrial applications is increasing. Noodles, which have been consumed largely in korea, are usually made from wheat flour, salt and appropriate amount of water. A New Six-rowed Naked Barley Cultivar “Dahan” was developed in 2012, have high winter hardness, lodging tolerance and good noodle property. It was crossed in 2001, and an elit line was selected in 2010 and designated as ‘Iksan 106’. It showed good agronomic performanc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from 2010 to 2012. The average heading and maturing dates of “Dahan” were April 29 and June 3 in paddy field, which were two day earlier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Saessalbori’ respectively. The new cultivar, “Dahan”, had 92cm of culm length and 3.9cm of spike length. It showed 625 spikes per m2, 54 grains per spike, 31.3 g of 1,000-grain weight, and 815 g of test weight. “Dahan” showed better resistance to BaYMV (Barley yellow mosaic virus)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Its average yield of the pearled grain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4.32 MT/ha in paddy field, which were 16% higher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It showed higher breakdown and setback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Texture properties of noodle was better in hardness, adhesiveness, chewiness.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industrial application as noodle and bread.
        191.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밀 품종의 국수 색깔 및 이와 관련된 종실 및 밀가루 특성 평가를 통하여 국수 면대 색깔 향상을 위해 선발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특히 철함량이 국수면대 밝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철 고함유 계통 선발을 위한 간이검정법의 적용을 위해 수행하였다. 국내 밀 품종의 밀가루 밝기는 회분(r =-0.634, P<0.01), 단백질 함량(r = -0.635, P<0.01)및 총 폴리페놀함량(r = -0.493, P<0.05)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면대 색깔은 밀가루 명도(r = 0.684, P<0.001)와 정의 상관을 보였고, 종실특성에서 리터중, 천립중, PPO 활성 및 총 폴리페놀 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밀가루 특성에서 회분, 단백질 함량과 총 폴리페놀함량은 면대 밝기와 부의 상관을 보였고, 연차간 및 품종간 변이에 영향을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철은 밀가루 색 및 국수 면대 밝기와 부의상관을 나타냈고, 간이검정법으로 Potassium hexacyanoferrate(II) trihydrate(PHT) 처리를 한 결과 푸른색으로 염색되었다. 종실을 PHT로 염색하여 측정한 색도와 종실의 철함량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을 분쇄한 통밀가루에서는 PHT로 염색된 통밀가루의 적색도(r = -0.665, P<0.001)와 황색도(r = -0.658, P<0.001)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PHT로 염색된 밀가루의 밝기는 종실의 철함량(r = -0.640, P<0.01)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192.
        201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백진주 쌀가루를 이용한 비유탕 쌀과자 제조 조건의 최적화를 목적으로 두 가지 독립변수인 쌀 수침시간 과 콩물 첨가량에 따라 9가지 조건의 비유탕 쌀과자 품질특 성을 분석하였다. 무게는 쌀 수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 가하다가 11.26일 이후에는 다시 감소하였으나 콩물 첨가 량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피와 부피팽창 율은 쌀 수침시간이 길어지고, 콩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도는 쌀 수침시간이 1.94일 이전이고, 콩물 첨가량이 32.23% 이상일 때 밀도가 가장 낮은 구간으로 나타났다. 색도에서 쌀 수침시간이 3.52일 이상이고 콩물 첨가량이 35.47%일 때 L값은 높은 구간으로 나타났고, a값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값은 쌀 수침시간이 길어지고 콩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도는 쌀 수침시간이 5.28∼8.53일이고, 콩물 첨가량이 5.34∼20.26%일 때 가장 높은 구간으로 나타났다. 색, 향미, 외형 및 전체적인 선호도는 쌀 수침시간이 짧고, 콩물 첨가량이 적을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독립변수인 쌀 수침시간과 콩물 첨가량을 범위 내에서 최소로 설정하고, 종속변수에 서 밀도는 최소로 설정하고 다른 항목은 최대로 설정하였을 때 백진주 쌀가루를 이용한 비유탕 쌀과자의 최적 조건은 쌀 수침시간 0.69일이고 콩물 첨가량은 26.67%로 나타났다.
        19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품종별 통보리가루를 20% 첨가 하여 보리 국수를 제조하고 제조된 국수의 품질특성과 β -glucan 함량 및 항산화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호화특성 중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는 보릿가루 첨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치반점도는 감소하였다. 통보리가루 첨가 국수의 L 값은 밀가루 국수에 비해 낮았고 a값과 b값은 높았다. 조리 시 흡수율은 통보리가루 첨가국수에서 밀가루 국수보다 낮 게 나타났으며, swelling index는 메성보리는 높았고 찰성보 리는 밀가루 국수와 비슷하였다. 보리국수의 조리 후 경도, 검성은 밀가루 국수에 비해 약간 낮았으며, 메성보리가 찰 성보리보다 경도, 응집성, 검성이 높았고 메성 품종인 다한 이 가장 밀가루 국수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보릿가루 첨 가에 따라 국수의 β-glucan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조리 후 β-glucan 함량이 약간 증가하였고, 전분함량은 조리 후 감 소하였다. 보리첨가 국수의 항산화활성은 밀가루 국수보다 높았고 조리 후 감소하였다.
        19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lelic variations in glutenin and puroindolines of 26 Korean wheat cultivar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our and quality of white salted noodles. Cultivars carrying Pina-D1b and Pinb-D1b exhibited a coarser particle size of wheat flour and a higher ash and damaged starch content than those with Pina-D1a and Pinb-D1a. Glu-B1b, Glu-D1f, Glu-B3d and Pina-D1a alleles exhibited lower protein content than other alleles. Glu-A1c, Glu-B1b, Glu-D1f Glu-B3d, Glu-B3i and Pinb-D1b alleles appeared to be related to a lower SDS-sedimentation volume than other alleles. In dough rheological properties, Glu-A1a and Glu-D1d alleles showed a longer mixing time on the mixograph and maximum dough height but Glu-A3e and Glu-B3i alleles had a lower mixing time on the mixograph and a lower maximum dough height than other alleles at Glu-1 and Glu-3 loci. Regarding the quality of white salt noodles, about 10% of the variations in the hardness of cooked noodles were explained by Glu-A1 and Glu-B3 loci. Hardness rankings of cooked noodles were Glu-A1a > Glu-A1c > Glu-A1c at the Glu-A1 locus. Glu-B3h showed higher cooked noodle hardness (5.10 N) than other alleles at the Glu-B3 locus (< 4.66 N).
        195.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purple sweet potato muffins were made with the addition of 0, 25, 50, 75, and 100% rice flour, and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The weight and heigh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rice flour added. The moisture content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rice flour added increased, the pH and acidity decreased.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the rice flour de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re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purple sweet potato content. The textural properties, such as the cohesive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s with added rice flou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urple sweet potato muffins to which 50 and 75% rice flour were add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lavor among the samples. The chewiness was higher with 50, 75, and 100% rice flour than with 0 and 25% rice flour. The groups with 50 and 75% rice flour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196.
        2012.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soybean flour (0, 5, 10, and 15%)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moisture, color, water absorption, solid content, texture properties, and sensory properties) of Topokkidduk stored for two days was studied. The moisture content of Topokki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soybean flour concentration at all the storage times. The moisture contents of SF15 (soybean flour 15%) on storage days 0, 1, and 2 were 46.30, 46.30, and 45.00%, respectively. SF15 had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among all the samples. The color of Topokkidduk (L value) decreased whereas its a and b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ed soybean flour concentration (p∠0.05). The cooking properties (e.g., water absorption and solid content) resulted from the opposite conditions. Thus, the water absorption decreased and the solid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soybean flour concentration. The texture analyzer revealed that the hardness, chewiness, and cohesiveness of Topokkidduk decreased and that its adhesiveness increased with soybean flour addi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according to the soybean powder concentration. The taste, flavor, color, hardness, spring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values of Topokkidduk containing SF5 (soybean flour 5%) after two storage days, obtained through a sensory test, were highest among all the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ybean flour may be utilized as a functional and valuable ingredient in Topokkidduk.
        197.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rley, ranking fifth among all crops in the world today behind maize, wheat, rice and soybean, has been an important food source in many areas in the world. Moreover having high nutritional value. Current consumers have interest in nutrition and health. So, the interest in barley for other food and industrial applications is increasing. Noodles, which have been consumed largely in korea, are usually made from wheat flour, salt and appropriate amount of wa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bstitute wheat flour with barleys in order to produce new products of white salted noodl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bstituting flour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We investigated the Hunter colour values(lightness, redness, yellowness) of barley noodles. Lightness and yellowness were decreased and redness were increased in barley cooked noodles compare to wheat noodle. As compared to the wheat noodle, barley noodle at 10, 20, 30% substitution ratios had lower hardness, which decreased continuously with substitution level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also lower than wheat noodles.
        19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ole grain wheat bread and bakery products is highly considered as a functional food due to the high amount of vitamins, minerals, and dietary fiber in whole wheat flour. However, as the lower end-use properties of whole wheat products limit consumer selection, it is required to measure the functionality of whole wheat flour. Thus, it is observed the fermentation properties of bread dough from the composite flour of whole grain and white wheat flour. Whole grain cv. Chokyeong developed in the NICS was ground using a hammer mill with 0.5 mm sieve. The composite flour was prepared by substituting wheat flour with whole grain flour at 15, 30, 45% levels. Breads were prepared using the 100 g composite flour according to a basic straight-dough mehtod (AACC 10-10A) with slight modification. A rheoferment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maximum dough height (Hm) and the maximum gas formation (H’m) during fermentation. Also, total CO2 production was recorded. The Hm decreased from 38.8 to 27.5 (mm) with increasing whole wheat flour from 15 to 45%. Whereas, the H’m was increased from 61.7 to 60.8 (mm) with whole wheat flour increment. Total CO2 production was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whole wheat flour ranging 1312∼1164 (ml). The fermentation results could be useful to partly predict the effect of substituting whole wheat flour on the end-use quality of pan-breads.
        199.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with Saesalbori (non-waxy barley) and Saechalbori (waxy barley) flours added at concentrations of 10, 20, and 30% to wheat flour. The maximum viscosity increased in the Saesalbori flour mixtures and decreased in the Saechalbori flour mixtures. The dough stability of the 10% barley flour mixtures was equal to that of the control while that of the 30% barley flour mixtures decreased more. The extensibility of the dough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level of barley flour in all the blends, but the resistance of the dough increased. As the ratio of barley flour increased, the loaf volume of the bread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 bread weight increased. The 10% Saesalbori flour mixtures increased the hardness of the breads but did not cause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other TPA parameters while the 10% Saechalbori flour mixtures did not cause any change in all the TPA parameters.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10% barley flour mixtures had no significantly different overall acceptance from the control, and that the 20% substitution still resulted in acceptable sensory qua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bread-making properties of Saesalbori were improved by germination, but those of Saechalbori declined.
        200.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otal of 17 types of rice flour was collected in the market and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ir starch and pasting characteristics. Their water contents, water holding capacities, solubilities, swelling power, amylose contents, damaged starches, particle sizes and pasting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e water content and water holding capacities of various types of rice flours collected in the market were 7.64-14.97% and 95.22-232.94%, respectively. Their solubilities and swelling power were 1.97-37.40% and 1.33-5.76, respectively. Various types of rice flour had 32.11-305.67 μm particle sizes. Among the various types of rice flour collected in the market, the lowest starch damaged content was 3.17%. The peak viscosities of the samples were 17.74-295.95 RVA. Among the rice flours that were collected in the market, the lowest pasting temperature was 69.72℃.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rice flour types with high starch damage contents tend to have higher expressed water holding capacities. Moreover, the samples with lower particle sizes tended to have final viscosities, and pasting temper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