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4

        181.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In-sung, which was formed in unique environments including a sports venue, and develop In-sung scale in athletes. Methods: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given to 384 team or individual event athletes who attend high school or have higher education, to explore the conceptual structure and make questionnair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open questionnaires.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46 athletes who attend high school or have higher educations. Results: Results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athletes` In-sung was classified under five factors in competitive situation (Evoke negative emotions in the opponent, Respect for opponent, Consideration for teammates, Trust in leaders/senior members, Referee judgment), and four factors in generic situation (Politeness/ Respect, Loyalty, Social norm, Responsibilit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that the model fit was judged to be good and identified 33 items in 9 factors.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all selected items was tested.
        18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안전한 하천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신뢰도 있는 홍수량 산정이 필요하다. 신뢰도 있는 홍수량 산정은 유역의 정확한 지역적 특성의 반영이 중요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유역에 대한 지역적 특성의 정밀한 측정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량 산정 시 발생 할 수 있는 오차들을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여러 개념적 강우 유출 모형을 적용 및 평가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3개의 토양저류함수모형(Soil Moisture Accounting, SMA) 및 3개의 유역유출개념모형(Routing Modules)을 조합하여 총 9개의 모형을 금강의 22개소 유역에 적용한다. 적용결과 3개의 토양 저류 함수 모형 중 확률분포모형(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 PDM)이 Nash Surcliffe Efficiency (NSE*) 결과에서 타 토양 저류 함수 모형보다 우수하게 나타난다. 또한 유역유출모형에 대해서 우수한 NSE*값을 나타낸 모형은 2PMP(Micro-pre Approach parallel structure)모형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금강 22개소 유역에서 두 모형의 조합인 PDM-2PMP모형이 적용 가능하다고 평가 할 수 있다. 이는 향후 금강유역의 지역화 연구 및 우리나라 전 유역에 적용 가능한 강우 유출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높은 활용가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183.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odular road system was proposed to achieve the fast construction and the closed-loop chain of the resources in the field of road construction.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the joint system that complies with the goal of the development of modular road system was proposed.
        184.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수업컨설팅에 관한 학문적․실제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을 이론적 측면에서 검토하여, 그것의 이론적 완결성과 실천적 가치를 높이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업컨설팅에서 지향하는 교사 및 수업의 상(像), 좋은 수업의 조건 등을 바탕으로 수업컨설팅의 개념을 재정리하였다. 그리고 수업과 관련된 주요 활동(수업분석, 수업비평, 수업장학)과 수업컨설팅을 비교하여 수업컨설팅의 속성을 보다 분명히 하였다. 비교의 기준으로는 해당 활동의 목적, 주요 관련자, 주요 산출물, 원리, 방법 및 기법, 활동 결과의 공유 여부, 참여의 강제성, 절차 등이 활용되었다.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에 관한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컨설팅은 “수업 관련 의뢰 과제를 해결하고 의뢰인의 수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문성을 갖춘 교내외 전문가들이 교원을 중심으로 한 학교 구성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독립적인 자문 활동”이되, “학생의 참여와 배움을 핵심으로 하여, 수업의 기획, 의사소통, 상호작용 등을 기술적․예술적 요소로 나누어 분석․이해하고, 의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업을 학교컨설팅의 원리와 방법에 따라 수행”하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수업컨설팅과 여타 활동은 활동 목적, 주요 관련자의 특성 및 영향력, 활동 결과의 공유, 참여의 강제성, 모(母)개념의 성격 등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는 교사의 수업 개선 및 전문성 개발 기제로서 수업컨설팅이 가지는 가능성을 재확인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185.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문화다양성 교육(cultural diversity education)의 개념적 특질과 이론적 배경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이상적인 문화다양성 교육의 실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 그 자체의 개념, 문화적 역량, 문화적 정체성이라는 개념적 요소를 추출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특질을 규명하였다. 둘째,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 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 볼 수 있는 ‘적극적’ 다문화주의와 간문화주의에 기초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부 국가들과 학자들은 적극적 다문화주의의 핵심적 원리와 가치로서 문화다양성 교육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상대 진영에서는 동화주의와 본질주의로 대변되는 ‘소극적’ 다문화주의를 비판하고, 포용적 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혹은 패러다임으로서 간문화주의에 기초한 간문화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특질과 이론적 배경 및 특징을 천착함으로써 한국의 다문화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및 정책적 혼선과 충돌을 방지하고, 아직까지 생소한 문화다양성 교육의 조기정착과 실현을 위한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186.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살풀이춤에 내재된 정서의 구조를 탐색하고, 살풀이춤 정서를 표현하는 무용수와 이를 체험하는 관객의 정서 차를 검증하였다. 이에 453명의 연구대상자를 표집하여, 연구절차와 자료분석에 기초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살풀이 춤 정서는 호감, 애정, 매혹, 애절, 고통, 상실, 고독, 냉담, 전율의 9개의 개별정서 구조를 내재하고 있으며, 이는 각각 3개의 개벌정서를 포함한 사랑, 탄식, 성찰의 복합정서로 위계화되었다. 또한, 한의 고차원적 정서 특성을 보인 살풀이 춤 정서는 무용수와 관객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무용수는 살풀이춤을 출 때 애정정서를 높은 강도로 표현하였으며, 관객은 살풀이춤을 보고 호감, 고통, 고독, 전율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정서의 이론적 배경과 살풀이 춤 특성에 기준하여 논의하였다.
        18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achieve a differential advantage over competitors and protect their long-term interest, shipping lines have striven to find ways to maintain an ongoing relationship with shippers which can be achieved by attaining their loyalty. The benefits of loyal shippers are potentially huge in that they generate long-term revenue streams as well as provide cost savings as compared with attracting new shippers. Logistics service provided by shipping lines is identified as one of the effective tools for building customer loyalty. However, in a review of the literature none of the studies examine how logistics service creates customer loyalty, particularly between shipping lines and shippers. Consequently, the overarching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tend knowledge on logistics service performa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customer loyalty in the unique context of maritime transport by proposing a new conceptual model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The major contribution is to offer a new insight into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those 'soft' concepts in the context of maritime transport.
        188.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을 중심으로 한 원예치료 모델 개발 및 적용에 필요한 자료 확립 측면에서 문헌 중심으로 고찰한 내용으로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을 중심으로 한 원예치료의 정의를 ‘지적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직업훈련을 위하여 식물과 원예활동을 이용하는 과정’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중심의 원예치료에 있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을 위하여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 과정중심의 인지적 도제학습 이론을 기존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교수-학습 방법으로 도입하였다. 원예치료가 수행되는 과정은 사정, 계획, 수행, 평가를 따르며, 회기별 원예활동 단계는 원예활동의 시작단계로 동기 유발 및 원예활동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도입단계(Introduction), 치료사가 시범을 보이는 시연단계(Modeling), 문제 해결을 위한 인지적 틀을 제시하는 치료적 개입 단계(Scaffolding), 대상자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의 중지 단계(Fading), 활동을 점검하고 마무리할 수 있는 정리단계(Arrangement)로 구성하였으며, 그 전략 및 개입방법은 시범, 코칭, 스캐폴딩과 도움종료, 명료화, 성찰, 탐구를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헌 중심으로 고찰 한 위의 내용은 실제 적용을 통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을 중심으로 한 원예치료 모델로 개발 될 것이다.
        189.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analyzed the manufacturing procedure, specifications, repair history, and details of celestial movements of the water-hammering type Honsang (celestial globe). Results from our study on the remaining Honsangs in China and Japan and on the reconstruction models in Korea were applied to our conceptual design of the water-hammering type Honsang. A Honui (armillary sphere) and Honsang using the water-hammering method were manufactured in Joseon in 1435 (the 17th year of King Sejong). Jang Yeong-Sil developed the Honsang system based on the water-operation method of Shui yün i hsiang t’ai in China. Water-operation means driving water wheels using a water flow.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is type of operation is the precision of the water clock and the control of the water wheel movement. The water-hammering type Honsang in Joseon probably adopted the Cheonhyeong (天衡; oriental escapement device) system of Shui yün i hsiang t’ai in China and the overflow mechanism of Jagyeongnu (striking clepsydra) in Joseon, etc. In addition to the Cheonryun system, more gear instruments were needed to stage the rotation of the Honsang globe and the sun’s movement. In this study, the water-hammering mechanism is analyzed in the structure of a water clock, a water wheel, the Cheonhyeong system, and the Giryun system, as an organically working operation mechanism.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essential basis for studies on Heumgyeonggaknu, the water-operating astronomical clock, and other astronomical clocks in the middle and latter parts of the Joseon dynasty.
        190.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용어 사용의 개념적 혼란을 겪고 있는 flow와 commitment의 차이를 고찰하고, 지금까지 이두 개념이 스포츠심리학과 관련된 학위논문, 학회지 논문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flow와 commitment는 스포츠심리학계에서 몰입이라는 용어로 똑같이 사용되고 있으나, flow는 하나의 활동에 완전히 몰두한 상태로써 일종의 무아지경에 이른 일시적인 절정의 심리상태이며, commitment는 운동참가와 관련하여 스포츠나 여가활동에 참가하면서 얻게 되는 희망, 신념, 믿음을 나타낸 것으로 지속적인 스포츠 참여욕구를 의미한다. 1995년부터 2011년 6월까지 운동몰입 관련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한글제목, 영문제목, 서론에서의 개념설명, 질문지 사용에서 flow와 commitment의 개념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사용한 논문은 조사대상 논문 127편 중 32편(25.2%)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95편(74.8%)의 연구들은 두개념이 다른 의미임에도 혼용하거나 잘못 사용한 경우가 나타났다.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여야 하는 연구논문에서 잘못된 지식전달은 학계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중요한 사안이 될 수 있으므로, 차 후 연구에서는 논문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개념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이해하여 지식전달에서의 혼란과 오용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191.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obalization of production, changing technology in ocean shipping sector, shifting bargaining power from port service provider to port users, changing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containerization and new implementation for the environment and safety concerns introduced new ways of administration in port sector. In these days, port industries cannot survive alone. Port operation and management has to be proactive to cooperate and integrate with other port operators or other industries. In the 21st century, cooperation in maritime sector is more common than that in the past with several different reasons in a mixture of forms of cooperation. Cooperation among port authorities, port operators, shipping line, inland transport service providers and/or related organizations themselves becomes to exist to overcome the challenges and development of the global transport chai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 of port cooperation and the case analysis of the cooperation in the port industry.
        192.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즈비카우스키(Lawrence Zbikowski)와 에버렛(Walter Everett)의 연구 들을 검토하여 가곡 분석의 한 방법론을 도출하고 이를 리스트의 가곡 《오 사랑하라》(O lieb)의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증명하는 데에 있다. 즈비카우스키는 개념적 혼성 이론(Conceptual Blending Theory)을 가곡 분석에 적용시켜 음악과 가사의 상호작용을 통 해 만들어내는 새로운 의미 구성의 양상을 탐구하였다면, 에버렛은 주로 쉔커식 분석에 의존 하면서 음악 표면적 사건 뿐 아니라 깊은 층위에서의 음악적 사건들을 시적 내용과 결부시키 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필자는 실제적인 음악 분석을 통해 가사의 내용과 결부시킬 수 있는 음악적 특징들을 찾아내는 데에 있어서는 에버렛의 방법론을, 음악적 특징들을 시적 내용과 연결시켜 설명하는 작업에는 즈비카우스키의 방법론을 발전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종합적이 고 체계적인 분석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93.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Horst, Finney과 Barron(2007)의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에 기초하여 체육수업에서 중고등학생들이 지향하는 사회적 성취목표의 개념적 구조를 검증하는 것이다. 1,024명의 남녀 중고등학생이 예비조사(N=180)와 본조사(N=844)에 참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다집단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19문항 3요인(사회적 숙달, 사회적 수행접근, 사회적 수행회피)의 체육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의 구인 타당도와 시간적 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성별과 학년급간 측정모형의 구인 동등성이 성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잠재평균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회적 수행접근과 수행회피 목표가 높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사회적 수행회피 목표 수준이 더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결과는 중고등학생들이 체육시간에 다양한 사회적 성취목표를 지향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195.
        201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포형 수문모형은 컴퓨터 하드웨어의 급속한 발전과 GIS를 이용한 수문지리공간정보에의 접근성 및 활용성 증가에 따라 근래에 많은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물리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은 입력자료 구축 및 모형구동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수문자료가 불충분한 미계측 유역에서는 모형의 구축이 어렵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개념적 격자 물수지 기법을 이용한 개념적 분포형 수문모형 S-RAT을 개발하였다. S-RAT 모형은 집중형
        19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역장치가 장착된 모바일하버 선박은 새로운 해상운송시스템 개념으로, 특정 정박지에서 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계류하여 해상상태 3 이하 조건에서 신속하면서 효율적인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모바일하버와 관련한 주요 연구로는 고속하역시스템, 부유체 구조 설계, 안벽하역시스템 해석 및 작업크레인 설계 등의 원천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하버 선박의 하역작업 중 동적안정성 확보를 위한 계류안정화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으로, 국내외 계류장치에 대한 현황 분석을 기초로 현재 선박에 탑재되어 있는 의장장치인 윈치시스템에 계류안정화 기능을 추가시킨 포지셔닝윈치를 개발하여 모선과의 상대운동을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한 개념설계를 제안한다.
        19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산업체에서 활용 가능한 업무 중심의 내용을 기반으로 산학협동에 의한 교육 실습사례 연구를 통해서 '산학협동 개념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의 형태를 단계적 프로세스로 표현하기 위해서 게임 제작에 대한 전체 실습 과정을 '산학협동 파이프라인(Pipe-line)'으로 구성하였고 이에 관한 단계별 사례 내용을 기술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일반적인 산업체와의 산학협동 과정에서 벗어나 실제 학습하는 대상자에게 산업 현장의 제작 프로세스를 직 간접적으로 체험시키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무엇보다도 해당 실습 교수자의 단계별 역할 중요성을 제시하는 산학협동 모델의 제안이다. 이는 향후, 산학협동 관련 교육 실습 및 관련 연구의 참고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다.
        198.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무용수의 심리적 체험을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용에서의 긍정적 심리체험을 구조화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무용전공대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실시해 무용 수행시의 심리체험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에 대한 귀납적범주화와, 귀납적범주화 결과의 구조타당도 검증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개방형 설문에서는 387사례의 원자료가 수집, 36항의 세부요인으로 범주화하였으며 36항의 세부요인은 자기표현, 성취감, 일체감, 유능감, 자기발견, 활력감, 몰입 등 7개의 일반요인으로 범주화 하였다. 세부영역을 기준으로 63항의 예비조사 문항을 개발하여 문항의 삭제와 요인 구조의 확인, 신뢰도 분석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결과, 활력(vitality), 유능(competence), 성취(accomplishment), 표현(expression)의 4요인, 16항으로 무용수의 긍정 심리체험은 구조화되었다. 탐색적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확인적요인분석 결과, 대부분의 판단지표가 채택 가능한 범위에 있어 이 개념구조 모형은 수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스포츠심리학과 무용학 연구에서 긍정심리학 관점을 반영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199.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미국, 유럽, 일본 등 우주선진국을 중심으로 달, 화성 등 행성 탐사를 위한 로버(Rover) 시스템에 대해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행성탐사용 로버 시스템 기술 중 특히 주행장치, 차율 주행 알고리즘, 탑재체 등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실제 행성탐사에 앞서 지상에서 로버 주행장치의 주행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지상시험모델용 로버의 주행장치에 대한 개념 설계 내용을 소개하였다. 또한, 로버 주행장치의 기술적인 관점에서 해외 연구개발 사례를 분석,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로버 주행장치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들을 주행성과 안정성 관점을 고려하여 도출하였다. 설계된 로버 주행장치는 높은 주행성과 안전성을 만족하기 위해 6족을 가지고 있으며, 각 다리의 관절을 제어하는 능동 서스펜션(Active Suspension)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종류의 주행장치 개념은 근미래 (Constellation 프로그램)에 수행될 유인달 탐사에서 이동 및 거주 장치로써 NASA의 ATHELE을 통해 처음 적용하여 개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장치 개념은 이와 달리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수행할 무인소형 달탐사에 적용하고자 설계되었다. 이 논문에서 소개된 내용은 향후 국내에서 행성탐사용 로버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고자 할 때 유용한 참고자료 및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200.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탁구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을 수집 및 유목화하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의 구조를 탐색하고 이들의 위계적 중요도를 분석한 것이다. 문헌조사와 492명의 탁구선수 및 지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헌조사, 개방형 설문과 면접을 통해 탁구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394종의 심리요인을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내용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선수와 지도자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해 탐색적 요인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375명의 선수와 지도자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한 설문을 실시하여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추출된 심리요인은 우수선수와 탁구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설문 결과를 계층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탁구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14종의 심리요인을 채택하였다. 채택된 심리요인은 “자신감”, “동기”, “불안조절”, “정서조절”의 네 요인으로 구조화 하였으며, 요인의 위계적 중요도는 동기(.273), 정서조절(.258), 자신감(.240), 불안조절(.229)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심리요인의 위계적 중요도는 자신 있게 치는 것(.094), 이길 수 있다는 생각(.078), 긍정적 사고(.077), 목표설정(.073), 몰입과 강인한 정신력(.072), 스트레스 관리(.071), 최선을 다하는 태도와 감정조절(.069), 부담감 제거(.068), 표정관리(.066), 승부근성(.065), 적극적인 플레이(.064), 실수를 빨리 잊기(.063)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탁구에서 필요한 심리요인의 구조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위계적 중요도를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