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3

        20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수확후배지는 버섯을 수확한 후 남겨진 배지를 말하며 버섯배지의 주원료는 가축 사료원료인 콘코브, 미강, 밀기울, 면실피, 비트펄프 등이고 버섯재배과정에서 배지영양원의 약 15-25% 정도만 버섯에 의해 이용되고 나머지 75-85% 정도는 버섯수확후배지에 남아있기 때문에 버섯수확후배지는 사료자원으로써 활용가치가 매우 높은 농산부산물이다. 버섯수확후배지 중 사료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새송이, 팽이, 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이며 새송이버섯 수확후배지는 난분해성 물질인 톱밥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소 함량은 높고 가소화양분 함량은 낮다는 단점이 있지만 cellulase와 xylanase 활성이 높은 미생물을 가축사료 첨가용 생균제로 이용하여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사료를 제조하면 버섯수확후배지의 섬유소 함량은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새송이버섯 수확후배지는 가소화양분 함량이 낮기 때문에 새송이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를 단독으로 급여하기보다는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사료를 일정량 첨가한 배합사료를 제조하여 급여하는 것이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발효과정에 의해 기호성과 저장성이 개선된 새송이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의 급여는 축우의 사료비 절감과 고급육 생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000원
        20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느타리버섯의 소포장에 적합한 포장형태 및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기간 중 품질변화를 분석한 결과, 중량감모율은 저장온도가 높거나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0℃저장시 배지부착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4℃저장에서는 저장기간 38일까지 배지 부착형에서 다소 높았다. 갓신장율은 0℃저장시 배지부착개체형이 비교적 낮았으며, 4℃저장에서는 배지 부착여부에 따른 큰 차이 없이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저온저장 후 상온에서 기간이 길수록 중량감모율은 증가하였으며, 갓신장율은 배지부착형은 증가하였으나, 배지제거형은 6일 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온 저장 후 상온에서의 신선도는 배지부착형이 배지제거형보다 길게 유지되었으며, 32일 저온저장처리가 상온에서 6일까지 판매가능한 신선도가 유지되었다.
        4,000원
        20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확후 큰느타리버섯의 3주 이상 저온 저장 및 유통 중 품질 유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포장 내부의 적정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하는 MAP 기술적용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μL/L 1-methylcyclopropene (1-MCP, 20시간, 0℃)을 처리하고 방담성 30㎛ oriented polypropylene(OPP, 1238.0cc/m2·day·atm O2)필름과 미세천공(MP3, 3179.9cc/m2·day·atm O2)필름으로 포장한 후 0℃에 저장 3주, 4주 저장 후 3일 상온유통을 실시하고 큰느타리버섯의 색도, 경도, 이취 등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1-MCP 처리 후 미세천공필름 포장에 의해서 저장 기간 동안 포장재 내 산소 농도 3.6~10.9%, 이산화탄소 농도 9.0~13.8% 수준이 유지되었으며 4주 저장 + 3일 상온유통 후 무처리 OPP필름보다 갓무름과 갈변, 이취 발생이 적어 상품성을 유지하였다.
        4,000원
        20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 병재배 수확배지를 느타리버섯 2차배지로 재활용하기 위해 팽이버섯, 큰느타리, 느타리 재배후 탈병배지를 운반하여 바로 느타리 532배지에 첨가시험을 수행한 결과, 팽이버섯과 큰느타리 수확후배지를 첨가한 배지에서 느타리 품종 춘추2호와 만추리는 모두 자실체 수량이 무첨가구에 비하여 낮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느타리 병재배 수확후배지는 기본배지에 대하여 50%까지 대체하여도 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10%~30% 첨가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증수되었다.
        4,000원
        20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가 수확율과 수확기간에 미치는 영향은 방임과 솎음 공히 온도가 낮을수록 발이소요일이 길었고, 수학소요일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률에 있어서 13℃에서는 91%, 17℃에서는 90.3%, 15℃에서는 95.8%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온도가 낮은 것은 발이가 불량하여 수확률이 떨어진 것이고, 17℃ 조건에서는 갈반병이 발생하여 수확률이 떨어졌다. 솎음처리구에서 품질은 생육온도가 13, 15, 17℃일때 각각 7.5, 8.1, 7.7로 15℃ 처리가 가장 우수하였고, 수확량에 있어서는 17℃ 처리에서 100.0g으로 가장 많았다. 방임처리구에서의 온도의 영향은 솎음처리구와 마찬가지 경향으로 13, 15, 17℃일때 품질은 각각 4.6, 5.9, 5.1로 15℃가 가장 우수하였다. 무게에 있어서는 15℃처리에서 107.2g으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생육시기별 온도를 달리 적용하였을 경우, Ⅱ조건(17℃ 발이기(뒤집기전, 7~8일)→16℃원기신장기(솎기전, 4~5일)→15℃ 신장기(솎기이후))가 생육소요일수가 16일로 가장 짧았으며, 수확량도 방임의 경우 다른 처리에 비해 22.4, 9.0% 증수되었다. 솎기구의 경우 품질이 8.1로 다른 처리구 7.1과 7.9보다 우수하였다. 총생산량에 있어서는 17.4, 4.0% 많았다.
        4,000원
        20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송이버섯(Pleurotus eryngii)은 인기 있는 식용버섯 중의 하나로서 항산화, 항암 또는 면역조절 기능 등의 인체에 유익한 생리활성 기능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새송이버섯 균사체 배양 시 커피음료 생산 과정으로부터 폐기되는 커피박(spent coffee ground: SCG) 첨가에 의한 균사체의 생장과 기능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SCG(1-10%, w/v) 첨가 시 생장속도가 상당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1% SCG 첨가 시 무첨가에 비해 건조중량이 2.5배 증가함으로써 SCG가 탁월한 새송이버섯 균사체의 생장촉진제 기능이 제시되었다. SCG 첨가에 의하여 균사체의 polysaccharide 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나 polyphenol량 및 항산화능의 증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07.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Pleurotus ostreatus strain ‘CM0109068’ showing gray and semispherical in color and shape of pileus were examined in its tetrapolarity of mating types. Single basidiospores were isolated from its fruiting body and monokaryotic mycelia were obtained from each isolate. Mat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22 monokaryons to provide mating compatibility data. Pairings were performed in the petri dishes on PDA and they were allowed to grow at 25℃ until two fronts of the advancing mycelia met and developed a conspicuous contact zone. The contact zone and the outer edges of paired colonies on each plate were examined for clamp connections and the crosses were considered dikaryotized when clamp connections were found at the growing margin of either side of the interacting monokaryons. The tested monokaryons resulted in tetrapolar incompatibility in intrastrain crosses. Compatible matings were distinguished from incompatible ones by the rapid growth and gross morphology. The dikaryotic mycelium colony was also confirmed microscopically by the presence of clamp connections from incompatible pairings. The four classes of tester strains representing the four incompatibility types were chosen from intrastrain mating tests. The mating tests with the tester strain were perform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rest monokaryons and as a result of these tests it was found that the strain share the same A and B incompatibility factors showing tetrapolar incompatibility characteristics.
        208.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ushroom is cultivated as one of the major economical crops in many areas in Korea. The total production has steadily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186,400 M/T in 2007 to 190,104 M/T in 201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optimum mixing ratio of Korean natural Juglans mandshurica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oyster mushroom.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showed the highest growth at the media of 20% Juglans mandshurica after culture of 34 days. But mushroom mycelial growth at Juglans mandshurica media was s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otal nitrogen and carbon source of Juglans mandshurica was 0.21% and 46.0%, respectively and C/N ratio was 219. Total nitrogen source and pH of substrates mixed with Juglans mandshurica were 2.8∼2.9 and 5.0,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P2O5,, CaO, MgO and Na2O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tents of Fe and Mn were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of Juglans mandshurica, but the contents of Zn was increased. Yields and valid stipe number of fruiting body was the highest at 10% Juglans mandshurica, and diameter and thick of pileu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increase of Juglans mandshurica addition ratio. The L value of pileus was the highest at the 20% Juglans mandshurica during mushroom harv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alue and the b-value. Chemical contents of fruiting body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209.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ushroom is cultivated as one of the major economical crops in many areas in Korea. The total production has steadily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186,400 M/T in 2007 to 190,104 M/T in 2009.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showed the 2th production to 46,598 M/T in 201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optimum mixing ratio of Korean natural Acer tegmentosum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oyster mushroom.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showed the highest growth at the media of 10% Acer tegmentosum and was decreased to increase of Acer tegmentosum addition ratio. But mushroom mycelial growth at Acer tegmentosum media was s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otal nitrogen and carbon source of Acer tegmentosum was 0.19% and 44.4%, respectively and C/N ratio was 234. Total nitrogen source and pH of substrates mixed with Acer tegmentosum were 2.7∼3.0 and 4.8∼5.0,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P2O5 and K2O were decreased by increasing Acer tegmentosum but the contents of CaO, MgO and Na2O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tents of Fe and Mn were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of Acer tegmentosum, but the contents of Zn and Mn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Yields of fruiting body and diameter and thick of pileus were the highest at 10% Acer tegmentosum. The L value of pileus was the highest at the 30% Acer tegmentosum during mushroom harv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alue and the b-value. The contents of P2O5,, CaO, MgO and Na2O of fruiting body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contents of Cu was decreased and Fe wa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of Acer tegmentosum.
        21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다양한 저장온도 조건에서 아위버섯에 적합한 MAP용 포장재 구명을 위해 수행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는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적었는데, 모든 온도 처리(1, 8, 24℃)에서 저장 종료일까지 1.5% 이하로 낮았다. 1저장에서는 산소투과율이 1,300cc/m2·day·atm 인 필름 처리구가 가장 큰 저장수명(42일)을 보였으며 저장중 포장내 산소/이산화탄소의 대기조성 조건도 가장 적합한 MA조건인 5%/15% 수준이었으나, 높은 에틸렌 농도와 이취를 보인 반면 3,000cc 처리구는 1,300cc 처리구와 비슷한 대기조성 조건을 갖추고 낮은 에틸렌 농도과 이취를 보였다. 따라서 1℃에서는 1,300cc와 3,000cc 필름이 적합하였다. 저장중 대기조성이 필름처리간 차이가 없었던 8℃ 저장에서는 에틸렌 농도가 두 번째로 낮았고 외관상 품질이 가장 높아 저장수명이 19일로 가장 길었던 3,000cc 필름이 적합하였다. 저장 온도가 높아 호흡이 급격히 빨라져 극도의 CA 조건이 만들어졌던 25℃에서는 외관상 품질에서 가장 양호하였던 1,300cc 필름으로 적합하였다. 또한 온도별 저장수명이 25℃에 비해 8℃는 4배, 1℃는 9배나 연장되어 수확 후 저온유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4,000원
        21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eurotus ostreatus ‘Miso’ is a mutant strain showing white color in pileus from the known parent strain ‘Wonhyeong 1’. Shape and several other characters also vary with culture conditions. Mat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interstrain mating relationship using monokaryons of the parent and the mutant strains. All monokaryons were grown from single spores isolated from freshly collected fruit bodies. Pairings were performed in 90 mm petri dishes on PDA. They were allowed to grow at 25 until two fronts of the advancing mycelia met and developed a conspicuous contact zone. The contact zone and the outer edges of paired colonies on each plate were examined for clamp connections. The parent and the mutant resulted in tetrapolar incompatibility in intrastrain crosses. In interstrain crosses, each monokaryotic tester strain of the parent strain was out-crossed to monokaryotic tester strains of the mutant. As a result of these crosses it was found that both strains share the same A and B incompatibility factors yielding 25% compatibility.
        4,000원
        21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능성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하여 국내에서 자생하는 구지뽕나무 톱밥의 적정 첨가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지뽕나무 톱밥의 수분함량은 6.4%였고, pH는 7.0이였다. 총질소함량은 0.27%였고, 총탄소함량은 40.9%였으며, C/N율은 152%였다. 혼합배지의 pH는 4.9~5.0이였으며, 총 질소함량은 수확후배지에서 증가하였지만 C/N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무기성분인 P2O5, CaO, MgO, Na2O, K2O함량은 구지뽕나무 톱밥의 첨가비율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느타리버섯 균사생장은 구지뽕나무 톱밥 10% 첨가에서 가장 빨랐지만, 다른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균사 생장이 느렸다. 자실체 수량은 구지뽕나무 톱밥 20% 첨가시 162g/850㎖로 가장 높았다. 갓의 크기와 두께는 구지뽕나무 톱밥의 첨가비율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대의 굵기와 길이는 구지뽕나무 톱밥 20% 첨가에서 가장 높았다. 대의 경도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갓의 경도는 구지뽕나무 톱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갓과 대의 색도는 구지뽕나무 톱밥 20% 첨가에서 L값이 가장 높았지만,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의 무기성분과 미량원소의 함량은 구지뽕나무 톱밥 30% 첨가에서 약간 높았다.
        4,000원
        21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 버섯류의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고품질의 짙은 회색느타리 신품종을 육성하였다.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느타리 유전자원의 특성검정을 하였다. 2008년에 육종모본수한과 ‘농기201호’의 단핵체간 교잡하여 04-154 교잡주를 육성하였다. 이 교잡주 04-154와 품종 ‘청풍’의 단핵체와 다시 교잡하여 우수한 Po2008-275를 선발하여 특성검정, 확대재배를 실시하여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구슬’로 명명되었다. 주요특성으로 균사 생장 적온이 25~30℃이며 버섯 원기형성 및 발생 온도는 10~16℃이였다. 자실체의 갓 색깔은 짙은 회색으로 자연 상태에서 봄, 가을에 재배가 알맞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균사체 배양기간은 25~30일이며 균 긁기 후 초발이소요일수는 3~5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단축된다. 자실체형태는 얕은 깔때기형이다. 대굵기는 16.8±1.6㎜, 대길이는 51.0±4.4㎜로 다른 느타리 종에 비해 자실체 대가 굵고 다소 짧은 편이다. 자실체 수량은 상자 당(43 x 43 x 11cm) 1,545g으로 04-154 계통친이 100일 때 ‘구슬’ 137, ‘청풍‘이 146이었다. 가변특성으로는 감자배지와 버섯완전배지에서 균사를 배양한 결과 버섯완전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였다. 또한 3종류의 primer를 이용하여 새로운 품종 ‘구슬’과 모균주에 대한 DNA profile을 분석한 결과 primer URP 1, primer URP 2, primer URP 5에서 양친주의 주요 밴드를 가지며 대조구인 ‘춘추2호’와는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신품종 느타리 ‘구슬’은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짙은 회색의 갓을 나타내어 고품질을 요구하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는데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14.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esh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were gamma-irradiated at 0, 1, 2, and 3 kGy. The effects on various quality attributes were determined during storage at . Color changes were more prominent in the cap region than the stem part. At the start of storage increase of Hunter's L-value (lightness) was observed in the caps of 2 and 3 kGy-irradiated samples. The L-value was higher in the all irradiated samples during storage. The trend was different in the case of stem region, where L-value decreased upon irradiation, but remained high throughout storage. The -value declined, whereas the b-value increased following irradiation. Irradiation showed a dose-dependent effect on the firmness, which was clearer during storage, but the samples irradiated at 1 kGy maintained an overall better texture than other irradiated samples. The weight loss was also higher in the all irradiated samples during storage. The samples irradiated at 1 kGy showed good physical appearance without any fungal attack at the end of storage; however color change in cap region was quite apparent. The ultra-structural drastic effect of irradiation was understandable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ose analysis demonstrated a clear change in the volatile profiles of all irradiated samples. Although the effect of irradi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was quite clear but the all irradiated samples were free from fungal attack that was observed in the case of control sample.
        4,000원
        21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색부후균인 느타리버섯 60균주로부터 목재를 분해하는 리그닌-셀룰로오스 분해효소 생산 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였다. 그 결과 1, 2차 스크리닝을 통해 실험한 모든 균주에서 리그닌-셀룰로오스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아비셀 함유 평판배지에서 선발된 6개 균주의 경우 2차 스크리닝 아비셀-효모추출물-펩톤 액체배지에서 셀룰로오스 분해효소 활성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자일란 분해효소의 경우 자일란-효모추출물-펩톤 액체배지에서 No. 6, No. 38균주에서 xylanse 1.0 U/ml 이상, 1,4-β-xylosidase 0.15 U/ml 이상 생산되었다. RBBR 함유 평판배지에서 선발된 13개 균주를 가지고 글루코오즈-효모-펩톤 배지 조건하에서 리그닌 분해 효소의 생산 실험을 한 결과 락케이즈가 먼저 최대 활성(0.8~2.0U/ml)을 나타낸 뒤 Mn-dependent peroxidase가 최대활성(0.5~1.5U/ml)를 나타내었다. 한편, 글루코오즈-효모-펩톤 배지 조건하에서 실험한 모든 균주에서 lignin peroxidase는 생산되지 않았다. 특히 본 연구자는 이러한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Mn-dependent peroxidase와 laccase 생산 능력이 높은 No. 42균주를 선발하였다.
        4,000원
        21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느타리버섯 1,100㎖ 배양용기의 뚜껑종류 및 크기에 따른 배양중 이산화탄소농도변화, 수분함량, 유리당,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기존의 비통기성 무스폰지 뚜껑구가, 상하 천공과 하 천공 모두에서 천공 구멍이 작을수록, 또한 상대비교는 하 천공구에서 높게 유지되었다. 배양중 이산화탄소 변화는 배양 뚜껑 종류와는 관계없이 배양 경과 6~11일경 이산화탄소발생량이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뚜껑종류별 느타리버섯(1100㎖병)의 수량은 상하 뚜껑 천공의 19~38㎜천공에서 11.4~23.8%로 증수되어 폭넓게 수량이 좋았으며, 하 천공에서 26~47㎜천공 뚜껑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6.5~17.9%가 수량이 증수되었다. 또한 빠른 균사배양속도를 고려하면 상하 33㎜천공 뚜껑에서 기존 무스폰지 뚜껑보다도 23.8%의 높은 수량으로 제일 양호하였다.
        4,000원
        21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한느타리버섯 병재배시 후숙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지재료는 미루나무톱밥(68%), 면실피(16%), 비트펄프(8%), 면실박(8%)을 부피비율로 혼합하고 수분합량을 67%로 최종조절하여 사용한다. 후숙기간은 대조구는 실시하지 않았고, 25~27℃조건에서 각각 6일, 9일, 12일, 15일 처리구를 두고 본 시험을 마친 결과 첫째. 후숙기간과 후숙온도에 따른 버섯 생육 특성은 후숙처리 9일과 12일 처리에서 버섯 수량이 각각 163.1g/병과 160.7g/병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후숙처리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의 수분함량 변화를 보면 균배양 전과 균사배양 완료 후의 수분함량은 변동이 없었다. 후숙처리 기간이 길어 질수록 수분함량이 다소 줄어드는 경향이었으며, 버섯 수확후의 배지 수분함량은 후숙기간 9일 처리에서 49.3%로 가장 많이 줄어들었다. 마지막으로 배지의 무게변화에 따른 버섯 수량과의 관계를 보면 후숙기간 9일 처리구에서 버섯 수확 후배지 무게가 382.6g/병 으로 가장 적었으며, 버섯 수량은 163.1g/병으로 가장 많았다.
        4,000원
        21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느타리버섯 850㎖ 배양용기의 뚜껑종류 및 크기에 따른 배양중 이산화탄소농도변화, 수분함량, 유리당, 키친 함량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배양중 이산화탄소 변화는 배양 뚜껑 종류와는 관계없이 배양 경과 8~9일경 이산화탄소발생량이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뚜껑종류별 이산화탄소누적 농도는 뚜껑 크기 29~41㎜를 비교하였을 때 상하천천공은 6.5~4.0%, 하부천공은 9.0~6.5%로 하부천공이 이산화탄소농가 높게 측정되었다. 수분변화는 구멍크기가 클수록 배지 내 수분 보유량은 감소하였다. 유리당과 키친의 변화는 상하천공보다 하부천공에서 유리당 및 키친량이 많았고, 수량은 상하천공 23~33㎜, 하천공 29㎜에서 각각 15.8~21.2%, 20%가 증수되었다.
        4,000원
        21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행연구인 큰느타리버섯의 자실체 특성연구에 기초하여 속성형질과 품질이 우수한 계통을 선발하여 품질이 우수하면서 조기에 수확할 수 있는 품종을 육성하고자 하였다. 수확소요일수가 우수한 KNR2503과 품질이 우수한 KNR2322를 육종모본으로 정하고 이들 계통으로부터 유래한 단포자의 특징을 조사하고 KNR2322는 자식, KNR2322와 KNR2503은 혼합하여 교배를 실시하였다. KNR2322-4×37은 품질과 갓형태에 있어서 육종학적 가치가 우수하였고, 여기에서 유래한 자식계통 KNR2322-4×37-6×12(B)는 수확소요일이 20일 정도로 길었지만, 무게가 68.5g 품질이 6.5로 우수하여 육종모본으로 선발하였다. KNRR2322-30×KNR2503-60(A)은 수확소요일이 13.5일로 육종모본으로서의 가치가 있었다. 육종모본 A와 B 교배결과 A8B8과 A8B10이 수확 소요일, 무게, 품질이 각각 14.0일, 88.8g, 92.7g, 7.0, 7.1로 우수하였다. 고유성 검사의 일환으로 기존품종(큰느타리3호)를 대조구로 핵산지문법과 대치배양을 실시하였는데, 다형성과 대치선이 존재하여 유전적으로 차별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선발된 두 계통중 A8B8은 “새송이1호”라고 명명하고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등록을 하였다.
        4,000원
        220.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ple pomace is a by-product from the apple processing industry and has the potential to suppor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pple pomace on the growth rate of Pleurotus ostreatus mycelium was investigated. The mycelial growth dramatically increased by 34.5, 20 and 26% in solid culture, liquid culture, and solid-state fermentation, respectively, by adding 2.5% apple pomace. However, the growth of P. ostreatus mycelia was slightly inhibited by adding 5 or 10% compared to 2.5% apple pomace. Our findings reveal that apple pomace utilization can become a model for the valuable addition of similar wastes, and for the development of a solid-state ferm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