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0

        20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respiratory exercise 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muscle activity of rectus abdominis in smokers and non-smokers with elderly people. All the participants were older than 65 years, and twenty non-smokers, and twenty smokers participated. Non-smokers and smokers were randomly divined into 10 feedback breathing exercises (FBE) and a balloonblowing exercise (BBE) group. The FBE and the BBE were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forced vital capacity (FEV1/FVC), peak expiratory flow (PEF), and vital capacity (VC) were measured as pulmonary function. EMG was used to measure the activity of the rectus abdominis. In the FBE and BBE groups, FEV1 was significantly lower in non-smokers compared to smokers at two and four weeks (p<.05), FEV1/FVC, PEF and VC were significantly lower in non-smokers compared to smokers to pre-test, two weeks, four weeks and six weeks (p<.05). Muscle activity of rectus abdomini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BBE group at pre-test, two weeks, four weeks, and six weeks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piratory exerci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pulmonary function and rectus muscle activity.
        4,000원
        20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인범죄자는 오랫동안 형사사법절차에서 노인범죄자들은 그 수적인 열세로 인하여 형사사법정책의 중심에서 간과되어 왔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 급속한 고령화와 사회변화의 복잡화는 많은 노인범죄자들을 양산하게 되었다. 따라서 더 이상 기존의 형사사법정책으로는 증가되는 노인범죄에 대처하는데 다양한 한계를 보이게 되었으며, 노인범죄의 재범률을 낮추는데 새로운 형사사법정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 맥락의 차원에서 노인범죄자들에 대한 적절한 사법처우를 위한 바람직한 방안들을 내포하는 노인범죄자 지향적인 형사사법정책을 본 논문에서 주장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본 논문에서는 노인전담경찰제도, 노인범죄자들에 맞는 원격화상재판, 노인전담 교정시설 등 새로운 발전방안들을 기술하고 있으며, 결론에서는 노인범죄자들에 대한 형사사법절차에서 사법복지의 패러다임과 그 실천방안들을 나타내고 있다.
        6,300원
        20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and stress level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ir neighborhood volunteers. Method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ly 1 to October 1, 2015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at Nowon community in Seoul area in South Korea. The subjects were 146 older adults living alone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accepted by IRB).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with quality of life 26 items, 5-point Likert type scale(1-5), stress 15 items, 5-point Likert typ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Socially isolated older adult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3.7±.03) in quality of life, moderate scores (2.9±.03) in stress. Conclusion The peer support undertaken by older community volunteers was effective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in socially isolated older adults.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the voice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rough the activation of volunteer groups in the community
        4,000원
        20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압화와 꽃장식의 친근한 활동과 다양한 방법의 그룹 활동을 통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요양병원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예치료 실시장소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 소재의 G 요양병원 내의 강당이었다. 실시 기간은 2015년 9월 4일 부터 10월 30일까지 매주 월요일, 금요일 주 2회 총 15회 실행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시간은 10시 30분 부터 11시 20분까지 회당 50분간 진행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노인 생활만족도의 원예치료 사전 ‧ 사후 비교 결과, 하위 항목 중 현재생활만족도, 미래생활만족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실험군의 경우, 노인생활만족도의 긍정이 3.5에서 5.1로 향상되었고(p>0.003) 부정은 7.8에서 3.3 으로 감소하여 생활만족도가 고도로 유의하게 개선(p>0.000***)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대인관계 평과 결과, 집단 내 대인관계 면에서 긍정이 3.2에서 4.2로 유의차를 보였고 그 외는 모두 유의차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대인관계척도 평가 결과, 의사 소통의 경우 긍정이 3.8에서 6.2로 증가하 여 유의한 차이(p>0.020)를 나타내었다. 부정은 4.6에서 2.8로 감소하여 0.038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상생활 대인관계에서 긍정은 2.4에서 3.8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부정은 4.8에 서 1.8로 많이 낮아져 대인관계에 유의하게 개선(p>0.001)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압 화와 꽃장식의 협동 프로그램은 요양병원 입소 노인들의 생활 만족도와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 로 판단되었다.
        4,000원
        20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은 저출산 현상과 평균수명의 증가로 고령화가 빨리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여러 가지 노인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노인들에게 발생하는 문제는 건강, 빈곤, 고독, 무력감 등이며 여러 가지 요소들이 결합되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는 점과 다시 회복할 수 있는 방법과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해결이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문학 작품에 나타난 노인문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소설에 언급된 노인 문제는 경제 능력의 상실과 고립감, 독거노인의 빈곤과 고독사, 숨기려고 하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노인의 성문제 등이다. 노인문제는 노인의 사회적 역할이 감소하고 국가적 재원의 한계 등으로 인해 해결에 소극적인 면이 있지만 누구나 노인이 된다는 점에서 우리 모두의 문제인 것이다.
        5,500원
        20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길 찾는 능력과 거리를 인식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많은 주의력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을 위해 간헐적인 주의 집중만으로 보행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손목에 착용하는 보행 보조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촉각 기술을 활용한 보행 보조 기술에서 시각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촉각 정보에 병행하는 시각 정보인 화면 UI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술 수요자인 65세 이상 노인 30명에게 스마트워치를 착용시키고 Wizard of Oz로 네 가지 화면 UI로 길을 찾아가도록 지시한 후 각 화면 UI에 대한 평가 및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선호도 순위, 경로를 이탈한 사람의 수, 경로 이탈 횟수에 대해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사용 경험에 근거해 새로운 이해를 얻고자 질적 연구 방법론인 grounded theory로 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순적인 요구사 항을 가진 노인의 손목시계형 보행 보조 장치 개발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300원
        20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hewing and swallowing disorders such as dysphagia are common in the elderly people whose number is reported to continuously increase throughout the world. With this trend, the aging populations have recently become the global focus of substantial research interest in a variety of industrial fields and the food industry is also no exception. Further studies are also necessary to establish the guidelines or criteria for controlling the food texture for the elderly with different living and cultural backgrounds. An experimental attempt was made to bridge the gap between instrumental and sensory texture in a model solid food system, providing a reference texture range for the elderly diets. For doing so, uniaxial compression was applied to measure the instrumental hardness of corn starch gels that was correlated with their sensory properties perceived by the elderly aged 60 and older. A polynomial trend line was satisfactorily obtained with the formula (y=0.2188x2-5.7917x+38.14)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mental hardness and starch concentration. When the instrumental hardness (stress) was correlated with the sensory hardness, a linear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0.879). However, the use of logarithmic transformation exhibited the improved correlation of coefficients. A fairly linear correlation (R2>0.96) was thus observed between the instrumental and sensory hardness by a semi-logarithmic relationship known as Weber-Fechner’s law scale.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wo principal components that accounted for 86.71% of the total variance, separated the gel samples in terms of hardness/springiness and moistness, respectively. The categories of the starch gel samples were subdivided into five groups with different stress ranges. As a result, five categories of food texture could be successfully provided with corresponding stress range and consumer languages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ol to establish the guideline or criteria for developing the elderly foods.
        209.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outh Korea is one of fastest aging countries in the world. Poor balance and falls of the elderly are main health issues. Object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ocioeconomical factors and the standing balance of elderly living in the rural and urban area. Methods: One hundred sixty-six elderly participants who were older than 65 and were able to walk without an assistive device were recruited in the city of Gwangju and in the rural area of Jeonnam, South Korea. All participants performed the static and dynamic standing balance tests. Static standing balance was measured with chronometer in seconds while standing on one leg. Dynamic balance was tested with the timed up and go test (TUG), measured in seconds while getting up from a chair and walking 3 meters and back to sit. The static and dynamic standing balance was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Fisher’s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post hoc test. Results: Male participants from both areas had no difference in one leg standing and TUG. The femal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took shorter in TUG than females living in urban area. Age decreased the one leg standing time in both areas while did not affect the TUG significantly. As the monthly income increased, both of one leg standing and TUG increased in urban area, while the medium monthly income showed best performance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of one leg standing and TUG in rural area. Conclusion: Socioeconomical factors affects differently the standing balance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nd urban South Korea. Female living alone in urban area with low monthly income demonstrated worst standing balance in this study.
        4,000원
        210.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신체활동, 인지활동,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 및 수공예 등의 목적있는 활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을 포 함한 집단 복합 중재가 초기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유사 실험연구로써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로 중재는 회당 90분, 주 1회, 8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인지기능과 우울 수준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 해 치매 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MMSE-DS) 와 단축형 한국어판 노인우울척도(Korean Version of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 를 사용하였다. 결과 : 초기치매 노인에게 집단 복합중재 후의 인지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고(p<0.01), 우울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다(p<0.05). 우울증 의심에 해당되는 대상자 6명은 모두 정상범주로 분류되었다. 결론 : 신체활동, 인지활동,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 및 수공예 등의 목적 있는 활동을 포함한 집단 복합 중 재는 초기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의 퇴행을 늦추고 우울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다. 향후 연구결과의 확증이 필요하며 치료사의 태도나 역량 등 중재의 정확한 전달에 필요한 질적인 내용을 포 함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200원
        21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Because elderly drivers are more prone to becoming confused when approaching an urban intersection and thus may yield prolong judgment and decision times than non-elderly drivers, to increase the comfort and safety of the intersection environment for elderly drivers, this study applied autonomous driving tests at an urban intersection to examine their driving characteristics. METHODS: To obtain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riving features, this study collected drive data of non-elderly drivers and elderly drivers via an autonomous experiment using OBD2 and an eye-tracker, in addition to performing a literature review on the measured visibility range of elderly drivers at intersections.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general knowledge of elderly drivers having relatively reduced visibility. Additionally, as they are commonly more vulnerable, this study analyzes characteristics of elderly drivers as compared to those of non-elderly drive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ripheral visible distance of elderly drivers is reduced as compared to that of non-elderly drivers; 2) elderly drivers approach and proceed through intersections at slower speeds than non-elderly drivers; and 3) elderly drivers yield increased driving distances when performing a right or left turn as compared to non-elderly drivers as a result of their reduced speed and acceleration and larger turning radii relative to non-elderly drivers.
        4,900원
        21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imulation based on for elderly sensation disorders patient. the elderly population is growing about hearing loss, cataracts on this communication simulation for a nursing student is required.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A total of 46 subjects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n=24) the control group (n=22). Data - gather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communication compet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attitude about the elderly. The data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x2 test and independent t-test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he experiment group (t=2.05, =.046) and attitude about the elderly (t=-2.26, p=.033).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in academic self-efficacy(t=1.17, p=.247) Conclusion: communication Simulation should continue to be developed further for better sensation disorders with elderly patient. Integrated education in particular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in nursing competence.
        4,500원
        213.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인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빈번히 드러나고 있는 신체적 쇠퇴와 허약함과 무기력, 생리적 기능의 쇠퇴 등을 아유르베다의 만뜨라 명상을 통해 노인의 삶의 변화효과를 질적 분석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남 M시의 사회복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사례관리자들에게 신체적 노쇠에서 오는 우울감과 다양한 신체적 변화로 인해 심리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노인과 의욕이 낮은 71세에서 84세의 노인 15명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에 참여시켰다. 본 연구 설계는 사전검사, 프로그램중재,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진행은 2015년 2월부터 2015년 12월 까지 10개월 동안 주 1회 40회기를 진행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참여자들 15명 중 까파 체질이 10명, 삣따 체질이 4명, 바따(vāta) 체질이 1명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진행 만뜨라 명상을 위해 호흡과 만뜨라와 이완 명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이 까파가 많았고 노화가 진행되면 심리적으로 까파화 되어 가는 과정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만뜨라는 까파 만뜨라인 슈림(Shrim)과 아임(Aim)을 사용하였다.
        4,600원
        21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초기 치매환자에게 오차배제학습을 병행한 시간차회상훈련이 언어성 기억력과 일상생활 활동과 관련한 기억력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초기 치매환자 2명에게 일상생활활동과 관련한 과제를 학습시키기 위해 오차배제학습을 병행한 시간차회상훈련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총 9회기의 BA 디자인으로 중재기간(B)은 6회기, 일반화기간(A) 은 3회기였다. 언어성 기억력은 사전·사후에 한국판 기억평가 검사(Korean version of Memory Assessment Scale; K-MAS)로 평가하였고, 일상생활활동과 관련한 기억력은 회기별 평가로 일과 회 상 성공률로 평가하였다. 또한, 실험의 일반화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중재기간(B)과 일반화기간(A)을 포함한 2주 동안 보호자에게 요일에 해당하는 일상생활활동을 기억하는지 질문하여 기록하도록 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중재기간(B) 동안에 일과 회상 성공 횟수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그 효과가 일반화기간(A) 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중재효과는 실제 생활에서도 전이되었다. 반면, 언어성 기억력의 변화는 없었다. 결론: 오차배제학습을 병행한 시간차회상훈련은 초기 치매환자에게 훈련 내용을 기억하는데 효과가 있었으 나, 언어성 기억력을 향상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4,200원
        215.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at studying how the effects of Animal Assisted Therapy on the elderly’s depression, cognition are. The ques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ings. 1. What is the demo-soci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in Uisung nursing home? 2. What are the effect of Animal Assisted Therapy on the elderly’s depression, cognition? In this paper, we collected the data by interviews through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s during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he elderly in Uisung nursing home are as follows. In the demo-socio factors, the elderly’s average age is 78, The score of depression of experiment group is 47 in comparison of the previous test 52. The score of cognition is 14 in comparison of the previous test 13. Although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est group and experiment group in post test of MNSE-K, depression, the differences of test group and experiment group in post test of MNSE-K, depression are statistically meaningless. With a view of this point, we can conclude that we need more observation of the effect of the animal assisted therapy in nursing home Uisung area in spite of better conditions than before. The agency to solve the elderly depression, cognition in nursing home need more observation to recognize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depression, cognition in Uisung Kyungbuk Area. In reality, the elderly in nursing home feel more better than before therapy, which implication is very meaningful in elderly welfare.
        4,300원
        216.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dded with goji berry powder (0, 2, 4, 6%) and to develop functional Jeungpyun as snack for the elderly. The volume of batter without goji berry powder increased 2.9 times after 4 hrs of fermentation, whereas those with 2, 4, and 6% goji berry powder increased 1.8~1.9 times. The pH and brix of the batter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goji berry powder. The expansion volume of Jeungpyun decreas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goji berry powder. The pH of Jeungpyun was higher than that of Jeungpyun batter in all groups. However, the brix of Jeungpyun was lower than that of Jeungpyun batter in all groups. The L value of Jeungpyun decreased, whereas a and b value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goji berry powder.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was higher in the elderly than in university students. Jeungpyun with 4% goji berry powder had best ratings in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ntioxidant activity of Jeungpyun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goji berry powder. Therefore, goji berry Jeungpyun is available as a snack for the elderly and can be added to goji berry powder up to 4%.
        4,000원
        21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에게 전래동화 플래시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작업중심의 회상치료를 적용하여 인지기능과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C시의 노인전문병원에서 총 24명의 치매환자를 실험군(12명)과 대조군(12명)으로 나누어 주 3회, 매 회기 40분씩 총 6주간 18회기의 회상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중재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로는 인지기능은 간이정신상태검사-한국판(Mini Mental State Exam-Korean; MMSE-K) 과 노인용 작업인지 평가도구(Loew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for Geriatric population; LOTCA-G)를 이용하였고, 사회적 상호작용은 사회행동척도(Social Behavior Scale; SBS), 문제행동은 신경정신행동검사-간편형(Neuropsychiatric Inventory-Questionnaire; NPI-Q)으로 중재전 후에 평가하였다. 결과분석은 기술통계와 비모수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사후 점수들을 비교한 결과 MMSE-K의 총점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LOTCA-G에서는 총점과 하위항목 중 실행력과 기억력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BS의 경우 총점과 언어적, 비언어적, 대화내용의 세 가지 하위항목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PI-Q점수를 비교한 결과 심각도와 고통정도의 총점을 포함하여 세부항목 중 초조/공격 성의 심각도와 고통정도, 우울의 고통정도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치매환자에게 전래동화 플래시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작업중심의 회상치료 프로그 램을 적용하였을 때, 인지기능유지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향상과 문제행동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500원
        21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HbA1c level and health risk factor. For analysis, 330 elderly women aged 65 years and over were recruited in Jeonla province, Korea.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HbA1c level; the diabetic group (HbA1c level≥6.5%, n=68, 20.6%) and control group (HbA1c level< 6.5%, n=262, 79.4%).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as well as information on physical measurements, blood tests for biochemical indicators, a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life style, dietary behavior, favorite food groups, consumption frequency of food groups and nutrient intake. Educational level of the diabetic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height of the diabetic group was shorter, and percentage fat of the diabetic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diabetic group,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creatinine and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unfavorable factors. Therefore, the diabetic group was assumed to be at risk of decreased liver and renal function. The self-rated health level of the diabetic group has a declining tendency, while the medicine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iting frequency of hospital and community health center. The distribution of physical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lthough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 the diabetic group had relatively inferior nutrient intake of diet, especially vitamin C, as contrasted with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weight control and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may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the diabetes and continuous education and intervention by specialized nutritionists will be needed for diabetic patient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to plan effective strategies to increase the health-life expectancy and the prevention of the diabetes of Korean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4,300원
        21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at a public health center located in Jinhae city. The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Nutrition education lesson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2 hours/lesson, 3 times) were provided to 27 female elderly(≥65 yrs) for a month.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number of exercise increased and preference for sweetnes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The outcome expectations, the knowledge of nutrition (p<0.001), and behavioral capability (p<0.05) sco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all nutrient intake. NAR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protein, calcium and vitamin C (p<0.01), dietary fiber, iron, zinc, thiamin, niacin and folic acid (p<0.001), and riboflavin (p<0.05). INQ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iamin, vitamin B6 and niacin (p<0.05), and dietary fiber (p<0.01). The score of nutrition education satisfaction was high (4.52).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had a positive effect on dietary behavior changes, and nutrition intake status among female elderly even after short-term intervention.
        4,600원
        220.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치안 약자인 노인의 범죄두려움의 수준과 범죄두려움에 관한 이론을 근거로 치안 약자 노인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결과에 따라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형사정책연구원과 통계청에서 공동으로 [국민생활안전실태조 사]로 조사된 󰡔전국범죄피해조사󰡕(김은경 외, 2014)의 원자료를 갖고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자가 사용하는 변수에 대한 결측값이 있는 응답자는 제외되어 총 13,317명 중 7,877명이 전체응답자로 사용되었고, 그 중 치안약자인 노인은 1,38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노인과 비노인의 집단 간에 범죄두려움이 차이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t-test)을 사용하였고, 범죄두려움에 대한 개인수준과 지역수준의 변량이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HLM으로 변량분석(ANOVA)과 주요 요인은 무엇인지 보고자 다층분석(Multilevel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전체응답자의 개인적 범죄두려움(평균 2.56점) 보다 노인의 개인적 범죄두려움(평균 2.18점)이 낮게 나타났으며, 오히려 비노인의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범죄두려움에 관한 이론에 근거하여 사용된 변수들을 모두 회귀식에 투입하여 살펴본 결과, 개인수준 변수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았고, 학력과 취약성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 타났고, 이때, 표준화 회귀계수의 값은 취약성인식(β=0.323), 성별(β=–0.169), 학력(β =0.101)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수준 변수에서 사회적 무질서와 사업체수가 증가할 때,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치안 약자인 노인의 범죄두려움을 낮추기 위해 여성 노인에 대한 범죄 예방활동이 필요하고, 사회적 무질서를 낮추기 위해서 거리를 방황하는 불량 청소년에 대한 거리이동 상담서비스, 술에 취해 누워있는 노숙인과 만취자에 대한 안전지원 서비스 등과 지역유대를 높이기 위한 지역사회 조직화사업, 공동체 운동, 더불어 사는 마을 만들기 사 업 등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을 낮추기 위해서 치안감시, 시민감찰 등의 지역사회경찰활동 등에 사회복지적 연계방안을 모색하여 셉테드(CPTED)가 형성될 수 있도록 파트너쉽 형성이 필요하다.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