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1

        221.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앙식미 쌀생산을 위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조생종인 대진벼, 중생종인 서진벼, 중만생종인 추청벼를 공시하여 농가포장 조건에서 수확시기에 따른 수량과 품질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대진벼, 서진벼, 추청벼 모두 수확시기가 출수후 40일에서 70일로 늦어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식미계에 의한 식미치는 대진벼, 서진벼, 추청벼 모두 출수후 40일에 수확시 유의하게 높았고 출수후 70일로 늦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3. 수량과 식미를 함께 고려한 수확적기는 대진벼는 출수후 40-50일, 서진벼와 추청벼는 출수후 40-60일이나 앙식미를 위하여는 3품종 모두 출수후 40-50일에 수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식미를 좋게 하는 등숙적산온도는 대진벼와 서진벼는 1200℃ , 추청벼는 1100℃ 정도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5. 식미치는 백미의 단백질함량과는 매우 유의하고도 직선적인 부의 상관(-0.94** )을 나타내었고 아밀로스함량과는 매우 유의한 정상관(0.66** )을 나타내었다. 6. 식미치는 적산등숙온도와 매우 유의하도고 직선적인 부의 상관(-0.79** )을 나타내어 등숙기간중 적산온도가 낮을수록 식미치가 높았다
        222.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4년생 인삼의 저장근에 함유된 일반 화학성분, 유리당 및 사포닌 성분을 수확 시기별로 조사하고 그 변화 양상을 검토하여 4년생 인삼의 최적 수확기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년생 인삼의 전 생육기간 중 조단백 함량은 지상부 출현기인 4월이 20.77%로 가장 높았고, 지상부 전개가 완료된 6월이 13.13%로 가장 낮았으며, 8월 이후에는 17% 수준으로 함량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2. 조지방 및 조섬유 함량은 조단백과 반대의 양상으로 개화기인 5월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3. 총당은 전 생육기간 중 60-71%의 함량범위로 존재하여 전체성분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지상부 생육이 완료된 6월이 71% 수준으로 가장 높았으며, 개화기인 5월이 60%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4. 인삼 저장근의 유리당 함량은 지상부 출현기인 4월에 20.40%로 최대치를 보였으나, 개화기인 5월에는 11.89%로 전생육시기 중 최소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5. 유리당 중 가장 함량이 높은 sucrose의 변화(10.96-19.60%) 양상은 전 수확기간 중 총 유리당의 변화(11.89-20.40%) 경향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지만 fructose의 함량 변화와는 서로 상반된 양상을 나타내줬다. 한편 유리당 중 glucose와 maltose의 함량은 전 수확기간 중 통계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조사포닌과 총 ginsenosides함량은 개화기인 5월에 각각 7.60% 및 4.09%로 기타 수확시기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그 외의 시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4년생 인삼에서 성분적 특성만을 고려할 경우 개화기인 5월이 가장 유리하였다 그러나 개체당 함량은 10월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다소 감소되었으며 건답직파에서는 5년연속 재배시 62%로 크게 감소되었다.다.0일이었다.환경적응성이 낮은 경향이었다.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
        223.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수확시기와 횟수를 달리함으로써 생육과 경엽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회 수확시의 생육은 7월 16일과 7월 31일 수확에서 가장 왕성하였으며, 2회 수확시는 1회 수확시기가 빠를수록 양호하였다. 2. 상품 경엽수량은 7월 31일까지는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많았으나, 이후 10월 16일에서는 41% 수준으로 감소폭이 컸다. 3. 건물율은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22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 수확시기 및 첨가제에 따른 땅콩경엽의 수량 및 사일리지용 사료가치를 비교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시기별 생육은 개화후 90일 수확시 경엽의 병해(갈색무늬병 및 흑색무늬병) 발생 정도가 낮고, 성숙협비율은 89%, 100립중은 81g으로 높았다. 2. 수확시기에 따른 경엽 및 종실 생산성은 개화후 90일에 경엽은 52 t/ha, 종실중은 3.6 t/ha이었다. 3. 경엽과 종실수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r2 =0.62** )이 있었다. 4. 땅콩경엽의 사일리지 사료가치는 땅콩경엽+볏짚+젖산균 조제시 ADF 42.2%, NDF 49.6%, CP 10.5%, TDN 55.6%이었다. 5. 땅콩경엽 사일리지의 유기산함량은 땅콩경엽+볏짚 및 땅콩경엽+보릿짚에다 젖산균 첨가시 각각 산도 5.04 및 5.10, 낙산함량 3.12% 및 4.64%, 젖산함량은 7.34% 및 2.07%이었다.
        226.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 품종별, 수확시 기별, 부위별 그리고 매실농축액과 매실차 등 매실가공식품의 저장기간에 따른 시안화합물의 변화를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실 품종별 숙성과정 중 amygdalin 함량의 변화는 과육의 경우 수분후 미숙과인 70일경에는 3개품종이 비슷하였으나 앵숙이 20.2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핵인의 경우는 재래종에서 562 mg%로 나타나 다른 품종에 비하여 1.5∼2.4배 더 높았으며, 부위별로 보면 핵인이 과
        227.
        200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탐라오갈피 나무의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eleutheroside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9월에 수확한 탐라오갈피 나무의 부위별 eleutheroside B의 함량은 줄기에서 549.2 ppm으로 가장 높았고, 뿌리 및 잎에서는 각각 483.2 ppm, 255.9 ppm으로 잎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eleutheroside E도 줄기에서 653.1 ppm으로 뿌리보다 높았으며, 잎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잎에는 eleutherosid
        228.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약 식재후(植載後) 1년생은 일반관리법으로 재배하고 2년생부터 4년생 까지 3년간은 지상부 병해(病害)에 약제(藥劑)를 전혀 살포하지 않고 조기고사된 작약과 1년에 4회씩 3년간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정상생육한 작약을 7월 25일부터 10월 25일까지 한 달 간격으로 4회 수확하여 조사한 결과 약제무방제에 따른 조기고사의 경우 건근수량(乾根收量)이 7월 하순경에 일찍 수확한 것은 1,126kg/10a 로 10월 하순 수확 1,177kg/10a에 비해 차이가 없으면서 paeoniflorin 함량이 가장 높았고, 약제방제에 따른 정상생육의 경우 수확 시기를 조정하여 10월 하순에 늦게 수확하는 것이 paeoniflorin 함량은 7, 8월 수확보다 낮았지만 건근수량(乾根收量)은 1,650kg/10a로 7월 수확 1,242kg/10a 에 비해 33% 증수(增收)되었다. 따라서 고품질 다수확을 위해서 는 작약 지상부병해에 약제를 살포하지 않고 일찍 고사시킬 것이 아니라 약제방제를 철저히 하여 지상부 생육을 10월 하순까지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229.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길경의 품질평가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crude saponin 함량 변화를 밝히고 고품질 약재생산 및 가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생육년수, 부위, 수확시기, 및 건조방법별로 조사포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rude saponin 함량은 생육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였다. 부위별로는 미부에서 2.74%로 두부 1.65%보다 1.6배 높았으며, 외피가 내심보다 1.8배 높았다. 수확시기별로는 3월과 12월에 수확했을 때가 각각 2.82, 2.74%이었으며 6월과 9월은 각각 2.12, 2.09%이었다. 건조방법별로는 증건했을 때 가 1.65%로 가장 낮았고 양건, 음건, 열풍건 및 원적외선 건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230.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초향 국내 수집종의 생육특성 및 수확시기별 로즈마린산과 정유함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집종들의 개화기는 8월 13일~8월25일로 진도 수집종이 가장 늦었고 초장은 120~170cm, 주당 분지수는 13~21개, 화방군(花房群)의 길이는 10~15cm였으며, 화방군(花房群)의 수(數)는 13~22개로 수집종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2. 수집종들의 부위별 건물수량 (kg/10a)은 꽃 109~156kg, 잎 135~252kg, 줄기 421~932kg, 뿌리172~394kg으로 꽃과 뿌리에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건물수량은 개화 중기 (9월 20일)에 수확한 것이 가장 많았다. 3. 수집종들의 로즈마린산 함량은 모든 부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꽃 0.32~2.34%, 잎 0.97~1.64%, 줄기 0.03~0.21%, 뿌리 0.91~6.56%로 뿌리의 함량이 가장 높고 줄기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4. 잎의 로즈마린산과 정유함량은 개화전(開花前)이 각각 3.76%, 5.78%로 개화후(開花後)의 1.55%, 2.10%보다 더 높았으며 지상부의 로즈마린산 함량은 개화전에 가장 높았으나 정유 함량은 개화말기에 가장 높았다.
        232.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give some information on the harvest and storage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e experiment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its harvesting date and storage method on tuber weight, tuberrelated characters during the storageor at the end of storage. The yam tubers harvested 4 times at 20 days interval from Oct. 15 were stored with different storage methods(pit, room and cold temperature) and on Mar.15. all the characters were measured. Fresh weight of the tuber harvestedafter Nov. 5 and stored were greater than that done on Oct. 15 while dry tuber weight did not have any difference between the harvesting dates. The fresh weigth done directly from the field on Mar. 15 was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harvesting dates owing to its higher moisture content. The rate of sound tuber stored at room or cold temperature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at the field at which the rate was greater at the harvest after late nov. compared to the earlier harvests. Although the two storages were similar at sound tuber rates and marketable yield, the tuber weight was more reduced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than when done at cold temperature . Brightness and value 'b' of chromaticaity realted to the tuber coloring and sugar content were higher but moisture content was lowerwhen harvested on Oct. 15 than the other havesting dates. All the characteristics realted to the marketability after storage were nearly same when stored at room and cold temperature. Value 'a' of chromaticity and sugar content were higher when harvest on Mar. 15 than when harvested before Dec. 15 but the 'b' value and mositure content were reverse results.
        233.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가(農家)에 보급(普及)된 수도용(水稻用) 콤바인의 이용효율(利用效率)을 높이고 농가소득 증대(農家所得 增大)에 기여(寄與)하기 위해 율무의 콤바인 수확적기(收穫適期)를 구명(究明)하고자 수확시기(收穫時期)를 개화기후(開花期後) 40일, 50일, 00일, 70일에 실시(實施)하시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업효율(作業效率)은 개화기후(開花期後) 50일 이후(以後)에는 2조 수확(收穫)) 가능(可能)하였고, 작업속도(作業速度)는 개화기후(開花期後) 50일 이후(以後)에는 0.26m/s였고 이론상의 작업능력(作業能力)은 개화기후(開花期後) 60日 이후(以後)는 11.23a/hr였다. 2.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질수록 낮아져 경엽(莖葉)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69.7~55.3% 였고, 종실(種實)의 수분함량은 개화기후(開花期後) 60일 이후(以後)에는 34.2%정도로 안정 되었다. 3.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질수록 등숙립(登熟粒)은 증가(增加)하였고, 미숙립(未熟粒)과 검불은 감소(減少)하였는데, 개화기후(開花期後) 60일 이후(以後)에는 검불의 혼입율이 1.8%미만이었다. 4. 개화기후 40일부터 7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조사한 결과, l 중은 수확시기(收穫時期) 가 늦어질수록 무거워졌으나, 10a당(當) 종실수량(種實收量)은 개화기후(開花期後) 60일에서 가장 무거웠다. 5. 율무의 수도용(水稻用) 콤바인을 이용한 수확적기(收穫適期)는 회귀분석(回歸分析) 결과(結果) 개화기후(開花期後) 68 일경(日頃)이었다.
        234.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잇꽃 재배시 홍화수확적기 및 이에 따른 종실 (홍화자) 수확적기를 구명하고자 홍화를 개화성기 후 2, 4, 6일, 종설을 개화 성기후 10, 15, 20, 25일에 수확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홍화의 수확적기는 개화후 4일로 수량은 개화 후 2일(28.1kg/10a)에 비하여 유의차가 없었고 색채색차 (δEab) 로 본 품질도 개화 후 6일에 비하여 1.07로 차이가 작았던 개화 후 4일로 판단되었다. 2. 홍화의 수확유무 및 수확시기에 따른 종실수량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수확시기에 따른 ha당 종실수량은 개화성기 후 10일 수확 284.8kg에 비하여 수확이 늦추어짐에 따라 백립중이 증가하여 20일 수확시 17%, 25일 수확은 8% 증수되어 홍화의 종실수확적기는 개화후 20일 전후로 판단되었다.
        235.
        199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 of storage on the tree and quality of early cultivar of Citrus unshiu Marc. produced in Cheju according to harvest time were investigated. Soluble solids, acid content, flesh ratio, firmness and specific cavity of the fruits harvested at 27th of November were 12.0, 1.03%, 79.98%, 0.774kg-force, 0.912, respectively. Soluble solids,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were increased gradually, but acid content was decreased slightly as delayed in harvest time. Otherwise specific gravity and firmness were not shown in great during harvest time, color index(a/b) was increased sharply till late November and then remained in stationary phase. On these result, we recommend that the harvest time of early cultivar of Citrus unshiu Marc. would be during December because of wilting partly. Fully ripened-fruits harvested late, compared to ordinary harvest time, with cold storage would be kept more quality and freshness of fruits for fresh consumption than the fruits harvested early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236.
        199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optimal picking time and the favorate variety for Ume processing.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flavors of 6 varieties of the Ume were investigated during maturing. Average weight of the fruit increased to the range of 151-292% from 70 days to 90 days after blooming. The hardness of fruit decreased during maturing and Koume variety was not suitable for processing among the last harvesting samples. Moisture and ash were reached to 89-91%, 0.57-0.69%, respectively, and the ash content increased during maturing. Among the Ume varieties, relatively high content of total acid was observed in Oshuku and Koume. The major organic acid were malic, citric, succinic, and tartaric acid. The content of malic acid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citric acid increased during maturing. Thirty five kinds of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the Ume fruit and main components wer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and organic acid derivatives. Koume contained a large amount of flavor components among the Ume and the content increased during maturing.
        237.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기의 수확시기(收穫時期)에 따라 생육(生育) 및 수양(收量)의 변화(變化)를 알아보고자 1년생(年生) 및 2년생(年生)에 대하여 10월(月) 10일(日), 10월(月) 25일(日), 1월(月) 10일(日) 등 3회(回)에 걸쳐 수확시기(收穫時期)를 달리 하여 시험(試驗)해 본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황기 1년생(年生) 수확시(收穫時) 초장(草長), 경경(莖徑), 마디수, 분지수(分枝數), 협당립수(莢堂粒數), 건물중(乾物重)등은 수확시기(收穫時期)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근장(根長)과 근경(根徑)은 10월(月) 25알(日) 수확(收穫)까지는 진전(進展)이 없다가 11월(月) 10일(日) 수확(收穫)에서는 증가(增加)되었으며, 건근중(乾根重)과 수양(收量)은 11월(月) 10일(日) 수확(收穫)까지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 질수록 계속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으로 근부(根部) 생육(生育) 및 수양(收量)은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과는 관계없이 수확(收穫) 시기(時期)가 늦어질수록 증가(增加)되었다 2. 황기 2년생(年生)의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생육특성(生育特性)에서 초장(草長), 잔경(盞徑), 근장(根長). 근경(根徑) 등은 10월(月) 25일(日) 수확(收穫) 까지는 약간 증가(增加)되었으나 마디수, 분지수(分枝數), 화잔수(花盞數), 엽수(葉數), 건물중(乾物重) 등은 수확시기(收穫時期)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건근중(乾根重)과 수양(收量)은 1년생(年生)과 마찬가지로 11월(月) 10일(日) 수확(收穫)까지 계속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재배기간(栽培期間)(1, 2년생(年生))에 따른 엑스함양(含量)은 차리(差異)가 없었지만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로는 11월(月) 10일(日) 까지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질수록 엑스함양(含量)이 약간씩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볼 때 황기의 수확시기(收穫時期)는 늦어질수록 수양(收量)이 증가(增加)되므로 기온하강(氣溫下降)에 의하여 수확(收穫) 작업(作業)에 지장(支障)을 받지 않을 정도(支障)인 11월(月) 중순경(中旬傾) 수확(收穫)하는 것이 적합(適合)하다고 생각된다.
        238.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풋콩의 품종별, 수확시기에 따른 품질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의 100립중은 4가지 모두 개화후 43일까지는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당함량은 도우야와 화엄풋콩의 경우 총당과 sucrose함량이 초기에 높다가 개화후 37일 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시로후미는 개화후 40일에 총당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개화후 43일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시로후사는 당함량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3. 비타민 C 함량은 도우야와 시로후미는 개화후 37일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다자 평형상태를 보였고, 시로후사와 화엄풋콩은 개화후 43일경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4. 풋콩의 texture측정법으로 주로 사용하는 경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개화후 일수가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5. 수확시기별, 품종별 관능특성을 알아 본 결과, 수확시기에 따른 기호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또한 관능특성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고소한 맛과 비린 맛이 강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239.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을 이용한 가공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여러 가지 물리 화학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3년 6월 18일과 6월 28일 2회에 걸쳐 수확한 6가지 매실 품종의 가공적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실의 증량은 완숙기까지 증가되어 6월 28일까지 증가되었고 과실에서 씨의 중량을 뺀 과육자체의 중량인 과육율도 증가되었다. 그러나 소매는 6월 28일에 낙과가 많아지면서 중량과 과육율이 감소되어 6월 28일 이전에 수확해야 될 품종으로 생각되었다. 2. 매실의 경도는 2.5-3.9Kg/mmΦ로 나타났는데 완숙기까지 성숙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3. 수분은 88.5%-99%로 일본산 매실보다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회분은 0.6%-0.7%이었다. 4. 매실의 산도는 구연산함량으로 6.2%-7.5%이었는데 수확기가 완숙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내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비휘발성 유기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매실과육중의 주요 유기산은 구연산과 사과산으로 검출되었고 구연산은 완숙기로 성숙하면서 증가하였으나 사과산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전체량은 성숙될수록 증가하였으며 앵숙, 남고, 소매에 많은 량이 함유되었다. 5. 매실 과육의 유리당 함량은 2.5%-3%였는데 과당과 포도당이 주요한 유리당으로 나타났고 수확시기에 따른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비타민 C는 0.6-2mg%함유되었는데 앵숙을 제외한 다른 품종들은 완숙기로 성숙되면서 감소되었다. 7. 그리고 매실을 알카리성식품으로 판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금속 무기성분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순으로 많았는데 나트륨과 마그네슘은 소량이 함유되었다.
        240.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문동(麥門冬)의 괴근비대기간중(塊根肥大期間中)의 괴근비대양상(塊根肥大樣相), 수량(收量)및 성분변이(成分變異)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맥문동 1호를 공시(供試)하여 '92년 .4월 10일에 30×10cm로 정식(定植)해서 다음해 1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 15일 간격(間隔)으로 수확하여 수량관련형질(收量關聯形質) 및 성분변이(成分變異)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맥문동의 지상부 생육은 월동중(越冬中)에도 계속 증가(增加)하였고 괴근(塊根)의 형성(形成)은 1월 15일 이전에 결정(決定)되는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2. 괴근의 비대(肥大)는 월동중(越冬中)에 진행(進行)되며 2월 28일 이후에 완료(完了)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괴근수량은 3월 15일에서 387kg/10a로 최고수량(最高收量)을 보여 수확적기(收穫適期)로 판단(判斷)되었다. 3. 괴근의 전당함량(全糖含量)은 1월 30일에 가장 높았고, 그 이후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여 3월 15일에 가장 낮으며, 전당함량(全糖含量)과 수량(收量)과는 고도(高度)의 부(負)의 유의상관(有意相關)(-0.788**)을 보였다.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