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2

        21.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적의 냉해동 조건을 확립하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냉해동이 당근에 미치는 이화학적 분석 및 영양성분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강제송풍방식을이용하였으며, 자연대류식(0.2oC/min), 저속(0.4oC/min) 및고속(1.6oC/min)으로 냉동속도를 조절하여 -12oC까지 냉동하였다. 해동조건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0, 200, 400,800W의 세기로 출력을 조절하여 시료의 중심부 온도가4oC가 될 때까지 해동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당근의 강도는 냉해동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200, 400W 해동 시 냉동 속도가 빠를수록 감소하였다.해동감량의 경우 해동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냉동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및색도의 데치기 후 당근과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자 현미경 관찰 결과, 냉동속도가빨라질수록 기공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빠른 냉동속도가 식품 조직의 손상을 막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인다. 비타민 C 및 유기산(oxalicacid, malic acid 및 fumaric acid) 함량의 경우 유의적인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리당 함량의 경우에는 sucrose함량은 자연대류 냉동 시 가장 높았고, fructose 및 glucose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냉해동방법에 따른 영양학적 변화는 대부분 데치기 후 당근과 유사하였으나, 당근을 고속으로 냉동할 시 물리적 변화 및조직 손상을 최소화 하였으므로 당근의 품질을 유지하는데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실험에 사용한 큰느타리버섯은 경기도 수원지역 재배농가에서 2012년 10월에 수확 후 통풍이 양호한 플라스틱 박스에 담아 수확 즉시 실험실로 옮겨 실험에 사용하였다. 운송 후 겨울철 상온(약 15°C)에서 바로 30㎛ 두께 OPP필름 봉지에 300g을 넣은 후 넣은 후 비닐접착기로 밀봉하여 포장한 것을 무예냉으로 하여 저장고를 0°C, 5°C, 10°C로 하여 입고하여 강제통풍예냉 1일 후에 꺼내어 동일한 필름봉지에 300g을 포장하였다. 저장은 상온과 0°C에서 수행하였고 0°C 저장 3주 후 2일, 4주 후 3일 추가 유통과정은 상온환경에서 수행하면서 품질을 조사하였다. 예냉 온도는 무예냉은 운송 직후, 0°C, 5°C, 10°C는 예냉 22시간 강제통풍식으로 처리하였다. 예냉에 따른 버섯품온의 온도변화는 0°C는 5시간 40분, 5°C는 1시간 40분, 10°C는 1시간 40분으로 예냉 온도가 낮을 때 품온의 온도저하 소요시간이 길었다. 예냉 처리 22시간 후 중량감소율은 각 2.0~4.4% 수준이었다. 수분함량이 높은 버섯은 예냉과 함께 약간의 수분이 감소되는 예건이 동반된다. 저장기간 중 5°C 예냉에 의해 줄기경도가 다소 높았으며 0°C 예냉에 의해 줄기갈변도가 억제되었다. 예냉온도에 따른 OPP필름 포장 후 선도유지 기간은 상온 저장시 무예냉이나 10°C 예냉은 2~3일이었으나 0°C 및 5°C 예냉에 의해 5~6일로 연장되었으며 0°C 저온 저장시 무예냉은 3주, 10°C 예냉은 3주였으나 0°C 및 5°C 예냉에 의해 4~5주로 연장 가능하였으며, 3주 저장+2일 상온유통 및 4주 저장+3일 상온유통 후 품질은 0°C 예냉에 의해 이취, 줄기변색 억제로 5°C 예냉보다 상품성 유지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큰느타리버섯의 저장 후 유통까지의 고품질 유지를 고려한다면 기존의 설비를 활용하는 강제통풍방식의 예냉을 0°C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3.
        2014.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라고 알려진 치료법은 정상 측의 보상운동을 방지하고 뇌 신경가소성이론을 전제로 하며 손상 측의 강도 높은 사용을 통해 대뇌피질의 다양한 변화를 유도하는 재활치료 방법이다.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해 그 효과를 증명하고 있으며, 또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fMRI),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SPECT), 경두개자기자극술(TMS), 자기뇌파검사(EEG) 등의 기능적 신경영상 기술이 발달 하면서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신빙성을 더해왔다. 그러나 CIMT의 임상에서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최소한의 적용시간과 적 절한 활동 프로그램의 선정에 있어 더 나은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상지기능, 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의 향상 외에 자존감, 자신감, 자기만족도 등 심리적 영역과 대상자 선정 조건의 변화, 최소한의 적용시간과 방법에 대한 연구 등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연구를 통해 신경학적 근거가 바탕이 된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작업치료영역의 연관성을 더욱 밀접 하게 접근시켜 보다 넓은 학문적 확장을 만들어 내야 할 것이다.
        4,000원
        24.
        2014.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성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강제유도운동치료 논문들의 중재방법과 평가방법을 Occupatioa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2nd를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에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검색해 총 19편을 선정하였으며, 이 중 작업치료사가 저자로 참여한 논문은 11편이었다. 결과 : 전체 논문들에서 환측상지운동을 사용한 빈도는 84.2%로 이 중재방법이 가장 많이 쓰였으며, 일상생활훈련을 사용한 빈도는 52.6%였다. 평가도구로서는 Motor Activity Log을 57.9%로 가장 많이 사용했다. 결론 : 중재방법에 있어서 전체연구에서는 보다 신체적인 중재방법으로 접근하는 반면 작업치료사들이 참여한 연구는 목적 있는 활동(purposeful activities)인 일상생활훈련을 더 강조함을 보여주었으며, 평가방법에서는 전체 연구는 움직임 과 관련한 신체 기능(body functions)에 집중한 반면 작업치료가 참여한 논문에서는 타 분야에 비해 중재결과(outcome) 를 평가하는 것에 더 관심을 가짐을 보여주었다.
        4,000원
        2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전통적인 치료와 비교했을 때, 강제 유도 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국내외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06년∼2013년까지 게재된 14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을 대상으로 PEDro score를 사용하여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상지기능의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표본수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선정된 14편의 연구는 PEDro score가 6점 이상이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527명이었다. 효과크기 분석 결과 환측 상지의 운동 능력, 사용빈도 및 질에서는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1). 또한 분리된 움직임, 잡기 능력, 시각 운동 통합 능력에서는 “보통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결론:강제 유도 운동치료는 전통적인 치료보다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회복에 있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임상에서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치료 방법으로 객관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4,800원
        26.
        201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제 실시권은 공익을 위하여 국가가 당해 지적 재산권에 강제로 설정한 실시권으로, 독점권 부여 를 그 본질로 하는 권리이다. 강제 실시권은 1883 년의 파리협약에서 최초로 도입되어, 1995년 WTO의 Trips 협정에서 그 내용이 구체화되었다. 그러나, 특허제도에 의하여 부여되는 독점권으로 인하여 개발도상국이 값비싼 치료제 확보가 어려 움에도, 강제 실시권 제도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 는데 도움이 될 수 없다는 이유로, 2001년 WTO 도하 회의에서 강제 실시 요건을 완화하도록 요구 하는 내용의‘도하선언’이 공표되었고, 2003년 Trips 협정의 내용이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브라질, 인도 등의 개발도상국에서 저가의 에이즈 치료제, 항암제의 확보를 위하여 제약 특허에 강 제 실시권 제도를 활용한 바 있고, 이에 대항한 WTO 제소 내지 특허권 소송 등의 분쟁도 있었다. 국내에서도 1961년 특허법 개정으로 강제 실시제 도가 도입된 이후로 백혈병 치료제, 항암제 등에 대 하여 강제 실시권을 청구한 사례가 존재한다.
        4,000원
        27.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esearch, the flow and forced convective heat transfer analysis of HEV battery pack were investigated numerically regarding the different shapes of the inlet, outlet, and battery case. The velocity ,pressur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fluid at the inlet part of the battery module were numerically calculated for the optimum design of the battery pack for three different inlet shapes of the battery module. In addition, the local battery temperature for height and width and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air inside the battery pack were numerically obtained. Ultimately, the circle shape of the inlet and outlet were determined for the energy-effective shape of the battery pack.
        4,000원
        2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에 설치되는 안전관련 전기기기들의 합리적인 내진검증을 위해서는 사전에 정확한 동특성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원전에 설치되는 전기기기 캐비닛 구조를 대상으로 입력 진동의 수준에 따른 모드특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전기기기 캐비닛을 시편으로 선정하고 가진 시험기를 이용하여 입력진동에너지의 크기를 변화시켜 가면서 진동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캐비닛의 문짝을 부착한 경우와 탈거한 경우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진동시험을 통하여 계측된 시편의 가속도응답신호와 입력운동신호로부터 진동의 크기에 따라 진동수응답함수를 작성하였다. 다항식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한 모드분석기법으로 시편의 진동수응답함수를 분석하여 모드특성을 추출하고, 진동수준에 따른 시편의 동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대상 기기는 입력진동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모드진동수와 모드감쇠비가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짝이 부착된 경우에는 문짝이 탈거된 경우에 비하여 캐비닛의 모드감쇠가 증가한다.
        4,000원
        3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있는 국가표준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을 위해 현재기후에 대한 SNURCM과 WRF의 재현성을 검증하였다. 국립기상연구소에서 생산된 HadGEM2-AO 전구자료를 지역기후모형의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여 CORDEX 규준 하에 28년(1978-2005)간의 장기적분을 수행하였다. 두 모형은 연평균 지표 온도 분포를 관측과의 공간상관계수가 0.98 이상으로 매우 높은 일치성을 나타내었지만, 모형 영역의 북쪽 경계를 중심으로 한랭 편차를 공통적으로 보였다. 강수의 경우 또한 육지 지역을 대상으로 한 관측과의 공간 상관 계수는 SNURCM이 0.85, WRF가 0.79로 나타나 우수한 모의 결과를 보였다. 두 모형에서 모의된 강수 분포는 적도와 중위도 지역 간에 상반되는 특성을 보였다. SNURCM은 WRF에 비교하여 중위도 동아시아 몬순 강수대의 분포를 적도 지역의 강수대보다 상대적으로 잘 모의하였으나, WRF는 그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여름철(JJA) 보다 봄철(MAM)에 과다 모의되었지만 모의된 강수 분포의 일치성은 봄철에 높게 나타났다. 세부영역 별 분석에서 두 모형은 7월 강수 최대 시점과 양을 비교적 정확히 모의하였고, 특히 내륙 지역 강수량의 모의 정확도가 해양에 영향 받는 지역보다 높았다. 모의결과는 한반도 상의 높은 일평균 지표온도일수와 강한 강수일수를 표현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4,200원
        3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n active regeneration DPF using computer simulation. In order to verify the boundary condition of analysis, result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in DPF are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uter simulation. Using this boundary condition,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filter's durability in DPF analyzed according to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The results of computational analysis are agreed well with experimental ones from the tendency of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xis and radius direction. The temperature increases and the axial temperature gradients in DPF according to velocity of exhaust gas are lowered as the high velocity of exhaust gas. But the temperature gradients of radius direction at exit side in DPF are grown as the high velocity of exhaust gas. The results according to inlet temperature of exhaust gas show that the increase ratios of temperature in DPF are grown as the high temperature of exhaust gas.
        4,000원
        32.
        2010.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경우 폐기물의 방사성 붕괴에 의해 열이 발생되며, 암반을 통한 열전달 에 의해 처분장 주변 환경이 변화됨으로써 처분장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지하 처분장 대기의 열전달계수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Underground Research Tunnel (KURT)에서 내부 환경 인자들의 측정을 통해 강제대류시 열전달계수를 산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KURT 내 히터구간의 막장 벽면에는 길이 2 m, 용량 5 kw의 히터를 삽 입하여 암반 내부를 90℃로 가열하였고, 외부와 연결된 급기용 팬에 의해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였다. 연구 결과, 외부공기 공급 후 히터구간 대기의 기류속도는 평균 0.81 m/s로 측정되었고 레이놀즈수는 약 310,000 340,000의 값을 나타냈다. 그리고 강제대류조건에서 히터구간 내 계절별 열전달계수는 각각 여 름철 7.68 W/m2·K와 겨울철 7.24 W/m2·K의 수치를 나타냈다.
        4,200원
        3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 및 지상에서 시행된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수중에서 시행된 강제 유도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운동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연구 설계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한 교차설계를 이용하였으며, 편마비를 가 진 뇌성마비로 진단받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선 측정은 대상자 1이 4회, 대상자 2가 7회, 그리고 대 상자 3이 10회였으며, 치료회기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의 평가는 Box and Block Test(BBT)와 Pediatric Motor Activity Log(PMAL)를 사용하여 시행되 었다. 결과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때 대상자 1, 2, 3의 BBT 점수는 각각 27%(21.5점에서 27.3점으 로), 14%(33점에서 37.5점으로), 7.6%(46점에서 49.5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때 각각 16%(21.5점에서 25점으로), 6%(33점에서 35점으로), 0%(46점에서 46점으로)로 증가되거나 유지되었다. 대상 자 1, 2, 3의 PMAL 점수는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38%(0.8점에서 1.1점으로), 31%(1.3점에서 1.7점으 로), 17%(1.8점에서 2.1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25%(0.8점에서 1.0점으로), 15%(1.3점에서 1.5점으로), 11%(1.8점에서 2.0점으로)가 증가되었다. 수중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지상 강제유도 운동치료 후 측정된 BBT와 PMAL의 측정값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결론 : 치료과정 동안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수중과 지상에서 교차 적용한 결과,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시행 될 때 상지운동 기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3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으로 구성한 과제 지향적 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5명의 뇌졸중 편마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하였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 치료는 3주 동안 매일 가장 활동적인 5시간 동안 건측 상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장갑을 착용하였고 제한시간 동 안 환측의 움직임을 위한 과제들을 수행하였다.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은 건측을 제한하지 않고 일상생활활동과 밀접한 과제들을 1주 동안 수행하였다. 상지기능 변화는 뇌졸중상지기능평가(MFT)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의 변화는 운동처리기술평가(AMPS)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3번의 반복 측정된 자료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 방법인 프리드맨 검정을 사용하였고 사후 검정은 윌콕슨 쌍대비교 분석을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 후와 양손 움직임을 위한 활동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실시한 후에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 행 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양손움직임을 위한 과제 지향적 치료 이후에도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 연구 결과를 통해 과제 지향적 방법이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향상된 환측 을 기능적으로 활용하도록 양손 활동 과제를 이용하여 훈련하는 본 연구의 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900원
        36.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편측무시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편측무시가 있는 네 명의 뇌졸중 환자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편측무시 현상은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 선 나누기 검사, 별 지우기 검사와 Catherine Bergego Scale (CBS)을 사용하여, 일상생활활동은 Motor Activity Log (MAL)와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 전ㆍ후의 변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윌콕슨 부호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MVPT 수행 결과 치료 전 평균 원점수가 22점에서 치료 후 26점으로, 치료 전 좌측반응점수가 14점에서 치료 후 17점으로 각각 증가하였다. 선 나누기 검사 수행의 평균오차가 35.2mm에서 18.5mm로 감소되었고, 별 지우기와 CBS의 오류점수도 감소하였다. MAL 수행 시 평균 좌측 손사용 횟수와 좌측 손 움직임의 질이 각각 123%, 44% 증가하였다. COPM 수행 시 평균 수행도와 만족도가 각각 2.95점, 3.90점 증가하였다. 그러나 p값이 .06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의 적용이 뇌졸중 환자에게 편측무시 증상의 감소와 일상생활활동 향상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향후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를 보다 많은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가 검증된다면 임상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37.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3인이었으며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강제유도운동치료는 12일 동안 팔걸이와 보조기로 건측을 깨어있는 시간의 84.9% 동안 억제하고, 6시간 동안 환측을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상지 기능은 기초선 과정(5회)과 치료 과정(12회), 기초선 회귀 과정(5회) 동안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그리고 수직선 그리기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은 강제유도운동치료 전․후에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상지 기능은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 동안에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이 향상은 기초선 회귀 과정 동안에도 계속 지속되었다.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은 대상자 3인 중 2인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강제유도운동치료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우세손이 환측인 대상자들의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많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우세측과 비우세측에 따른 환측 부위를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강제유도운동치료 효과의 지속성에 대해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4,600원
        38.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 3-week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to the less-affected arm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would improve function of the more-affected arm in PD. The subjects were 6 institutional older adults with PD and clients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subjects (2 men, 4 women) ranged in age from 66 to 90 years (mean age 77.2 yrs). Three clinical tests were used to determine the improvement of functional activity between before and after modified CIMT. The tests included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DRS). 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and Action Research Arm Test (ARA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after the modified CIMT for time performance in WMFT and pinch in ARAT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after the modified CIMT for UPDRS and functional ability scale in WMFT. Therefore, the modified CIMT might improve time performance and is available to therapeutic program helping them improve functional ability for upper extremity in Parkinson's disease.
        4,000원
        40.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가정환경에서 실시한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와 건측제한(Forced Used: FU)치료법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실험 연구방법 중 실험 집단간 다중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뇌졸중으로 편마비 진단을 받은 6인을 3집단(각 집단 2인)으로 분류하였다. CIMT는 건측제한(5시간)과 함께 환측 집중훈련(3시간)을 실시하였다. FU는 하루 중 활동이 가장 많은 5시간 동안 건측에 장갑을 착용하여 사용을 제한하였다. 기초선과 치료과정 동안에는 상자와 나무토막검사(Box and Block Test: BBT), 치료 전·후에는 울프운동기능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 WMFT)를 사용하여 상지기능을 측정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은 치료 전·후에 운동·처리기술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와 운동활동지표(Motor Activity Log: MA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과 치료 전·후 측정값의 변화를 비교하였다.결과 : WMFT와 BBT에서 모든 대상자의 수행능력이 향상 되었다. AMPS 능력치와 MAL의 환측사용빈도와 움직임 질도 모든 대상자에서 향상을 보였다. 특히 각 집단에서 CIMT 대상자들이 모두 FU 대상자보다 많이 향상되었다.
        4,5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