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선글라스용 렌즈의 착색농도에 따른 시력 및 망막의 대비감도 변화를 확인하여 선글라스의 생산 및 유통 관리의 선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나안 또는 교정시력이 0.7 이상이고 안질환이 없는 평균 22±3세의 대학생 30명(60안)을 대상으 로 80cd/㎡의 검사실에서 5m용 란돌트 고리 시표를 이용하여 회색 및 갈색의 선글라스용 렌즈의 착색농도 를 80%, 60%, 40%로 하여 각 단안의 시력검사를 실시하였고 F.A.C.T.(Functional Acuity Contrast Test., Stereo Optical, USA) 시표를 이용하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착색렌즈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의 시력이 착색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보다 더 좋았으며 착색농 도가 진해짐에 따라 시력의 감소가 나타났다(P=0.000). 80% 착색농도의 회색렌즈에서는 착색렌즈를 착용하 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0.28±0.03, 갈색렌즈에서는 0.28±0.04의 시력감소가 나타났다. F.A.C.T. (Functional Acuity Contrast Test., Stereo Optical, USA)를 사용한 대비감도 검사에서도 회색 및 갈색렌 즈 모두에서 80% 착색농도의 렌즈에서는 전 공간주파수에서 정상범위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60% 착색농도에서는 1.5 cpd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주파수에서 정상범위에 미치지 못하였고 40% 착색농도에서도 6 cpd 이상의 공간주파수에서 정상범위에 미치지 못하였다. 회색 및 갈색렌즈 모두에서 1.5 cpd를 제외한 공간주 파수에서 대비감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선글라스의 착색렌즈의 농도는 미용적인 요소에 의하여 선택되어지고 있으므로 안경사의 처방 시 착색농도에 의한 시력 및 대비감도의 감소를 고려하여 선글라스의 용도에 따른 착색농도가 선택되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2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legibility in different age groups (young and old) with same near visual acuity and to provide preliminary guidelines for the text sizes in the pesticides products based on the legibility experiments. To achieve the objective, legibility evalu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different age(20s, 50-60s), gender, font type(thick gothic-type and fine gothic-type), thickness (plain and bold), and number of syllables(2 and 3 syllables) in the same near visual acuity(0.6). The results showed that legibility 50s was higher than 20s. And 20s are appealed higher discomfort than 50s. Considering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14 pt or larger characters (100% readable size) should be used the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toxicity, and the minimum character size was 7 pt (50% readable size) for other information.
        4,000원
        2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각막굴절교정 수술안에서 이중경로방식(double-pass technique)으로 측정한 객관적인 시력을 정 시안과 비교하였다. 방 법: 근시각막굴절교정 수술을 받은 68명(135안, 평균: 23.49±2.5세)과 정시안 20명(40안, 평균: 22.50±1.7세)을 대상으로 ETDRS 시력표를 이용하여 대비도가 100%인 고대비시력(high contrast visual acuity: HCVA)과 10%인 저대비시력(low contrast visual acuity: LCVA)을 밝은 조명과 어두운 조명 상태에서 측정하였고, OQAS(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장비를 이용하여 광학적 질과 관련 있는 객관적 시력변수인 OVs(OQAS values)와 VA(visual acuity)을 100%, 20% 및 9%의 대비도에 따라 각각 측정하였다. 결 과: 수술안군과 정시안군 사이에서 ETDRS로 측정한 주관적 시력은 밝은 조명 상태에서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지만, 어두운 조명 상태에서는 고대비시력과 저대비시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7, p=0.002). OQAS로 측정한 OVs는 두 그룹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2, p=0.003, p=0.001). 수술안군의 객관적 시력은 대비도가 낮을수록 더 감소하였고, 주관적 시력과 상관성이 있었으며 (p<0.05), 어두운 조명 상태의 저대비시력과 VA9%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R=-0.403). 결 론: 수술안군에서 OQAS로 측정한 객관적 시력은 정시안군과 비교하여 낮았고, 특히, 낮은 대비도에 서 시력은 정시안군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근시성 직난시안의 안경처방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 및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처방(S+C/2)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대비시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난시도가 -0.75 D이상 -1.75 D이하인 만 20~32세의 성인 남녀 22명을 대상으로 ASD디자인인 J사의 재질 etafilcon A렌즈와 Wide Ballast Band디자인인 C사 재질 ocufilcon D렌즈의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하고 원거리 및 근거리 대비시력을 검사하였다. 결 과: 원거리 고대비시력은 두 렌즈 모두에서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안경과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 순으로 시력이 좋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거리는 두 렌즈 모두에서 고대비와 저대비시력이 안경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 처방 순으로 시력이 높았다.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를 비교한 결과 AS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Wide Ballast Ban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저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근시성 직난시안에게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을 대신하여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로 처방하는 경우 렌즈디자인에 따른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이 다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굴절검사가 추가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2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약시 종류에 따른 중심외주시와 시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약시로 인해 치료 중이거나 치료 경험이 있는 19명(7~40세)을 약시안들을 대상으로, 전체 약시안과 약시 원인에 따른 분류 중 사시성과 굴절성의 중심외주시와 최종 교정시력을 비교하였고, 최초 시 력과 최종 시력을 비교하여 중심외주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약시 대상자들의 중심외주시는 시력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r=-0.77, p<0.05)를 보였고, 사 시성(r=-0.72, p<0.05)과 굴절성(r=-0.70, p<0.05) 약시안 모두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최소 6 주 이 상의 약시 치료를 받은 두 그룹 모두 치료전의 최초 시력보다 최종 시력이 평균 2~3단계 시력 상승(p<0.05) 하였고, 중심외주시 또한 감소의 형태를 보였다. 하지만, 최종 시력에서 두 그룹간의 중심외주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아 약시 종류가 중심외주시의 최종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 중 굴절 성 약시안들만 정상 시력과 함께 정상 주시형태를 보였다. 결 론: 약시의 종류와 상관없이 중심외주시는 시력 저하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약시 치료의 성 공률을 높이기 위해 약시안 특히, 굴절성 약시안의 단안 주시형태에 대한 측정과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4,000원
        2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핀홀 안경은 비정시인 눈의 시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미용 및 시야, 입체시 등에 문제가 있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핀홀을 콘택트렌즈에 적용할 경우 미용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구멍이 작고 하나이기 때문에 시야가 제한되고 또한 렌즈 움직임으로 인해 시야가 차단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콘택트렌즈에 여러 개의 구멍을 만든 다중핀홀을 설계하여 시력 및 입체시 등의 개선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비정시안 43명을 대상으로 나안과 완전교정, 핀홀직경이 1mm인 핀홀안경, 다중핀홀의 직경이 0.6mm와 1mm인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 시력과 입체시를 각각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나안에 핀홀안경과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 시력이 상승하였고, 굴절이상도가 낮을수록 시력 상승효과가 좋았다. 입체시시력은 굴절이상도가 낮고 나안시력이 좋은 사람이 높게 나타났고, 다중핀홀 0.6mm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 완전교정 상태보다 높았으며, 핀홀안경을 사용했을 때는 나안상태보다 감소하였다. 콘택트렌즈 다중핀홀의 크기가 0.6mm일 때가 1.0mm일 때보다 시력과 입체시력의 상승효과가 좋았다. 핀홀안경은 시력상승효과가 크지만 입체시에 문제가 있었고, 다중핀홀은 핀홀안경에 비하여 시력향상은 약간 낮았으나 입체시는 향상되었다. 결 론: 핀홀안경은 시력 향상효과는 크나 입체시가 떨어져 시력교정에 사용이 제한적이나, 다중핀홀의 구멍이 0.6~1.0mm인 콘택트렌즈 착용 시 시력 및 입체시 상승효과가 있어 시력 교정용 렌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7.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인공수정체안의 난시별 근거리 시력을 평가하여 미교정된 난시가 근거리 시력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백내장 수술을 받은 39∼86세 사이인 100명(185안)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모든 대상자를 상대로 자동굴절검사, 원거리 나안시력, 원거리 교정시력 및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였다. 근거리 시력 측정은 진용한 근거리 시력표를 사용하였으며 시력표에 표시된 글자의 폰트 크기(pt)로 근거리 시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난시가 완전 교정된 상태에서 근거리 시력은 도난시 13.12±3.57pt, 직난시 12.32±2.20pt, 사난시 12.34±2.22pt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84). 하지만 난시가 미교정된 상태에서 근거리 시력은 도난시 9.67±2.84pt, 직난시 9.26±2.04pt, 사난시 11.75±2.51pt로 도난시와 직난시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p=1.00) 도난시와 사난시, 직난시와 사난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4,000원
        28.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크로마젠 렌즈의 색상별 시감투과율과 색상에 따른 근거리 시력과 선명도를 측정하여 비교 연구하기 위함이다. 방 법: 8가지 색상을 가진 크로마젠 렌즈의 분광투과율을 Shimadzu사의 UV-VIS Spectrophotometer(UV-2450)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380~780nm의 가시광선 전 영역에 대한 시감투과율을 구하였다. 대전 소재 K대학교 대학생 중에서 원거리 양안 교정시력이 1.0이상이 나오는 학생 총 30명 대상으로 800lux의 조명에서 40cm 근거리용 스넬렌 E시표를 이용하여 색상별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고 가장 선명도가 좋은 색상과 가장 선명도가 떨어지는 색상을 선택하여 색상별 분포를 알아보았다. 결 과: 시감투과율은 Yellow 69.9%, Blue 69.1%, Violet 68.4%, Pink 63.5%, Aqua Blue 63.2%, Orange 61.5%, Magenta 52.2%, Green 46.2% 로 나타났다. 크로마젠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Yellow와 Blue에서 가장 높은 시력이 측정되었고, Green과 Magenta에서 가장 낮은 시력이 측정되었다. 선명도가 가장 높은 색상으로는 Blue(30%)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고, 선명도가 가장 낮은 색상으로는 Magenta(26.7%)로 많이 선택되었다. 결 론: 시감투과율이 높은 색상일수록 근거리 시력과 선명도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렌즈의 색상 선택 시시감투과율이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색상의 비교 분석에 따라 적절한 색상을 선택해야 한다.
        4,000원
        29.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조절마비제를 투여한 근시안 아동에서 나안시력의 변화에 따른 구면굴절이상과 난시량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안경착용경험이 없고 시력저하를 호소하여 내원한 초등학교 아동 34명(68안)에 대하여 나안시력, 교 정시력, 구면굴절력, 난시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조절마비제는 Midrin-p(phenylephrine 1%, tropicamide 1%), Homatropine(homatropine 1%)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5분간 3회 투여하였다. 구면굴절력 및 난시 량의 측정은 RK-5(Canon, Japan)를, 나안시력 및 교정시력의 측정은 한식시력표(한천석 3m용 시표)를 사용 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은 Origin 8.0을 사용하여 P
        4,000원
        30.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 This study described the subjects with the range of around 45 years old who start to show a lowered flexibility in their lens due to aging. We carried out stereoacuity test and research for the influence on visual acuity wi th distance for prescribing for monovision. Methods : The researchers prescribed monavision for 100 male and female adults who were wearing glasses for near vision or progressive addition lens due to presbyopia and had been resided around Ulsan and Daejeon for the period of Septernber to October. 2008. Also the researchers gave prescription for distance vision on the dominant eye and for near vision on the non-dominant eye through visual acuity test regarding near and distance vision and eye dominance test. For near stereoacuity test. we used the Stereo Fly Test. Results : After prescribing for monovision. all eyes showed reduction m stereoacuity. distance vision and near vision also deerease in binocular. Conclusions : We judged that have to be cautions with problems induced by deerease of stereoacuity and visual acuity in prescription for presbyopia correction.
        4,000원
        3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 To evaluate visual acuity(V A) according to Jight transmissi on of tinted Jenses. Methods : 37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24 males, 13 females, a mean age of 22.8±2.0 yrs.) were seJected. AJJ of them had corrected visuaJ acuity of 0.8 or better, no anisometropia of 2.000 or more, no ocuJar and systemic diseases. Gray, brown, red, green, yellow, bJue, pink lenses are tinted in accordance with BS EN 1836(1997) so that Juminous transmittance of the lenses classified 80-90%(0 category), 60-80%(1-1 category), 43-60(1-2 category), 30- 43%(2-1 category), 18-30%(2-2 category). VA was measured with Han's visual acuity churt. Results : ln wearing tinted lens, the VA decreased. the photopic condition at distance, VA with all the tinted Jens decreased except 0 category Jenses of brown, yellow, blue tint and 1-2 category Jens of yellow tint. ln mesopic condition at distance, V A with all tinted Jenses decreased except 0 category Jens of gray tint. ln the photopic condition at near. V A with alJ tinted Jens decreased. In mesopic condition at near distance, VA with alJ tinted Jenses decreased except 0 category Jenses of green and pink tint. ln the photopic condition at distance. the measured corrected VA with all tinted Jenses excepts 2-2 category of gray tinted Jens was 0.8 or better. ln the mesopic condition at distance. the measured corrected VA with all tinted Jenses was Jess than 0.8. ln the photopic condition at near. the measured corrected VA with 2-2 category Jens of gray tint was 0.8 or better. ln the mesopic condition at near, 1-1 category Jens of bJue tint were measured corrected visual acuity Jess than 0.8. 1-2 category of alJ tinted lenses were measured con·ected visual acuity Jess than 0.8. Conclusions : VisuaJ acuity according to color and light transmittance of tinted lenses was different. When choosing tinted lenses, the decreased leveJ of visuaJ acuity needs to be considered.
        3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빛의 세기와 순목속도의 상관관계 및 빛의 세기에 따른 시력 회복시간의 차이 여부를 살펴보았다. 방법: 빛의 세기를 5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순목속도를 측정하였고 일정한 시간동안 빛에 노출된 피검자들의 시력회복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피검사자 39명의 순목속도 평균은 빛의 세기별로 31.97±10.91~33.38±11.20 mm/s였고 빛의 세기와 순목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r=0.006)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전과 착용 후의 순목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351). 빛의 세기에 따른 시력회복시간을 분산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30.67, p
        4,000원
        3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체시력 (Dynamic Visual Acuity) 은 물체나 관찰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사물을 볼 수 있는 능력을 익미한다. 즉, 동체시력은 안구운동계의 전반적인 능률 (efficiency) 과 관계가 깊고, 또한 측정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시표크기에 따라 동체시력이 차이가 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인 (1 ,Il)군과 운동선수 (IIl, N)군을 각각 두꾼 으로 나누어 란톨트 (Land이t) 고리 시 표크기 를 2.1 cm, 3.71 cm로 탈리하여 동체시력을 측정하였다. 시표크기를 2.1 cm 측정한 결과 일반인(1)군의 평균 동체 시 력 은 85.71 :t 15.05 deg/sec 였으며 , 운동선수( IIl)군은 1oo.63 :t 21.75 deg/sec 였다. 시표크기를 3.7cm로 측정한 결과 일반인(Il)군의 평균동체시력은 136 :t 7.19 deg/sec 였 으며 운동선수군 (N) 은 149 :t 14.20 deg/sec 였다. 일반인군이나 운동선수군에서 같은 정도의 동체시 력 상승이 있으나, 측정 속도로 볼 때 운동선수군이 시표크기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력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운동선수 의 동제시력을 측정힐 때 시표크기에 유의해야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동체시력 연 구에 관련된 기초 자료로 앞으로 동체시력을 연구하는데 도융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시성 약시에서 가림 치료를 대신할 수 있는 방볍으로 안경 교정만으로 약시 치 료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근시성 약시 환자 14 명을 대상으로 치료 시작 나이, 치료 전 시력, 치료 기간, 굴절이상 정도, 난시와의 관계륜 조사하였다. 모든 대상자 는 조절마비하 꿀절검사를 실시하였고, 안경교정에 의한 약시 치료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4 나타내 약시 환자에 대해서도 치료 효 l. 근시성 약시의 굴절이상 교정 후 초기 시 력 (Mean :t SD) 은 0.46 :t 0 .1 1을 였고, 최종 교정시 력 (Mean :t S D)은 0.84 士0 .1 3을 나타내었다. 2. 치료 시작 나이 (Mean :t SD) 는 6.6 :t 1.5 세였으며 치료 기간은 23.2 :t 6.57ß 월이었다. 3. 근시성 약시 모두에게서 뚜렷한 시략 변화를 보였으며 치료 전 시력이 좋으면 치료 후 시력도 좋았다 (p < 0.05). 4 안경렌즈의 도수 조정에 의한 치료는 8 세 이후의 과가 있었다 (p < 0.05)
        4,300원
        3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북 정읍지 역 중학생 굴절이상안 196 명 392 안을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 적 시력 검사를 시행하여 비정시의 정도 및 굴절이상 상태를 연구하였다. 1. 눈의 형태는 근시는 91.2%, 원시는 0.9% 그리고 정시는 7.9%로 나타났다. 2. 굴절 이 상안은 단순끈시 33.3%, 근시 성 단난시 7.6%, 근시 성 복난시 56.2%, 단순 원시 0.01%, 원시성 단난시 0.01%, 원시성 복난시 0.01%, 흔합난시 0% 이었다. 3. 난시의 축은 직난시 66.2%, 도난시 20%, 사난시 13.9% 이었다. 4. 난시의 굴절력은 0.50D에서 1.0D 가 73%, 1. 0D에서 2.0D 가 25%, 2.0D 이상이 2% 이었다. 5. 근시성 굴절이상안의 등가구면꿀절력은 0.50D 에서 2.0D 이하 43.3%, ~2.0 D 에서 6.00D 이하 55.8%, ~6.00 이상이 1% 이였다. 6. 원시성 굴절이상안의 등가구변굴절력은 2.00D 이하 50%, 2.00D 이상이 50% 이 었다.
        4,000원
        36.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북 정옵지역 20 대 청년 비정시 186 명 372안올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 적 굴절 검사를 시행하여 비정시의 정도 및 굴절이상 상태률 연구하였다. 1. 눈의 형태는 근시는 90.3%, 원시는 0.6% 그리고 정시는 9.1%로 나타났다. 2. 굴절이상안은 단순근시 39.5%, 근시성단난시 9%, 근시성복난시 46.9%, 단순원시 0.6%, 원시성단난시 0.6%, 원시성복난시 0.1%, 혼합난시 2.3% 이었다. 3. 난시의 축은 직난시 68%, 도난시 15%, 사난시 17% 이었다. 4. 난시의 굴절력은 O.50Dptr에서 1.00 Dptr가 72.8%, 1.00 Dptr에서 2.00 Dptr가 18.6%, 2.00 Dptr 이상이 8.3% 이었다. 5. 근시성 굴절이상안의 둥가구면굴절력은 -0.50 Dptr에서 -2.00 1얘tr 이하 50.7%, -2.ooDptr에서 -6.00 Dptr 이하 48.6%, -6.00 Dptr 이상이 1% 이였다. 6. 원시성 굴절이상안의 둥가구면굴절력은 2.00 Dptr 이하 66.7%, 2.00 Dptr 이상이 33.3% 이었다.
        4,000원
        37.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thokeratology는 RGP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각막에 물리적인 압박을 가해서 근시도를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자는 동안 렌즈를 착 용했을 때 시력과 근시도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한다. 21 명의 근시자(평균 나이 11.3 ::t 2 .1세)를 대상으로 역기하학 디자인의 RGP 콘택트렌즈를 잠잘 때에만 착용시키고 1 개월 동안 추적관찰하였다. 렌즈를 처음 착용하고 1 일째, 3 일째, 7 일째, 14 일째, 21 일 째 및 30열째 나안시력과 자각삭 굴절검사 및 세극등검사를 실시하였다. 렌즈를 착용 하기 전과 비교하여 1 개월 동안 렌즈를 착용했플 때 나안시력과 자각식굴절검사값은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나안시력의 평균 변화도 0.66 ::t 0.24, 자각식굴절검사값의 평균 변화도 2.30 ::t 1.18 Dl. 이상의 결과로부터 overnight orthokeratology 는 일시적으로 관시도를 감소사키고 근시진행을 조절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8.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측정실 조도 150 lux, 시표면 조도 400 lux 인 상태에서 시표투영기 ACP-7올 사용 하여 나안시력올 측정하였고, 0.1 시력에 미치지 못하는 사람은 거리이동법으로 시력 올 측정하였다. 그리고 해당하는 시표의 반수 이상올 바르게 용답했올 때의 시력율 나안시력으로 기록했다. 조절마비제률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RK-3으로 타각적 굴 절이상올 측정하였으며 vision tester를 이용해서 타각적 굴절이상 측정결과에 +3.00 의 구변렌즈를 부가하여 20분 동안 조절해제시간올 부여한 후 0.25D씩 구면렌즈를 감소시켜 0.50시력에서 방사선시표를 이용해서 난시축과 도수를 검출했으며, 둥가교 차원주렌즈로 난시축과 도수를 세밀하게 조정했다. 완전교정도수는 적록테스트를 이 용하여 적색바탕의 혹륜과 녹색바탕의 혹륜의 선명도가 동일했올 때의 도수로 결정 했다. 상관분석올 실시한 결과, 완전 교정된 상태에서 나안시력과 구면도수와는 0.74(P< 0.001), 원주렌즈도수와는 0.34(P<0.05), 둥가구면도수와는 0.79(P < 0.001) 의 상관성올 보여 구면렌즈의 굴절력이 원주렌즈의 굴절력보다 나안시력에 더 많은 영향올 미침 을 알았다. 회귀분석을 한 결과 나안시력 = (0.01 x 원주렌즈 굴절력)+(O.13X 구연렌즈 굴절력) +0.72( 전체 설명력 0.59, P<0.15) 의 1 차 회귀식을 얻올 수 있었다.
        4,000원
        3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지시력 (Static Visual Acuity)은 물체와 관찰자가 정지한 상태에서 사물을 볼 수 있는 능력올 의미한다. 이와 탈리 동체시력 (Dynamic Visual Acuity) 은 물체나 관찰 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사물을 볼 수 있는 능력올 의미한다. 즉 정지시력은 주로 눈 의 해상력과 관계가 있으나 동체시력은 안구운동계의 전반적인 능률 (efficiency)과 관 계가 김다. 따라서 동일한 정지시력 (SVA)을 갖고 있더라도 동체시력 (DVA) 은 차이 가 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인에 비해 시각적 능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 운 동선수 군으로는 대학야구선수를 일반인 군으로는 본교 재학중인 남학생올 대상으로 동체시력올 측정 비교하였다. 각 군의 통체시력은 틈의 방향이 각기 다른 Landolt C 시표와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회전거울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군의 평 균 동체시력은 남학생 군이 85.71 ::1: 15.05 deg/sec 였으며 운동선수군은 100.63 ::1: 21.75 deg/secc으로 운동선 수군이 일반인 군에 비해 동체시력이 우수하였고, 운동선수군에 서 정지시력파 동체시력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