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0

        2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련의 문자열들 중 하나의 표적을 탐지하는 데 자극 명암대비와 색상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 1의 각 시행에서는 네 문자로 구성된 RSVP가 제시되고 각 RSVP 화면상의 문자들이 서로 다른 위치를 점유하였 다. RSVP 배열 내에서는 한 위치에 회색 표적 문자가, 나머지 위치에 세 방해자극들이 제시된 표적화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RSVP 화면에서 네 흰색 방해자극 문자들이 상응하는 위치에 제시되었다. 고가시성 조건에서는 회색 배경화면 보다 표적 회색이 현저히 어두웠던 반면 저가시성 조건에서는 그 밝기 차이가 상대적으로 분명치 않았다. 참가자들은 사전에 지정된 표적들 중 각 시행에서 어느 것이 출현했는지를 가능한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하도록 요구받았으며 그 결과 관찰된 탐지 수행은 고가시성 조건에서 더 정확했으며 신속했다. 실험 2에서는 고가시성 조건의 회색 표적을 고선명도 유채색 표적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 1과 동일한 RSVP 화면 및 과제가 사용되었다. 그 결과 참가자들 은 고가시성 조건의 표적을 더 정확히 탐지했으나 반응 속도에 있어서는 두 가시성 조건 간 차이가 없었다. 두 실험의 결과는 시각적 부담이 높은 상황일지라도 현저한 명암대비 및 색상이 부여될 경우 자극에 대한 지각이 촉진됨을 시사하 며 자극 색상에 비해 명암대비가 지각적 촉진에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을 제안한다.
        4,300원
        2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ionic contrast) 조영제와 B(Non-ionic contrast) 조영제를 사용 후 Breast 병변 환자의 dynamic검사 시 병변확인에 중요한 요소인 Time-signal intensity curve의 곡선변화를 분석하여 병변을 wash-out 으로 판단하는데 좀 더 효과적인 조영제가 어떤 조영제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연구 대상은 본원에 Breast MRI를 위해 내원한 환자 중 종양으로 진단 된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검사 기간은 2015년 6월부터 2015년 12월 까지 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4.1세(35~67세)이었다. 장비는 3Tesla 자기공명영상장치(Magnetom Verio, Siemens, Germany)와 Breast코일을 사용하였으며, 영상의 획득은 T1 FLASH 3D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하였고, Auto shimming 시행 후 조영제 자동주입기를 통해 ionic 조영제인 A(2ml/sec)조영제와 생리식염수(30ml, 2ml/sec)를 주입하였고 non-ionic조영제인 B(1ml/sec)조영제와 생리식염수(30ml, 1ml/sec)를 주입하여 영상을 얻었다. Time-signal intensity curve에 대한 분석은 Syngo MR MEAN CURVE Card(Siemens)를 통하여 평균 ROI의 직경을 5mm로 하고 Time-signal intensity curve의 peak time으로부터 기울기를 구해 비교 분석하였다. ionic 과 non-ionic 조영제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 값에 대한 비교 분석은 Independent two – sample (T- Test)를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검정하였다. 결 과:Breast cancer 로 확진된 환자 32명의 ionic 과 non-ionic 조영제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를 분석한 결과 ionic 평균 기울기는 -7.70(sd=4.78) 이며, non-ionic 조영제 평균 기울기는–12.45(sd=4.84)이였으며 ionic 과 non-ionic 조영제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에 대한 T- Test 검정결과 P Valu 값이 0.01으로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 론:병변판단에 중요한 기준이 되는 Time-signal intensity curve는 검사 시간에 따라 기울기에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제한적인 시간내의 곡선변화는 병변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ionic contrast와 non-ionic contrast를 개별적으로 사용한 결과 non-ionic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의 Time-signal intensity curve 기울기가 ionic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의 기울기보다 좀 더 큰 변화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breast dynamic 검사 시 ionic 조영제 보다 non-ionic 조영제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유용하리라고 보여진다.
        4,000원
        2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본 연구는 수술 전 양성 및 악성 간 병변 환자에 대하여 자유호흡기법(free breath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b-value (50, 500, 800, 1000)를 변환시켜 조영제 주입 전·후 현성확산계수가 어떤 수치적인 변화를 나타내는지 연구하고 악성 종양의 평가 자료로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써 임상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PNUHIRB-17)을 얻어 진행하였으며 연구 기간은 2015년 11월 01일부터 2016년 01월 30일까지 부산 소재 일개 P대학교 병원을 내원하여 수술전 간 MRI 검사를 의뢰 받은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프로토콜(protocol)은 본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간 검사에 최적화된 검사기법(TR:5100 ms, TE: 79 ms, SPAIR, NEX: 6, b-value type: 50, 500, 800, 1000)으로 조영제 주입 전 축삭면 확산강조영상을 자유호흡기법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PRIMOVIST 10 ml (Gd-EOB-DTPA) 주입후 20분 지연기(hepatobilliary phase)에 동일하게 반복 시행하였다. 사용된 확산강조영상은 SE single-shot EPI (echo planar imaging)을 이용하여 b-value값을 50, 500, 800, 1000 s/mm2으로 세분화하여 검사를 하였다. 정량적 평가시 Image J와 work station을 사용하여 평가 하였으며 세분화 되어있는 b-value 값에 따라 ADC map을 나타내고, 이에 대하여 병변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현성확산계수를 구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으며, p < 0.05 일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가되었다. 결 과 : 간세포암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과 후의 현성확산계수의 수치는 pre ADC (500, 800, 1000: 1.238, 1.040, 1.007 × 10-3 s/mm2), post ADC (500, 800, 1000: 1.225, 1.094, 1.002 × 10-3 s/mm2)를 나타내었다(p>0.05). 간전이암의 경우 pre ADC (500, 800, 1000: 1.450, 1.472, 1.332 × 10-3 s/mm2), post ADC (500, 800, 1000: 1.438, 1.441, 1.354 × 10-3 s/mm2)를 나타냈고(p > 0.05), 혈관종의 경우 pre ADC (500, 800, 1000: 1.591, 1.365, 1.217 × 10-3 s/mm2)와 post ADC (500, 800, 1000: 1.906, 1.614, 1.396 × 10-3 s/mm2)는 변화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결 론 : 결론적으로 양성 종양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과 후의 결과의 연관성이 크지 않았고, 규칙성이 없었다. 하지만 간세포암의 악성병변(LR-5)의 경우 조영제 주입 후가 양성 병변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은 현성계수의 값을 보였으며, 정성적 분석에 향상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복부 확산강조영상의 경우 질병과 검사 순서에 따라 현성확산계수의 결과 값과 확산강조영상의 명확도가 다르게 측정 될 수 있으므로 조영 전과 후의 확산강조영상을 병행한다면 좋을 것이라고 사료되며, 조영후의 현성확산계수와 이용 가능한 검사 시퀀스를 병행한다면 양성 및 악성 질환 감별의 진단에 효율성을 가져올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4,000원
        2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finition 진단 검사용 Gadolinium을 이용한 MR 조영제와 같은 저분자량세포외액 물질은, 인간 배아 또는 태아에 대한 연구가 완전히 진행되지 않아 임산부에 대한 사용이 제한적이다. 표준 MR 조영제는 영장류의 태반을 통과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IV 주입 후 11분 이내에 태아의 방광에서 관찰된다[1]. Gadolinium 조영제는 비슷한 방식으로 태반장벽을 넘어 태아에게 전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Gadolinium 조영제를 수유중인 여성환자의 영상 검사를 위해 사용시 환자와 주치의는 모유를 통해 분비되는 조영제가 유아에게 미치는 잠재적인 유독성에 대하여 고려해야 한다. 문헌에 따르면 Gadolinium에 의한 조영제가 모유로 분비된 물질이 유아의 위장관에서 재흡수 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고 한다.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s pregnantpatients Gadolinium에 의한 MR 조영제가 임상 용량대로 사용될 때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조영물질을 사용했던 임산부들의 통제된 기형변화 연구는 충분하지가 않다. 임신 초기 3개월 단계에서 Gadolinium chelates에 노출된 26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single cohort 연구에서는 기형변이나 돌연변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breast– feeding mothers 산모에게 IV로 주입된 용량의 0.04% 미만이 처음 24시간 동안 모유를 통해 분비되고, 아이가 먹은 조영제의 1% 미만이 위장관에서 재흡수 되므로 아이가 모유로부터 재흡수 하리라고 예상되는 조영제의 양은 산모에게 IV로 주입된 조영제 사용량의 0.0004% 미만이다. Recommendation 임신 상태환자가 MR 검사를 시행할 때에는, 환자에게 MR 검사 시행시의 장점 및 위험성과 다른 진단 검사로의 대체 가능성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검사 진행하기를 원하는지에 대해 서류상의 동의서를 제공하는 것을 권고한다. 문헌을 살펴보면, 유아가 먹는 모유에서 분비되는 Gadolinium 조영제의 아주 작은 양이 독성 영향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된 예는 없었다[4].. 따라서 Gadolinium 조영 물질을 사용한 후에 모유 수유를 계속하는 것은 산모와유아에게 안전하다는 보고는 신뢰 할 수 있다.
        2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이번 연구는 간 MRI 검사 시에 특히, 호흡과 관련하여 환자의 협조가 어려운 경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KWIC 검사로 얻은 영상과 raw data을 이용하여 재구성한 GRASP 영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12월 한 달 동안 본원에서 간 MRI 검사를 받은 환자 중 고령의 환자 10명(남성 7명, 여성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76.4세였다. 사용한 장비는 3.0T MRI(Verio, Siemens Medical solutions, Erlangen, Germany)였으며 신호 수집은 32channel body array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방법은 KWIC sequence를 사용하여 조영 전(pre contrast phase), 동맥기(arterial phase), 문맥기(portal phase), 3분 지연기(3min delay phase)에서 얻은 영상들과 이 자료(raw data)를 바탕으로 GRASP 전용 reconstruction 프로그램(Siemens &New York college, version. r.331)을 이용하여 재구성한 영상을 비교, 평가하였다.평가방법은 정량적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가지 방법으로 얻은 영상들 중 조영 전, 동맥기, 문맥기, 3분 지연기 4개의 영상들에서 간의 우엽과 좌엽 그리고 비장 3곳에서 각각 같은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ROI(region of interest)를 설정하고 background noise 4곳을 설정하여 SNR(signal to noise ratio)과 CNR(contrast to noise ratio)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평균비교의 통계적 분석은 SPSS 20.0 software를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영상의학과 전임의 2명, 방사선사 2명, 총 4명이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 streak 인공물의 정도(degree)를 평가하고 간 실질의 균질성(homogeneity)을 기준으로 영상의 화질(image quality)을 평가하여 poor, fair, good, excellent 총 4 point로 점수화하여 분석을 하였다. 통계적 검정은 비모수 통계방식인 Wilcoxon rank test을 통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p값이 0.05미만일 때 유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결 과 : 정량적 분석에서 평균차이가 유의성 있게 평가된 항목은우엽의 SNR과 CNR에서 pre, 3min delay영상이었고, 우엽에서의 SNR 평균값은 pre에서 133.36±30.58, p value=0.000, 3min delay에서 167.34±37.57, p value=0.025였다. 또한, 우엽에서의 CNR 평균값은 pre에서 43.36±29.65, p value=0.001, 3min delay에서 42.36±14.11, p value=0.011였다. 좌엽의 경우에는 SNR과 CNR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평균 차이를 보이는 구간은 없었다. 정성적 분석은 artifact와 image quality에서 pre, artery, portal 그리고 3min delay 영상 모두 GRASP이 KWIC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value=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 론 : GRASP은 기존의 radial samping 방식의 KWIC과 비교해 볼 때, SNR과 CNR이 조금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호흡조절이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다면 motion artifact와 streak artifact를 줄일 수 있으므로 간 동적 MRI 검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진단적 가치가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4,000원
        2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초음파를 이용한 심장 혈류의 정량적 측정은 관측자의 숙련도에 의해 평가결과가 변화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기공명 영상 장치의 위상 대조도 자기공명 영상 기법을 통한 심장 혈류의 정량적 측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고자기장(3.0T) 자기공명 영상 장치와 저자기장(1.5T) 자기공명 영상 장치의 측정 오차에 대한 기준이 표준화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장에 따른 심장 혈류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검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심혈관계 질환이 없는 정상의 남자 지원자 15명(평균연령: 35.4±4.10세)을 대상으로 심장 혈류 평가를 실시하였다. 장비는 초음파 Philips IU-21을 이용하여 심장 상행 대동맥의 최대 혈류속도와 평균 혈류량을 측정 하였으며, 자기공명 영상 장치는 GE Signa HDxt 3.0T/1.5T(GE Medical System Milwaikee, Wisconsin, USA)와 8channel cardiac array 코일을 사용하였다. 2D 자기공명 위상 대조도 영상은 상행 대동맥의 S-T juction과 Aortic valve LV에서 각각 시행하였다. 자기장의 세기에 의한 심장혈류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1.5T와 3.0T 모두에서 shim을 사용하지 않고(NO shim)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shimming에 의한 심장 혈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각각 Auto shim, Local shim, 그리고 두 가지 shim(auto + local: All shim)을 모두 사용한 상태에서 각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 다중회귀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0.05미만으로 하였다. 결 과 : 각각 1.5T와 3.0T에서 얻은 혈류 측정값은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LV AF: z=-3.409, p=0.001 / AA AF: z=-3.239, p=0.001), NO shim LV 1.5T의 혈류 측정값이 초음파의 혈류 측정값과 가장 높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827, p=0.000). 3.0T의 혈류 측정값은 shim을 사용했을 때 NO shim LV 1.5T와 비교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자기공명 영상 장치를 이용한 심장 혈류 평가에 있어서 자기장이 높은 3.0T에서 측정한 혈류값은 자기장이 낮은 1.5T에서 측정한 결과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공명 영상 장치를 이용한 심장 혈류의 평가는 저자기장(1.5T) 자기공명 영상장치를 사용하거나 자기장이 높은 자기공명 영상장치를 사용할 경우 정확한 혈류 평가를 위해 반드시 shimming을 통해 자기장의 균일도를 개선해야 한다
        4,500원
        2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복부 dynamic검사 시 조영제 주입 후 환자의 이상 반응 발생 빈도 및 조영제의 신호 대 잡음비 분석을 통해 적정한 조영제 주입 속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4월부터 2014년 9월까지 3.0T MRI system(Magnetom Tim Trio, Siemens, Germany)을 이용하여 Gadoxetic acid(Primovist, Bayer Schering Pharma)를 사용한 309명(남자 223명, 여자 86명)을 대상으로 Liver dynamic검사를 하였고, Gadodiamide(Ominisacn, GE healthcare)을 사용한 247명(남자 148명, 여자 99명)을 대상으로 Cholangio, Pancreas MRI 상복부 검사를 시행하였다. Saline은 주입 속도를 조영제와 동일하게 주입했으며 그 양은 30ml로 고정하고 gadoxetic acid의 양은 0.1ml/kg, 조영제의 주입속도는 1.0cc/sec, 1.5cc/sec, 2.0cc/sec로 60sec, 100sec을 측정했다. Gadodiamide의 양은 0.2ml/kg, 조영제 주입 속도는 1.5cc/sec, 2.0cc/sec, 2.5cc/sec로 60sec, 120sec을 측정했으며 Volumetric Interpolated Breath-hold Examination(VIBE) sequence를 적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상복부 MRI검사 시 조영제의 주입속도에 따른 이상 반응 유무 및 발생 빈도를 분석하고 획득한 영상은 PACS viewer에서 각 phase 별로 ROI를 5~15mm로 main portal vein, liver parenchyma, aorta를 세 곳 설정하여 각 부위의 SNR을 60초, 100초, 120초 검사 중심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결 과 : Liver MRI의 arterial phase 시간대 이상 반응(일시적 호흡곤란, 기침, 구토, 가슴 답답함 등) 발생 빈도는 2.0cc/sec는 98명 중 23건(23.5%), 1.5cc/sec는 116명 중 44건(37.9%), 1.0cc/sec에서 95명 중 22건(23.2%)으로 나타났다. SNR은 조영제주입 속도를 2.0cc/sec로 했을 때 60초 검사에서 portal vein 439.13±38.26, liver parenchyma 250.54±28.54, aorta 311.74±33.24였고 100초에서는 312.01±20.29, 283.88±28.60, 250.38±22.68이었다. 1.5cc/sec의 경우 60초 검사에서 portal vein 415.81±42.43, parenchyma 247.14±28.24, aorta 305.48±30.16, 100초엔 각각 339.20±32.12, 273.65±29.28, 264.66±29.84였다. 1.0cc/sec의 경우 60초 검사는 portal vein 400.44±42.43, parenchyma 237.95±28.30, aorta 307.24±33.69, 100초는 359.17±31.67, 259.13±27.90, 280.49±32.74였다. Cholangio MRI는 2.5cc/sec는 90명 중 6명(6.7%), 2.0cc/sec는 87명 중 3명(3.4%), 1.5cc/sec에서 70명 중 4명(5.7%)이 arterial phase에서 이상 반응이 발생됐다. 신호대 잡음비는 2.5cc/sec로 조영제 주입 시 60초 검사에서 portal vein 659.09±59.10, liver parenchyma 367.40±39.09, aorta 537.40±41.82였으며 120초에서 각각 546.79±40.35, 376.15±28.79, 470.59±36.99였다. 2.0cc/sec로 주입했을 땐 60초에 portal vein 648.18±61.19, parenchyma 360.49±41.35, aorta 540.07±51.77이었고 120초는 각각 559.26±52.35, 343.70±38.27, 474.57±42.02였으며 1.5cc/sec로 주입 시엔 60초에 portal vein 637.62±54.24, parenchyma 358.85±42.87, aorta 544.25±47.16였고 120초는 562.35±39.57, 303.91±40.20, 481.22±40.14이었다. 결 론 : 조영제의 주입 속도를 2.0cc/sec로 했을 경우 Liver MRI는 저속 주입 시 보다 60초와 100초 검사에서 이상 반응의 증가없이 SNR이 더 좋은 영상을 획득했다. Cholangio MRI 또한 60초와 120초 검사에서 2.5cc/sec로 주입했을 때 저속 주입 시 보다 SNR이 더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4,000원
        2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duplication is a important way to coumpound words. The two kinds of redupli cation in the Chinese and Korean. are namely morphological reduplication and pho nological reduplication. These two kinds of reduplications does not affect each oth er. Reduplication can be divided into total reduplication and partial reduplication, it 's found in every language,samely existent both in Chines and Korean. As well kn own, Korean basic word order has agglutinatiing languages, partial reduplication ha s a number of ways, but Chinese basic word order has isolating languages, redupli cation is very simple. senses of nouns reduplication includes plurality and distributi on. senses of verbs reduplication include continuity and repeat, senses of adjects r eduplication include affecton and derogatorysence/contempt. Other than the senses of adjects and adverbs reduplication include intensity. However, more attention sho uld be paid that partial reduplications comes from total reduplications.
        6,100원
        29.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디스플레이 주변의 조도 환경 변화에 따라 인지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달라지게 된다. 특히, 높은 조도 환경 에서는 영상의 인지 contrast가 저하되고, 어두운 영역의 detail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조 도에서 인지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두운 영역의 detail 보상을 고려한 contrast 개선 알고리즘을 제 안한다. 영상의 contrast 개선을 위해 TMF(Tone Mapping Function)를 사용하며, TMF는 영상 특성 및 주변 조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도출된다. 제안하는 contrast 개선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원본, 제안하는 방법과 기존 방법의 결과들을 대상으로 성능 비교를 위한 시각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한 영상의 시인성이 원 본 및 기존 방법에 비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4,300원
        3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Constructive interference in the steady state(CISS) sequence는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으로 감마나이프(Gamma Knife)수술 환자의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T2 강조 영상기법의 하나인 CISS에서 조영제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영상을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대상은 2013년 8월부터 2014년 2월까지 Gamma knife 시술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장비는 Siemens Magnetom Avanto 1.5Tesla MRI System이며, transmit/receive (T/R) head coil 이용하였다.사용된 protocol은 T2 axial, T1 axial, MPRAGE, CISS영상을 획득하였으며, CISS영상은 조영제 전, 후 영상을 획득하였다. 조영제는 meglumine gadoterate을 0.2mL/Kg을 정맥투여 하였다. CISS영상의 조영제 사용 전ㆍ후의 영상과 조영제 사용 후 MPRAGE영상의 신호강도를 image j로 측정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SNR과 CNR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연구결과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영상의 병변부위 조영제 사용 전, 조영제 사용 후 평균 SNR은 65.62±7.19, 170.80±39.51, 정상부위의 평균 SNR은42.34±24.67, 66.78±5.94로 측정되었다. 정상조직과 병변의 CNR은 조영제 사용 전 7.87±6.29에서 조영제 사용 후 64.93±22.87로 측정되었다. 조영제를 사용한 MPRAGE영상의 평균 SNR은 병변부위 52.70 ±24, 정상부위 35.91±14.03으로 측정되었고, 정상 조직과 병변의 CNR은 16.79±12.22로 측정되었다. CISS영상에서의 정상조직 조영제 사용 전, 후 병변부위와 정상조직의 SNR과 CNR에서 모두 유의수준 P=0.000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증가하였다. 조영제를 사용한 MPRAGE와 CISS에서의 SNR 측정결과 병변부위에서는 p=0.002로 유의하였으나 정상조직에서는 p=0.240으로 유의하지 않게 분석되었다. 결 론 : 감마나이프수술은 기존의 머리를 절개하는 뇌수술과는 달리 파장이 짧은 감마선을 병변 부위에 조사함으로써 종양이나 혈관기형 등을 제거하는 방사선 수술법으로 MR검사는 병변 확인 및 좌표 확인에 이용되고 있다.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의 경우 T1조영제를 사용하면 조영효과가 없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CISS sequence의 구성은 True and reversed fast imaging in steady state precession(FISP)가 혼합된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조영 효과를 영상에서 확인 할 수 있다.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의 경우 조영제 전 영상보다는 조영제를 사용한 영상에서 병변 및 정상부위의 SNR과 CNR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감마나이프 MR검사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3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근시성 직난시안의 안경처방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 및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처방(S+C/2)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대비시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난시도가 -0.75 D이상 -1.75 D이하인 만 20~32세의 성인 남녀 22명을 대상으로 ASD디자인인 J사의 재질 etafilcon A렌즈와 Wide Ballast Band디자인인 C사 재질 ocufilcon D렌즈의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하고 원거리 및 근거리 대비시력을 검사하였다. 결 과: 원거리 고대비시력은 두 렌즈 모두에서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안경과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 순으로 시력이 좋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거리는 두 렌즈 모두에서 고대비와 저대비시력이 안경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 처방 순으로 시력이 높았다.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를 비교한 결과 AS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Wide Ballast Ban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저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근시성 직난시안에게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을 대신하여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로 처방하는 경우 렌즈디자인에 따른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이 다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굴절검사가 추가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3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소아 척추 MRI 검사 시 빠른 심박동수와 호흡으로 인해 위상부호화 방향으로 인공물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조영증강 후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VIBE(volumetric interpolated breath-hold examination) 기법을 기존의 T1 weighted TSE(turbo spin echo) 기법과 비교함으로써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5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척추 MRI 검사를 시행한 소아환자 30명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범위는 9세에서 18세까지이며, 평균 연령 13.4세였다. 사용 장비로는 3.0T MRI(magnetom skyra, SIEMENS, Germany)로 하였고, 32ch spine coil과 20ch head &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TSE 기법과 VIBE 기법으로 얻어진 각각의 흉추 MRI 영상을 영상의학과 소아판독 전문의 2명과 방사선사 3명이 영상의 질을 비교 평가 하였다. 평가항목(1: bone cortex & marrow의 선예도, 2: 뇌척수액과 척수의 묘사, 3: 움직임과 호흡에 의한 인공물 감소, 4: 혈류에 의한 인공물 감소, 5: 조영 증강의 효과)에 대해 리커트(Likert) 5point scale로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정량적 분석으로는 척추신경에 대한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SPSS 22.0 사용한 paired t-test로 통계적 유의성(p<0.05)을 검증하였다. 결 과 : 5명의 평가자가 TSE 기법과 VIBE 기법을 평가한 결과 영상평가 1번 항목에서 평균값이 각각 3.10(±0.12)점, 3.80(±0.31)점, 2번 항목에서 3.03(±0.56)점, 4.25(±0.35)점, 3번 항목에서 3.20(±0.62)점, 3.75(± 0.51)점, 4번 항목에서 3.13(±0.58)점, 3.88(±0.68)점, 5번 항목에서 3.68(±0.43)점, 3.35(±0.47)점으로 나타났다. 척수와 척수액의 평균 CNR은 TSE 기법이 3.91, VIBE 기법 5.71으로 1.02~2.29배(평균:1.46배) 높게 측정되어 VIBE 기법이 TSE 기법보다 CNR이 좋음을 알 수 있었고, paired t-test 통계분석 결과 각각의 평가항목에서 모두 p<0.05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척추 질환의 초기 진단에 있어서 TSE 기법과 VIBE 기법의 영상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VIBE 기법에서 움직임 및 혈류에 의한 인공물 감소가 우수하였으며, 척수와 척수액의 CNR이 평균 1.46배 차이를 보임으로써 VIBE 기법의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소아 환자는 성인에 비하여 뇌신경계 병변을 초기에 발견하여 진단적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점과 VIBE 기법이 척추 질환 진단의 목적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 앞으로 소아 척추 질환 진단 시 VIBE 기법이 진단적 가치를 높이는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3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자기공명 혈관조영검사 시 사용되는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1000mmol)는 T1 단축효과가 우수하여 혈관의 신호강도가 높다. 그러나 가돌리늄 함유량이 낮은 조영제(500mmol)에 비해 148%와 19% 높은 점도와 삼투압은 인체에 투여하였을 경우 다양한 부작용의 발생확률을 높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의 특성을 파악하여 희석이라는 방법을 통해 단점인 점도와 삼투압을 낮추면서 장점인 신호강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 부작용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영상의 질은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조영제가 인체 내 혈관에 투여되면 혈액과 희석을 통해 mol 농도가 변화되고 이로 인해 신호강도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리에 기초하여,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의 mol 농도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phantom을 자체 제작하여 실험한 후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실험을 시행하였다. 임상실험은 60명을 대상으로 조영제를 희석한 군과 희석하지 않은 군의 조영제 희석에 따른 대조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혈관의 신호강도를 비교 하였으며, 영상획득 장비로는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와 16channel SENSE NV 코일을 이용하였다. 결 과 : 연구결과, 조영제 m o l 농도 변화에 따른 p h a n t o m의 신호강도는 0.0125mmol부터 급격히 증가하다 20mmol에서 최고점을 이룬 후 완만하게 감소하여 200mmol부터 평형을 이룬다. 이는 1000mmol의 조영제 원액이 혈관에 투여 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액에 희석되어 신호강도가 변하는 것으로 조영제 원액의 희석률을 달리하여 20mmol에 근접 시키면 신호강도가 높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근거하여 임상실험을 통한 뇌혈관의 신호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상화 범위의 모든 뇌혈관에서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를 희석하여 검사한 뇌혈관 영상의 신호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phantom실험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1000mmol 조영제를 직접 사용하는 것보다 500mmol로 희석하여 사용하면 신호강도가 최고점에 이르는 20mmol에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신호강도가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결 론 : 본 연구는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의 특성 중 부작용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점도와 삼투압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의 특성을 분석하여 희석이란 방법을 통해 임상에 적용함으로써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고, 부작용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높은 점도와 삼투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4,200원
        3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the current adverse reactions in administering CT contrast agents at general hospitals and also to suggest the practical guidelines to minimize the risk and to show the successful patient management. At four Dajeon city general hospitals, the contrast agents were administered in 646,828 cases and the overall prevalence of adverse reactions was 4,110 case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3. However, we excluded the two hospitals’ 3,658 cases because the patients’ data was inadequate. Consequently, the case surveys on the rest of 452 cases have been studied and submitted. After comparing the patients with a control group, we evaluated that the key factors of the adverse reactions were the gender and age difference of the patients, the examination period, the examination method, the quantity and administrating speed of the contrast agents. Even though the four general hospitals have their own management systems on adverse reactions, but their systems were not satisf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anagement systems and to investigate further cases, some hospital administration procedures on the subject should be systemized and general hospitals should follow the recommended procedures. Moreover, the existing three-year-term evaluation should not only judge the adverse reaction management but also conclude some details on the sub criteria of the evaluation. The details on the sub criteria include the contrast agent characters, the quantity and administrating speed of the drug, the incidents’ occurred time, an anamnesis; a case history, the medical history of the patients and the reaction occurring body parts, and the examination title. The details of the medical examiners are also added to the sub criteria.
        4,000원
        35.
        2014.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영제를 사용하는 CT검사에서 조영제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조영제 부작용 발생인자들을 분석하여 조영제 부작용을 미리 예측하고 예방하여 조영제 부작용 발생빈도를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하며, 병원 내 약물부작용 관리 업무에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병원의 진료 서비스의 향상과 영상의학과 종사자들의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4개의 종합병원에서 조 영제를 사용하는 CT 검사 중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2010년 1월부터 2014년 7월 까지 전산으로 기록되어진 4,932명 중 변수가 부족한 데이터를 제외하고 조영제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 404명(이하 환자군)과 같은 기간 조영제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은 환자에서 조영제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의 성별, 조영제 종류를 교차하여 무작위 추출을 한 404명 (이하 대조군)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위험 인자에 대해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영제 부작용은 계절에 따른 특성에서 봄에 검사한 환자보다 겨울에 검사한 환자가 조영제 부작용 발생확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다른 특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영제 부작용검사 관련 특성에서는 일반적인 검 사보다는 Dynamic 검사 시 조영제 부작용 발생확률이 높게 나타났고, 조영제 사용량이 130ml 이상 시, 주입속도가 4F/R 이상 시 조영제 부작용 발생확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 로 모든 특성들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계절적 변화에 따라 환자의 조영제 투입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매년 CT검사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조영제 사용이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조영제 부작용의 일반적 특성뿐만 아니라 질병, 전처치, 심리적 요인, 기타 약물 복용, 등의 다양한 원인을 근거로 한 연구가 지속적 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조영제 부작용의 발생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3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UV-A, UV-B, UV-C의 노출 증가에 따른 UV 차단용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시감투과율 및 대비감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 법: UV-A, UV-B, UV-C lamp의 영향을 받은 2개의 하이드로겔 렌즈, 2개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시감투과율과 피검자 23명(46안)의 대비감도를 검사하였다. 결 과: UV lamp에 영향을 받은 콘택트렌즈의 시감투과율이 UV-C 조사받은 렌즈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UV-B, UV-A순으로 감소하였다. 동일한 자외선 양(9.35mJ/cm2)을 조사 받은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피검사자에게 착용 후 대비감도를 측정값은 UV-C 조사 받는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4,000원
        39.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히스토그램 균등화는 콘트라스트 조절을 통해 화질을 향상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기존 방법들이 히스토그램의 분포를 전역적 또는 지역적으로 콘트라스트를 조절하였으나, 최근에는 다계층 블록 기반 방법을 이용하여 전역적 접근과 지역적인 특성을 동시에 반영하는 MLBOHE 기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영상의 밝기 값을 따로 조절하지 않기 때문에 최적의 화질 구현이라는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최적의 영상 통계적 특성에 기반한 다계층 블록 기반 중복 히스토그램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영상의 콘트라스트만 아니라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화질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은 기존 방법들에 비해 자연스러운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콘트라스트 향상을 통한 최적의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4,000원
        4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or oral hygiene can cause severe periodontal dise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individual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good oral hygiene. To this en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using a phase contrast microscope as an instructional tool for oral hygiene. Forty patients, randomly divided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were recruited 6 months after receiving oral prophylaxis. A phase control microscope was used as a demonstration tool for the test group, and a dentiform model was used to demonstrate the ideal tooth-brushing method for the control group. In the test group, awarenes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roper oral hygiene was found to increase by 30%, and in the control group, awareness was increased by 20%.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instructional program was 80% in the test and 70% in the control group. The level of understanding was 99% in the test and 80% in the control group. Instructions were easily followed by 80% of the test and 60% of the control group.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es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of proper oral hygiene was over 70% for both the groups. The phase contrast microscope-based instructional program yielded higher actual practice rates. The phase contrast microscope is desirable tool for motivating patients and spreading awarenes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good oral hygiene.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