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

        2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단감 유기재배 선도농가의 병해충 방제 실태조사, 주요 병해충에 대한 친환경 방제자재 선발, 수립한 방제시스템의 현장실증시험을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동안 수행하였다. 유기재배 선도농가의 주 재배품종은 부유였으며, 병해충 방제를 연간 9~17회 유기농업 자재를 살포하였다. 피해가 가장 심한 병해충은 탄저병, 노린재, 감꼭지나방, 깍지벌레 등 이었으며, 사용한 방제자재는 결정석회황합제, 황토유황, 유화제, 보르도액 그리고 마늘, 은 행, 소나무를 이용한 자가제조 식물추출물제를 이용하였다. 탄저병 방제에 효율적인 자재 는 결정석회황, 황토유황이었고, 마늘유+ 시트로넬라유제, 고삼종자 추출물+차추출물제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독나방에 효과적이었다. 감꼭지나방 교미교란트랩을 60개/10a 설 치하면 감 착과율을 30% 향상시켰다. 유기재배 단감에 연간 10회 방제하는 방제시스템의 현장실증시험 결과 70.7%의 과일을 수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확기 즈음인 9월, 10월에는 약제를 살포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때 가해하는 노린재류의 피해는 감소하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2.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한국형 무경운 재배 토양에서 유기물 투입과 분할 관수가 고추 생육 및 수량 과 토양 화학성,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추진하였다. 시험 후 토양에 화학 성을 조사한 결과 토양 pH는 5.6~6.2, 유기물 함량은 32~42 g ㎏-1, EC는 1.0~2.7 dS m-1, 치 환성 K은 0.08~0.24 cmol+ kg-1, Ca은 9.5~12.8 cmol+ kg-1, Mg은 2.7~3.2 cmol+ kg-1 수준이었 으며, 유효인산은 1,011~1,137 mg kg-1 수준이었다. 무처리에서 토양에 미소동물은 톡토기와 응애류 등 5종 54개체가 포획되었으나, 대두박을 투입한 처리는 9종 271개체가 포획되어 되었다. 토양환경의 지표가 되는 자연도 점수가 대두박 투입 처리는 11점으로 무 투입 5점 에 비하여 2배 정도 증가되었다. 대두박 투입은 무 투입에 비하여 고추의 수확과수의 감소 로 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대두박 무 투입 조건에서 표준시비량의 33~66% 수준에서고추 수량은 증수되었으며 대두박 투입에서는 표준시비량의 33% 수준에서 증수 되었다. 2회 분할관수는 1회 전량관수에 비하여 고추의 수확 과수가 12.5~34.9% 증가되었 고, 수량은 13.5~34.4% 정도 증수되었다.
        23.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lthough ginseng has various bioactive compounds in it, there is lack of study on the variations of bioactive compounds in ginseng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soil and the applied fertilizer types (or amou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ariations of 37 fatty acids (FA) and 8 vitamin E (Vit-E) vitamers in 6-year-old ginseng root cultivated in different soil types with different fertilizers regimes. Methods and Results : The profiling of 37 FAs and 8 Vit-E vitamers in 6-year-old ginseng roots was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a flame ionization detector, and then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chemometrics. The FA and Vit-E content in ginseng roots varied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soil cultivation conditions due to organic fertilizer types and amounts used. Unsaturated FA in ginseng is approximately 2.7 fold higher than the saturated FA. Linoleic, palmitic, and oleic acids were the most abundant FAs found in the ginseng roots. Also, the major Vit-E vitamer found in ginseng root is α-tocopherol.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rice straw compost or food waste fertilizer was increased to create nutritionally desirable FAs and bioactive Vit-E in ginseng root. In addition, phytonutrient profiling coupled with chemometrics can be used to discriminate the cultivation conditions of ginseng. Conclusion : This study extends our understanding about the variations of FA and Vit-E in ginseng root depending on cultivation conditions. Hence, these results can be useful as basic information for reliable ginseng production containing high amounts of phytonutrients in a paddy-converted field.
        24.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도라지의 유기재배를 위하여 피복물 처리에 따른 도라지 뿌리의 생육특성 및 사포닌,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3년근 도라지를 이식 후, 흑 색 비닐, 톱밥, 쌀겨 및 무피복구의 뿌리의 길이는 비닐, 톱밥, 무피복구에서 24.0~27.5 ㎝로 길었으며, 직경에서는 비닐 피복구에서 가장 굵은 30.0 ㎜로 나타났다. 지근의 수도 비닐 피복구에서 가장 많은 36.0개로 조사되었으며, 수량과 관련성이 있는 생체중은 지근의 수 와 직경이 가장 굵었던 비닐 피복구에서 13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무피복구에서 56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lantycodin D3와 deapioplatycodin D 함량은 톱밥 피복구에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라지의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은 비닐 피복구에서 각각 11.0, 8.6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olygalacin D와 ABTS와의 상관관계는 -0.591*로 부 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나머지 성분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 라지 유기 재배 시 피복재료에 따른 뿌리의 특성, 사포닌함량과 항산화성분 등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5.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기농경지의 지속가능한 토양양분관리를 위해 유기농가의 자재의존도와 자 재에 의한 토양 특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10년 이상 유기농을 실천한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함께 유기농가의 토양 관리를 위해 사용한 자재의 종류를 조 사하였다. 그 결과 유기농가에서는 토양 양분관리를 위해 주로 자가제조퇴․ 액비 및 시판자 재를 사용하고 있어 외부 투입자재의 사용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57%는 가축 분뇨가 포함된 자재를 이용하여 토양관리를 하고 있었고 자재 성분분석 결과 가축분의 구 성 비율에 따라 자재의 성분함량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토양분석결과 10년 이상 유기농재 배를 한 지점의 양분함량은 대체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자재에 따라 토양 화학성이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가축분퇴비를 주로 사용하는 농 가는 교환성 칼슘과 칼륨이 과잉 존재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시판자재 분석결과 부숙유 기질비료는 가축분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 성분함량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외부투 입자재에 의존한 토양관리는 토양 내 양분 불균형을 야기할 수 있다. 토양 내 양분 불균형 은 작물 생산성을 악화시키고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어 농가 및 연구현장에서 이를 개선하 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농가수준에서 토양 양분관리를 위해 사용하기 용이한 시판 부숙 유기질비료의 성분함량을 고려한 신중한 투입이 필요하며, 또한 이러한 유기농경지에서의 양분 불균형 해소를 위해 집적된 양분의 이용률을 증대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6.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둑을 재활용한 무경운 재배 토양의 고추의 생육량은 관행경운 토양에 비하여 22% 정 도 증가되었고, 무경운 3년차는 12% 정도 증가되었다. 무경운 재배 2년차 토양에서 생산된 풋고추 건물중은 348.4 kg 10-1으로 관행 경운 토양에 비하여 16% 증가되었으나, 무경운 3 년차는 감소되었다. 무경운 2년차 토양의 세균은 관행 경운 토양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무경 운 3년차에서는 관행 경운 토양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방선균도 경운 토양에 비하여 무경운 2년차 토양은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무경운 3년차는 감소되었다. 곰팡이는 경 운토양에 비하여 무경운 2~3년차 토양에서 1.3~1.7배 정도 증가되었다. 무경운 재배 토양의 CO2 발생량은 경운재배 토양에 비하여 41% 수준으로 발생량이 현저 하게 감소되었다. 고추 생육 초기 관행 경운 토양의 미소동물은 톡토기목과 응애목 2종 6개체가 포획되었 으나, 무경운 1년차 토양에서는 지네강 등 5종 11개체가 포획되었고, 무경운 2년차는 딱정 벌레와 지네강 등 3종 5개체가 포획되었다. 고추 정식 46일 후에 조사한 경운재배 토양은 보라톡토기 등 4종 40개체를 포함 큰집게벌레 등 8종 97개체가 포획되었다. 무경운 재배 토양은 9~10종 101~107개체가 포획되었다. 지표생물로서 환경의 변화의 기준이 되는 자연도 점수는 관행경운양 19점에 비하여 무 경운 토양의 자연도 점수는 33점으로 1.74배 정도 높았다. 따라서 두둑과 고랑을 재활용한 한국형 무경운 농업은 관행 경운토양에 비하여 작물의 생육과 토양 미생물, 토양 곤충을 포함한 토양생물 다양성, 온실가스 발생량 감소에 긍정적 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7.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cultivation site soi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cultivate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cultivated ginseng samples (4-, 5-, and 6-year-old) were collected from 52 fields at 14 locations throughout Korea. The samples were collected over three years from 2013 to 2015, with the collection period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of each year. In order to increase the yield of organically cultivated ginseng, the amount of nutrients was increased to match that of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system, which highlights the need for proper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for chemical properties of soil. Growth duration of organic ginseng was ≥60 days shorter than that of conventional ginseng and its average yield per 1ha was 60% than that of conventional ginseng. Root weight of organically cultivated ginseng was approximately 54% that of conventionally cultivated ginseng. Rhizome diameter and body shape index of organically cultivated ginseng were lower than those of conventionally cultivated ginseng, indicating that organically cultivated ginseng was thinner and longer than conventionally cultivated ginseng. Root length was greater in 5-year-old conventionally cultivated ginseng with a low percentage of paddy-upland rotation fields. The number of rootlets was lower in 5- and 6-year-old organically cultivated ginseng with a high percentage of direct seeding cultivation. Dry weight was distinctly lower in 5- and 6-year-old organically cultivated ginseng with early defoliation than that of conventionally cultivated ginseng. Incidences of notched belly and root rot tended to be higher in conventional cultivation, with the incidence of notched belly being distinctly higher in 4- and 6-year-old roots and root rot being more prevalent in 5- and 6-year-old roots. Red discoloration and eelworm damage, which are highly affected by soil moisture, were most common in the organically cultivated 4-year-old roots. Organically cultivated ginseng showed early defoliation than conventionally cultivated ginseng, as a result, its yield and weight were low, while the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was low. In order to increase the yield of organically cultivated ginseng, studies on cultivation technology that can overcome early defoliation, as well as soil moisture management that can minimize physiological disorders, are required.
        28.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ethods to high quality medicinal vegetables, thereby increasing farm incom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organic fertilizer and applicated cultivation on stable foliage production in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Methods and Results : method of application with organic fertilizer were conducted under nine condition compose to control(non application), N-P2O5-K2O (20-12-10)㎏․10 a−1, Hyphal incubation compost(HIC) applied at 851㎏․10 a−1, Hangawi organic compost(HOC) applied at 547㎏․10 a−1, Fermented mixed oil cake compost(FMOC) applied at 380㎏․10 a−1, 60% and 40% of basal fertilizer in March 12, top dressing were four application in April 12, May 12, June 13 and July 12, respectively. Sowing dates were March 23, 2015. Plants were spaced 15 ㎝ apart in rows 15 ㎝ apart with open cultivation. Conclusions : chemical fertilizers < hyphal incubation compost < hangawi organic compost < fermented mixed oil cake compost application, top dressing than 60% in order of 40% additional fertilizer, aerial part as a result were so many such amount of growth as number of leaf per plant, etc., Green leaf yields is untreated control plot (875 kg․10 a−1) compared to 12% from using chemical fertilizers, HIC application 18% higher, HOC application 20% higher, and FMOC application increased to 28% of the most.
        2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organic vegetable cultivation on the soil physical properties in 33 farmlands under plastic greenhouse in Korea. We were investigated 5~8 farms per organic vegetable crops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to November 2014. The main cultivated vegetables were leafy lettuce (Lactuca sativa L.),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cucumber (Cucumis sativus L.),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L.) and tomato (Lycopersicon spp.). We have analyzed soil physical properties. The measured soil physical parameters were soil plough layer, soil hardness, penetration resistance, three soil phase, bulk density and Porosity. The measurement of the soil plough layer, soil hardness and penetration resistance were carried out direct in the fields, and the samples for other parameters were taken using the soil core method with approximately 20 mm diameter core collected from each organic vegetable field. Soil plough layer was average 36 cm and ranged between 30 and 50 cm, and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orts of vegetable cultivation. The soil hardness was 0.17±0.15~1.34±1.02 in the topsoil, 0.55±0.34~1.15±0.62 in the subsoil. It was not different between topsoil and subsoil, bu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afy and fruit vegetables. Penetrometer resistance is one of the important soil physical properties that can determine both root elongation and yield. The increase in density under leafy vegetables resulted in a higher soil penetrometer resistance. Soil is a three-component system comprised of solid, liquid, and gas phases distributed in a complex geometry that creates large solidliquid, liquid-gas, and gas-solid interfacial areas. The three soil phases were dynamicand typically changed in organic vegetable soils under greenhouse. Porosity was characterized as range of 54.2±2.2~60.3±2.4%. Most measured soils have bulk densities between 1.0 and 1.6 g cm-3.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Soil plough layer has been deepened in organic vegetable cultivation soils. Solid hardness (the hardness of the soil) and bulk density (suitable for the soil unit mass) have been lowered. Porosity (soil spatial content) was high such as a well known in organic farmlands. Import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vegetable cultivation. We have demonstrated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organic cultivated soils under plastic greenhouse were improv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3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growth promoting effects and improv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The soybean sprout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ngth (more than 43.0%), the thickness (more than 0.5~0.7 mm), fresh weight (more than 2.9~3.7 g)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in vitro. In organic soybean sprouts farm, the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applied to mass culture of soybean sprout and the fresh weight of soybean sprouts increased by more than 25% and the yield was very high as 598.33%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In addition of sensory test, there is no fishy odor and better crunchy texture and nutty flavor for the treatment soybean sprouts compared to untreated soybean sprouts. Particularly,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SOD) of the soybean sprou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26.1% and 40.4%, respectively by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Consequently, the treatment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to grow soybean sprouts is also promoting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promoting the growth of sprouts. Therefore, chlorella is considered to be worth as functional materials for high-quality sprouts grown.
        31.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rganic ginseng farming has rapidly increased in response to consumer demand for a safe product which improves health. Differences in soil nutrient concentration and ginsenoside content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ginseng farming have, however, not yet been properly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soil nutrient concentration and ginsenoside content between these two farming systems. NO3-N, P2O5, and 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ginseng farming. The total content of ginsenoside and individual ginsenoside components were higher in organically grown ginseng than in ginseng from conventional farming,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Particularly, protopanaxadiol saponins were higher than protopanaxatriol saponins in ginseng from organic farming compared to ginseng produced by conventional farming. NO3-N content in soil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ontent of ginseno-sides Rb2 and Rd. In addition, P2O5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inseno-sides Rb1, Rc, and PD/PT ratio. Organic matter showed a positive crrelation with ginsenosides Re. To increase the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we recommend increasing organic matter and decreasing NO3-N and P2O5 contents in the soil.
        37.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토양조건은 배수가 양호한 양토인 안룡통 보통답으로 칼륨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 논토양의 평균 함량보다 낮은 토양이었다. 유기질비료로 처리구는 질소 표준시비량인 9kg/10a과 비슷한 N-P-K=8.45-4.89-9.24kg/10a를 시용한 반면 관행구는 표준시비량보다 많은 N-P-K=14.5-6.3-10.8kg/10a를 시용하였다. 2. 벼 수확 후 시험구 토양내 미생물상 분포를 조사한 결과 박테리아와 방선균의 수는 처리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고, 곰팡이의 수는 관행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토양내 가수분해효소 생성미생물을 조사한 결과 호평벼 처리구에서 키틴분해미생물과 인산분해미생물 분포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3. 병해충 발생정도는 전체적으로 처리구에서는 미미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관행구에서 특히 호평벼에서 도복과 이삭도열병이, 잎집무늬마름병은 두 품종 공히 심하게 발생하였다. 혹명나방은 온누리에서 발생율이 높았는데 이는 질소 과다 시용으로 판단되었다. 4. 호평벼와 온누리 공히 관행구가 처리구에 비해 간장과 수장은 약간 길고, 주당수수는 많았다. 그러나 잎집무늬마름병 및 이삭도열병, 혹명나방 도복 등으로 등숙비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관행구는 천립중이 낮았으며 수량이 호평벼는 38%, 온누리는 13% 떨어졌다. 5. 병해충인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혹명나방과 수량과의 관계에서 유의성이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6. 백미의 품질도 관행구에서 쇄립율의 증가로 완전미 비율은 낮고, 단백질함량이 높아 전반적인 품질 및 윤기치가 낮아졌다.
        3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기농 배추재배를 위한 주요 해충 방제를 위한 push-pull 전략 수립을 하고자 유인 또는 기피식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2012년 충남 서산의 유기농 배추재배농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 배추잎벌레, 진딧물, 비단노린재 및 갈색노린재에 대한 메리골드, 호밀, 부추, 상추, 치커리, 농우-치커리, 쑥갓, 트레비소 및 겨자채 등, 9가지의 식물에 대한 유인 또는 기피효과를 평가하였다. 10종의 유인 및 기피식물 중에서, 호밀과 치커리는 갈색날개노린재와 비단노린재를 각각 강하게 유인하였다. 진딧물은 다른 식물보다 호밀에 선택적으로 유인되었다. 겨자채는 비단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순으로 유인하였다. 비단노린재는 상추와 부추 혼작처리에 유인되었다. 유기농 배추포장에서 쑥갓, 트레비소, 청겨자의 단독 또는 혼합처리는 배추잎벌레, 배추좀나방, 비단노린재, 진딧물, 갈색날개노린재의 발생을 강하게 기피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선발한 해충 유인 및 기피식물은 배추의 종합적 해충방제를 위한 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