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2

        44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cheon Port has been served as not only the center of the Yellow Sea and port for trade with China but also domestic gateway port for the metropolitan area, playing a professional role as the greatest domestic Port which processes a variety of items such as imported raw materials, bulk cargo, oil and gas and so on.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step by step business process between port entry and departure of ship, and incurred cost according to port industry classification and performance on the port facility. Bulk cargo and general cargo such as grain, food, steel, scrap metal, wood, coal, LNG, LPG and oil etc., which have a vast majority of import goods, have been treated by 57,062 thousand tons and 7,409 thousand tons of container cargo were processed at Incheon Port in 2009. Bulk vessels and carriers moving items such as LPG, LNG and oil recorded 38,836 thousand won and full-container vessels recorded 11,001 thousand won as the amount of notified port facility usage fees in 2008.
        4,000원
        44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y CVT(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sists of a driving pulley and a driven pulley joined by rubber V-belt. Each pulley consists of a fixed flange and a movable flange. The movable flange of the driving pulley has the centrifugal roller and a ramp plate in the flange. The movable flange moves toward a fixed flange under the actuation of a centrifugal roller, as the driving pulley speed increases. The main advantages of the Dry CVT with V-belt, which has been popular in Asia, are a simple mechanism, less maintenance and low cost. The important claim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Dry CVT is the wear of the centrifugal roller. In this study ball type is proposed instead of roller type of movable flange to resolve claim. Also experiments are carried out for new model to evaluate performances.
        4,000원
        44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경재배와 토양재배를 통해 키운 토란이 생리 형태학적으로 어떤 차이가 나는지 조사하였다. Hoa.+IAA를 처리한 수경재배는 질석, Hoa., 토양, 물에서 키운 토란보다 약 9%, 32%, 38% 및 60% 생장이 각각 촉진되었다. 물에서 재배한 토란은 5~6주 생장한 후의 Fv/Fm값이 0.54와 0.55를 나타내어 Fv/Fm값이 0.8 이상을 보인 Hoa.+IAA, 질석과 토양에 비해 약 32.5% 낮았다. Hoa.+IAA 처리구에서
        4,000원
        444.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 영상의 식별자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먼저 형태학적 필터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영상이 앞면 또는 뒷면 영상인지를 판단한다. 컨테이너 영상이 앞면일 경우 수직,수평 히스토그램을 비교하여 식별자 영역을 추정하고, 컨테이너 영상이 뒷면일 경우 3번째 손잡이의 위치와 수평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식별자 영역을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된 식별자 영역을 이진화한 다음, 최종적으로 8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과 식별자 조건을 이용하여 식별자를 검출하였다. 많은 다양한 컨테이너 영상에 대한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이 앞면 컨테이너 영상에 대해서는 기존 방법과 비슷한 성능을 나타내지만 기존 방법으로 해결하지 못한 뒷면 컨테이너 영상에 대해서도 우수한 식별자 검출 성능을 나타내었다.
        4,000원
        445.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xes and Adzes are the oldest tools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which is used to cut the tree and make part of architecture such as boards, square timber etc. Nowadays, these old woodworking tools especially "Jagui(자귀)" (adze) has been almost disappeared at the working site of residential and cultural properties. It is necessary to study Korean traditional woodworking tools to keep Korean traditional skill and technology. It has been reviewed the change of shape of "Jagui(자귀)" (adze) from before Samhan (삼한) period to Joseon Dynasty through excavated relics and paintings and summarize as follows: Based on excavation relics of Dahori, both plate type blade and pocket type blade are used for "Tokki(도끼)" (axe) and "Jagui(자귀)" (adze). The excavated "Jagui(자귀)" (adze) from Jeongbaikri 356 tomb, near Pyongyang is prototype of "Jagui(자귀)" (adze) used nowdays which has almost same shape as well as the insert method of blade and handle. The auxiliary handle is inserted to blade and the main handle is inserted to the auxiliary handl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Chinese and Japanese "Jagui(자귀)" (adze). The length of handle of "Jagui(자귀)" (adze) until late Joseon Dynasty is short by which we assume it is used for a sitting position as hand held Jagui and from that time long handle has been introduced for a standing position which is called "Sunjagui(선자귀)". "Jagui(자귀)" (adze) has been used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but it is almost disappeared at the most of woodworking site which is the crisi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we have to do something to keep it.
        4,900원
        44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재주나방과(Notodontidae)는 중형 크기의 나방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2,5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는 현재까지 104종이 기록되어 있다(Park & Kwon, 2010). 재주나방과 유충 가운데 일부 종들은 농업 ․ 산림해충으로서 이들에 대한 생활사나 기주식물에 대한 정보는 잘 알려져 있으나, 주요해충이 아닌 종들에 대 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며, 대부분이 외국의 자료를 인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소에서 산림해충의 조기 진단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2009년 부터 2010년까지 2년간 나비목 분류군 전반에 걸친 유충 사육 결과 재주나방과에 서 29종이 사육되었다. 이 가운데 17종이 동정되었으며, 특히 먹점재주나방 유충 의 출현시기와 기주식물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검은띠나무 결재주나방 외 4종의 기주식물이 국내에서 밝혀진 기록 외에 추가되었다. 이에 따 라 동정된 재주나방과 유충 17종의 형태적 특징과 발생시기, 월동태, 기주식물 등 생태에 관한 정보를 기재한다.
        449.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범부전나비(Rapala caerulea)와 울릉범부전나비(Rapala arata)는 형태적 유사 성이 높은 종들로 일반적으로 날개 윗면의 색으로 구분되어 왔다. 또한, 지리적 분 포 특성으로 볼 때 범부전나비는 중국 중부, 북동부에서 한반도(울릉도, 제주도 제 외)까지 서식하는 반면, 울릉범부전나비는 극동러시아, 중국 동북부, 한국의 울릉 도와 제주도, 일본까지 출현한다. 두 종의 분포가 겹치는 한국에서는 날개의 체색 만으로는 두 종의 진단이 모호하므로 뒷날개 밑면 후연의 점무늬로 구분한다. 즉, 2개의 흑점무늬를 갖는 종은 범부전나비, 4개의 흑점무늬를 띤 종은 울릉범부전나 비로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두 종 각각의 일부 개체에서는 흑점무늬의 배열에서 중간형이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것이 확인되어왔다. 이처럼 두 종간의 형태적 진단 형질의 부분적 중복으로 인한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COI유전자를 이용하여 두 종의 지역집단(한국 3개 집단, 일본 1개 집단) 26개체에 대한 DNA 바코딩 분 석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그 결과로 분석된 26개체에 대한 COI 서열 차이는 0.0-0.3%로 극히 작았을 뿐 이었다. 특히, 0.2-0.3%의 서열변이를 나타낸 범부전 나비의 경상북도 울진산 2개체의 경우도 1개의 염기만이 차이가 있었을 뿐 나머지 서열은 모두 똑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종 간에 barcoding gap을 형성할 만 큼의 차이는 전혀 없었으며, 두 종은 동일종의 집단으로서 집단 간 변이도 크지 않 았던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따라서 향후 형태형질의 추가적 분석을 통해 종합 분류를 수행하면서 동물이명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5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분액비 및 녹비작물 도입에 의한 답리작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수확한 다음 우분액비시용이 벼 및 후작물인 답리작 사료작물의 생산성, 토양의 지력증진 효과 및 양분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축산진흥연구소내 식양토의 논에서 2006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3개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우분액비 시용은 벼는 이앙 전에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으며 총체보리 및 호밀은 파종전과 봄 생육 개시 전에 2회 균등분할 시용하였는데, 화학비료
        4,000원
        45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향(CM061202)은 충청남도농업기술원에서 양송이 신품종 육성을 위해 갈색종에서 161개의 담자포자 균주를 분리하여 선발된 계통중의 하나로 705호와 생산력을 비교한 결과 수량, 균사생장 및 품질특성이 우수하여 신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다향 균사를 퇴비추출버섯 완전배지(CE/MCM)에 접종하여 25℃ 온도에서 15일 배양시균사생장 길이는 63㎜로 705호(38㎜)에 비해 양호하였다. 볏짚을 이용한 균상 재배시 다향의 생육 온도는15~19℃로 705호(15~17℃)에 비해 2℃ 높았다. 다향의 갓 색깔은 갈색이고, 초발이소요일수는 30일로 705호(29일) 보다 1일 느렸다. 수량성은 49.1㎏/3.3㎡으로 705호(35.8㎏/3.3㎡)보다 37% 증수되었다. 다향의 개체중은 16.0g으로 705호 (14.0g)보다 무거웠으며, 갓의 두께와 직경이 705호 보다 두꺼웠다. 또한 다향은 705호에 비해 대의 길이가 짧고, 굵을 뿐만 아니라 경도, 탄력성 등 물리성이 양호하였다.
        4,000원
        45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earch in the area of equine artificial insemination (AI) has led to its increased application in field trials. However, procedures for equine semen collection, cooling and freezing of seme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need further improvement. In experiment 1, we investigated the percentage of total motility (TM) and progressive motility (PM) of sperms at after-collection, cooled-diluted, cooled-transported or frozen-thawed semen. In experiment 2, mares were inseminated with either cooled-diluted, cooled-transported or frozen-thawed semen. In experiment 3, we examined the effect of buffer (skim-milk extender), which was infused into the uterus at the time of AI with frozen-thawed semen. In experiment 4, we compared AI pregnancy rates for mares ovulating spontaneously versus after treatment with hCG. In experiment 1, the average percentage of TM was decreased from 75.3% to 14.4% at the stage of after-collection to frozen-thawed semen (p<0.05). The average percentage of PM was 58.2% and 59.6% at after-collection and cooled-diluted, but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71.7% after frozen-thawed (p<0.05). In experiment 2, the pregnancy rates after AI using cooled-diluted, cooled-transported and frozen-thawed semen were 60%, 50% and 37.5%, respectively, and similar among treatments. In experiment 3, the pregnancy rate of mares infused with buffer at AI was 40% which was higher than that with no buffer (10%). In experiment 4, the pregnancy rates of mares were similar between ovulated spontaneously (25%) and ovulated with hCG (50%). The results suggest that equine semen that has been cooled-diluted, cooled-transported or frozen can be successfully used to establish AI, pregnancy and foal production. Also, the pregnancy rates after AI can be increased by infusing buffer into the uterus at AI or by inducing ovulation with hCG, but further study is need.
        4,000원
        45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나리 하계 고온기 고품질 절화생산 및 경 영비 절감을 위한 도입 소구의 비대증식에 유리한 환경 조건을 찾아내기 위해 수행하였다. 종구비 절감을 위해 소구를 도입하여 양구하는데 효과적인 환경조건을 찾 아내고자 재배형태를 비가림, 망실, 무피복으로 나누고 다시 절화 재배시 많이 사용하는 30% 차광처리와 무처 리로 구분하여 시험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비가림 재배 가 우수하였고 차광의 효과도 다소 있었다. 특히 양구에 있어서는 대관령 등의 고랭지에서 주간과 야간온도의 차이가 커서 동화산물의 전류 및 축적이 많아 평지에 비해 구비대가 유리하여 시비 및 관수방법에 따라 보통 3년 정도인 양구 기간을 단축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4,000원
        45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3세의 한국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름다운 손에 대한 손의 형태적 특성과 감성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감성평가 방법으로 손의 아름다움을 각각 10 등급으로 분류하고 이를 손의 형태학적 특성과 감성평가 등급파의 상관관계를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감성평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손 길이와 손 폭의 비이었고, 손 길이와 손가락 길이 및 손가락 굵기의 비율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손 갈이와 손톱 길이의 비와 손가락 길이와 손톱 길이의 비는 감성평가에 마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높은 감성평가를 받은 손(아름다운 손)의 특정은 손, 손가락 및 손톱의 길이가 모두 길고, 손과 손가락의 폭이 좁으며, 특히 낮은 감성평가를 받은 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톱의 길이가 모두 길고, 손과 손가락의 폭이 좁으며, 특히 낮은 감성평가를 받은 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톱의 길이가 더 길었다. 결과적으로 손의 모든 형태학적 특성들이 종합적으로 감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손의 형태학적 특성을 감성적으로 평가한 최초의 정량 및 정성적 보고로 손의 미적 요소에 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고, 이들 정보들은 손과 관련된 다양한 뷰티산업 제품 및 서비스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4,000원
        45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ukseoru as an official pavilion of the government, one of the eight sceneries in Gwndong Area, is located on the cliff over Osipcheon River. This paper interprets form and space of the pavilion with restored old life by analyzing pictures of official party in 18th century in Chosun Dynasty. Every part of the space is occupied by persons by the class and duty: the pricipal guest, nobles, subordinates, gisaengs, court musicians, and guards from the high to the low an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pplying the analysis to the Jukseoru pavilion, the noblest lord takes sit on the platform in front of folded screen at main bay under checked ceiling, enclosed by low timber beam. The next northern end bay is a place for subordinates' and servants' waiting for preparation for rice wine. Southern end entrance bay is not a result of later addition but deliberately and originally made for lower place outside the railing of wooden floor: for a waiting woman gisaeng, and subordinates. Outside under the eaves on the platform with bedrock, artificial stone and soil is a place for court musicians, subordinates, and guards. The yard in front of the building is a place for preparing meals by cookers. Every detailed ornamental form is different each other by the place for the occupied class. Existing theory tells that the building, 7 bays gable-and-hipped roof, is a result of structural extention of 2 bays at the 5 bays gabled-roof. However,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old pictures and application to the pavilion, the present Juseoru is not a result of later structural addition, but deliberately designed creation suited to life in hierarchical traditional society.
        5,200원
        459.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concentration and emission unit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released from domestic chicken buildings by field investigation. Mean concentrations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emitted from chicken buildings were 18.25(±4.78)ppm and 807.53(±526.17)ppb for caged layer house, 14.48(±4.13)ppm and 644.82(±312.48)ppb for broiler house, and 6.16(±2.02)ppm and 284.75(±232.08)ppb for layer house with manure belt, respectively. Mean emission coefficients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were 0.951(±0.131) g hen-1h-1 and 2.956(±0.968) mg hen-1h-1 based on head whereas they were 0.575(±0.082) g m-2h-1 and 12.44(±3.536) mg m-2h-1 based on time. In conclusion indoor concentration and emission coefficient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were highest in caged layer housed, followed by broiler house and layer house with manure belt.
        4,000원
        46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aling mode and the quality of Chuncheon Dakgalbi on marketing. Distribution of chicken as raw material for Dakgalbi at 100 restaurants in Chuncheon was studied. Boneless chicken was sold at 89, bone-in chicken was sold at 9 and both of them were sold at 2 restaurants, respectively. Consumer's taste for Dakgalbi was surveyed at different area such as apartment (A), university (B) and downtown area (C) in Chuncheon. The redness and taste score of Dakgalbi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p<0.05) among the members of family (A) as compared to others. Saccharinity and salinity of Dakgalbi were rated significant (p<0.05) among university student (B) than other consumers. In conclusi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kgalbi differs with marketing area or consumer group in Chunche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