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6

        443.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by drainage methods in poorly drained sloping paddy field. The soil moisture contents of under pipe and open ditch drainage on very poorly drained paddy soil were 18.52±4.58 and 19.01±4.25%, and imperfectly drained paddy soil were 14.87±4.82 and 18.64±3.85%, respectively. Moisture, protein, fat and ash contents of adzuki bean with drainage methods were 10.10~11.60, 14.13~21.75, 0.02~0.73 and 2.81~3.45 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dzuki bea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drainage methods.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by drainage methods were 2.73~4.14 mg GAE/g, 1.07~1.43 mg CE/g, and 1.27~1.84 mg TAE/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2.84~4.47 and 5.11~6.74 mg TE/g,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adzuki bean by drainage methods were frequently affected soil water.
        444.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추출 방법에 따른 상지에 배양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및 가압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 수율은 가압추출, 초음파추출, 열수추출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총 페놀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가압추출에서 100g 당 각각 9.87 g 및 1.9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ORAC은 가압추출에서 g당 769.63 μM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가압추출 1,000 μg/mL에서 각각 35.85% 및 51.42%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가압추출 100~500 μg/mL에서 29.16~93.89%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 및 환원력은 가압추출 100∼1,000 μg/mL에서 180.60∼607.93 μM 및 0.14∼0.51로 나타나 모든 항산화 활성 분석에서 가압추출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가압추출 100∼1,000 μg/mL에서 9.66∼24.05%로 유의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 농도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에 있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유용성분의 효율적인 추출에 가압추출 공정이 적합하다 판단되었다.
        445.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죽 잎의 메탄올 조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용매분획하고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활성,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활성성분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용매분획물 중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FRAP활성이 모두 가장 강하였으며,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도 가장 높았다.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역시 ethyl acetate 분획물이 모든 시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Ethyl acetate 분획물 중에서 caffeic acid, ferulic acid, quercetin, kaempferol 성분을 분리하여 정량하였으며 이 중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오죽 잎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천연 식품보존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46.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L.) is a summer fruit typical to help fatigue systemic absorption is getting bett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creen antioxidant activity to ensure the possibility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exocarp of watermelon. Watermelon was extracted with 70% methanol, 70% ethanol, chloroform:methanol (CM, 2:1, v/v). Total phenol contents were 12.01 mg/g, 8.89 mg/g, 3.53 mg/g in the 70% methanol, 70% ethanol, CM, in that order,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β-carotene bleaching assay were 70% methanol extract remarkably higher than the other extracts. And these results showed the same trend of total phenol content. From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watermelon was effective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44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hocyanins are very important constituent of human diet. In recent years, they have gained much attention due to their antioxidative properties. As the radish (Raphanus sativus L) has rich content of anthocyanins, the study is aimed to develop increased functional radish from selected radish varieties. ‘Bordeux’ is a hybrid variety of breeding between one accession derived from ‘Oharu’ as a maternal variety and ‘Chungpihongsim’ as a paternal varie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ew varieties of radish commonly consumed in Republic of Korea for their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three (DDPH, FRAP and CUPRAC) different assays. The selected radish varieties like ‘Bordeux’, ‘Chungbok’, ‘3209’, ‘Chungwoon’, ‘Oharu’, and ‘Chungpihongsim’ were procured from the company Syngenta Korea. Among the selected radish varieties, ‘Bordeux’ (289 μg/g FW) and ‘Chungpihongsim’ (276 μg/g FW) revealed maximum amount of phenolics; whereas ‘3209’ (103 μg/g FW) and ‘Chungwoon’ (166 μg/g FW) showed the lower amount of phenolics content, respectively. Extracts from these studied radishes showed good to moderate antioxidant activities. The varieties ‘Chungpihongsim’ and ‘Bordeux’ revealed maximum antioxidant activity for all assays as demonstrated. However, some varieties like ‘3209’ and ‘Oharu’ exhibited the lowest antioxidant activity in all the tested assays, viz; DPH, FRAP and CUPRAC in μg TE/g FW,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ies may be attributed to the higher phenolic acid contents as a linear 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and the antioxidant parameters.
        44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is an excellent source of vitamin A and C as well as flavonoid compounds, which are important antioxidant components that may reduce the risk of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BTS, DPPH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s in eggplant leaves and fruits to identify genetic resources with high antioxidant capacity for use in food or as feed additives. A total of 102 eggplant access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latitude of their origins: 0°~15° N (8 accessions), 15°~30° N (19 accessions), 30°~45° N (34 accessions), and 45°~60° N (41 accessions). The accessions originated from 45°~60°N showed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s (AVG. = 15.4 μg mg-1) followed by accessions originated from 30°~45° N (AVG. = 13.0 μg mg-1), 15°~30°N (AVG. = 11.0 μg mg-1) and 0°~15°N (AVG. = 9.5 μg mg-1). Same pattern was also found in ABTS and DPPH antioxidant activities. High ABTS, DPPH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s were found in the early-flowering accessions. All flavonoids of the greenish violet lea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green leaves. The flavonoid concentration in eggplant leaves with an average of 15.6 μg mg-1 increased from 10- to 20-fold as compared with their fruit (AVG.=0.9 μg mg-1). In conclusion, eggplant leaves represent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due to their very high flavonoid contents.
        449.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대두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수율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26.22 mg/g으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쥐눈이콩 열수 추출물에서 30.52 mg/g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은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 전체적으로 쥐눈이콩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SOD 유사활성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OD 유사활성능은 증가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고, 10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73%, 62%이상의 SOD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두 열수 추출물 10 mg/mL 농도에서 47.60%의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는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고, 5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대두 열수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대두 및 쥐눈이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10 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42.05%, 45.67%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저해활성이 높았다. 환원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두 추출물보다 쥐눈이콩 추출물에서 높은 환원력을 보였으며, 각 농도에서 쥐눈이콩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보다 약 2배 이상의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450.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노간주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을 조사하여 항산화소재로 이용하고자 실험하였다. 노간주나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은 71.3mg/g, 에탄올추출물은 116.0 mg/g 함량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추출물은 17.7 mg/g, 에탄올추출물은 76.4 mg/g 함량을 포함하고 있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500 μg/mL 농도에서 열수추출물은 76.4%, 에탄올 추출물은 79.3%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FRAP 값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에서 1.83 mM를 에탄올추출물에서 1.77 mM로 열수추출물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ACE 활성억제효과는 500 μg/mL 농도에서 열수추출물 75.39%, 에탄올 추출물 71.25%로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노간주나무 추출물의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를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의 경우는 1.5 PF, 에탄올추출물의 경우는 2.1 PF를 나타내었다. TBARS 저해율은 500 μg/mL 농도에서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각각 55.78%와 71.48%을 나타내었다. α-glucosidase와 α-amyl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500 μg/mL 농도에서 각각 70%와 9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항산화 및 항당뇨 예방물질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