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7

        444.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생물 유래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자생하는 감태 외 9종(곰피, 대황, 매생이, 모자반, 미역,지충이, 청각, 톳, 파래)의 해조류을 이용하여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황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50.81, 77.02mg/g으로 가장 많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황, 감태,지충이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86.26, 78.72, 68.32%를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소거능은 대황, 감태, 지충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모두 99%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과 환원력은 대황 에탄올 추출물이21.34%, 1.710(OD700)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방산패억제능도 대황 에탄올 추출물에서 83.95%로 가장 높았다. 또한,해조류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대황, 감태, 지충이 열수 추출물에서 97.75, 95.17, 87.13%를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3종류 모두 약 98%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해조류 중 대황, 감태, 지충이의 항산화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우수하여 천연 기능성소재 개발을 위한 좋은 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기능성소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적용할 제품에 따라 추출물의 재료, 첨가농도, 제품의 생리활성 등과 관련된 광범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445.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추출방법에 따른 양파껍질 추출물의 품질 특성 및 생리활성 특성을 비교하였다. 환류냉각추출의 수율이 13.21%로 가장 높았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압가 열추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가압가열추출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α-Glucosidase 저해 효과는 80.24%로 환류냉각추출이 가장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ACE 저해 효과는 27.05%로 저온고압추출이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가압가열추출이 33.9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환류냉각추출이 32.47%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errous ionchelating 효과에서는 저온고압추출이 54.73%로 가장 높은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압가열추출이 소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증진을 위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46.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PE film mulching and irrigation methods on the growth, yield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tatoes tubers,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potatoes in winter season in vinyl greenhouse on the reclaimed tidal land with weak ground inside the sea wall currently completed. The test was conducted on the sandy loam soil (Munpo series), and its salt concentration was 0.42% at the time of planting. The emergence speed per kind of PE film mulching was in the order of black > coloration > transparent > green color, with the black color showing the fastest speed. The temperature change during a day per kind of PE film mulching was in the order of transparent > coloration > green > black color. As for the salt concentration in the soil for each different way of water management, the salt concentration in the treatment of drip irrigation with 1 week interval was lower than that drip irrigation with 2 weeks interval. As for the growth of above-aerial part, plant length was higher, number of tiller and leaves were more and dry weight of above-aerial part was larger in the treatment of drip irrigaton with 1 week interval than drip irrigation with 2 weeks interval. As for the yield of potatoes depending on were higher with pear color vinyl treatment. each way of water management, the yield in the treatment of drip irrigation with 1 week interval was more than drip irrigation with 2 weeks interval. The yield for each different kind of PE film mulching in the weekly drip-irrigation management section was in the order of transparent ≥ black ≥ coloration ≥ green color. In both of total phenol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activity experiments, the content and activity
        447.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염색의 원료인 천연염료, 즉 천연색소의 열수추출물과 플로랄워터 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 함량 분석과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로 확인하였다. 열수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IC50 값은 0.0085~3.5 mg/mL를 나타내어 일부 색소 추출물의 DPPH 소거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오배자, 소목 추출물이 8.5 μg/mL, 19.1 μg/mL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비교 물질로 주로 사용되는 ascorbic acid의 10.5 μg/mL 만큼 높은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 역시 오배자, 소목 추출물에 서 각각 0.21, 0.12 mg/mL을 나타내어 높은 소거 활성을 띄는 것으로 강한 빛에 의해 야기되는 활성산소의 피해로부 터 생물체를 보호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도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 플로라워 터의 항산화 활성은 열수추출물 대비 미비한 효과를 보였으 나 황련, 황벽천초근의 경우 열수추출물 보다 우수한 결과 를 나타내었다. 플로라워터의 경우 액상시료를 첨가하여 수행되는 실험 방법에 의해 정량적 수치를 명확히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일부 천연색소 추출물은 생물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중 요한 역할을 하며,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한다면 새로 운 생물 소재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448.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여주 분말(bitter melon powder, BMP) 첨 가 청국장 발효 중 β-glucosidase 활성 변화, 총 phenolics와 isoflavone 함량, 항산화 활성 변화 및 관능평가를 조사하였 다. 청국장 발효 중 β-glucosidase 활성은 48 hr까지는 증가 한 후 72 hr에는 감소하였으며, 총 phenolics, isoflavonemalonylglycoside 및 isoflavone-aglycone 함량은 증가하였 고 이에 상응하여 항산화 활성 역시 증가하였으나, 총 isoflavone 및 isoflavone-glycoside 함량은 감소하였다. 한편, 발효종기 5% BMP 첨가 청국장은 또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 여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 72 hr 후 5% BMP 첨가 청국장의 총 phenolics와 daidzein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은 각각 13.5 mg/g, 390.57 μg/g, 90.74%, 99.79% 및 1.705(OD593 nm) 있었다. 부가적으로 여주 분말이 첨가될수 록 청국장의 이취도는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여주 분말 첨가로 기호성과 항산화 활성이 개선된 새로운 타입의 청국장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49.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표적 허브식물로 알려져 있는 민트류의 염스트레스 에 대한 반응 기작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NaCl을 처리하여 민 트의 생육 및 생리적 반응을 조사하였다. 페퍼민트, 오데코롱민트, 초코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파인애플민트 등 6가지 민트류의 생육 및 생리적 대사반응을 조사 비교분석한 결과 염 처리 농도가 증가될수록 민트류의 초장, 엽장, 엽폭은 줄어든 반면, 지상부 생체 중은 저농도 염 처리에서는 대조구보다 약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민트 품종 별로 차이가 있긴 하였지만 일정 염 농도까지 는 항산화 활성,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대조구보다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염성이 강하면서 항산화 활성, 총 폴 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많은 품종은 초코민트와 스피아민 트이며, 스피아민트는 염 농도에 따라 차이가 뚜렷하였다. 반면에 염에 민감하면서 항산화 활성,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이 낮은 품종은 애플민트로 나타났다.
        450.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링가 잎의 이용성 증대를 할 수 있는 적정 추출조건을 알아보고자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한 후 항산화 및 생리활성 특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수율은 물(13.17%), 메탄올(9.54%), 에탄올(7.4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각각 58.04 mg/g, 12.36 mg/g으로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물 추출물이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양성대조구인 BHT와 비교하였을 때 비슷한 경향을 보여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다른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ACE 및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의 경우, 전체적으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물 추출물이 에탄올이나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우수한 항산화 및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어 소재 활용가치가 높고 향후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51.
        2014.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분말을 밀가루에 대하여 0%, 5%, 10%, 15%로 대체하여 머핀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함량은 대조군보다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비체적은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머핀의 명도와 황색도는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결과, 경도는 대조군과 5% 첨가군이 낮게 나타났고,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머핀의 외관은 대조군이 가장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고, 냄새는 대조군과 5%, 10% 첨가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15%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맛과 조직감은 대조군과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5%, 10%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5%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머핀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DPPH radical 소거능, 금속 킬레이트 효과 및 환원력도 대조군보다 아로니아 분말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머핀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능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매우 높은 양(+)의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아로니아 분말을 10%까지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한다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관능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없고 기능적인 면에서는 항산화활성이 향상되어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45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by drainage methods in poorly drained sloping paddy field. The soil moisture contents of under pipe and open ditch drainage on very poorly drained paddy soil were 18.52±4.58 and 19.01±4.25%, and imperfectly drained paddy soil were 14.87±4.82 and 18.64±3.85%, respectively. Moisture, protein, fat and ash contents of adzuki bean with drainage methods were 10.10~11.60, 14.13~21.75, 0.02~0.73 and 2.81~3.45 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dzuki bea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drainage methods.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by drainage methods were 2.73~4.14 mg GAE/g, 1.07~1.43 mg CE/g, and 1.27~1.84 mg TAE/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2.84~4.47 and 5.11~6.74 mg TE/g,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adzuki bean by drainage methods were frequently affected soil water.
        455.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추출 방법에 따른 상지에 배양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및 가압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 수율은 가압추출, 초음파추출, 열수추출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총 페놀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가압추출에서 100g 당 각각 9.87 g 및 1.9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ORAC은 가압추출에서 g당 769.63 μM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가압추출 1,000 μg/mL에서 각각 35.85% 및 51.42%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가압추출 100~500 μg/mL에서 29.16~93.89%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 및 환원력은 가압추출 100∼1,000 μg/mL에서 180.60∼607.93 μM 및 0.14∼0.51로 나타나 모든 항산화 활성 분석에서 가압추출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가압추출 100∼1,000 μg/mL에서 9.66∼24.05%로 유의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 농도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에 있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유용성분의 효율적인 추출에 가압추출 공정이 적합하다 판단되었다.
        456.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죽 잎의 메탄올 조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용매분획하고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활성,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활성성분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용매분획물 중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FRAP활성이 모두 가장 강하였으며,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도 가장 높았다.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역시 ethyl acetate 분획물이 모든 시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Ethyl acetate 분획물 중에서 caffeic acid, ferulic acid, quercetin, kaempferol 성분을 분리하여 정량하였으며 이 중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오죽 잎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천연 식품보존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57.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L.) is a summer fruit typical to help fatigue systemic absorption is getting bett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creen antioxidant activity to ensure the possibility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exocarp of watermelon. Watermelon was extracted with 70% methanol, 70% ethanol, chloroform:methanol (CM, 2:1, v/v). Total phenol contents were 12.01 mg/g, 8.89 mg/g, 3.53 mg/g in the 70% methanol, 70% ethanol, CM, in that order,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β-carotene bleaching assay were 70% methanol extract remarkably higher than the other extracts. And these results showed the same trend of total phenol content. From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watermelon was effective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45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hocyanins are very important constituent of human diet. In recent years, they have gained much attention due to their antioxidative properties. As the radish (Raphanus sativus L) has rich content of anthocyanins, the study is aimed to develop increased functional radish from selected radish varieties. ‘Bordeux’ is a hybrid variety of breeding between one accession derived from ‘Oharu’ as a maternal variety and ‘Chungpihongsim’ as a paternal varie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ew varieties of radish commonly consumed in Republic of Korea for their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three (DDPH, FRAP and CUPRAC) different assays. The selected radish varieties like ‘Bordeux’, ‘Chungbok’, ‘3209’, ‘Chungwoon’, ‘Oharu’, and ‘Chungpihongsim’ were procured from the company Syngenta Korea. Among the selected radish varieties, ‘Bordeux’ (289 μg/g FW) and ‘Chungpihongsim’ (276 μg/g FW) revealed maximum amount of phenolics; whereas ‘3209’ (103 μg/g FW) and ‘Chungwoon’ (166 μg/g FW) showed the lower amount of phenolics content, respectively. Extracts from these studied radishes showed good to moderate antioxidant activities. The varieties ‘Chungpihongsim’ and ‘Bordeux’ revealed maximum antioxidant activity for all assays as demonstrated. However, some varieties like ‘3209’ and ‘Oharu’ exhibited the lowest antioxidant activity in all the tested assays, viz; DPH, FRAP and CUPRAC in μg TE/g FW,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ies may be attributed to the higher phenolic acid contents as a linear 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and the antioxidant parameters.
        45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is an excellent source of vitamin A and C as well as flavonoid compounds, which are important antioxidant components that may reduce the risk of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BTS, DPPH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s in eggplant leaves and fruits to identify genetic resources with high antioxidant capacity for use in food or as feed additives. A total of 102 eggplant access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latitude of their origins: 0°~15° N (8 accessions), 15°~30° N (19 accessions), 30°~45° N (34 accessions), and 45°~60° N (41 accessions). The accessions originated from 45°~60°N showed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s (AVG. = 15.4 μg mg-1) followed by accessions originated from 30°~45° N (AVG. = 13.0 μg mg-1), 15°~30°N (AVG. = 11.0 μg mg-1) and 0°~15°N (AVG. = 9.5 μg mg-1). Same pattern was also found in ABTS and DPPH antioxidant activities. High ABTS, DPPH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s were found in the early-flowering accessions. All flavonoids of the greenish violet lea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green leaves. The flavonoid concentration in eggplant leaves with an average of 15.6 μg mg-1 increased from 10- to 20-fold as compared with their fruit (AVG.=0.9 μg mg-1). In conclusion, eggplant leaves represent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due to their very high flavonoid contents.
        460.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대두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수율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26.22 mg/g으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쥐눈이콩 열수 추출물에서 30.52 mg/g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은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 전체적으로 쥐눈이콩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SOD 유사활성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OD 유사활성능은 증가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고, 10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73%, 62%이상의 SOD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두 열수 추출물 10 mg/mL 농도에서 47.60%의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는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고, 5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대두 열수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대두 및 쥐눈이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10 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42.05%, 45.67%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저해활성이 높았다. 환원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두 추출물보다 쥐눈이콩 추출물에서 높은 환원력을 보였으며, 각 농도에서 쥐눈이콩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보다 약 2배 이상의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