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0

        41.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생리조절과 인지조절 심리기술훈련이 시합 스트레스 상황에서 선수들의 심리 및 동기체 계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전두엽 좌우뇌 비대칭을 통해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대학 남자 축구 선수 30명으로, 생리조절군 8명, 인지조절군 8명, 통제군에 14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심리기술훈련은 3주간 단 체훈련 3회기, 개인상담 3회기로 총 6회기가 진행되었다. 심리기술훈련 전과 후 휴식과 스트레스 회상 조건에서 심리상태와 전두엽 좌우뇌 비대칭값(Frontal EEG Asymmetry Score: FAS)이 측정되었다. 결과: 스트레스 조건에서 측정된 불안, 스트레스는 생리조절, 인지조절 집단 모두 훈련 전보다 후에 감소하였으나, 통제집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FAS 분석결과, 생리조절군의 FAS는 훈련 후 Fp2의 활성화 감소에 의해 음(-)의 방향으로 하락한 반면, 인지조절군의 FAS는 훈련 후 Fp2의 활성화 증가에 의해 양(+)의 방향으로 상승하였다. 이상적인 심리상태 유도를 위해, 생리조절훈련은 철회동기체계를 작동시켜 스트레스 상황을 회피하는 방식을, 인지조절 훈련은 철회 동기를 감소시켜 상황에 대한 적극대처 방식으로의 전환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심리기술훈련의 유형과 방식에 따라 심리변화를 유도하는 과정과 동기체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2.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hotosynthetic parameters, chlorophyll content,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seedling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Methods and Results: The shading treatment was regulated with the shading level (non-shaded, 35%, 55%, and 75% shading). Photosynthetic activities, such as net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stomatal transpiration rate, and performance index on absorption basis (PIABS)were the highest under 35% shading (4.36 μ㏖ CO2·m−2·s−1, 54.2 m㏖ H2O·m2·s−1, 0.66 m㏖ H2O·m−2·s−1, and 1.3, respectively), and the lowest under 75% shading. This implies that the decrease in net photosynthetic rate may be due to an inability to regulate water and CO2 exchanged through the stomata. Thechlorophylla, b, and a + b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elevating shading level and the chlorophyll a/b ratio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the dry weight (leaf, shoot, and whole) was the highest (1.14 g, 0.49 g, and 2.31 g, respectively) under 35% shading and the t/R ratio was the highest under 75% shading.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75% shading exhibited a strong reduction of photosynthetic activity, and 35% shading showed the best conditions for the early growth and cultivation of A. dioicus var. kamtschaticus.
        43.
        201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utilization potential of grape stems as nutritional supplements, and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70% ethanol extracts from grape fruit stem (GFS) were investigated. Each experimental group was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and included GFSF (GFS prepared with freeze drying), GFSI (GFS prepared with infrared drying), GFSH (GFS prepared with heat air drying), and GFSS (GFS prepared with sun drying). The respective yields of freeze-dried powders for the GFSF, GFSI, GFSH, and GFSS were 59.27%, 57.13%, 58.57%, and 58.87%,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the GFSF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the other extracts, whereas total flavonoid contents in the GFSI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extracts. The contents of proanthocyanidin-related substances were ranked in the order of GFSF > GFSI > GFSH > GFSS. The thin layer chromatograph (TLC) analysis of catechin showed that the GFSF, GFSI, GFSH, and GFSS were detected in the same ban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ith 500 μg/mL (w/v) solutions of GFSF, GFSI, GFSH, and GFSS amounted to 93.14%, 93.07%, 92.64%, and 86.95%, respectively, and the reducing powers (OD 700) were 1.933, 1.765, 1.455, and 1.200 absorbance units,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showed the same tendency that was observed with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reducing power.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500 μg/mL (w/v) solutions of GFSF and GFSI were higher than those of GFSH and GFSS. In conclusion, the infrared drying technique is the superior method for the enhancement of biological activity for by-product utilization.
        44.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 effect of viewing forest and urban landscape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the psychological status of radiologist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mong 10 healthy raiologists (n=10, 24±2.9 years old). They were instructed to view forest and urban landscapes, and their HRV (Heart Rate Variability) was measured to assess their physiological responses, and POMS (Profile of Mood States), and SD (Semantic Differential) questionnaires were also conducted to assess their psychological statu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Wilcoxon signed-rank test using the SPSS 21.0. The results showed that viewing the forest landscape stimulated the activity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more than viewing the urban landscape, which reduced stress and stabilized the psychological status of participants, and that viewing the forest landscape also increased the levels of positive feelings among POMS and SD subscales. Therefore, it was concluded in this study that viewing forest landscapes can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stress, emotional stabili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status of those who work in a closed space like radiologists.
        45.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Our animal model of stress contained two components: (1) acute trauma, immobilization of rats in close proximity to a cat twice in 10 days, and (2) chronic social instability, 31 days of randomized housing of cage cohorts. Here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daily social stimulation would block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thods and Results : Beginning 24 h after the first cat exposure, adult male rats were given our established stress model, alone or in conjunction with daily social stimulation, in which all rats within a group interacted in a large apparatus for 2 h each day for the final 30 days. All behavioral, for example, anxiety, memory, startle testing, and physiological assessments, for example, body growth, organ weights, and corticosterone levels, took place following completion of the psychosocial stress period. Conclusion : From the above study, V. fauriei possess significant anti-stress properties and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stress-induced disorders.
        46.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iven the growing attention to nature and health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considered the role of a waterscape facility as a key element in a landscape’s influence on users’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he subjects were 28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ollected data include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alivary amylase concentration, semantic differential (SD) scales, and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s compared to a space without any waterscape element (Type G), relaxation in a space with a waterscape element (Type W) was found to significantly reduce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salivary amylase concentration. The SD scale and POMS findings showed that Type W evoked active, bright, dynamic, free, vital, interesting, and cheerful images and improved mood states by enhancing vigor while inhibiting depressive feelings. These findings indicate waterscape facilities can improves users’ mood states and may enhance their health.
        47.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Excessively high concentration of sodium ion causednutrient deficiency and significantly decrease growt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limiting concentration range of sodium ion in the soil of ginseng field. Methods and Results : The growth of the ginseng cultivar Chunpoong reduced with increase in salinity, and the rate of growth reduction was higher in shoots than that of roots. Particularly, ginseng plants cultivated at high level of nitrate nitrogen or sodium may suffer delayed development and stunted growth. Chlorophyll damage occurred on the leaves of ginseng planted in relatively high levels (> 0.2 c㏖+/㎏) of sodium ion, as determined by the fluorescence reaction. The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 in ginseng cultivated at 249 sites was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sodium ion in the soils. About 74% of ginseng fields in which physiological disorders occurred had concentrations of sodium ion in soil greater than 0.2 c㏖+/㎏. In contras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ions at 51 of 85 sites where no damage occurred was relatively (0.05 c㏖+/㎏- 0.15 c +/㎏). Conclusions : The concentration of sodium ion in soil of ginseng field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optimum (≤ 0.15), permissible allowance (0.15 - 0.2) and excessive (> 0.2).
        48.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s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ing effects of viewing the scenery in the Jangseong healing forest. Twenty-two university students (20.9 ± 1.3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Jangseong healing forest, and a control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city. The physiological indicators used in the study were the heart rate variability and heart rate of the participants. Subjective assessments (SD method, POMS, and STAI) were used as psychological indicators. The participants sat on a chair watching the scenery in the forest area and the urban area for 10 minutes each. The results indicate that viewing the scenery in the forest can increas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as compared with that in the city. In addition, the forest environment can enhance “comfortable,” “natural,” and “soothed” feelings; alleviate negative emotions; and reduce anxiety. Th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viewing the scenery in the Jangseong healing forest induced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ation.
        49.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늘의 냉동에 따른 생리활성을 변화를 분석함으로서 생리활성 효능이 유지되는 최적의 냉동 온도를 선정하고자 냉동조건에 따른 마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늘 추출물의 페놀 화합물 함량은 6.91±0.69 μg GAE/g으로 냉동 조건(-20, -80, -196℃)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0℃에서 0.327±0.058 μg QE/g에 반해 -20℃ 에서 0.263±0.015 μg QE/g으로 소폭 감소를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에서는 2 mg/mL의 추출물에서 4℃와 -80℃에서 61%로 나타난 것에 비해 -20℃와 -196℃에서는 51%가량으로 10%정도 라디칼 소거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마늘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4℃ 대조군에 비해 냉동조건에서 전반적으로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3.0 조건에서 18% 수준에서 소폭 증가가 나타난 반면 환원력 비교에서는 700 nm의 흡광도가 1.6 abs 수준에서 냉동조건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80℃에서 감소폭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수준은 못 되었다. 항균활성 비교 실험에서는 마늘 추출물이 E. coli, S. typhimurium, V. vulnificus, S. aureus와B. cereus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마늘의 냉동 조건에 따라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의 냉동 후 추출물의 생리활성은 실험조건에 따른 변화 폭이 크지는 않지만 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및 이에 의한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최적 온도는 -80℃로서, 마늘의 냉동 저장 중 품질특성 뿐만 아니라 생리활성기능 유지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20℃ 관행 냉동보다는 저온급속냉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50.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산림의 시각적 자극 유형에 따른 인체의 생리적ㆍ심리적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산림의 시각적 자극을 긍정과 부정으로 나누어 긍정적 자극으로 아름다운 산림풍경 5개 유형, 부정적 자극으로 산림풍경 훼손지 5개 유형을 실험자극으로 사용하였다.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소속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심리적 효과는 PANAS, 주의회복 척도를 활용 측정하였고, 생리적 효과는 뇌파의 α파 활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수행된 경관의 인체 치유효과 연구의 대부분이 자연경관 대비 도시경관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려 한데 반해 본 연구는 산림풍경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구명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ANAS와 주의회복 척도를 활용하여 산림의 시각적 자극 유형별 심리적 효과 분석 결과, PANAS, 주의회복 평균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p<0.01), 긍정적 산림풍경에서 PANAS의 PA(정적 정동), 주의회복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주의회복 평균 점수가 긍정적 자극에서 능선파노라마, 능선파노라마와 운해, 기암봉우리의 암릉, 계절감, 폭포 순으로 높게 나타나 주능선에서의 풍경이 주의력을 더 많이 회복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자극에서는 산사태피해지, 산복도로에서 주의력 회복에 대한 가능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뇌파의 α파의 활성도를 통한 산림의 시각적 자극 유형별 생리적 효과 분석 결과, 자극별로 개개의 유형에 대한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긍정적 풍경에 노출되었을 때 α파의 활성도가 증가하고, 부정적 풍경에 노출되었을 때 α파의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각 자극별로 좌뇌와 우뇌에 따라 뇌파의 α파 활성도 증감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p<0.01). 좌ㆍ우뇌 모두 부정적 산림풍경에서는 기준치보다 α파의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고, 긍정적 산림풍경의 경우 우뇌에서는 기준치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좌뇌에서는 개별 자극에 대한 반응의 차이로 인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사진을 통한 현장의 재현에서 나타나는 오차를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한편, 비록 긍정과 부정이라는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는 자극을 실험에 사용했지만 산림이라는 공통적인 대상을 기반으로 했으며 이러한 개개의 자극에 대한 생리 및 심리적 반응이 차이를 보임에 따라 산림풍경이 인체 치유효과에 중요한 자극요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시각적 측면에서 산림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풍경의 평가는 개인적인 경험이나 인식에서 기인되는 주관적인 반응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른 풍경에 대한 반응 차이의 고찰도 필요할 것이다. 향후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산림풍경의 시각적 자극유형과 그것과 주관적 경험과의 관계 구명에 대한 깊은 천착이 요구되는 바이다.
        51.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NaCl 및 JA 처리 시 애플민트(Mentha suaveolens Ehrh.)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애플민트는 대조구, JA(20μM JA 전처리), JA(20μM JA 전처리) + 50mM NaCl, 50mM NaCl 처리로 0.5배 Hoagland 용액에서 3주간 수경 재배하였다. 생장 반응과 엽록소, 비타민 C, 프롤린, 무기물, DPPH 라디컬 소거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와 비교해서 엽장,엽폭과 지상부 생체중은 NaCl와 JA+NaCl 처리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에 비해, JA 처리된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은 무처리된 대조구보다 높아졌다. 전체 엽록소 함량과 비타민 C는 JA처리에서 다른 처리보다 높아졌고, 염 스트레스 처리(NaCl 처리, JA+NaCl 처리)된 식물의 Na+, K+, 프롤린 함량은 대조구보다 증가되었다. 지상부 프롤린의 함량은 JA+NaCl 혼용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다. 또한, 모든 염처리구에서 잎, 줄기, 뿌리의 모든 식물 부위의 항산화 활성이 무처리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하지만, 모든 식물의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낮은 염 스트레스나 JA 처리 같은 적절한 스트레스 처리가 항산화 활성과 정유를 포함하는 이차대사물질의 축적을 유도함으로써 애플민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
        52.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accordance with viewing and walking in the forest and urban area. In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reactions in nervous system, viewing of the forest had a calming effect on the nervous system by reduc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The other hand, viewing and walking in the urban area compared to the forest area raised stress by increas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addition, viewing in forest area was effective in stress relief by noticeable reduction of the amylase concentration. In contrast, walking in the urban area was also confirmed an increase of stress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amylase. A viewing and walking in forest area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depressed on anxiety, anger, fatigue and confusion.
        53.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 우울환자를 대상으로 유산소성 댄스와 요가를 복합한 치유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심리·생리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J구 정신과병원에서 지역사회에 홍보를 통해 모집한 신청자 중 우울검사(BDI)에서 참여 가능한 실험집단 및 통제 집단의 환자 각 8명의 우울환자였다. 실험 집단은 8주 동안 주 2회, 하루 100분의 총 16회기 치유복합프로그램을 처치하여, t-test와 공분산분석으로 두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이정신진단 검사결과 실험집단은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증, 우울증, 불안증,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증상요인과 부가적 문항 모두에서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행복감 검증결과 실험집단에서 만족감과 긍정정서의 향상과 부정정서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실험집단에서 긍정자아 및 부정자아의 효과가 검증되었고, 집단간에서는 부정적 자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생리적 검증에서 심박수 및 신체조성의 변화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증 치료를 위한 운동중재요법으로서 요가와 유산소성 댄스의 복합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으며, 향후 임상적 운동심리학연구 및 학제 간 융합연구의 활성화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54.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의 시설생산을 위하여 배지 조성 및 차광 정도를 달리한 환경조건 하에서의 생육특성과 생리활성 변화를 검토하고자 온실 및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적정한 배지 조합은 차광 정도에 따라 달랐는데 무차광에서는 coco peat 단독, 50% 차광에서는 coco peat와 perlite를 50:50으로 혼합하였을 때, 70% 차광에서는 perlite 단독배지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생육을 보였다(P〈0.05). 차광은 엽면적, 엽록소 함량, 근장,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총 페놀 함량은 지상부(20.7~23.8 mg·kg-1)보다는 지하부(25.8~28.4 mg·kg-1)에서, 무차광(20.7~25.8 mg·kg-1)보다는 차광(23.7~28.4 mg·kg-1)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지하부(6.9~7.0 mg·kg-1)보다는 지상부에서(17.4~26.8 mg·kg-1), 무차광보다는 차광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반면,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성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고, 지하부(24.9~28.7%)보다는 지상부에서(31.1~36.5%), 차광보다는 무차광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차광은 비닐하우스 조건하에서 재배된 인삼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5.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arfitt, Rose & Markland(2000)는 건강운동 촉진과 관련하여 운동 강도의 선택은 개인의 자율성을 증가시키고, 자기결정에 대한 느낌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증가된 자결성은 내적동기를 증가시키고, 내적동기의 증가는 더욱 강력하게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참가자들이 운동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정서적 경험과 생리적인 반응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호/비선호 운동유형(선호/비선호)과×운동 강도(55%, 70%, 85%)에 따른 심리·생리적 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는 대부분 대학생으로서, 65명(남=47, 여=18)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은 집단×시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시점간의 차이 비교를 위해 paired-t 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와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체험하는 정서경험에서 선호 운동유형 집단은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에 비해 긍정적 정서경험이 높고, 부정적 정서 경험은 더 낮다. 둘째, 동일한 운동 강도에서 선호된 운동유형 집단이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보다 지각된 피로 수준과 운동 강도 지각이 더 낮다. 셋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체험하는 정서경험에서 운동 강도 70%가 55%와 85%의 운동 강도보다 더욱 효율적이다. 넷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참가자들이 체험하는 감정수준(feeling scale; FS)과 각성수준(felt arousal scale; FAS)의 2차원 원형 모델은 선호 운동유형 집단이 긍정적인 형태로,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은 부정적인 상태를 나타냈다. 다섯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참가자들이 체험하는 긍정적인 감정수준(feeling scale; FS)은 70% 집단이 55%와 85% 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각성수준(felt arousal scale; FAS)은 운동 강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운동강도 측정을 위한 객관적인 지표의 사용(예, VO2max의 사용), 성별에 따른 차이 점검, 생태학적 타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등을 제안하였다.
        57.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ve effects of container size and nutrient supply on plant growth, chlorophyll synthesis, transpiration, CO2 assimilation, water use efficiency (WUE), and nutrient uptake of vinca plant (Catharanthus roseus). A complete experiment utilizing four concentrations of fertilizer and three volumes of containers was conducted. As the container size was increased, the plant height, leaf area, and dry weight of vinca significantly increased regardless of fertilizer level. The leaf area and dry weight of vinca were highly sensitive to the container size. However, the chlorophyll contents of vinca 20 days after the transplan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decreasing container sizes and increasing fertilizer concentra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nspiration and CO2 assimilation occurred with the use of differentfertilizer solutions, but the highest values for transpiration and CO2 assimilation were in plants grown in the 15 cm-diameter containers. The highest water use efficiency was observed in the plants grown in 10 cm-containers with 4 dS/m of fertilizer,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UE values among container sizes with fertilizer concentrations of 0, 1, or 2 dS/m.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ent uptake was observed among the fertilizer levels or among the container sizes. However, at a fertilizer concentration of 4 dS/m, the uptake of several nutrients, including N, P, K, Ca, Mg, B and Fe, was higher in small containers than in larger ones.
        58.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채의 새싹 발아와 생리활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LED 광질 종류를 구명하기 위해 청색, 녹색, 적색, 백색, 황색, 적색+청색광을 발광 14시간, 암조건 10시간, 주간 25℃, 야간 18℃로 조절하여 종자 발아와 새싹을 생장을 시켰다. 생리활성 조사는 새싹을 메탄올로 추출한 것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종자 발아율과 발아속도는 광질에 관계없이 3일 만에 100% 발아 되었다. 파종 후 6일째의 신선중은 녹색광과 백색광에서 각각 0.339g/10plants 및 0.339g/10plants로 높았다. 새싹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적색광과 백색광 처리구에서 각각 72.5 및 70.9mg·L-1로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 2,000mg·L-1일때 청색광과 백색광 처리구에서 각각 90.0 및 90.3%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적색광 처리구에서 57.4mg·L-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녹색광 처리구에서 22.5mg·L-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59.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리 세이지(Salvia coccinea L.)와 파인애플 세이지(Salvia officinalis L.)을 수경재배 할 때, 양액내 NO3--N : NH4+-N의 비율이 두 품종 허브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질산태질소와 암모늄태 질소의 비를 100:0, 75:25, 50:50, 25:75, 0:100의 다섯 개의 처리구를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리 세이지와 파인애플 세이지의 생육에서는 NO3--N : NH4+-N의 비가 50:50과 75:25인 처리구의 생장이 21.9cm, 23.4cm로 NH4+-N 단용 처리구보다 생장율이 높았다. NH4+-N 의 함유량은 체리세이지의 shoot의 25:75 혼용구에서 38mg/g DW로 가장 낮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75:25의 혼용구에서 44mg/g DW를 보였고, 파인애플 세이지는 45mg/g DW의 가장 높은 함유량과 38mg/g DW의 가장 낮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50:50의 비에서 40mg/g DW의 함유량을 보였다. NRA의 함유량은 시간이 지나면서 shoot에서 많은 활성을 보였고 체리세이지는 NO3--N : NH4+-N비가 50:50인 혼용 처리구에서 0.81nmole/g FW ․ h-1의 함유량을 보였고 파인애플 세이지는 50:50 혼용구에서 최대 0.86nmole/g FW ․ h-1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GSA(glutamine synthtase activity)의 활성에서 12주후, 체리 세이지는 질산태 질소 단용구에서 9.2umole/g FW ․ h-1의 함량을 파인애플 세이지는 11umole/g FW ․ h-1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NO3-의 단용구 또는 NH4+의 단용구보다는 NO3--N : NH4+-N의 혼용구에서 생육의 증가를 보였고, NRA의 함량과 생장 또한 단용구보다는 혼용구에서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NO3--N : NH4+-N의 처리비가 75:25 에서의 혼용 처리구에서 다른 혼용구보다 생육의 높은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75:25의 혼용비가 두 종의 세이지 생육에 적합한 비라고 생각된다.
        60.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olatile aromatic substances from Cinnamomum camphora and C. japonicum among warm-temperate tree species were examined for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n the human body. Each scent of the trees was provided to the test materials. And then their brain wave, pulse rate, aroma sensibility evaluation and POMS were measured as follows. To examine psychological effect of aroma of each tree species on human bodies, aroma sensibility evaluation and POMS were conducted. The result reveals that the aroma of the two tree species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comfort, naturalness and stimuli, and that C. camphora shows low level of satisfaction due to strong aroma while C. japonicum is more preferred due to its soft and fragrant aroma. As well, POMS was given to identify subjects' temporary emotional state. The result indicates that C. camphora has higher values in every item than C. japonicum, and that both tree species repress anxiety and depression and create vivacious feelings with higher values in [vivacity] and [anger-hostility] items than [tense-anxiety] and [distress-depression].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effect of aroma of each tree species, aroma extracted from the two tree species were distributed, and the subjects' brain wave and impulse were measured.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C. camphor has relaxing effect of increasing α-wave and reducing pulse, and that C. japonicum also has relaxing effect, but the effect is less than that of C. camphora as it reduces pulse though it slightly reduces α-wave. In addition, individual preferences for C. camphora vary as it has big individual deviations vary, but C. japonicum has similar level of preference as its variances are small. The natural and pleasant aroma of these two tree species seem to have tranquilizing effect in both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a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f feeling refreshed, feeling enhanced, and so on. In conclusion, there is a sufficient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se two aromatic warm-temperate tree species. Also, the importance of such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ree species lies in the fact that they can set standards for the utilization of warm-temperate forest in the future.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