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8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밀 재배 환경에서 수발아 저항성 밀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금강밀 등 31 품종을 이용하여 2년 동안 조사한 농업 형질과 종자 특성이 수발아율 및 GI에 미치 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농업형질은 출수기, 성숙기, 간장, 수 장, 망장, 경수와 1수립수를 조사하였고, 종자 특성으로는 리 터중, 천립중, 종자의 길이, 폭과 두께를 측정하였다. 수발아 관련 특성으로는 모래묻이법을 이용한 수발아율과 종자 휴면 성과 상관 있는 GI를 조사하였다. 수장과 경수는 년차간 변이 가 없었으며, 리터중은 년차간 및 품종간 차이가 없었고, 이외 나머지 농업형질과 종자 특성 및 수발아율은 년차간, 품종간 및 품종과 년차간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농업형질은 수발아 특성과 상관이 없었지만, 출수기와 성 숙기는 1수립수 및 종자 길이와 상관을 나타냈으며, 천립중과 종자 길이는 간장과 망장과는 정의 상관을 1수립수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수장과 경수는 종자 폭 및 두께와 상관을 보였다. 천립중은 수발아율 및 GI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 며(r = 0.618, P < 0.001, r = 0.525, P < 0.01), 종자의 길이, 폭과 두께 역시 수발아율 및 GI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백립계 품종은 적립계 품종에 비하여 리터중을 제외한 모든 특성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수발아율과 GI 값도 높게 나타났다. 적립계 품종인 수안밀, 수강밀, 알찬밀과 고소밀은 수발아 저항성이면서 휴면성이 강한 품종으로, 국내 밀 육종 프로그램에서 수발아 저항성 육성 모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 이다. 국내 밀 품종의 수발아 저항성 증진을 위한 계통 선발 에서 종피색과 종실의 무게와 크기도 고려해야 한다.
        85.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수집한 동부 유전자원 245점에 대한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육성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개화일수는 41∼50일(51.5%), 51∼60일(43.7%), 등숙일수는 21∼30일(53.9%), 31∼40일(23.7%), 생육일수는 71∼80일(26.9%), 81∼90일(23.4%) 순으로 많이분포하였다.2. 신육형은 무한형 72.7%, 중간형 25.7%, 및 유한형1.6%, 초형은 포복형 78.8%와 직립형 21.2%, 잎 모양은 심장형 98.4%와 피침(결각)형 1.6%, 꽃색은 보라색85.2%, 백색 13.6% 및 연주색 1.2% 씩 분포하였다.3. 성숙 꼬투리색은 갈색 54.7%와 황갈색 37.6%, 착협위치는 아래로 향함 90.6%, 중간 5.7% 및 곧추섬 3.7%씩 분포하였다.4. 종피색은 갈색 25.3%, 흑색 23.3%, 백색 20.8%, 종자모양은 계란형 66.9%, 장방형 24.9%, 신장형 8.2% 씩분포하였다.5. 협장은 10.1∼20.0 cm 89.0%, 20.1∼30.0 cm 8.6%,협당립수는 12.1∼15립 62.0%, 9.1∼12립 25.7%, 15.1∼18립 9.1% 씩 분포하였다.6. 백립중은 15.1∼20.0 g 37.6%, 10.1∼15.0 g 28.6%,주당수량은 100.1∼200.0 g 52.7%, 100.0 g 미만 22.9%,200.1∼300.0 g 15.9% 씩 분포하였다7. 선발한 7자원 종실의 전분 함량은 44.1∼57.0%, 단백질 함량은 23.3∼27.5% 범위로 유의차가 있었다. Sucrose함량은 자원에 따라 1.46∼2.03% 범위에 포함되어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86.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Panax ginseng C. A. Mey.) and to identify the variations that can be utilized in ginseng breeding programs.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was used to clarify the genetic relationships among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and to classify them into distinct genetic groups. Angle of petiole and number of fibrous root showed a wide variation from 15.0~67.8˚ and 0~5, respectively. The average plant length was 54.2cm with a range of 37.9~64.8cm and the average stem diameter was 5.6mm with a range of 4.0~7.5mm. The average stem length was 31.9cm with a range of 21.8~37.9cm and the average root weight was 38.1 g with a range of 23.0~52.0 g. The 24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ased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using the complete linkage cluster analysis. The I, II, III and IV groups included the 60.8%, 7.4%, 13.1% and 8.7% of the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respectively. The breeding lines in group I could be characterized as the group with the highest growth characters and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length, stem diameter and root weight. The root weight, the yield component, had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tem diameter, plant length and stem length.
        87.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팥 150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작물학적 형질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육형 빈도를 보면 무한신육형이 96.6%(145자원)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유한신육형 및 반무한신육형은 각 각 2.0%(3자원), 1.3%(2자원)를 차지하였다. 2. 화색은 황색이 98.0%(147자원)를 차지하였으며, 협색은 노란색, 갈색, 농갈색, 흑황색, 혼합색의 5가지의 색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가장 많은 협색은 황색으로 64.3%(96자원)를 차지하였다. 종피색은 갈색, 농갈색, 흑색, 흰색, 혼합색, 적갈색, 황색 및 녹색으로 8가지의 립색을 나타내었으며, 적갈색 및 갈색계통이 전체의 66.5%를 차지하였다. 3. 생육일수는 89.0~142.0일의 분포를 보여 변이의 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115.0일이었다. 생육일수의 빈도는 131.0~140.0일로 이에 속하는 자원이 37.2%(56 자원)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121~130일 사이가 27.3%(41자원)를 차지하였다. 4. 협장은 5.9~10.1 cm를 나타내어 변이 폭이 컷으며, 평균은 7.8 cm이었다. 협장은 7.1~8.0 cm 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45.1%(68 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8.1~9.0 cm에 속하는 자원이 32.2%(48 자원)를 차지하였다. 5. 개체당 평균 협수는 28.5협이었으며 150 유전자원의 협수분포를 보면 5.0~132.5협을 나타내어 변이의 폭이 컷다. 개체당 협수가 가장 많은 자원은 11.0~20.0협 사이로 30.8%(46 자원)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은 21.0~30.0협에 속하는 자원이 28.6%(43자원)를 차지하였다. 6. 협당립수는 5.3~11.3립을 나타내어 변이의 폭이 컷으며, 평균은 8.2립이었다. 협당립수가 가장 많은 그룹은 7.1~8.0립으로 32.2%(48자원)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8.1~9.0립 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28.2%(42자원)를 차지하였다. 7. 100립중은 범위가 5.7~23.0 g으로 변이 폭이 컷으며, 평균은 12.9 g이었다. 100립중의 분포는 9.01~13.0 g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전체의 43.4%(65 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13.01~17.00 g이 28.5%(43 자원)를 차지하였다.
        88.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2기작 재배의 전기작 재배에서 농업적 특성 및 품질 등을 고려하여 선발한 유망계통 ‘밀양255호’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극조생 공시계통인 ‘밀양255호’의 출수기는 7월 3일로 대비품종인 ‘진부올벼’보다 2일 늦었으며, 간장과 수장은 각각 58.3 cm, 16.0 cm이며, 주당수수와 수당립수는 각각 18.0개 52.5개였다. 수량은 394 kg/10a로 12%정도 증수되었다. 2. ‘밀양255호’의 현미의 길이, 폭 및 두께는
        89.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의 활성변화와 종실 수량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 등숙관련효소인 ADP-glucose pyrophosphorylase(AGP)의 활성변화를 콩 품종별로 등숙기간에 따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산나물콩은 협수 및 잎수가 131개 및 102개로 가장 많았으며, 100립중은 10.4g으로 가장 낮았으나 수량은 275kg/10a으로 가장 높아 물질생산 및 건물축적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화시기(R1,R2) 에 AGP의 활성도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2. 품종별 CO2 동화량은 풍산나물콩이 20.96umolm2s1로 가장 많았으며 검정콩1호는 12.54umolm2s1로 가장 적었다. 3. 단파흑은 개체당 잎면적이 3,968cm2 로 가장 많고 100립중도 30.5g으로 가장 높은 반면 수량은 149kg/10a으로 가장 낮아 건물축적 효율이 가장 낮았으며, 생육단계별 AGP활성도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4. AGP의 small subunit은 60KD의 single band를 나타냈는데 개화기 이후 AGP의 활성변화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9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한약추출박은 배출되는 양이 많아 쓰레기화 되어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이러한 한약추출박을 퇴비로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시험으로 첩약(貼藥)인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의 한약추출박 성분을 분석하였고, 여기에 배초향을 재배하여 비료로 시용한 후 생육특성과 전초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약추출박의 분석 성분 중 유기물은 89.6%가 함유되어 있었고, 염분은 0.1%로 약초의 생장에 지장이 없는 공정규격(1.0%)이하의 범위였다. 약초의 생장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비료 3요소 중 질소는 2.8%가 함유되어 있었고, 인산은 0.6%, 그리고 칼륨은 0.5%가 함유되어 있었다. 미량성분으로 식물체의 영양분이 될 수 있는 성분은 아연과 구리 등이 함유되어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한약추출박 성분은 유기물과 질소, 인산, 가리, 미량요소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유기질 비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 한약추출박의 시용에 따른 배초향의 생육은 한약추출박 시용이 무시용보다 초장과 경직경이 크고, 엽수와 가지수가 많아 생장이 양호 하였고, 수량도 전초 1주중이 무거워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한약추출박의 시용농도는 30~50 g의 시용에서 효과가 인정되었으므로 추출박 30 g의 농도가 적정 시용 농도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약추출박은 배초향과 같은 전초이용 약초에 유기질 비료로 재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9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e optimum cultural system of sesame under greenhouse condition with the comparison of open field cultural condition. The relatively higher adaptable varieties under greenhouse condition were white sesame "Pyoungan" and black sesame "Jinki" which showed higher yield potential and disease resistance. To set up standardized cultural system under greenhouse condition, we conducted several experiments of optimum sowing date, planting density and pinching time etc. When it came to sow sesame seed soon after early cultivated crops were harvested, the yield potential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sowing dates. Therefore, "June 30th" was optimum sesame sowing date in the greenhouse cultivation system. We also found out the space of 40㎝ between rows and 30cm(a few branch type) or 40cm(many branch type) between plants was bett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Optimum pinching time was 25 days after first flowering date when 1000 seeds weight and yield potential showed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9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scanthus is a rhizomatous perennial C4 grass and has been studied as a lignocellulosic biomass energy crop in Europe and USA. Although Korea has many native Miscanthus species, however, Miscanthus has never been considered as a potential bioenergy crop and not much studied. Therefore, we collected Miscanthus spp (M. sinensis and M. sacchariflorus) in Korea and overseas and conducted a field experiment during 2008-2010 to investigate their agronom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biomass yield and thus to select genotypes with a high biomass yield potential.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ssessed are plant height, leaf area, stem thickness, stem density, flowering time, dry weight and so on. Some Korean genotypes particularly collected in Jeju and Gyeonggi showed very high biomass yield, suggesting that they can be used for breeding a new Miscanthus cultivar for biomass production.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plant height, stem thickness and density are closely related with biomass yield. Flowering times vary with genotypes and their collection sites. Phenotypic information of Korean Miscanthus we present herein may be useful for further studies on Miscanthus as a bioenergy crop.
        93.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re than 2,500 accessions of squash germplasm are preserved in the National Agrobidiversity Center of RDA, Korea. We investigated the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100 accessions of the squash germplasms with a low viability. Two typical types of oriental squash (Cucurbita moschata) and western squash (Cucurbita maxima) are possessed 89 and 11 accessions, respectively. The origin of 100 accession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I (Korea landraces with 81 accessions), group II (Nepal with 15 accessions) and group III (Russia, Uzbekistan, Laos, and Mexico with each one accession). Seventy eight accessions germinated at 27~circC in growth chamber. Days to first flowering of the female and male flower ranged from 32 days to 67 days and 24 days to 55 days after planting, respectively. Vine length showed the largest variation ranging from 357.8 cm to 1,465 cm, also the average length of ten stem node range has a variable ranges from 92 cm to 217.5 cm. All regenerated squash accessions have an only collided tendril and have three to seven lateral shoots. The flattened globe-shaped squash is the most predominant and exhibited ordinarily round shaped, ball shaped, long oblong-shaped, elongated shape, and pear shape. The average weight of fruit ranged from 1.33 kg to 7.95 kg. Sugar contents showed 5.4~12.6 Brix~circ without ripening period.
        94.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년 동안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수수 179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작물학적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수의 수형은 산수형, 소경수수형, 반소경수수형, 극밀수형, 및 밀수형의 5가지 수형이 존재하였으며, 수형별 빈도를 보면 소경수수형이 38.0%(68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극밀수형 및 밀수형이 각각 16.2%, 7.8%로 가장 적었다. 2. 수수 이삭의 까락 유무는 28.5%(51자원)가 까락을 갖고 있었으며, 나머지 71.5%(128자원)는 까락이 없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3. 종실형태는 43.0%(77자원)가 원형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편원형이 7.3%(13자원)로 가장 적었다. 종피색은 황갈색이 84.4%(151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갈색 및 흰색이 똑같이 1.1%로 가장 적었다. 4. 수수 179자원의 출수소요일은 67~88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77.4일이었다. 출수소요일의 분포는 179자원 중 76~80일이 37.4%(67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86일 이상도 5.6%이었으며, 70일 이전에 출수한 자원도 10.0%를 나타내었다. 5. 간장은 92~360 cm의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은 253.8 cm로 변이의 폭이 컷다. 간장의 분포는 291~310 cm가 20.6% (37자원)로 가장 많았다. 6. 수장은 15~49 cm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28.8 cm이었다. 수장의 분포는 31~35 cm가 26.3%(47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15 cm 이하가 0.6%로 가장 적었다. 7. 생육일수는 110~146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 폭이 상당히 큼을 알 수 있었고, 평균은 125.5일이었다. 생육기간의 빈도는 111~115일이 39.7%(71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110일 이하와 141일 이상에 속하는 자원도 각각 2, 23자원이나 되었다. 8. 1수립수의 범위는 163~4,532개로 변이 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2,068.6개 이었다. 1수립수 분포는 1,601~2,000개가 25.7%(46자원)로 가장 많았다. 9. 공시된 179 유전자원의 1000립중은 범위가 10.6~38.1 g으로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25.6 g이었다. 1000립중의 분포는 26.0~30.0 g가 전체의 44.1%(79자원)로 가장 많았다
        95.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development medicinal Artemisia herbs of high quality, Korean A. annua L. were investigated with its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asic statistical data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This species, which is annual herb, is mainly distributed to marginal land, riverside, roadside, grassland. Ecological niche is low species in competition of the others. Its pollination is basically anemogamous, but is frequency pollinated by insects.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as tap root, 1~3 pinnate compound leaf of ovate or narrowly ovate, stem is green, erect and solitary. Inflorescence is paniculate, receptacle is not hair. Capitulum, consist of ray floret and disk floret, is subglobose shape. Additionally, this species could be easily discriminated from related Artemisia herbs by the capitulum size. Ray floret is female, disk floret is bisexual. Flowering season is from August to October. Seed is achene unattached hair. Stem length ranged from 179 cm to 225 cm, and stem diameter and number of branch were 17.14 ± 1.68 mm, 2.43 ± 0.51 mm, respectively. Length and width of leaf were 14.5 ± 0.5 cm, 15.0 ± 1.0 cm, and leaf number of main stem were 48.06 ± 10.57 cm, respectively. Fresh weight of aerial parts and root were 364.7 ± 14.1 g, 32.6 ± 5.1 g, and its dry weight were 136.6 ± 10.0 g, 14.9 ± 2.34 g, respectively.
        96.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국내외에서 수집된 해바라기 328종을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특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바라기 수집종의 출아소요일수는 7~12일이었으며, 개화 소요일수는 55~86일로 폭넓게 분포하였다. 수집종 해바라기의 경장은 평균이 259 cm로 그 분포는 131~345 cm의 변이를 보였고, 성숙일수는 평균 35일이었다. 주당 두화수(頭花數)는 1개~23개로 큰 변이를 보였으며, 두화의 크기는 평균 17.6 cm 로 14.7~21.3 cm가 72.8%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두화당 종자수는 평균 1,430개 정도, 종실중은 평균 91.4 g로 28~379 g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종실길이는 평균 11.7 mm, 범위는 9.0~21.5 mm 이었으며, 종실 폭은 평균 6.4 mm, 1 l 무게는 평균 322.5 g이었으며, 천립중은 평균 63.3 g, 주당 종실중은 평균 204 g이었다. 생육 및 종실 특성 중에서 두화 당 종자수의 변이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주당종실 중의 변이가 컸다. 수집종들의 형질 간 상관분석 결과, 경장이 클수록 종실폭은 커지고 개화일수도 길어졌으나, 성숙일수와 생육일수는 짧았다.
        9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년 동안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기장 137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농업적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137자원의 수형은 편수형, 산수형, 편밀수형(편수형과 밀수형의 중간형태) 및 산편수형(산수형 과 편수형의 중간 형태)의 4가지 수형으로 구분되었다. 수형별 빈도를 보면 편수형이 91자원으로 66.4%를 차지하였다. 2. 종피색은 황백색, 황갈색, 흑갈색, 황색 및 갈색 5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종피색별 빈도를 보면 황백색 이 54자원 39.4%로 가장 많았으며, 종실형태는 방추형이 62.8%, 단방 추형이 37.2%이었다. 3. 출수소요일은 68~85 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73.7일이었다. 빈도별 분포는 70~75 일이 46.7%로 가장 많았다. 생육기간은 109~124 일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평균 112일이었다. 생 육기간의 빈도를 보면 111~115 일이 83자원으로 60.6%로 가장 많았다. 4. 간장의 분포는 181~190cm 가 65자원으로 47.4%로 가장 많았으며, 160 cm 이하가 2.9%로 가장 적었다. 수장은 156~201cm 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181.4 cm이었으며, 빈도별 분포는 31~35cm 가 74자원으로 54.0%로 가장 많았다. 5. 1수립수의 범위는 432~2,665 개로 변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1,429.5개이었다. 1수립수 분포는 1,200~1,400 개가 20.4%로 가장 많았으며, 1,000개 이하 및 2,000개 이상이 각각 13.1%, 8.6%를 차지 하였다. 6. 등숙률은 10% 이하에서 90% 이상까지 변이의 폭이 매우 컷다. 1000립중은 범위가 2.2~6.0g 으로 변 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4.69 g이었다. 7. 간장은 수장 및 출수소요일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생육기간은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등숙률도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등숙률이 높은 자 원일수록 1000립중이 높았다.
        9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op characteristics of 137 common millet(Panicum miliaceum L.) resources collect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rop breeding. Spike types of 137 plant resources were classified as 4 types of oblate, spreading, oblate-compact(intermediary type between oblate and compact) and oblate-spreading(intermediary type between oblate and compact) type, of which oblate spike type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66.4%(91 plant resources) of 137 germplasm. Seed color was classified as 5 colors of dark brown, yellow, brown, yellowish brown, and yellowish white, of which yellowish white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66.4%(54 plant resources) among them. Seed type was classified as 2 types of pyramid shape and short pyramid shape, which showed 62.8% and 37.2% respectively.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date showed the range from 68 to 85 days with 73.7 day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70 to 75 days, which occupied 46.7%(64 plant resources) of 137 germplasm. Days from seed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showed the range from 109 to 124 days with 112.0 day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60.6%) of it was the group from 111 to 115 days, while there were also occupied with 6.6% below 110 days and 5.1% over 120 days among 137 germplasm. Group from 181cm to 190cm of culm lengt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47.4%, whereas below 160cm was the lowest occupancy of 2.9%. Spike length showed the range from 181 to 190cm with 181.4cm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31 to 35cm with the proportion of 54.0%. Number of grains per spike showed the range from 432 to 2,665 grains with 1,429.5 grains in the average and group from 1,200 to 1,400 grains per spike was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with the proportion of 20.4%. There were also occupied with 13.1% below 1,000 grains and 8.6% over 2,000 grains per spike among 137 germplasm. Culm length and spike length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date. Days from seed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and percentage of ripened grains were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1000 grain weight, showing that the longer and higher the days from seed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and percentage of ripened grains, the higher 1000 grain weight.
        9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general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identify its relationship with seeding date for high quality soybean seed production. One hundred(100) domestic soybean varieties were used and seeding date were scheduled at April 30 and May 30.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YARI, NICE situated at Miryang from 2005 to 2006. Maturity Group(MG) was classified by Kweon et al's method (1974). Correlation analysis of major agronomic character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ays to flowering and growth days, seed weight and lodging in MG ,seed crack and growth days in Ⅳ~Ⅴ MG0~Ⅲ,seed crack and days to flowering in MGⅣ~Ⅴ and MGⅥ~Ⅶ, seed crack and lodging in MGⅣ~Ⅴ and MGⅥ~Ⅶ, seed crack and seed weight in MGⅣ~Ⅴ and MGⅥ~Ⅶ, purple seed and growth days in MGⅣ~Ⅴ , purple seed and seed weight in MGⅥ~Ⅶ, phomopsis and growth days in MGⅣ~Ⅴ and MGⅥ~Ⅶ, and phomopsis and purple seed in MGⅣ~Ⅴ and MGⅥ~Ⅶ. In contrast, a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seed weight and lodging in MG0~Ⅲ. Correlating yield and major characters reveale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ays to flowering and growth days in MG0~Ⅲ and MGⅣ~Ⅴ, whereas positive relationships were obtained on MGⅥ~Ⅶ seeded on April 30. Lodging, seed weight and seed crack were all negatively correlated with yield in MGⅣ~Ⅴ and MGⅥ~Ⅶ
        10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based on the agronomic, phsy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qu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of aroma rice germplasms. Among the 104 rice germplasm, five accessions of domestic aroma rice, 14 accessions of widely cultivated rice, and 60 accessions of foreign aroma rice were selected with excellent agronomic traits, high fertility and germination rate. The average amylose content of foreign aroma rice was higher than domestic aroma rice and widely cultured domestic rice. The domestic aroma rice was shown low protein and the foreign Indica types of aroma rice exhibited a wide range of protein contents. The foreign aroma rice were distributed a variable range of ADV value and lower than the both domestic aroma rice and widely cultured domestic rice. And it shown the difference aspect of amylograms according to the eco-type of the domestic and foreign aroma and the general rice, and it was distinguishable in difference of the aspect of the endosperm of rice as non-glutinous rice, waxy rice, and middle-waxy rice.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2-Actyl-1- Pyrroline is recommended that five second grinding time, using 100 % ethyl alcohol, at 90℃ for 30 minutes. The domestic and the foreign aroma rice has more than mild aroma grade. A total 30 accession of aroma rice germplasm selected based on their 2AP concentration, aroma grade and agronomic traits. A total of 158 volatile and semi-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from 30 accessions of aroma rice germplasm, including 32 alcohols, 25 acids, 25 ketones, 21 hydrocarbon, 18 esters, 16 aldehydes, 4 ethers, 5 amines, 2 phenols, 2 bases, and 8 miscellaneous compounds. The thirty aroma rice germplasm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major odor or aroma compounds.
        1 2 3 4 5